연평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평도는 서해 5도 중 하나로,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속하는 섬이다.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조선시대에는 해주군에 속했다. 조기잡이로 인구가 증가했고, 1910년대 천주교가 전래되었다. 1945년 38선 이남으로 경기도 옹진군에 편입되었고, 한국 전쟁 중에는 피난민의 통로가 되었다. 1995년 인천광역시로 편입되었으며, 북한과의 군사적 긴장이 높은 지역으로, 1999년, 2002년, 2010년 연평도 포격 사건 등 남북 간의 해상 충돌이 발생했다. 주요 어업 지역이며, 대연평도와 소연평도로 이루어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평도 - 제2연평해전
2002년 6월 29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서 북한 경비정의 기습 공격으로 대한민국 해군에 전사자와 부상자가 발생하고 고속정이 침몰한 해전으로, 2002년 FIFA 월드컵 기간에 발생하여 관심이 낮았으나 사후 정부 차원의 기념 행사 격상 및 관련 특별법 제정 등의 조치가 있었다. - 연평도 - 연평도 포격전
2010년 11월 23일, 북한이 연평도를 포격하여 해병대원과 민간인 사망자가 발생하고 대한민국 국군이 대응 사격하며 교전이 발생, 한반도 긴장이 고조된 사건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묘도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서구 묘도는 괭이부리말 체험 시설 설치 계획이 주민 반발로 무산된 사건을 통해 지역 사회 의견 수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우도 (강화군)
우도는 연평도에서 동남쪽 25km 떨어진 서해 5도 중 하나로, 북방한계선과 인접하고 간석지 발달, 희귀식물 석위의 대규모 분포, 범게의 대량 서식 등으로 특정 도서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0.211km² 면적의 섬이다. - 섬에 관한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섬에 관한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연평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한글 표기 | 연평도 |
한자 표기 | 延坪島 |
로마자 표기 | Yeonpyeongdo |
면적 | 7.29km² (소연평도 0.24km²) |
위치 | 황해 |
소속 국가 | 대한민국 |
광역시 | 인천광역시 |
군/면/리 | 옹진군 연평면 연평리 |
지도 | 서해 5도 지도 (연평도는 3번) |
지리 | |
위치 | 황해 (본토에서 약 80km, 인천에서 약 12km 거리) |
최고점 | 구릉노루큰산 |
높이 | 127m (소연평도 - 연화봉 214m)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소속 광역시 | 인천광역시 |
소속 군 | 옹진군 |
면 | 연평면 |
인구 | |
총 인구 | 1,780명 |
인구 기준 년도 | (정보 없음) |
2022년 12월 기준 | 2,138명 |
2. 역사
연평도는 곳곳에서 패총과 무문토기, 빗살무늬토기 등이 발견되어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24]
조선시대에는 황해도 해주군(벽성군) 송림면에 속했다. 병자호란 때 임경업 장군이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간 세자를 구하기 위해 중국으로 가던 중 연평도에 들렀는데, 선원들의 식량이 떨어지자 나뭇가지를 꺾어 개펄에 꽂아두었더니 물이 빠진 뒤 가지마다 조기가 걸려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 이야기는 연평도 조기잡이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현재까지도 임경업 장군을 기리는 사당인 충민사가 남아있다.[22]
연평도는 조기잡이가 시작되면서 인구가 급증하였으며, 1910년대에는 천주교인 전응택(바오로) 일가가 들어와 교회(공소)를 설립하면서 외래문화가 유입되기 시작했다.
1938년 해주읍이 시(당시는 府)로 승격되면서 해주군이 벽성군으로 개편될 때 연평도도 벽성군에 편입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에는 38선 이남에 위치하여 경기도 옹진군에 편입되었다.[25] 한국 전쟁 중에는 수많은 피난민이 이 섬을 거쳐 남쪽으로 이동했다.
