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에 위치한 고속버스터미널로, 경부선, 영동선, 구마선 노선을 운영하는 경부선 터미널과 호남선 노선을 운영하는 센트럴시티터미널을 모두 아울러 지칭한다. 1970년대 교통 혼잡을 해결하고 강남 지역 개발을 위해 통합 이전 계획으로 건립되었으며, 1981년에 현재의 터미널 건물이 완공되었다. 현재는 3호선, 7호선, 9호선 고속터미널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버스 노선과 공항버스, 인천 급행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경부선 터미널 출발/도착 노선 및 센트럴시티 도착편 노선은 인터넷 예매가 가능하지만, 센트럴시티 출발 노선은 별도의 홈페이지를 이용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세계그룹 - 이관섭
    이관섭은 행정고시 합격 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을 거쳐 윤석열 정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과 비서실장을 역임한 관료이다.
  • 신세계그룹 - 이마트
    이마트는 1993년 대한민국 최초의 대형마트인 창동점을 개점한 신세계그룹의 핵심 계열사로, 월마트 코리아 인수, 다양한 사업 포맷 확장, 온라인 사업, 해외 진출 등을 통해 성장해 왔으나, 자체 브랜드 상품 개발 및 중소기업 상생 노력과 더불어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며 국내외 다양한 형태의 매장을 운영하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대형 유통업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 - 서울남부버스터미널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남부버스터미널은 1972년 용산에서 시작하여 1990년 현재 위치로 이전했으며, 엔티산업에서 운영하고, 수도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강원권 등 다양한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터미널이다.
  •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 - 동서울종합터미널
    동서울종합터미널은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시외·고속버스터미널 중 하나로, 전국 각지로 향하는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지하철 강변역과 연결되고 공항 리무진 버스도 운행하지만, 현대화 사업 후 상가가 퇴거하여 홈페이지나 앱으로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 서울 서초구의 건축물 - 동작대교
    동작대교는 1984년 개통한 대한민국 최초의 랭거아치 형식 다리이며, 서울 지하철 4호선 통과를 고려하여 건설되었으나, 초기 민간 투자 방식의 자금난과 용산 미군기지 이전 계획 무산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 서울 서초구의 건축물 - 예술의전당
    예술의전당은 1980년대 대한민국 정부가 건립한 복합 문화 예술 공간으로, 음악당, 미술관, 오페라하우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국립 예술 단체의 상주 공간으로 활용된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서울고속버스터미널
종류터미널
국가대한민국
주소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94 (반포동)
이전1975년 11월 14일
개장1981년 10월 20일
운영 기관신세계그룹
터미널 코드010
표기서울경부
고속버스 운행 여부운행
시외버스 운행 여부운행
시내버스 운행 여부미운행
웹사이트서울고속버스터미널 공식 웹사이트
건물
영어 안내
영어 이름Express Bus Terminal
일본어 안내
가타카나 이름ソウルコソックポストミナル
한국어 안내
한글 이름서울고속버스터미널
한자 이름-

2. 역사

1974년 당시 서울 시내에는 여러 고속버스터미널이 분산되어 있었는데, 이로 인한 교통 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터미널 통합 이전 방안이 논의되었다.[3] 1975년 6월 27일, 강남 개발의 일환으로 터미널을 반포동을 비롯한 3곳으로 모으는 계획이 확정되었다.[5]

1976년 4월 8일 반포동 부지에 시설을 착공,[6] 같은 해 9월 1일부터 가건물 형태로 영업을 시작했다.[7] 이후 1977년 세 차례에 걸쳐 서울-수원 간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강남터미널로 이전되었다.[8][9]

현재 터미널 건물은 1979년 5월 23일 신축 계획을 확정하고 건설을 시작하여[10] 1981년 10월 20일에 준공되었다.[11] 완공 당시에는 동양 최대 규모의 버스 터미널 중 하나였으나, 현재는 1층만 승강장으로 사용 중이다.

