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울종합터미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서울종합터미널은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이다. 36개의 시외버스 승차홈, 11개의 고속버스 승차홈, 주차장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고속버스는 강릉, 동해, 속초, 대전, 광주, 전주, 동광양, 대구, 부산, 마산, 창원, 진해, 청주 방면으로 운행하며, 시외버스는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방면으로 운행한다. 인근에 지하철 2호선 강변역이 위치하며, 인천국제공항 및 김포국제공항으로 가는 리무진 버스도 이용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광진구의 건축물 - 광진교
광진교는 서울 광진구에 있는 한강 다리로서, 1936년 건설 후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는 왕복 2차선 도로와 보행로 등을 갖춘 복합 교량이며, 서울 동부 지역의 교통 및 휴식 공간으로 기능한다. - 서울 광진구의 건축물 - 잠실철교
1977년 착공되어 1979년에 완공된 잠실철교는 도로와 철도 기능을 모두 수행하며 잠실과 서울 도심을 연결하는 교통 허브로서 건설되었다. - 서울 광진구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 광진구의 교통 - 광진교
광진교는 서울 광진구에 있는 한강 다리로서, 1936년 건설 후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는 왕복 2차선 도로와 보행로 등을 갖춘 복합 교량이며, 서울 동부 지역의 교통 및 휴식 공간으로 기능한다. -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 - 서울남부버스터미널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남부버스터미널은 1972년 용산에서 시작하여 1990년 현재 위치로 이전했으며, 엔티산업에서 운영하고, 수도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강원권 등 다양한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터미널이다. -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 - 서울시티투어버스
서울시티투어버스는 서울의 주요 관광지를 순환하며 도심 순환, 청계·고궁, 서울파노라마 등 다양한 테마 코스와 야간 코스를 제공하는 시티투어 버스 서비스로, 2층 버스와 트롤리 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버스들이 운행된다.
동서울종합터미널 | |
---|---|
기본 정보 | |
이름 |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
로마자 표기 | Dong Seoul Bus Terminal |
한자 표기 | 東서울綜合버스터미널 |
가나 표기 | トンソウルチョンハッポストミノル |
히라가나 표기 | ひがしそうるそうごうばすたーみなる |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강변역로 50 (구의동) |
개장일 | 1988년 |
운영 기관 | 동서울종합터미널운용주식회사 (신세계프라퍼티) |
터미널 코드 | 시외버스 : 030 충청권 및 영남권 : 031 강원권 및 호남권 : 032 |
표기 | 동서울 (구의동)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웹사이트 | www.ti21.co.kr |
이미지 정보 | |
![]() | |
지도 정보 | |
버스 정보 | |
버스 운영사 | 동서울종합터미널운용주식회사 한진 |
2. 주요 시설물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의 주요 시설물은 36개의 시외버스 승차 홈, 버스 대기소, 수화물 취급소, 승용 주차장, 하차장, 11개의 고속버스 전용 승차 홈 등이다.[1] 고속버스 승차장 대합실은 버스 하차장과 마주보고 있다.[1]
동서울종합터미널의 승차홈은 크게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승차홈으로 구분된다.
시외버스 매표소와 고속버스 매표소는 모두 1층에 있다.[1]