휴전 협정에 따라 연평도는 대한민국 관할로 남았으며, 1995년 3월 1일 옹진군이 인천광역시로 편입되었다. 1999년 7월 20일에는 행정구역명이 송림면에서 연평면으로 바뀌었다.[26]
인천항에서 뱃길로 120km 떨어져 있는 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령반도와는 불과 12km 떨어져 있다. 이러한 지리적 위치 때문에 남북 간 긴장이 높은 지역이다.
휴전 협정 당시 유엔은 연평도, 백령도, 대청도 등 5개 섬을 대한민국의 관할로 명시했다.[6]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90년대 중반까지 오랫동안 유엔이 인정한 서해 해상 경계를 존중했다.[7]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북방한계선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며, 더 남쪽에 있는 경계선을 주장하기 시작했다.[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장은 국제법이나 해양법에 근거하지 않으며,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를 통해 수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2. 1. 연평해전
연평도는 NLL(북방한계선)에 가까워 남북한 해군 간에 여러 분쟁이 발생한 바 있다.1999년 6월 15일에 연평도 근해에서 서로 NLL 침범을 주장하며 대치하던 대한민국 해군과 조선인민군 해군 간에 전투가 벌어져 인민군 50여 명이 사상하였다. 이후 제1연평해전으로 명명되었다.
3년이 지난 2002년 6월 29일에는 NLL로 출동한 남한의 고속정에 북한 해군이 기습적으로 발포하며 전투가 벌어졌다. 이후 제2연평해전으로 명명되었으며, 양측에 수십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2. 2. 연평도 포격 사건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의 대연평도를 향해 170여 발의 포격을 가했다.[8] 대한민국 국군은 진돗개 1호를 발령하고 80여 발을 대응 사격했다.[9] 이 사건은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북한이 대한민국 영토에 직접 포격을 가한 첫 번째 사례로, 대한민국 해병대 군인 2명과 민간인 2명이 사망했다.[11][12][13]포격은 대한민국 군사 훈련 이후에 발생했으며, 대한민국은 155mm K-9 자주곡사포로 대응했다.[9] 이로 인해 수십 채의 가옥과 군사 시설이 파괴되고 화재가 발생했으며, 18명이 부상을 입었다.[10] 포격 당시 대부분의 주민들은 방공호에 대피했다가 여객선과 어선을 이용해 인천으로 대피했다. 포격 이전 약 1,400명이던 주민 수는 공격 이후 한때 100명 수준으로 감소했으나, 2011년 3월에는 80% 이상이 섬으로 돌아왔다.
포격 이후, 보안 강화를 위해 새로운 무기들이 설치되었고, 한동안 민간인의 섬 출입이 금지되기도 했다. 비상시 주민 대피를 위한 쉘터와 방공호가 새로 건설되었다.
2010년 11월 23일 오후, 북한은 섬 북쪽의 무도 및 개머리 해안 포진지에서 해안포와 곡사포 약 170~200발을 발사했다. 이 포탄들은 대연평도 육지와 주변 해역에 떨어졌으며, 육지에는 80발이 명중했다. 한국군은 섬 내 K9 155mm 자주 곡사포로 80발 이상을 응사했고, 전투기를 긴급 출격시켰다. 포격전은 14시 35분에 시작되어 55분에 일시 중단되었다가, 15시 10분에 재개되어 42분까지 이어졌다.
이 포격으로 한국군 병사 2명이 전사하고 4명이 부상당했으며, 자주포 2대가 손상되었다. 병영, 진지, 통신 시설 등 군 시설과 민가에도 피해가 발생했고, 산불로 인해 넓은 범위의 산림이 소실되었다. 민간인 2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당했다. 북한 측의 피해는 불명확하다.[20][21]
2024년 1월 5일, 북한은 장산곶과 등산곶에서 200여 발의 포탄 사격을 실시했고, 이로 인해 연평도와 백령도 주민 대피가 이루어졌다. 포탄은 양국 간의 해상 완충 구역에 떨어졌으며,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17][18]
3. 지리
서해 5도 중 하나로, 해병대 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군사적 요충지이다. 인천광역시 인천항에서 뱃길로 120km 떨어져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령반도와는 불과 12km 떨어져 있어 남북 간 긴장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꽃게 어장이 형성되어 어업상으로도 중요한 곳이다.[23] 과거 조기 파시가 섰던 곳이나 1968년 이후 사라졌고, 현재는 꽃게 중심의 어장이 형성되었다. 주민 대부분이 농업 및 어업에 종사한다. 근해는 조기와 꽃게 등의 좋은 어장이지만, 최근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이 문제가 되고 있다.
