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고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부고속은 1971년 설립된 고속버스 운송 업체로, 1979년 동부고속운수에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2017년 동부익스프레스에서 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인수 및 계열 분리 과정을 거쳐 현재는 코리아와이드 계열사이다. 서울, 세종, 강릉, 원주, 삼척, 속초, 여주, 용인, 이천 등을 잇는 고속 및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현대 유니버스 및 기아 그랜버드 차량을 주로 사용한다. 주사무소는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특별자치도의 시외버스 기업 - 금강고속
금강고속은 1952년 금강운수로 시작하여 농어촌버스 운행을 시작했으며, 현재 양평, 홍천, 인제 등지에서 농어촌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시외버스 기업 - 강원고속
강원고속은 1952년 강원운수로 시작하여 시외버스 운송 사업을 해 왔으며, 1997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고, 수도권, 강원도 등 여러 지역을 운행하며 다양한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 2017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신수교통
신수교통은 2004년 서울운수로부터 서울특별시 면허 버스 노선 등을 양도받아 설립되었고 이후 신성교통으로부터 일부 노선을 인수받았으며, 현재 서울특별시 은평구를 연고로 간선버스 4개 노선과 지선버스 3개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 운송 회사이다. - 2017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세종도시교통공사
세종도시교통공사는 2016년 설립되어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운영을 담당하며, 시영버스 인수 및 노선 확장을 통해 조치원읍 순환버스, BRT 노선, 광역 BRT 노선을 운행한다. - 경기도의 시외버스 기업 - 금강고속
금강고속은 1952년 금강운수로 시작하여 농어촌버스 운행을 시작했으며, 현재 양평, 홍천, 인제 등지에서 농어촌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한다. - 경기도의 시외버스 기업 - 경남여객
경남여객은 1959년 설립되어 경기도 용인시에서 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공항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업체로, 2017년부터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을 운영하며 친환경 전기 버스 도입에도 적극적이다.
| 동부고속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동부고속 |
| 산업 | 운수업 |
| 창립 | 1971년 11월 26일 동부고속운수 |
| 창립자 | 김준기 |
| 해체 | 1979년 2월 동부고속운수 |
| 장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94 (반포동) |
| 인물 | 백호익 (대표이사) |
| 영문 | Dongbu Express |
| 종류 | 주식회사 |
| 제품 | 고속버스 시외버스 전세버스 |
| 주식회사 동부고속 정보 | |
| 원어 | Dongbu Buslines Co., Ltd. |
| 창립일 | 2017년 8월 1일 |
| 이전 회사 | 동부익스프레스 |
| 장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94 (반포동) |
| 인물 | 강병도 (대표이사) |
| 산업 | 운수업 |
| 서비스 | 고속버스 |
| 자본금 | 2,888,750,000원 (2020.12) |
| 매출액 | 34,954,722,336원 (2020.10~12) |
| 영업이익 | -728,452,657원 (2020.10~12) |
| 순이익 | -2,582,220,600원 (2020.10~12) |
| 자산총액 | 122,470,695,838원 (2020.12) |
| 모기업 | 코리아와이드 |
| 주주 | 주식회사 코리아와이드선산: 50% 주식회사 아스톤에셋: 50% |
| 종업원 | 232명 (2020.12) |
| 웹사이트 | 동부고속 |
2. 연혁
2. 1. 동부익스프레스
