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옹진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옹진선은 해주청년역에서 옹진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총 11개의 역이 있으며 표준궤를 사용한다. 해주청년역과 서해주역 구간만 전철화되어 있고, 전 구간 단선으로 운행된다. 1930년에 사설 철도로 개통되어, 1944년 조선총독부 철도에 편입되면서 옹진선으로 명명되었다. 한국 전쟁 이후 북한에 속하게 되었으며, 황해청년선이 표준궤로 개조된 후 옹진선도 표준궤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해남도의 철도 교통 - 황해청년선
    황해청년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으로, 사리원청년역과 해주청년역을 연결하며, 일제강점기 사설 철도로 개통된 후 해방 후 재건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명명되어 주요 화물과 여객 운송을 담당한다.
  • 황해남도의 철도 교통 - 장연선
    장연선은 황해남도에 있는 수교역과 장연역을 잇는 17.7km 길이의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황해선 일부로 개통되어 국유화되었고 한국 전쟁 후 은률선 개통으로 지선이 되었으며 표준궤로 개조되어 현재 4개 역으로 운영되고 과거 낙도역이 폐지되었다.
  • 193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전라선
    전라선은 익산역에서 여수엑스포역까지 연결되는 간선 철도 노선으로, 1914년 개통되어 국유화와 개량을 거쳐 현재 전철화되었으며, KTX가 운행되고, 노선 번호는 309번이며 총 길이는 180.4km이다.
  • 193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동해북부선
    동해북부선은 일제강점기 동해선 계획의 일부로 개통되었으나 남북 분단으로 단절, 폐지되었고 현재 강릉~제진 간 연결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청년이천선
    청년이천선은 북한에서 두 번째로 건설된 동서 횡단 철도 노선으로, 평산역과 세포청년역을 연결하며 평부선과 강원선을 이어주고, 건설에는 청년돌격대와 정치범 수용소 수용자들이 동원되었으며 1962년부터 1980년까지 단계적으로 개통 및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옹진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옹진선
다른 이름해당 사항 없음
본래 이름옹진선(甕津線)
본래 이름 (언어)ko
노선 종류해당 사항 없음
노선 상태운영 중
위치황해남도
시작점해주청년역
종착점옹진역
역 수11개 (일부 폐쇄)
노선 길이43.5 km
복선 여부해당 사항 없음
전철화 여부해청 ~ 서해 구간 (직류 3000 볼트)
개통1936년 - 1937년 (구간별 개통)
폐쇄해당 사항 없음
소유주조선철도 (1936–1944)
조선총독부 철도국 (1944–1945)
한국국유철도 (1945–1950)
조선국유철도 (1945년부터)
차량해당 사항 없음
노선 번호해당 사항 없음
최고 속도해당 사항 없음
옹진선 노선도
옹진선 노선도
노선 정보 (일본어)
역 수 (일본어)11
운영자 (일본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노선 정보 (한국어)
비고역명과 거리는 일본어 위키백과 등을 참고로 작성함. 거리는 1944년 4월의 것을 기준으로 하므로 현재의 실제 거리와 다를 수 있음.

2. 노선 정보

옹진선은 해주청년역에서 옹진군 옹진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역 수는 총 11개(양단역 포함)이다. 궤도 간격은 1435mm(표준궤)이다. 전철화 구간은 해주청년-서해주 구간이며, 나머지는 비전철화 구간이다. 전 구간 단선으로 운행된다. 과거 국봉역이 옹진역 기점 21.8km 지점에 존재하였으나 현재는 폐역되었다.[10][11]

총계역명옛 이름연결 노선
0.0해주청년황해청년선 (동해주 경유)
2.9왕신동포정도선
7.0서해주문정
19.3벽성취야
26.8장둔
34.2신강령부포선
43.5옹진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옹진선을 원형으로 한다. 1936년 12월 11일, 해주~취야(벽성) 구간이 조선철도 황해선의 토성~취야 간 노선으로 개통되었다. 이듬해 5월 19일에는 취야~옹진 구간이 개통되었다.[10] 1944년 국유화와 동시에 해주~옹진 간이 분리되어, 현재의 옹진선이 되었다.[11]

한국 전쟁 휴전 이후 이 노선도 다른 구 황해선과 마찬가지로 표준궤로 개궤되었다. 해주역이 이전되었고, 그 후 해주~문정 간도 이설되었다.[12]