1953년 휴전 협정에 따라 대한민국 관할로 남았으며, 1999년에는 제1연평해전이, 2002년에는 제2연평해전이 발발하였다. 2010년에는 연평도 포격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A:''' 유엔이 설정한 북방한계선, 1953[4]
북방한계선 (NLL) 근처에 위치하며 북한 해안선에서 단 12km 떨어져 있다.
행정적으로는 인천광역시옹진군 연평면에 속하지만, 북한도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황해상에 있으며,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우도와 함께 "서해 5도"라고 불린다.
1953년 8월에 유엔군이 선언한 북방한계선 (NLL)이 연평도 북쪽에 있다.[19] 1999년 9월, 북한은 북방한계선의 무효를 주장하며 자체적인 "해상군사분계선"을 연평도 남쪽에 설정했다.[19] 연평도는 북한이 설정한 해상군사분계선의 북쪽에 위치하지만, 2000년 3월, 북한은 미 해군 함정 및 민간 선박이 통항할 수 있는 수역으로 연평도 주변 해역의 제2구역과 그곳으로 통하는 제2수로를 설정했다.[19] 또한, 서해 5도의 백령도 주변 해역에는 제1구역과 그곳으로 통하는 제1수로, 우도에는 제3구역을 설정했다.[19]
'''대연평도'''(大延坪島, 대연평도한국어, 6.19km2)와 '''소연평도'''(小延坪島, 소연평도한국어, 0.94km2)의 2개의 유인도로 이루어져 있다.
3. 1. 대연평도
'''대연평도'''(大延坪島)는 경기만 북서쪽에 있는 면적 6.14km2의 섬으로, 북방한계선과 불과 3.4km 떨어져 있다.[28] 연평도의 본섬으로, 대부분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흔히 '연평도'라 하면 대연평도만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곳곳에서 패총과 무문토기·빗살무늬토기 등이 발견되어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다고 여겨진다.[24]
본래 조선시대에는 황해도 해주군(벽성군) 송림면(松林面)에 속했다. 병자호란 때 임경업이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간 세자를 구하기 위해 중국으로 가던 중 선원들의 부식이 떨어지자, 연평도에 배를 대고 나뭇가지를 꺾어 개펄에 꽂아두었더니 물이 빠진 뒤 가지마다 조기가 걸려 있어, 이것이 조기잡이의 시초가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현재까지도 임경업을 기리는 사당 충민사(忠愍祠)가 존재해 있다.[22] 연평도는 조기잡이가 시작되면서부터 인구가 급증하였으며, 외래문화의 도입은 1910년대에 천주교인 전응택(佺應澤, 바오로) 일가가 입도하여 교회(공소)를 설립하면서 비롯되었다.
연평도는 본래 해주군에 속했다가 1938년 해주읍이 시(당시는 府)로 승격되면서 해주시 주위의 종전의 해주군 지역을 벽성군(僻城郡)으로 개편할 때 벽성군에 편입되었으며, 8.15 광복 후에는 38선 이남지역이므로 경기도 옹진군(擁津郡)에 편입되었다.[25]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38선 남쪽인 연평도는 경기도 옹진군으로 편입되었으며, 이는 한국전쟁 이후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한국전쟁 중에는 수만 명의 피난민이 이 섬을 거쳐 남하하였다.