2024년 10월 3일부터 아침 5시 30분부터 8시 30분까지, 밤 10시부터 자정까지 매표소를 운영하지 않는다.[1] 해당 시간에는 티켓자판기를 이용해야 한다.[1]
현대화 사업이 확정된 이후에는 대부분의 상가가 퇴거한 상태다.[1]
3. 승차홈
고속버스 승차홈은 터미널 2층과 연결된 통로를 따라 내려가면 있으며, 12번 승차홈부터 시작한다. 터미널 하차장과 고속버스 승차장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
시외버스 승차홈은 터미널 입구를 기준으로 'ㄴ'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오른쪽부터 1번 승차홈(2개)이 시작되며, 맨 왼쪽 24번 승차홈을 거쳐 37번 승차홈까지 이어진다. 일부 승차홈은 번호가 중복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각 승차홈별 상세 노선 정보는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3. 1. 고속버스
동서울터미널 2층으로 연결된 통로를 따라 내려가면 12번 승차홈부터 시작된다. 터미널 하차장과 고속버스 승차장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
3. 2. 시외버스
동서울터미널 입구를 기준으로 'ㄴ'자 형태로 승차홈이 배치되어 있으며, 오른쪽부터 2개의 1번 승차홈을 시작으로 맨 왼쪽 24번 승차홈까지 이어지고, 옆으로 꺾어진 부분을 통해 37번 승차홈까지 존재한다. 일부 승차홈은 번호가 중복된다.승차홈 | 방면 | 주요 행선지 |
---|---|---|
1번홈 | 거창, 강릉 | 거창, 강릉, 위천, 정동진(심야), 수승대, 덕구온천 |
1번홈 | 정선 | 장평, 안흥, 대화, 운교, 평창, 미탄 |
2번홈 | 강릉, 울진 | 장평, 동해, 진부, 삼척, 횡계, 임원, 주문진, 호산, 하조대, 부구, 죽변, 울진 |
3번홈 | 속초(대관령) | 양양, 강릉, 낙산, 주문진, 물치, 하조대 |
4번홈 | 속초(동서고속도로 경유) | 속초, 물치, 양양, 낙산 |
5번홈 | 속초(미시령) | 양평, 인제, 홍천, 해안, 횡성, 백담사, 비발디파크, 간성, 인제, 거진, 현리(강원), 대진 |
6번홈 | 속초(한계령) | 양평, 인제, 홍천, 원통, 횡성, 한계령, 신남, 오색, 남면, 양양, 양구, 낙산 |
7번홈 | 청주 | 보은, 속리산, 청주, 북청주, 미원, 청주대, 상판, 화북 |
8번홈 | 괴산 | 증평, 괴산, 주성대, 옥천, 추풍령, 영동, 김천 |
9번홈 | 수안보 | 일죽, 건국대, 용원, 생극, 주덕, 월악산 |
9번홈 | 남원 | 익산, 꽃동네, 군산, 삼성, 임실, 남원, 오수, 남해 |
10번홈 | 충주, 음성 | 충주(우등), 충주(고속), 대소, 무극, 음성 |
11번홈 | 안동 | 안동, 진보, 영양, 주왕산, 청송, 영덕, 영해 |
12번홈 | 의령, 예천 | 현풍, 용궁, 신반, 예천, 의령, 풍산, 안산 |
13번홈 | 상주 | 상주, 점촌 |
14번홈 | 점촌 | 문경, 가은, 은척, 함창, 낙동, 풍양, 안계, 건국대 |
15번홈 | 장호원 | 아미리, 용포, 태평리, 백운, 이황리, 엄정, 감곡, 제천 |
16번홈 | 구미, 인천 | 송내역, 부천, 인천, 구미 |
17번홈 | 평택 | 오산, 동탄, 송탄, 평택, 남서울대, 성환, 평택대, 인천 |
18번홈 | 영주 | 영주, 시지, 경산, 청도 |
19번홈 | 태백 | 원주, 영월, 신고한, 태백 |
20번홈 | 원주, 구인사 | 원주, 구인사, 매포, 의성, 단양, 도리원, 영춘, 군위 |
21번홈 | 백암온천 | 울진, 봉화, 평해, 춘양, 백암온천, 원주, 구인사 |
22번홈 | 제천 | 제천, 세명대 |
23번홈 | 천안, 아산 | 천안, 아산, 봉강교 |
24번홈 | 유성 | 대전청사, 유성, 세종청사, 세종시 |
25번홈 | 논산, 태안 | 공주, 논산, 강경, 부여, 예산, 청양, 신창, 당진, 서산, 태안 |
26번홈 | 보령, 부안 | 김제, 홍성, 부안, 광천, 내포시, 보령 |
27번홈 | 이천 | 이천, 테르메덴(스파랜드), 미란다호텔(스파플러스) |
28번홈 | 여주 | 부발, 능서, 여주, 여주대 |
29번홈 | 목포 | 목포, 영광, 해남, 진도, 김포공항, 순천, 인천공항, 여수 |
30번홈 | 안성 | 공도, 안성, 중앙대, 동아방송대, 김포공항, 인천공항 |
31번홈 | 철원 | 의정부, 포천, 운천, 신철원, 송우리, 관인, 문혜리, 동송 |
32번홈 | 진천 | 죽산, 대소, 광혜원, 덕산, 이월, 진천, 두원공대, 혁신도시 |
33번홈 | 포항, 거제 | 경주, 포항, 통영, 고현(거제) |
34번홈 | 지리산, 울산, 김해 | 서상, 안의, 수동, 함양, 인월, 마천, 지리산, 해운대, 장유, 김해 |