1985년 10월 18일 수도권 전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이 개통되었고, 2000년 8월 1일에는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개통과 함께 호남선 노선을 담당하는 센트럴시티터미널이 개장했다. 2009년 7월 24일에는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이 개통되었다.

2006년 광주광역시유스퀘어 리모델링으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규모 면에서 전국 2위로 밀려났다.

2. 1. 건립 배경 및 초기 역사 (1970년대)

1970년대 초, 서울 시내에는 동대문고속버스터미널, 한진고속, 동양고속, 속리산고속, 삼화고속, 그레이하운드, 유신고속 등 여러 고속버스터미널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어 교통 혼잡을 야기했다.[3] 1974년, 서울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강남 지역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고속버스터미널 통합 이전 계획을 수립했다.[4]

1975년 6월 27일, 강남 개발 계획의 하나로 터미널을 반포동, 당산동, 성북역 앞 3곳으로 모으는 계획이 확정되었다.[5] 이에 따라 1976년 4월 8일, 반포동 부지에 시설을 착공하여[6] 같은 해 9월 1일부터 가건물 형태로 영업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시내 기존 터미널에서 출발하여 강남을 경유하는 방식으로 운행되었다.[7] 이후 1977년 4월 21일, 7월 1일, 8월 20일 세 차례에 걸쳐 교통부령에 따라 서울-수원 간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강남터미널로 이전되었다.[8][9]

2. 2. 신축 터미널 완공 및 확장 (1980년대 ~ 2000년대)

1979년 5월 23일 현재 사용 중인 터미널 건물 신축 계획이 확정되어 건설을 시작했고,[10] 1981년 10월 20일에 완공되었다.[11] 이는 이전까지 쓰이던 가건물을 철거하고 지은 것이었다. 완공 당시에는 2층과 3층에도 승차장이 있는 동양 최대 규모의 버스 터미널 중 하나로 꼽혔으나, 철도나 항공으로 승객 수요가 이동하고 건물이 노후하면서 현재는 1층만 승강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1985년 10월 18일 수도권 전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이 개통되었고, 2000년 8월 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개통과 함께 호남선 노선을 담당하는 센트럴시티터미널이 개장했다. 2009년 7월 24일에는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이 개통되었다.

2. 3. 최근 현황 (2010년대 ~ 현재)

2006년광주광역시유스퀘어 리모델링으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규모 면에서 전국 2위로 밀려났다.[11] 1981년 10월 20일에 준공된[11] 터미널 건물은 노후화로 인해 현재 1층만 승강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3층은 화훼상가, 5층은 웨딩홀로 사용되었으나, 2017년 5월 웨딩홀 영업이 종료되고 신세계백화점 본사가 입주했다.

3. 터미널 구조 및 시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1976년 강북에 있던 버스터미널들을 통합하여 현재 위치로 이전하면서 임시 시설로 운영을 시작했다. 1980년 9월 19일 도착장이, 1981년 10월 11일에는 현재의 경부선 터미널이 완공되었다. 2000년에는 인접한 센트럴시티가 개업하면서 호남선 노선이 이전되었다.

터미널의 1층에는 승차홈, 매표소, 무인발권기 등이 있으며, 자세한 구조는 아래 표와 같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 1층 위치도
--무인발권기제1매표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하차장3635343332313029282726252423222120191817
colspan=8|제3매표소무인발권기colspan=5|
신반포로무인발권기제2매표소



각 승차홈별 행선지는 2017년 8월 1일부터 조정되어 운영 중이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12]


3. 1.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경부선 터미널)

서울고속버스터미널(경부선 터미널)은 주로 경부선영동선 노선을 운행한다. 1970년대 서울 시내 교통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던 고속버스터미널을 통합하여 반포동으로 이전하는 계획이 추진되었다.[3][4][5] 1976년 가건물 형태로 영업을 시작하여[7] 1981년 현재의 건물이 준공되었다.[11]

1층에는 승차홈, 매표소, 무인발권기 등이 있으며, 3층은 화훼상가로 운영되고 있다.