1995년 3월 1일 옹진군이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로 편입되었고, 1999년 7월 20일에 행정구역명이 송림면에서 연평면으로 개칭되었다.[26]
인천광역시 인천항으로부터 뱃길로 120km 떨어져 있는 한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령반도와는 불과 12km 떨어져 있다. 이런 탓에 남북 간의 긴장도가 높은 지역이며, 2010년 11월 23일 조선인민군이 연평도를 포격하여 군인 2명과 민간인 2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27]
3. 2. 소연평도
'''소연평도'''(小延坪島)는 연평도로부터 5 km 남쪽에 있는 섬으로, 면적은 연평도의 6분의 1인 1.0236km2이다. 《세종실록 지리지》, 《대동여지도》 등에서는 '''산연평도'''(山延坪島)라고 쓰여 있다.[30] 최고점은 해발 214m인 연화봉이다. 섬의 대부분이 산으로 이루어져 있고, 취락은 섬의 북서쪽 해안에 집중되어 있으며, 주민은 100여 명이다.3. 3. 부속도서
'''대연평도'''(大延坪島, 대연평도한국어, 6.19km2)와 '''소연평도'''(小延坪島, 소연평도한국어, 0.94km2)의 2개의 유인도로 이루어져 있다.
4. 어업
서해 5도 중 하나인 연평도는 꽃게 어장이 형성되어 어업상으로 중요한 곳이다.[23] 과거에는 5월 조기철에 1,500척 이상의 어선이 모여들어 파시(波市)가 형성되었으나 1968년 이후 사라졌다. 현재는 조기 대신 꽃게를 중심으로 어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주민이 농업 및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5. 군사
서해 5도 중 하나로 군사적 요충지여서 한국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북방한계선 (NLL) 근처에 위치하며 북한 해안선에서 단 12km 떨어져 있다. 1953년 휴전 협정은 연평도를 포함한 5개의 섬이 대한민국 관할하에 남을 것을 명시했다.[6] 이후 북한은 1990년대 중반까지 오랫동안 유엔이 인정한 서해 해상 경계를 존중했다.[7]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북한은 NLL에 이의를 제기했다.[7]
* '''A:''' 유엔이 설정한 북방한계선, 1953[4]
연평도는 남북 긴장이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로, 이후 남북 간의 여러 분쟁의 장소가 되었다. 제1연평해전 (1999년), 제2연평해전 (2002년), 연평도 포격 사건 (2010년) 등의 무력 충돌이 일어났다. 한국은 연평도에 1000명 규모의 해병대 부대를 주둔시키고 있으며, 북한 측의 대수압도와 장재도에는 연평도를 공격하기 위한 곡사포가 배치되어 있다.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의 대연평도를 향해 갑작스럽게 170여 발을 포격하였다. 이에 대한민국 국군은 진돗개 1호를 발령하고 80여 발의 대응사격을 실시하였다. 연평도 포격은 1953년 정전협정 체결 후 상대방의 영토에 대해 직접 포격을 가한 첫번째 사례이다. 이 포격으로 해병대 군인 2명과 민간인 2명이 목숨을 잃었다.[11][12][13]
솟아오르는 연기에 대한 기사가 한국 및 국제 신문에 보도되었다.[14] 섬에서 솟아오르는 검은 연기의 짙은 기둥은 공격이 발생했음을 보여주는 주요 증거였다. 텔레비전을 시청하던 대한민국 국민들은 피격 이후 섬에서 연기가 솟아오르는 것을 보았다.[15][16]
포격 당시 대부분의 주민들은 방공호에 숨어 있다가, 이후 여객선과 어선을 이용하여 인천으로 대피했다. 포격 이전의 주민 수는 대략 1400명에 달했지만, 공격 이후 한때 100명 수준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포격 5개월 후인 2011년 3월, 주민의 80% 이상이 섬으로 돌아왔다.
공격 이후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무기들이 설치되었다. 비상시 모두 대피할 수 있도록 쉘터와 방공호가 새로 건설되었다.
2024년 1월 5일 오전 9시에서 11시 사이에 대한민국 군은 장산곶과 등산곶에서 200여 발의 포탄 사격을 보고했으며, 이로 인해 대한민국의 연평도와 백령도의 주민 대피가 이루어졌다. 연평도의 대피는 오후 12시 2분, 그리고 12시 30분에 이루어졌으며, 백령도의 대피는 "거의 같은 시각"에 이루어졌다.[17] 포탄은 양국 간의 완충 구역인 해상에 떨어졌다.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18]
참조
[1]
웹사이트
연평도 (延坪島)
http://100.naver.com[...]