1971년 11월 26일 동부고속운수로 설립되어 고속버스 운송면허를 취득했다. 1972년 7월 서울 ↔ 용인, 이천, 여주 간 고속버스 노선을 개통했다. 1979년 2월 상호명을 '''동부고속운수'''에서 '''동부고속'''으로 변경했다. 1987년 12월에는 동서울 기점 고속버스 노선인 동서울 ↔ 강릉, 동해, 삼척, 양양, 속초 노선을 개통했다. 1992년 8월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이 이전되었고, 1992년 10월 우등고속버스 운행을 개시했다. 1995년 11월에는 강릉고속버스터미널이 이전되었다. 2006년 1월 동부익스프레스 브랜드를 도입했다. 2010년 7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 중 철산역 ↔ 광명역 ↔ 강릉 ↔ 속초, 대전 / 원주 ↔ 강릉, 춘천 ↔ 광주 / 대구 노선을 KD운송그룹에 매각했다. 2015년 6월 29일 문산 ↔ 운정 ↔ 마산 ↔ 창원 노선을 대성고속에 매각했다. 2015년 7월 1일 세종 기점 고속버스 노선인 세종 ↔ 마산 ↔ 창원 / 서부산, 부산 노선 운행을 중단했다.2. 2. 동부고속
2017년 8월 1일 주식회사 동부익스프레스에서 분할되어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에서 자본금 3,000,000,000원에 설립되었으며, 김종성 대표이사가 취임했다. 2017년 10월 31일 주식회사 동부익스프레스가 보유하던 주식을 모두 키움프라이빗에쿼티코리아와이드파트너스투자목적회사 주식회사에 매각하여 동부익스프레스에서 계열 분리되었고, 윤승용, 노헌영 공동대표이사가 취임했다.2018년 2월 8일 윤승용 공동대표이사가 사임하고 김연성 공동대표이사가 취임하여 노헌영, 김연성 공동대표이사 체제가 되었다. 2018년 8월 2일 키움프라이빗에쿼티코리아와이드파트너스투자목적회사 주식회사를 합병했다. 2018년 9월 30일에는 22,500주(자본금 112,500,000원)를 감자하여 자본금이 2,887,500,000원으로 변경되었다. 2018년 12월 18일에는 고속버스 노선 중 용인 출발 지방 노선들을 KD 운송그룹에 매각했다.
2021년 1월 21일 국내 사모펀드 '와이어드 파트너스'[1]가 동부고속을 인수하여 코리아와이드 계열에서 분리되었다. 2021년 9월 7일 동부고속·파이오니아[2]·휘밸류[3]·애스턴[4] 컨소시엄으로 속리산고속과 금호고속관광을 인수했다.
2022년 4월 4일 코리아와이드에서 지분 100%를 인수하여 다시 코리아와이드 계열이 되었다. 2024년 5월 3일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강릉고속버스터미널 ↔ 경포해수욕장 노선 운행을 개시했다.
3. 운행 노선
|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 비고 | ||||
|---|---|---|---|---|---|---|---|---|---|
| 일반 | 우등 | 고급 | |||||||
| 서울 ↔ 세종 | 금호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속리산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세종시 | 세종청사 | - | 1 | 1 | 2013년 12월 16일 신설[7], 2016년 1월 12일 우등 증차 |
| 세종청사, 세종국책연구단지[8] | - | 1 | - | 2018년 1월 31일 신설 | |||||
|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 비고 | ||||
|---|---|---|---|---|---|---|---|---|---|
| 일반 | 우등 | 고급 | |||||||
| 서울 ↔ 강릉 |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강릉 | 횡성휴게소 | 2 | 8 | 4 | 1일 4회 경포해수욕장 연장 운행 |
| 서울 ↔ 원주 |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원주 | 문막 | 2 | 10 | - | |
| 문막, 원주혁신도시 | 1 | 1 | - | 2015년 12월 22일 신설 | |||||
| 동서울 ↔ 강릉 | 중앙고속 | 동서울 | ↔ | 강릉 | 횡성휴게소 | - | 8 | - | |
| 고양 ↔ 강릉 | 중앙고속 | 고양백석 | ↔ | 강릉 | 고양화정, 횡성휴게소 | 1 | 1 | - | 2014년 9월 29일 백석동으로 연장 화정 중간 승하차로 변경 |
|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 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 비고 | ||||
|---|---|---|---|---|---|---|---|---|---|
| 일반 | 우등 | 고급 | |||||||
| 서울 ↔ 삼척 | 서울경부 | ↔ | 삼척 | 횡성휴게소, 동해,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 1 | 11 | 3 | ||
| 동서울 ↔ 삼척 | 동서울 | ↔ | 삼척 | 횡성휴게소, 동해,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 2 | 1 | - | ||
| 수원 ↔ 삼척 | 동양고속 | 수원 | ↔ | 삼척 | 동해, 횡성휴게소, 신갈, 영통입구 | - | 2 | - | 2018년 7월 20일 신설 2020년 1월 21일부터 동해, 신갈, 영통 경유 |
|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횟수 | 비고 | ||
|---|---|---|---|---|---|---|---|
| 서울 ↔ 속초 |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속초 | 무정차 | 30 | 시외우등형 노선 |