터미널 건물은 1979년 5월 23일 신축 계획을 확정하고 건설을 시작하여[10], 1981년 10월 20일에 준공되었다.[11] 완공 당시에는 동양 최대의 버스 터미널 중 한 곳으로 꼽혔으나, 현재는 1층만 승강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1985년 10월 18일 수도권 전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이 개통되었고, 2000년 8월 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이, 2009년 7월 24일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이 개통되었다.

2006년 광주광역시유스퀘어 리모델링으로 규모는 전국 2위가 되었다.

경부선 터미널은 모두 고속버스 터미널이지만, 센트럴시티는 시외버스도 발착한다. 따라서 동쪽으로 가는 버스라도, 춘천행과 같이 시외버스인 경우 센트럴시티에서 발착한다. 경부선 발착편, 및 센트럴시티 도착편 노선의 인터넷 예약은 전국판 고속버스 예약 홈페이지에서 가능하지만, 센트럴시티를 출발하는 노선은 다른 홈페이지에서 예약해야 한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 1층 위치도
--무인발권기제1매표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하차장3635343332313029282726252423222120191817
colspan=8|제3매표소무인발권기colspan=5|
신반포로무인발권기제2매표소


3. 1. 1. 승차홈

Seoul Express Bus Terminal영어의 승차홈은 1번부터 36번까지 있으며, 2017년 8월 1일부터 조정되어 운영 중이다.[12] 각 승차홈별 상세 행선지는 터미널 내 안내를 참고해야 한다.


3. 2. 센트럴시티터미널 (호남선 터미널)

경부선 터미널은 모두 고속버스 노선만 운행하지만, 센트럴시티는 시외버스 노선도 운행한다. 따라서 동쪽으로 가는 버스라도 춘천행과 같이 시외버스인 경우 센트럴시티에서 출발한다.[1] 경부선 출발/도착 및 센트럴시티 도착 노선은 전국판 고속버스 예약 홈페이지에서 예약할 수 있지만, 센트럴시티 출발 노선은 다른 홈페이지에서 예약해야 한다.[1]

4. 운행 노선

경부선은 대한민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며, 영천상주고속도로 개통 후 경주, 부산, 영천, 울산, 포항 방면은 낙동강의성휴게소를 경유한다.[35] 호남선은 전라도를 중심으로, 일부 시외버스도 운행한다.

4. 1.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경부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경부선 터미널은 대한민국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는 광범위한 노선을 제공한다.

  • '''승차홈 정보'''




2023년 7월 1일부터 여주프리미엄아울렛 방면 노선이 신설되어 운행하고 있다.

경부선에서는 주로 영남권과 충청권 노선이 운행되며, 일부 강원권 노선도 포함된다.

영천상주고속도로 개통으로 2019년 4월 10일부터 경주, 부산, 영천, 울산, 포항 방면 노선은 선산휴게소 대신 낙동강의성휴게소를 경유한다.[35]

4. 1. 1. 수도권

운행 노선운행 업체운행 구간경유지배차 간격시간표
서울경부 ↔ 안성[13]금호고속서울경부 ↔ 안성주은풍림아파트, 공도, 대림동산,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안성시민회관[14], 한경대학교[14]15~25분첫차: 06:00 (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여주동부고속서울경부 ↔ 여주여주대학교20~30분첫차: 06:30 (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여주프리미엄아울렛동부고속서울경부 ↔ 신세계여주프리미엄아울렛무정차20~30분첫차: 09:00 (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용인동부고속서울경부 ↔ 용인유림동20~30분첫차: 06:30 (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이천동부고속서울경부 ↔ 이천부발(신하리)[17]15~30분첫차: 06:00 (서울경부 기준, 월~금)
서울경부 ↔ 평택동양고속서울경부 ↔ 평택용이동, 평택대학교15~25분첫차: 06:05 (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안중[15]동양고속서울경부 ↔ 안중용이동, 평택대학교, 평택, 안중오거리[16]8회06:50, 08:40, 10:20, 14:25, 16:10, 17:40, 19:05, 20:40