34번홈 | 해운대, 양산 | 울산, 좌천, 기장, 해운대, 양산, 방어진 |
35번홈 | 일동 | 이동, 도평리, 신수리, 와수리, 사창리, 다목리, 산양리 |
36번홈 | 춘천 | 청평, 가평, 강촌, 대성리, 춘천, 화천, 양구 |
37번홈 | 예비 |
방면 | 목적지 |
---|---|
수도권 | 가산, 가평터미널, 갈운리, 공도시외버스터미널, 관인, 광릉내, 광탄, 국수리, 군단전, 김포공항, 노촌, 아주대역, 릉서, 단월, 당주동, 대림동산시외버스정류소, 대성리역, 대진대학교, 도예촌, 섬평리,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동탄, 두원공과대학교, 만세교, 부발, 부천터미널소풍, 상록수역, 성동2리, 소촉리, 송내역시외버스정류소, 송도환승센터, 송섬리, 송탄시외버스터미널, 수락산, 신북, 안산종합버스터미널, 안성종합버스터미널, 야미리, 양문리, 양평시외버스터미널, 여주종합버스터미널, 여주대학교, 오산시외버스터미널, 용인시외버스터미널, 용문터미널, 용문사, 비전동, 운천터미널, 의정부버스터미널, 의왕톨게이트, 이동, 이천종합버스터미널, 이황리, 인천종합터미널, 인천공항, 일동터미널, 일죽시외버스터미널, 장암역, 장호원, 죽산시외버스터미널,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청평터미널, 축석령, 태평버스정류소, 테르메덴온천, 평택시외버스터미널, 평택대학교, 포천시외버스터미널, 한경국립대학교, 한국관광대학교, 화현 |
강원권 | 간성시외버스터미널, 간척사골, 강릉시외버스터미널, 강촌시외버스정류소, 강포리, 거진, 고한사북시외버스터미널, 광덕산, 낙산터미널, 남교, 남면, 노촌, 녹전, 다목리, 대진, 대화터미널, 닷터리, 도계터미널, 동송시외버스공용터미널, 마사, 마현리, 문곡, 문막고속시외버스정류소, 문혜리, 무지개, 미탄, 방림, 백담입구시외버스터미널, 비발디파크, 사창리, 산양리, 삼척종합버스터미널, 상남리, 상동, 석항, 속초시외버스터미널, 수인리, 신남, 신림, 신철원터미널, 쌍룡, 양구시외버스터미널, 양덕원터미널, 양양시외버스터미널, 어리고개, 연당, 영월시외버스터미널, 예미, 오색, 와수시외버스터미널, 용대삼거리, 운교, 웅진리, 원주시외버스터미널, 원천, 원통터미널, 인제, 임원, 자등리, 장신, 장평, 정동진, 정선여객터미널, 주문진고속버스종합터미널, 증산, 지촌, 진부, 진부령, 춘천시외버스터미널, 태백시외버스터미널, 팔봉산, 평창시외버스터미널, 풍수원, 하조대, 한계령, 현리, 호산, 홍천종합버스터미널, 화상대, 화천공영버스터미널, 횡계, 횡성시외버스터미널 |
충청권 | 감곡시외버스터미널, 강경시외버스터미널, 건국대학교 충주캠퍼스, 공주종합터미널, 광시, 광천터미널, 광혜원시외버스정류소, 괴산시외버스공용터미널, 구룡, 구인사, 기지시시외버스정류소, 남서울대학교, 내포시외고속버스정류소, 논산시외버스터미널,단양시외버스터미널, 당진종합터미널, 대강, 대소, 대전청사버스정류소, 대천해수욕장시외버스정류소, 무극공용버스터미널, 보령시외버스터미널, 보은시외버스공용정류소, 부여시외버스터미널, 삼성터미널, 생극터미널, 서산공용버스터미널, 성환터미널,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속리산터미널, 수안보시외버스터미널, 신례원시외버스터미널, 신창시외버스정류소, 신평터미널, 아산시외버스터미널, 예산종합터미널, 월악산, 유구시외버스터미널, 영동시외버스공용터미널, 옥천시외버스공용정류소, 음성시외버스터미널, 이월터미널, 제천시외버스터미널, 증평시외버스터미널, 진천시외버스터미널, 천안종합터미널, 청양시외버스터미널, 청주시외버스터미널, 혁신도시터미널, 충주공용버스터미널, 태안시외버스터미널, 합덕공용버스터미널, 홍성종합터미널 |
호남권 | 군산시외버스터미널, 김제종합버스터미널, 목포종합버스터미널, 무안여객자동차터미널, 부안시외버스터미널, 삼호시외버스종합터미널, 순천종합버스터미널, 여수종합버스터미널, 영광종합버스터미널, 오수터미널, 익산시외버스터미널, 임실시외버스터미널, 진도공용터미널, 해남시외버스터미널 |
영남권 | 거창터미널, 경상북도청시외버스정류소, 경산시외버스정류소,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구미종합터미널, 군위터미널, 김해여객터미널, 남해시외버스터미널, 덕구온천, 문경터미널, 온양온천종합터미널, 봉화공용정류소, 상주종합터미널, 상주한방단지, 서상터미널, 안동터미널, 안의터미널, 양산시외버스터미널, 영양시외버스터미널, 영덕터미널, 영양군, 영양버스정류소, 영주시외버스터미널, 영해터미널, 예천버스정류소, 용궁버스정류소, 울산시외버스터미널, 울진종합터미널, 의령터미널, 의성시외버스터미널, 점촌시외버스터미널, 죽변시외버스정류소, 지리산, 청도공용버스터미널, 청송군, 춘양터미널, 통영종합버스터미널, 포항시외버스터미널, 풍기, 풍산, 함양시외버스터미널,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 현풍시외버스터미널, 후포터미널 |