| 서울 ↔ 속초 (양양 경유) |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속초 | 양양 | 14 | 시외우등형 노선 |
| 서울 ↔ 여주 | 서울경부 | ↔ | 여주 | 여주대학 | 28 | ||
| 서울 ↔ 용인 | 서울경부 | ↔ | 용인 | 유방동(방축)[10] | 29 | ||
| 서울 ↔ 이천 | 서울경부 | ↔ | 이천 | 부발(신하리) | 44 | ||
| 동서울 ↔ 속초 | 동서울 | ↔ | 속초 | 양양 | 9 | 시외우등형 노선 | |
|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 비고 | ||||
|---|---|---|---|---|---|---|---|---|---|
| 일반 | 우등 | 고급 | |||||||
| 인천 ↔ 속초 | 대원고속 한일고속 | 인천 | ↔ | 속초 | 양양 | - | 2 | 1 | 2014년 4월 3일 우등 1대 일반전환 2016년 3월 2일 경로변경 2020년 4월 1일 양양 경유 |
| 운행 노선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 비고 | ||
|---|---|---|---|---|---|---|
| 3401 직행좌석 | 이천터미널 | ↔ | 강남역 | 상공회의소, 이천역, 유산리, 안평2리, 표고초등학교, 양촌리, 오천리, 마장면사무소 행정복지센터, 덕평1리, 신논현역, 강남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 | 20~30 | 2022년 3월 30일 개통[11] |
3. 1. 고속버스
wikitext2019년 4월 기준이다.[6]
|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 비고 | ||||
|---|---|---|---|---|---|---|---|---|---|
| 일반 | 우등 | 고급 | |||||||
| 서울 ↔ 세종 | 금호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속리산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세종시 | 세종청사 | - | 1 | 1 | 2013년 12월 16일 신설[7], 2016년 1월 12일 우등 증차 |
| 세종청사, 세종국책연구단지[8] | - | 1 | - | 2018년 1월 31일 신설 | |||||
|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 비고 | ||||
|---|---|---|---|---|---|---|---|---|---|
| 일반 | 우등 | 고급 | |||||||
| 서울 ↔ 강릉 |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강릉 | 횡성휴게소 | 2 | 8 | 4 | 1일 4회 경포해수욕장 연장 운행 |
| 서울 ↔ 원주 |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원주 | 문막 | 2 | 10 | - | |
| 문막, 원주혁신도시 | 1 | 1 | - | 2015년 12월 22일 신설 | |||||
| 동서울 ↔ 강릉 | 중앙고속 | 동서울 | ↔ | 강릉 | 횡성휴게소 | - | 8 | - | |
| 고양 ↔ 강릉 | 중앙고속 | 고양백석 | ↔ | 강릉 | 고양화정, 횡성휴게소 | 1 | 1 | - | 2014년 9월 29일 백석동으로 연장 화정 중간 승하차로 변경 |
|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 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 비고 | ||||
|---|---|---|---|---|---|---|---|---|---|
| 일반 | 우등 | 고급 | |||||||
| 서울 ↔ 삼척 | 서울경부 | ↔ | 삼척 | 횡성휴게소, 동해,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 1 | 11 | 3 | ||
| 동서울 ↔ 삼척 | 동서울 | ↔ | 삼척 | 횡성휴게소, 동해,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 2 | 1 | - | ||
| 수원 ↔ 삼척 | 동양고속 | 수원 | ↔ | 삼척 | 동해, 횡성휴게소, 신갈, 영통입구 | - | 2 | - | 2018년 7월 20일 신설 2020년 1월 21일부터 동해, 신갈, 영통 경유 |
3. 1. 1. 경부선
wikitable|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 비고 | ||||
|---|---|---|---|---|---|---|---|---|---|
| 일반 | 우등 | 고급 | |||||||
| 서울 ↔ 세종 | 금호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속리산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세종시 | 세종청사 | - | 1 | 1 | 2013년 12월 16일 신설[7], 2016년 1월 12일 우등 증차 |
| 죽전[7], 세종국책연구단지[8] | - | 1 | - | 2018년 1월 31일 신설 | |||||
3. 1. 2. 영동선
노선운행사
화정 중간 승하차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