4. 1. 2. 강원권

2017년 8월 1일부터 센트럴시티에서 출발하던 홍천, 춘천, 철원(포천, 운천, 신철원 경유) 노선이 이곳으로 이전되었다.[18] 2017년 11월 1일부터 센트럴시티에서 출발하던 영월 방면 노선이 이곳으로 이전되었다.[19] 2018년 2월 8일부터 3월 19일까지 한시적으로 횡계 방면 노선이 신설되어 운행하였다.[20] 2018년 6월 1일부터 서울경부 ↔ 홍천 노선은 폐선되었다. 2021년 3월 16일부터 원주혁신도시 방면 노선이 원주기업도시 경유로 변경[21] 및 기존 서울경부 ↔ 원주 노선 계통에서 분리되었다.

운행 노선운행 업체운행 구간경유지배차 간격시간표
서울경부 ↔ 강릉동부고속
중앙고속
서울경부 ↔ 강릉횡성휴게소20~30분첫차: 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 23:3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동해/삼척동부고속서울경부 ↔ 삼척횡성휴게소, 동해,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34]30~40분첫차: 06:30(서울경부 기준)
막차: 23:3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속초동부고속
중앙고속
서울경부 ↔ 속초무정차[22]30~60분첫차: 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 23:3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속초
(양양 경유)
동부고속
중앙고속
서울경부 ↔ 속초양양50~60분첫차: 06:30(서울경부 기준)
막차: 23:3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영월경기고속서울경부 ↔ 영월무정차4회10:00, 13:30, 19:00, 20:30
서울경부 ↔ 원주동부고속
중앙고속
서울경부 ↔ 원주문막15~20분첫차: 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 23:0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원주혁신(기업도시 경유)[23]동부고속
중앙고속
서울경부 ↔ 원주혁신도시(기업도시 경유)원주기업도시, 원주혁신도시[24]9회06:30, 07:00, 10:00, 11:00, 13:30, 15:00, 17:00, 18:30, 20:30
서울경부 ↔ 철원강원고속서울경부 ↔ 동송포천, 운천, 신철원10회첫차: 07:00(서울경부 기준)
막차: 19:5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춘천[25]강원고속
대원고속
서울경부 ↔ 춘천(시외)무정차40~50분첫차: 06:50(서울경부 기준)
막차: 21:00(서울경부 기준)


4. 1. 3. 충청권

2016년 8월 1일부터 아산행 노선 중 하루 3회 둔포를 경유하는 노선이 신설되었다.[26] 2018년 1월 31일부터 세종국책연구단지 경유 세종행 노선이 신설되었다.[27] 2019년 9월 1일에는 구인사행 노선이 영주행 노선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운행 노선운행 업체운행 구간경유지배차 간격시간표
서울경부 ↔ 공주금호고속서울경부 ↔ 공주무정차20~30분첫차: 06:05(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금산삼화고속서울경부 ↔ 금산마전리6회06:30, 08:05, 11:30, 13:30, 15:05, 18:40
서울경부 ↔ 대전복합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서울경부 ↔ 대전복합무정차5~20분첫차: 06:0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대전청사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서울경부 ↔ 대전청사도룡동[28]30~40분첫차: 06:0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세종[29]금호고속, 동양고속, 동부고속, 중앙고속, 삼화고속, 속리산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서울경부 ↔ 세종정부세종청사15~30분첫차: 06:00(서울경부 기준)
죽전[30], 세종국책연구단지[29]40~60분첫차: 06:06(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아산동양고속서울경부 ↔ 아산천안아산역[31], 서부휴게소(봉강교)25~50분첫차: 06:00(서울경부 기준)
둔포[32], 아산테크노밸리3회09:20, 15:20, 20:45
서울경부 ↔ 제천[33]동부고속서울경부 ↔ 제천하소동30~40분첫차: 06:00(서울경부 기준(월요일))
서울경부 ↔ 조치원속리산고속, 중앙고속서울경부 ↔ 조치원고려대학교·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45~60분첫차: 06:4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천안동양고속서울경부 ↔ 천안천안 나들목[34]5~20분첫차: 06:0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청주속리산고속, 중앙고속서울경부 ↔ 청주청주 나들목[34]10~35분첫차: 05:4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구인사경기고속서울경부 ↔ 구인사평동, 상진리, 단양, 사평리, 영춘, 구인사3회09:20, 14:10, 18:00


