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턴 칼리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턴 칼리지는 1869년 영국 허트퍼드셔주 히친에 설립된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칼리지이다. 여성 교육 개선을 목표로 시작하여, 1976년 남학생 입학을 허용하면서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다. 19세기 말 빅토리아 시대 건축 양식의 건물과 정원을 갖추고 있으며, 도서관, 채플, 박물관 등의 시설을 운영한다. 덴마크 전 국왕 마르그레테 2세, 전 영국 대법원장 브렌다 헤일, 허핑턴 포스트의 아리아나 허핑턴 등 다양한 분야의 저명인사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칼리지 - 킹스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1441년 헨리 6세가 설립한 킹스 칼리지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소속 칼리지로, 예배당을 중심으로 건축되었으며 19세기 규정 개정을 통해 다양한 학생들의 입학이 허용되었고 현재는 킹스 칼리지 합창단을 비롯한 여러 학생 활동과 교육 과정을 제공하며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명문 칼리지이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칼리지 - 크라이스츠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츠 칼리지는 1437년 설립되어 헨리 7세의 어머니 레이디 마가렛 보퍼트의 기증으로 현재의 이름을 얻었으며, 찰스 다윈, 존 밀턴 등 유명 인사를 배출하고 5월 무도회를 개최하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칼리지이다. - 1869년 개교 - 네브래스카 대학교 링컨
네브래스카 대학교 링컨은 1869년 설립된 네브래스카 주 링컨 소재의 공립 연구 대학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의 과정과 콘허스커스 미식축구팀으로 알려져 있다. - 1869년 개교 - 세인트 클라우드 주립 대학교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클라우드에 위치한 세인트 클라우드 주립 대학교는 1869년 주립 사범학교로 개교하여 교원 양성에 힘썼으며, 현재는 8개의 단과대학 및 스쿨에서 200개 이상의 학부 및 대학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공립 종합대학이다.
거턴 칼리지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대학 | 케임브리지 대학교 |
약칭 | G |
이름의 유래 | 거턴 마을 |
설립일 | 1869년 10월 16일 |
이전 명칭 | 여자 대학 (1871년까지) |
위치 | 헌팅던 로드 |
본관 | 엘리자베스 켄달 |
자매 대학 | 서머빌 칼리지 |
웹사이트 | 거턴 칼리지 공식 웹사이트 |
주니어 조합 방 | 거턴 칼리지 주니어 조합 방 웹사이트 |
미들 조합 방 | 거턴 칼리지 미들 조합 방 웹사이트 |
보트 클럽 | 거턴 칼리지 보트 클럽 거턴 칼리지 보트 클럽 웹사이트 |
기부금 | 4920만 파운드 (2018년) |
방문객 | 브렌다 헤일, 리치먼드의 헤일 남작 |
통계 | |
학부생 | 534명 (2022–23) |
대학원생 | 410명 (2022–23) |
상징 | |
문장 | 거턴 칼리지 문장 |
표어 | Better is wisdom than weapons of war (Alumni) |
표어 (번역) | 지혜의 싸움은 무기보다 낫다 (졸업생) |
기타 정보 | |
창립자 | 에밀리 데이비스 바바라 보디촌 |
2. 역사
1860년대 초 페미니즘 운동은 여성 교육 개선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에밀리 데이비스와 바바라 보디숑은 여성 고용 증진 협회와 ''The Englishwoman's Review'' 활동을 통해 만나,[4] 여성이 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5]
