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고속버스터미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릉고속버스터미널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위치한 고속버스터미널이다. 수도권 방면으로는 고양, 동서울, 서울경부 노선이 있으며, 동부고속, 중앙고속 등이 운행한다. 충청권 방면으로는 대전 노선이 있으며, 대원고속이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릉시의 교통 - 경강선
경강선은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경기도 시흥시 월곶역부터 강원도 강릉시 강릉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구간과 강릉선 KTX 구간으로 나뉘어 운행되며, 수도권 동서 연결 및 평창 동계올림픽 교통 지원에 기여했고 향후 인천에서 원주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 강릉시의 교통 - 강릉 나들목
강릉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에 위치한 동해고속도로의 33번 교차로로, 국도 제35호선과 연결되며 2001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고 2017년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 강릉시의 건축물 - 강릉아산병원
강릉아산병원은 1996년 강릉병원으로 개원하여 2002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21년 제4기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되어 강원 영동 권역응급의료센터 역할을 수행한다. - 강릉시의 건축물 - 주문진고속버스종합터미널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에 위치한 주문진고속버스종합터미널은 동해상사고속, 강원여객, 강원흥업 등이 동서울, 서울남부, 속초, 거진, 강릉, 동대구, 부산 등 주요 도시로 노선을 운행하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터미널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간성시외버스터미널
간성시외버스터미널은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특히 강원도 내 접근성이 낮은 지역까지 연결하는 교통망을 형성하여 관광객 편의 증진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대화버스터미널
대화버스터미널은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에 위치하며, 과거 고양시에서 운영했으나 현재는 고양도시관리공사에서 운영하며 동서울, 강릉, 원주, 춘천, 제천 방면 시외버스와 평창군 농어촌버스를 운행하지만, 경영난으로 매표가 중단되고 시설 노후화와 이용객 감소 문제를 겪고 있다.
강릉고속버스터미널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강릉고속버스터미널 |
종류 | 터미널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하슬라로 15 (홍제동) |
개장 | 1976년 |
이전 | 1995년 7월 |
운영 기관 | 동부고속 |
터미널 코드 | 200 |
표기 | 강릉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웹사이트 | 강릉고속버스터미널 공식 웹사이트 |
2. 운행 노선
강릉고속버스터미널에서는 수도권과 충청권으로 가는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수도권: 서울, 동서울, 고양 방면 노선이 있으며, 동부고속과 중앙고속이 운행한다. 모든 노선은 횡성휴게소를 경유한다.[4]
- 충청권: 대전 방면 노선이 있으며, 대원고속이 운행한다. 이 노선 역시 횡성휴게소를 경유한다.[4]
2. 1. 수도권
동부고속과 중앙고속이 서울, 동서울, 고양 방면 노선을 운행하며, 전 노선 횡성휴게소를 경유한다.[4]
2. 1. 1. 서울경부
동부고속과 중앙고속이 서울경부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횡성휴게소를 경유한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