4. 1. 4. 영남권

경주, 구미, 김천, 김해, 마산, 밀양, 동대구, 부산, 부산사상, 상주, 안동, 영덕, 영주, 영천, 예천, 온정, 울진, 울산, 점촌, 진주, 창원, 통영, 포항 방면 노선이 운행된다.

2017년 7월 1일부터 센트럴시티에서 출발하던 영덕(안동 경유), 영주(풍기 경유), 예천(경북도청 경유), 온정(광비, 삼근, 울진, 평해 경유) 노선이 이곳으로 이전되었다.[35]

영천상주고속도로 개통으로 고속버스 인가가 변경되어 경주, 부산, 영천, 울산, 포항 방면 노선은 선산휴게소를 경유하지 않고 2019년 4월 10일부터 낙동강휴게소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운행 노선운행 업체운행 구간경유지배차 간격시간표
서울경부 ↔ 경주금호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서울경부경주낙동강의성휴게소[36]60~70분첫차: 06:10(서울경부 기준)
막차: 23:55(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구미동양고속
중앙고속
서울경부구미황간[37]25~60분첫차: 06:05(서울경부 기준)
막차: 22:05(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김천금호고속
한일고속
서울경부김천무정차7회07:10, 09:05, 11:05, 12:50, 14:50, 17:10, 19:00
서울경부 ↔ 김해고려여객
천일여객
서울경부김해선산휴게소, 장유50~70분첫차: 06:30(서울경부 기준)
막차: 24:2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마산동양고속
중앙고속
서울경부마산선산휴게소, 내서20~40분첫차: 06:05(서울경부 기준)
막차: 01:0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밀양[38]경기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서울경부밀양선산휴게소4회08:10, 11:30, 15:10, 18:30
서울경부 ↔ 동대구[39]동양고속
삼화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서울경부동대구선산휴게소, 서대구20~30분첫차: 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 01:30(서울경부 기준)
선산휴게소, 신서혁신도시(한국부동산원)2회10:50, 17:40
서울경부 ↔ 부산금호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서울경부부산낙동강의성휴게소[36], 두실역[40]20~40분첫차: 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 02:0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부산사상금호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서울경부서부산선산휴게소6회06:40, 09:10, 11:20, 14:10, 16:30, 19:10
서울경부 ↔ 상주금호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서울경부상주무정차50~70분첫차: 07:00(서울경부 기준)
막차: 19:4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안동경기고속
대원고속
서울경부안동무정차40~70분첫차: 06:10(서울경부 기준)
막차: 22:0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영덕[41]경기고속서울경부영덕안동3회07:40, 11:00, 16:00
서울경부 ↔ 영주경기고속
코리아와이드경북
서울경부영주풍기[42]90분첫차: 07:10(서울경부 기준)
막차: 20:40(서울경부 기준)
3회09:10, 13:50, 18:10
서울경부 ↔ 영천천일고속서울경부영천낙동강의성휴게소[43], 망정동[44]5회07:30, 10:00, 13:05, 15:40, 18:50
서울경부 ↔ 예천[45]경기고속서울경부예천무정차2회12:20, 18:20
경북도청[46]1회07:00
서울경부 ↔ 온정[47]경기고속서울경부온정광비, 삼근, 울진, 평해, 후포2회07:30, 13:40
서울경부 ↔ 울산삼화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서울경부울산낙동강의성휴게소[36], 신복30~40분첫차: 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 24:35(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점촌금호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서울경부점촌무정차60~80분첫차: 06:50(서울경부 기준)
막차: 20:2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진주동양고속
중앙고속
서울경부진주인삼랜드, 개양20~60분첫차: 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 24:10(서울경부 기준)
인삼랜드, 진주혁신도시[48]3회06:20, 12:40, 19:05
서울경부 ↔ 창원동양고속
중앙고속
서울경부창원선산휴게소, 창원역25~35분첫차: 06:10(서울경부 기준)
막차: 24:3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통영고려여객
천일여객
서울경부통영인삼랜드40~70분첫차: 06:20(서울경부 기준)
막차: 24:30(서울경부 기준)
서울경부 ↔ 포항동양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서울경부포항낙동강의성휴게소[36], 포항시청30~40분첫차: 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 01:00(서울경부 기준)