3. 역사

옹진선은 일제강점기 조선철도주식회사에 의해 건설된 사설 철도에서 기원한다. 1930년 조선철도 황해선의 지선으로 토성역-해주역(해주청년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1937년 5월 19일 취야역(현 벽성역)-옹진역 구간이 추가 개통되었고,[13] 194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 철도 소속으로 전환되며 '옹진선'으로 명명되었다.[14]

해방 이후 옹진선은 북한 지역에 속하게 되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표준궤로 개궤되었다. 해주청년역이 동해주역 인근으로 이전되었으며, 해주-문정 구간 노선이 변경되었다. 1982년 동해주-왕신-서해주 구간의 전철화가 완료되었다.[9]

3. 1. 일제강점기

1930년대 조선철도황해도 지역에 762mm 협궤 철도 노선을 건설하였다. 1931년 동해주-용당포(해주항) 노선이 개통되었고,[3] 1933년 7월 1일 동해주에서 서쪽으로 노선이 연장되어 해주역이 개통되었다. 1936년 12월 11일 해주역-취야역(현 벽성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1937년 5월 19일 취야역-옹진역 구간이 개통되었으며,[13] 194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 철도로 매각되어 옹진선으로 분리되었다.[14]

3. 2. 해방 이후

태평양 전쟁 종전 후, 한반도 분단으로 옹진선은 자양역 부근에서 38선으로 분할되었다.[4] 한국 전쟁 종전 후에는 노선 전체가 북한에 속하게 되었다. 1958년 사리원해주황해청년선이 표준궤로 개조되면서,[9] 옹진선과 정도선도 표준궤로 변경되었다.[1][4] 이 과정에서 도시 중앙을 관통하던 동해주—해주—서해주 구간은 폐쇄되었다. 해주청년역은 동해주 화물역 바로 옆에 새로 개통되었고, 왕신(구 동포)—서해주 간 새로운 노선이 건설되었다. 1982년 4월까지 동해주—왕신—서해주 구간이 전철화되었다.[9]

4. 역 목록

옹진선은 황해남도 해주시에 있는 해주청년역에서 옹진군옹진역까지 연결되는 철도 노선이다.

옹진선 역 목록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비고
해주청년역Haeju Ch'ŏngnyŏn海州靑年황해청년선
왕신역Wangsin王神정도선동포역에서 개칭
서해주역Sŏhaeju西海州
문정Munjŏng文井
서석역Sŏsŏk西席
벽성역Pyŏksŏng碧城취야역에서 개칭
자양Chayang紫陽
장둔역Changdun長屯
신강령역Sin'gangryŏng新康翎부포선
랭정역Raengjŏng冷井
옹진역Ongjin甕津



몇몇 역들은 과거와 역명이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동포역은 왕신역으로, 취야역은 벽성역으로 변경되었다.[1]

4. 1. 현존 역 목록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
해주청년역Haeju Ch'ŏngnyŏn海州靑年황해청년선
왕신역Wangsin王神정도선
서해주역Sŏhaeju西海州
문정역Munjŏng文井
서석역Sŏsŏk西席
벽성역Pyŏksŏng碧城
자양역Chayang紫陽
장둔역Changdun長屯
신강령역Sin'gangryŏng新康翎부포선
랭정역Raengjŏng冷井
옹진역Ongjin甕津


4. 2. 폐역 목록

국봉역한국어(菊峰驛)은 벽성역과 자양역 사이에 있던 옹진선의 역이었다. 폐지 당시 황해남도 벽성군에 위치해 있었으며, 해주청년역 기점 18.6km(또는 21.8km) 지점에 있었다.[1]

옹진선 폐역 목록
역명위치비고
국봉역한국어해주청년역 기점 18.6km (또는 21.8km)벽성역과 자양역 사이


5. 운행

해주청년장방을 거쳐 학현까지 통근 열차가 운행된다.[9]

참조

[1] 서적 将軍様の鉄道
[2] 뉴스 Establishment of the Chosen Railway http://newslibrary.n[...] Dong-A Ilbo 1923-09-03
[3]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 1931-12-26
[4] 웹사이트 百年の鉄道旅行 海州市 https://web.archive.[...] 2015-04-30
[5]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 1934-05-08
[6]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 1937-05-14
[7]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 1937-05-26
[8]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 1944-03-29
[9] 웹사이트 North Korea Geographic Information: Transportation Geography - Hwanghae Chongnyon Line http://terms.naver.c[...]
[10]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3106号 朝鮮総督府 1937-05-26
[11]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5143号 朝鮮総督府 1944-03-29
[12] 웹사이트 百年の鉄道旅行 海州市 https://web.archive.[...]
[13]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106호 조선총독부 1937-05-26
[14]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5143호 조선총독부 1944-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