Naver Encyclopedia
2010-10-02
[2]
뉴스
Yeonpyeong Island: A history
https://www.telegrap[...]
2010-11-23
[3]
Strategy research project at the U.S. Army War College
The Korean Armistice and the Islands
https://apps.dtic.mi[...]
2010-11-26
[4]
웹사이트
Factbox: What is the Korean Northern Limit Line?
https://www.reuters.[...]
Reuters
2010-11-26
[5]
논문
The North/South Korea Boundary Dispute in the Yellow (West) Sea
http://www.law.hawai[...]
2003
[6]
웹사이트
Text of the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http://news.findlaw.[...]
2010-11-25
[7]
뉴스
North Korea's reckless attacks cannot be tolerated
http://mdn.mainichi.[...]
2010-11-24
[8]
뉴스
North, South Korea exchange fire; 2 marines killed
http://www.washingto[...]
2011-12-20
[9]
뉴스
합참 "우리 군 대응사격으로 북한 측 피해도 상당할 것"
http://news.chosun.c[...]
2010-11-23
[10]
뉴스
SKorea: NKorea Fires Artillery Onto Island
https://abcnews.go.c[...]
2010-11-22
[11]
웹사이트
(URGENT) Four S. Korean soldiers wounded by N. Korean artillery fire: military officials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10-11-22
[12]
뉴스
Artillery fire on Korean border
https://www.theguard[...]
2010-11-23
[13]
뉴스
Artillery fire on Korean border
https://www.bbc.co.u[...]
BBC
2010-11-23
[14]
뉴스
Yeonpyeong turns into inferno
https://www.koreatim[...]
2019-03-15
[15]
웹사이트
South Koreans watch news on television showing smoke rising from Yeonpyeong Island after it was hit by dozens of artillery shells fired by North Korea, at Seoul railway station
http://srnnews.townh[...]
Salem Radio Network
2010-12-06
[16]
뉴스
South Koreans watch news on television showing smoke rising from Yeonpyeong Island after it was hit by dozens of artillery shells fired by North Korea, at Seoul railway station
https://stock.adobe.[...]
2019-03-15
[17]
뉴스
S. Korea orders civilians on western border islands to evacuate over N.K.'s artillery firing
https://en.yna.co.kr[...]
2024-01-05
[18]
뉴스
North Korea fires artillery shells towards South's border island
https://www.bbc.co.u[...]
2024-01-05
[19]
웹사이트
NLL(北方限界線)と北朝鮮の主張する海上軍事境界線(2000年防衛白書)
http://www.clearing.[...]
防衛省
2020-08-02
[20]
뉴스
{{lang|ko|北, 연평도에 해안포 계속 사격 중…14명 중경상}}
http://news.kbs.co.k[...]
2010-11-23
[21]
뉴스
北が海岸砲50発以上発射、韓国軍戦闘機出撃
http://japanese.yonh[...]
2010-11-23
[22]
웹인용
2022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3]
뉴스
Yeonpyeong Island: A history
http://www.telegraph[...]
Telegraph
2010-11-23
[24]
웹사이트
http://encykorea.aks[...]
[25]
웹인용
지명유래
http://www.ongjin.go[...]
옹진군청
2020-04-12
[26]
간행물
시조례 제1512호 옹진군송림면명칭변경에관한조례
1999-07-20
[27]
뉴스
연평주민 임시거처, 김포 미분양아파트로 결정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12-08
[28]
웹인용
120417(조간)_2012년도_지적통계연보_발간(지적기획과1)
http://www.mltm.go.k[...]
2012-04-16
[29]
문서
섬의 둘레가 대부분 암벽으로 되어 있다.
[30]
웹사이트
대동여지도를 인터넷 지도처럼 볼 수 있다.
http://mirror.puzz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