1869년 10월 16일, 허트퍼드셔주 히친에 '''벤슬로우 하우스 여성 대학'''이 설립되었으며, 이는 잉글랜드 최초의 여성 기숙 대학 중 하나였다. 같은 해 에밀리 깁슨, 안나 로이드, 루이자 럼스덴, 이사벨라 타운센드, 사라 우드헤드 등 5명의 학생이 학업을 시작했다.[17][18]
1873년 사순절에 트라이포스 시험을 공식적으로 치른 최초의 세 학생인 레이첼 쿡과 럼스덴은 고전 트라이포스를, 우드헤드는 수학 트라이포스를 받았으며, "선구자"로 알려졌다.[20][21]
모금 활동을 통해 1872년 기턴 마을 근처 16에이커를 확보하고,[22][23] 기턴 칼리지로 이름을 바꾸어 1873년 10월에 새로운 위치에서 문을 열었다.[22]
1924년 8월 21일, 국왕은 "기턴 칼리지의 학장과 이사"에게 법인 헌장을 수여했다.[28] 1948년 4월 27일, 여성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정회원으로 입학했고 기턴 칼리지는 대학교의 대학 지위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의 사회 문화가 변화하면서, 영국 대학교들은 남녀공학이 되었다. 1976년 11월, 이사회 투표를 통해 남녀공학 전환이 결정되면서 거턴 칼리지는 남학생을 받아들인 최초의 여자 대학이 되었다.[31] 1979년 10월에는 남자 학부생들이 입학했다.[32]
1997년부터 2019년까지 22년 동안, 학부생의 학업 성취도를 기준으로 케임브리지 대학의 연간 순위를 매기는 톰킨스 테이블에서 거턴 칼리지는 조사 대상 29개 대학 중 평균 20위를 기록했다. 2019년에는 20위를 차지했으며, 전체 학부생의 22%가 1등급 학위를 받았다.[36]
2. 1. 설립 초기 (1869년 ~ 1976년): 여성 교육의 선구자
1860년대 초 페미니즘 운동은 여성 교육 개선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에밀리 데이비스와 바바라 보디숑은 여성 고용 증진 협회와 ''The Englishwoman's Review'' 활동을 통해 만났으며,[4] 여성이 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5]이들은 옥스퍼드나 케임브리지에서 여학생들이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1862년에 위원회를 설립했다. 1865년, 헨리 톰킨슨의 도움으로,[7] 91명의 여학생이 케임브리지 지역 시험에 응시했다.[8]
1869년, 헨리 시지윅은 여성 시험을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나, 에밀리 데이비스는 트라이포스 시험에 입학을 요구하며 반대했다.[12]
1869년 10월 16일, 허트퍼드셔주 히친에 '''벤슬로우 하우스 여성 대학'''이 설립되었으며, 이는 케임브리지와 런던에서 편리한 거리로 여겨졌다.[13] 이곳은 잉글랜드 최초의 여성 기숙 대학 중 하나였다. 같은 해 10월 16일에 에밀리 깁슨, 안나 로이드, 루이자 럼스덴, 이사벨라 타운센드, 사라 우드헤드 등 5명의 학생이 학업을 시작했다.[17][18] 아델라이드 매닝도 한 학기 동안만 머물 계획으로 등록했으며, 그녀의 계모 샬롯 매닝이 초대 학장이었다.[19]
1873년 사순절에 트라이포스 시험을 공식적으로 치른 최초의 세 학생인 레이첼 쿡과 럼스덴은 고전 트라이포스를, 우드헤드는 수학 트라이포스를 받았으며, "선구자"로 알려졌다.[20][21]
모금 활동을 통해 1871년에 히친 또는 케임브리지 근처에 토지를 구매할 수 있었다.[22] 1872년까지 현재 부지인 기턴 마을 근처 16에이커를 확보했다.[22][23] 이후 대학은 기턴 칼리지로 이름이 바뀌었고 1873년 10월에 새로운 위치에서 문을 열었으며,[22] 당시 13명의 학생이 입학했다.[26]
1924년 8월 21일, 국왕은 "기턴 칼리지의 학장과 이사"에게 법인 헌장을 수여했다.[28] 기턴과 뉴넘 칼리지는 대학교의 대학이 아닌 "여성 고등 교육을 위한 인정된 기관"으로 분류되었다.
1948년 4월 27일, 여성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정회원으로 입학했고 기턴 칼리지는 대학교의 대학 지위를 받았다.