4. 2. 센트럴시티터미널 (호남선)

센트럴시티터미널은 고속버스 노선 외에도 시외버스 노선이 발착한다. 예를 들어 춘천행과 같이 동쪽으로 가는 시외버스는 센트럴시티터미널에서 출발한다.[1]

경부선 터미널에서 출발하는 고속버스 노선과 센트럴시티터미널에 도착하는 노선은 전국 고속버스 예약 홈페이지에서 예약할 수 있다. 그러나 센트럴시티터미널에서 출발하는 호남선 노선은 별도의 홈페이지에서 예약해야 한다.[2]

5. 학생 할인

본래 고속버스는 학생 할인이 없이 운행하나 일부 노선에 한해 운행 회사 재량에 따라 학생 할인을 제공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노선 중 학생 할인이 가능한 노선 목록은 다음과 같다.[49]

구분이용 가능 노선
대학생조치원, 안성(경유지), 여주(여주대), 평택(평택대), 영천, 제천, 용인(유방동), 청주, 천안, 동해[50], 삼척[50], 아산(온양), 횡계[51]
중·고등학생조치원, 금산, 안성(경유지), 여주(여주대), 평택(평택대), 영천[52], 제천, 용인(유방동), 청주, 천안, 속초(양양), 아산(온양), 이천, 동해, 삼척, 구미, 창원, 마산, 진주, 포항[53]



학생 할인을 받으려면 반드시 본인이 학생 신분임을 증명할 수 있는 학생증이나 청소년증을 제시하여야 한다.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 다른 서류를 제시하면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6. 연계 교통

고속터미널역에서 , , 을 이용할 수 있다.

6. 1. 지하철

1985년 10월 18일 수도권 전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이, 2000년 8월 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이, 2009년 7월 24일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이 개통되었다.[3]

6. 2. 버스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인근에는 다양한 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터미널 북쪽 도로의 '고속버스터미널' 정류장(일부 노선은 강남고속버스터미널, 고속버스터미널경부선, 고속버스터미널호남선)과 남쪽의 '센트럴시티' 정류장(일부 노선은 서울성모병원)을 이용하면 된다.

종류노선 번호
지선버스서초01, 서초10, 서초13, 서초14, 서초21, 3012, 3414, 4212, 4318, 5413, 6411, 8541
간선버스142, 143, 148, 351, 360, 362, 401, 406, 462, 540, 640, 642, 643, 740
급행버스9408
공항버스6000, 6020
인천 급행버스9500, 9501, 9502, 9510, 9800, 9802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에서 출발하는 버스 중 6000번과 6020번은 양쪽 터미널 북쪽 도로 위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며, 6040번은 센트럴시티 JW 메리어트 호텔 내에 정차한다.