4. 주요 운행 노선
동서울종합터미널에서는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 '''고속버스'''
- '''시외버스'''
방면 | 주요 행선지 |
---|---|
수도권 | 가평, 공도, 김포공항, 대성리, 대진대, 동탄, 부천, 상록수역, 송내역, 송도, 송탄, 수락산역[19], 안산, 안성, 양평, 여주, 여주대, 오산, 용문, 용문사, 운천, 의정부, 이천, 인천, 인천공항, 일동, 일죽, 장호원, 죽산, 청평, 태평리, 평택, 평택대, 포천, 한경대 |
강원권 | 간성, 강릉, 강촌, 고한사북, 낙산, 동송[21], 동해, 문막, 백담입구, 사창리, 삼척, 속초, 신남, 신철원, 양구[22], 양덕원, 양양, 영월, 와수리[23], 원주, 원통, 인제, 정선, 주문진, 춘천, 태백, 평창, 홍천, 화천, 횡계, 횡성 |
충청권 | 감곡, 강경, 건국대(충주), 공주, 광천, 괴산, 기지시, 남서울대, 내포시, 논산, 단양, 당진, 대전청사, 대천해수욕장[25], 보령, 보은, 부여, 삼성, 생극, 서산, 성환, 세명대, 세종시[26], 속리산, 수안보, 신례원, 신창, 신평, 아산, 예산, 월악산, 유성[27], 영동[28], 옥천, 음성, 이월, 제천, 증평, 진천, 천안, 청양, 청주, 충북혁신도시[29], 충주[30], 태안, 합덕, 홍성 |
호남권 | 군산, 김제, 목포, 무안, 부안, 삼호, 순천, 여수, 영광, 오수, 익산, 임실, 진도, 해남 |
영남권 | 거창, 경북도청[31], 경산, 경주, 고현(거제), 구미, 군위, 김해[32], 남해, 문경, 백암온천(온정), 봉화, 상주, 서상, 신복, 안동, 양산, 언양, 영덕, 영양, 영주[34], 영해, 예천, 울산, 울진, 의령, 의성, 점촌, 지리산[35], 청도[36], 청송, 춘양, 통영[37], 포항, 함양[38], 해운대, 현풍, 후포 |
4. 1. 고속버스
권역 | 운행 노선 | 운행 업체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 비고 |
---|---|---|---|---|---|
강원권 | 강릉 | 중앙고속, 동부고속 | 횡성휴게소 | 40분 | [5] |
강원권 | 동해/삼척 | 동부고속 | 횡성휴게소, 동해 | 평일: 9회 금, 토, 일: 12회 | |
강원권 | 양양/속초 | 동부고속 | 양양 | 평일: 6회[6] 주말: 8회 | [7] |
충청권 | 대전 | 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무정차 | 20~30분 | |
충청권 | 청주 | 금호속리산고속, 중앙고속 | 롯데마트 서청주점[8] | 30분 | |
호남권 | 동광양 | 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정안휴게소, 광양 | 60분 | |
호남권 | 광주 | 금호고속, 중앙고속 | 정안휴게소, 비아 | 평일: 30~40분 주말: 20~30분 | [9] |
호남권 | 전주 | 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 정안휴게소, 호남제일문 | 30분 | |
호남권 | 정읍 | 중앙고속 | 정안휴게소, 태인[10] | 3회 | |
영남권 | 동대구 | 금호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중앙고속 | 선산휴게소, 서대구 | 30~40분 | |
영남권 | 마산 | 동양고속 | 선산휴게소, 내서 | 80~90분 | [11] |
영남권 | 부산 | 금호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낙동강휴게소[12] | 80분 | |
영남권 | 부산서부[13] | 금호고속, 중앙고속, 한일고속 | 선산휴게소 | 3회 | |
영남권 | 진주[14] | 동양고속, 중앙고속 | 인삼랜드휴게소, 개양 | 3회 | |
동양고속 | 인삼랜드휴게소, 진주혁신도시 | 2회 | |||
영남권 | 진해[15] | 동양고속 | 선산휴게소, 마산 | 4회 | [16] [17] [18] |
영남권 | 창원 | 동양고속, 중앙고속 | 선산휴게소, 창원역 | 4회 |
4. 1. 1. 강원권
동부고속막차: 22:20 (동서울 기준)
금, 토, 일: 12회
막차: 20:30 (동서울 기준)
주말: 8회
막차: 19:50 (동서울 기준)[7]
금요일 막차: 20:30 (동서울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