2. 2. 1976년 이후: 성 평등을 향한 선구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의 사회 문화가 변화하면서, 점점 더 많은 영국 대학교들이 남녀공학이 되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는 처칠 칼리지, 킹스 칼리지, 클레어 칼리지가 1972년에 여학생을 처음으로 받아들였다.[29] 1971년, 거턴 칼리지는 이사회가 미래에 찬성 투표를 하면 남학생 입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규정을 개정했다.[30]
1976년 11월, 이사회 투표를 통해 남녀공학 전환이 결정되면서 거턴 칼리지는 남학생을 받아들인 최초의 여자 대학이 되었다.[31] 1977년 1월, 프랭크 윌킨슨과 존 마크스, 두 명의 남자 펠로우가 처음으로 부임했다. 1978년에는 남자 대학원생들이, 1979년 10월에는 남자 학부생들이 입학했다.[32]
이러한 변화는 케임브리지에서 처음 남녀공학이 된 대학들이 우수한 학생들을 유치하여 트리포스 리그 테이블(Tripos league tables, 케임브리지 대학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는 지표) 상위에 올랐기 때문인데, 이들은 남녀공학 대학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33]
거턴 칼리지는 남녀가 같은 시설을 사용하는 남녀 공동 기숙사가 되었고, 여성 전용으로 방이 지정된 단 하나의 여성 전용 복도만 남게 되었다. 남학생 학부생들이 입학함에 따라, JCR과 MCR의 사회 시설을 확장해야 했다. 1979년에는 대학 바가 개장되었고, 1982년부터는 럭비, 크리켓, 축구 경기장이 제공되었다.[34][35]
1997년부터 2019년까지 22년 동안, 학부생의 학업 성취도를 기준으로 케임브리지 대학의 연간 순위를 매기는 톰킨스 테이블에서 거턴 칼리지는 조사 대상 29개 대학 중 평균 20위를 기록했다. 2019년에는 20위를 차지했으며, 전체 학부생의 22%가 1등급 학위를 받았다.[36]
3. 주요 건물 및 시설
거턴 칼리지는 앨프리드 워터하우스가 설계한 빅토리아 건축 양식의 건물들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붉은 벽돌과 테라코타 장식이 특징이며, 가파른 경사의 지붕을 가지고 있다. 워터하우스는 1873년부터 1887년까지 올드 윙, 병원 윙, 스탠리 도서관, 구 주방, 게이트하우스 타워 등을 건설했다.[25][52][53]
- 도서관: 1884년 앨더리 남작 부인 헨리에타 스탠리의 기부로 스탠리 도서관이 설립되었다.[55] 1932년 알프레드 워터하우스의 후손 마이클 워터하우스가 설계한 새 도서관이 문을 열었고,[56] 2005년에는 앨리슨 듀크의 이름을 딴 듀크 빌딩이 개관하여 IT 시설과 열람실을 확충했다.[56] 듀크 빌딩은 여러 건축 상을 수상했다.[57][58][59][60]
- 채플: 1899년 착공, 1901년 완공된 채플은 앨프리드 워터하우스와 폴 워터하우스가 설계했다.[61][62] 1910년 해리슨 앤 해리슨 오르간, 1952년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 설치되었다.[64][66] 잉글랜드 교회 예배를 따르지만, 다른 종교 예배도 허용된다.[67]
- 정원: 거턴 칼리지 정원은 케임브리지 칼리지 중 넓은 면적을 자랑한다.[72] 1875년 정원 개발 시작, 1884년 연못이 조성되었다.[73][74] 다양한 새와 나방이 서식하며, 1992년 펠로우 정원이 재설계되었다.[75][76] 희귀한 검은다람쥐도 가끔 볼 수 있다.[77]
- 로렌스 룸 (박물관): 1934년 설립된 로렌스 룸은 앵글로색슨, 이집트, 지중해 컬렉션을 소장한 칼리지 박물관이다.[78][79] "헤르미온 그라머티케" 미라 초상화가 유명하다.[78][80]
- 피플스 포트레이츠 (People's Portraits): 2002년부터 왕립 초상화가 협회의 '피플스 포트레이츠' 전시회가 개최되고 있다.[81] 평범한 영국인들의 초상화를 통해 공동체 정신과 예술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다.[82][83][84]
3. 1. 건축
앨프리드 워터하우스가 설계한 거턴 칼리지의 초기 건물들은 빅토리아 건축 양식을 따랐다. 붉은 벽돌(잉글리시 본드)을 사용하고, 검은색 모르타르와 테라코타로 처마, 창문, 출입구를 장식했다.[53] 지붕은 물결 모양의 타일로 가파르게 경사져 있다.[53] 워터하우스는 1873년부터 1886년까지 올드 윙, 병원 윙, 과수원 윙, 스탠리 도서관, 구 주방을 건설했으며,[25] 1886년과 1887년에는 파라펫이 있는 게이트하우스 타워를 건설했다.[52]3. 2. 도서관