7. 기타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센트럴시티터미널(호남선)과 이름이 비슷하여 혼동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7. 1. 명칭 혼동 주의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처음부터 이 터미널의 공식 명칭이다. 그러나 센트럴시티터미널(호남선)이 개업하면서, 기존 터미널과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경부선터미널', '서울경부'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인터넷 예약 코드는 '''010'''이다.[11]

센트럴시티는 '호남선터미널', '서울호남' 등으로 부르기도 하며, 인터넷 예약 코드는 '''020'''이다.[11]

두 터미널을 통칭하여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서울고속버스터미널'행으로 표기된 버스가 센트럴시티에 도착하는 경우도 있다.[11] 혼동을 피하기 위해 '서울강남버스터미널' 또는 '강남고속버스터미널'로 불리기도 한다.[11]

7. 2. 인터넷 예매

경부선 터미널 출발/도착 노선은 전국 고속버스 예약 홈페이지에서 예매할 수 있지만, 센트럴시티를 출발하는 노선은 해당 홈페이지에서 예약할 수 없고, 다른 홈페이지에서 예약해야 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티머니 앱’ 먹통에 전국 터미널 발권 스톱 https://www.chosun.c[...] 2024-10-28
[2] 뉴스 한가위 연휴 첫 날…고속터미널 귀성객 '북적' https://news.naver.c[...] 연합뉴스TV 2018-09-22
[3] 서적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 3 한울 2003-01-01
[4] 서적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 3 한울 2003-01-01
[5] 뉴스 高速(고속)·市外(시외)버스 綜合(종합)터미널 반포洞(동)등 3곳에新設(신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5-06-28
[6] 뉴스 江南(강남) 종합버스터미널 起工(기공)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6-04-08
[7] 뉴스 江南(강남) 綜合(종합)버스터미날 具(구)서울市長(시장)참석 개장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6-09-01
[8] 뉴스 7월1일까지 高速(고속)버스터미널 江南(강남)으로 移轉(이전) 仁川(인천)·水原線(수원선)제외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7-04-02
[9] 뉴스 高速(고속)버스「터미널」 모두江南(강남)으로이전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7-08-20
[10] 뉴스 盤浦(반포)고속버스터미널 신축계획確定(확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9-05-23
[11] 뉴스 새高速(고속)버스터미널 준공 京釜(경부)·邱馬線(구마선) 발착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1-10-20
[12] 뉴스 강남 서울터미널-여주아울렛 직통버스 내달 1일 개통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3-06-28
[13] 일반
[14] 일반
[15] 일반
[16] 일반
[17] 일반
[18] 웹사이트 서울 – 홍천, 춘천, 철원(포천, 운천, 신철원)이전 노선 추가 안내 http://www.extermina[...]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공지사항 2017-07-24
[19] 웹사이트 노선 경유지 추가 및 신규 노선 운행 안내 http://www.extermina[...]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공지사항 2017-10-27
[20] 웹사이트 서울- 횡계 노선 운행 안내 http://exterminal.co[...]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공지시항 2018-01-30
[21] 웹인용 원주 혁신·기업도시↔수도권 고속버스 운행 업무협약 체결 http://www.m-i.kr/ne[...] 2021-03-12
[22] 일반
[23] 일반
[24] 일반
[25] 일반
[26] 뉴스 아산 둔포 경유 서울행 고속버스 운행 시작 http://www.cctoday.c[...] 충청투데이 2016-08-02
[27] 웹사이트 세종시 신설 노선 운행 안내 http://exterminal.co[...]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공지사항 2018-01-23
[28] 일반
[29] 일반
[30] 일반
[31] 일반
[32] 일반
[33] 일반
[34] 일반
[35] 웹사이트 서울-안동(영덕), 영주(풍기), 예천(경북도청), 울진(평해,백암온천) 노선 이전 안내 http://www.extermina[...]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공지사항 2017-06-29
[36] 일반
[37] 일반
[38] 일반
[39] 일반
[40] 일반
[41] 일반
[42] 웹인용 영주~서울 고속버스 풍기IC 입구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다 http://www.kyongbuk.[...] 2017-06-30
[43] 일반
[44] 일반
[45] 일반
[46] 일반
[47] 일반
[48] 일반
[49] 웹사이트 10. 할인혜택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http://www.extermina[...] 2016-10-21
[50] 일반
[51] 일반
[52] 일반
[53]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