거턴 칼리지의 첫 번째 도서관인 스탠리 도서관은 1884년 앨더리 남작 부인 헨리에타 스탠리의 기부로 설립되었다.[55] 스테인드글라스 창문, 가죽 가구, 대형 굴뚝이 있어 고급스럽고 편안한 공간으로 여겨졌다. 책은 주로 기증을 통해 확보되었다. 1932년 장서가 너무 많아져 새로운 도서관이 문을 열었다. 폴 워터하우스와 알프레드 워터하우스 건축가의 후손인 마이클 워터하우스가 설계한 이 새 도서관은 참나무로 제작된 상층 열람실과 장서가 보관된 1층으로 구성되었다.[56] 1967년에는 아카이브를 포함하는 부속 건물이 추가되었다.[25] 2005년에는 IT 시설과 열람실을 제공하는 현대적인 도서관 확장 건물인 듀크 빌딩이 개관했다.[56] 펠로우이자 주요 기부자인 앨리슨 듀크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이 건물은 앨리스 앤 모리슨이 설계했다. 이 건물은 2006년 RIBA National Award,[57][58] 2007년 SCONUL 도서관 디자인 어워드,[59] 2007년 시빅 트러스트 어워드를 수상했다.[60]
3. 3. 채플

에밀리 데이비스는 1890년 거턴 칼리지에 채플을 세우는 계획을 처음 제안했지만, 헨리에타 스탠리(Henrietta Stanley, Baroness Stanley of Alderley) 남작 부인의 반대가 있었다. 건설은 남작 부인이 사망하고 4년 후인 1899년에 시작되었다.[62] 앨프리드와 폴 워터하우스가 설계한 채플은 1901년에 완공되었고, 1902년 5월 23일에 봉헌되었다.[61] 채플은 약 2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내부는 성가대석 끝과 성가대석 앞에 있는 두 개의 긴 책상을 제외하고는 매우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이 책상들은 수학자 마거릿 메이어와 칼리지의 학생 및 친구들이 제작했다.[63]
1910년에는 학생들과 칼리지 친구들의 기부로 마련된 훌륭한 해리슨 앤 해리슨 오르간이 설치되었다.[64] 이 오르간은 1974년에 재건되었으며, 현재도 칼리지 채플에 있다. 2002년에는 두 번째 오르간을 구입했다.[65]
1952년, 봉헌 금경축의 해에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 설치되었다.[66] 1955년 미카엘마스 학기부터 시작된 칼리지 공식 소식지인 거턴 리뷰(Girton Review)에는 이 유리창에 대한 설명이 아래와 같이 실려있다.
> 중앙 램프는 예언서의 절정, 즉 요한 계시록에 묘사된 형태로, 위엄을 갖춘 우리 주님을 묘사한다. 일곱 개의 봉인으로 봉해진 책을 열 수 있는 어린 양은 램프 아래에, 성령이 비둘기 형태로 내려오는 모습은 꼭대기에 나타나 있다. 중앙 램프의 꽃과 열매는 이새의 나무를 나타낸다. 중앙의 양쪽 램프는 우리 주님의 수난 장면을 묘사한다. 왼쪽에는 예루살렘 입성, 유다의 배반, 에케 호모가 있고, 오른쪽에는 채찍질, 십자가를 지신 그리스도, 십자가형이 있다. 이 장면들은 나뭇잎 패턴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루살렘 입성에는 종려나무가 사용되었으며, 묘사된 다른 식물로는 베들레헴의 별, 수난꽃, 가시나무가 있다. 십자가형을 묘사한 가장 아래쪽 메달은 다른 것보다 더 어두운데, 이는 땅에 임했던 어둠을 암시한다. 맨 위 트레이서리 램프는 자애로운 펠리컨을 묘사하고, 나머지 트레이서리 램프에는 배반의 돈, 베드로의 등불, 기둥과 채찍, 주사위, 사다리와 못, 망치와 족집게, 가시 면류관, 성배 등 수난의 상징이 담겨 있다.[66]
1867년 "여성을 위한 제안된 칼리지"의 원래 진술에서는 종교적인 예배와 지도가 잉글랜드 교회의 원칙에 따라 이루어지며, 양심적인 반대가 있을 경우에는 참석이 필수가 아니라고 발표했다. 이 진술의 수정된 버전은 현대 칼리지 규정에 "채플 예배는 일반적으로 잉글랜드 교회의 관례에 따라 거행되지만, 다른 종교 예배도 열릴 수 있다"고 나타나 있다.[67]
처음에는 채플이 미스트리스(Mistress, 여자 학장)가 드리는 아침 기도와 다양한 교파의 성직자들이 진행하는 일요일 예배에 사용되었다.[68] 오늘날에는 적어도 주 2회의 예배가 열리는데, 일요일 오후 5시 30분에 만종이, 화요일 오후 9시 10분에 콤플라인이 열린다. 예배는 칼리지의 파트타임 채플린이 조직하며, 학생 채플 워든이 그를 돕는다.[69] 미스트리스는 채플 예배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을 지며, 이 책임을 채플 위원회에 일부 위임한다.[67] 현재 채플린은 거턴의 특별 연구원이자 재즈 음악가인 팀 보니페이스(Tim Boniface) 목사이다.[70]
3. 4. 정원
부지를 매입했을 때 황무지에 나무를 심었다.[71] 오늘날 거턴 칼리지의 정원은 다른 케임브리지 칼리지의 정원에 비해 크다.[72] 1875년 미스 데이비스가 정원 개발 책임을 미스 버나드에게 넘겨주면서 정원은 칼리지의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73] 스탠리 도서관과 오차드 윙 건설을 위한 굴착에서 시작된 연못은 1884년부터 존재한다.[74]
3. 5. 로렌스 룸 (박물관)
1934년, 거턴 칼리지 본관 부지에 있는 로렌스 룸(Lawrence Room)은 칼리지 박물관으로 지정되었다.[78] 거턴의 자연 과학자 에이미 로렌스(Amy Lawrence)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앵글로색슨, 이집트 및 지중해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79] 1934년 로렌스 룸이 설립되기 전, 고대 유물들은 칼리지 도서관 안팎에 보관되어 있었다.[78] 1946년, 1961년, 1991년, 2008년에 기증을 통해 개보수를 진행했다.[78] 2010/11년, 로렌스 룸은 일주일에 한 번 방문객에게 개방되었으며, 전시회는 무료로 진행된다.[79]앵글로색슨 컬렉션은 1881년과 1886년 공사 중에 칼리지 본관 부지에서 발굴된 것으로, 당시 5세기와 6세기 AD로 추정되는 앵글로색슨족 묘지가 발견되었다.[78] 가정용품과 개인 소지품과 같은 대부분의 유물은 오랫동안 케임브리지 대학교 고고학 및 인류학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었으며, 일부는 2008년에야 칼리지로 반환되었다.[78]
이집트 컬렉션의 하이라이트는 "헤르미온 그라머티케"(Hermionê Grammatikê)(번역: "문학적인 여성 헤르미온" 또는 "언어 선생님 헤르미온")라는 명문이 새겨진 초상 미라로 구성되어 있다.[78] 이는 가장 널리 복제되고 유명한 초상 미라 중 하나이다.[80] 서기 1세기에 제작된 이 미라는 1911년 고고학자 플린더스 페트리에 의해 하와라의 로마 묘지에서 발견되었다.[78] "헤르미온"은 부유한 배경을 가진 18세에서 25세 사이의 소녀로 추정된다. 페트리와 그의 아내 힐다는 미라의 명문을 보고 여학교에 기증하기를 원했다. 기금이 모금되어 1911년 "헤르미온"은 거턴 칼리지로 옮겨졌고, 그 이후로 그곳에 보관되어 있다.[78] 이집트 컬렉션에는 또한 고대 다산과 물의 신인 소베크의 호의를 가져다 준다고 여겨지는 네 개의 미라화된 아기 악어가 소장되어 있다. 이들은 건축가 알프레드 워터하우스의 아버지인 알프레드 워터하우스 시니어에 의해 칼리지에 기증되었다.[78]
지중해 컬렉션은 고대 및 고대 이전 유물을 모두 제공한다. 기원전 4세기와 기원전 3세기 BC에 제작된 그리스 타나그라 인형 컬렉션은 이 컬렉션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을 구성한다.
3. 6. 피플스 포트레이츠 (People's Portraits)
왕립 초상화가 협회의 밀레니얼 전시회인 '피플스 포트레이츠'는 2002년부터 거턴 칼리지에서 개최되고 있으며, 일반인에게 공개된다.[81]21세기 초, "평범한" 영국인들을 보여주고 대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이 전시회는 2000년에 영국을 순회했다.[82][83] 이후 거턴은 이 컬렉션을 소장하는 데 성공했으며, 매년 새로운 작품을 추가하고 있다.[83][84] 모든 그림은 왕립 초상화가 협회의, 일반적으로 새로 선출된 회원들이 제작했다.[81] 현재 컬렉션은 앤서니 모리스, 데프니 토드, 준 멘도자, 그리고 협회 현 회장인 앨러스테어 아담스를 포함한 예술가들의 60점의 그림으로 구성되어 있다.[81][85] 케임브리지에서 가장 크고 다양한 대학 중 하나인 거턴이 이 컬렉션을 소장하게 된 것은 공동체 정신과 예술에 대한 관심이라는 대학의 정신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진다.[81][84]
2023년 5월 11일, 컬렉션을 기념하기 위한 리셉션이 열렸으며, 마리나 워너가 초청 연사로 참석하여 연설했다.[86]
3. 7. 사교 공간
거턴 칼리지의 사교 공간은 학생들 사이에서 "슐럽"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낮에는 학생들을 위한 카페로, 저녁에는 바로 운영된다. 낮 동안 수제 파니니와 피자가 제공되며, 2.7파운드부터 시작하는 저렴한 맥주도 즐길 수 있다. 학생들은 거턴 칼리지의 지하 바를 "딥 슐럽"이라고 부르며, 이곳에는 당구대, 부스, 그리고 학생들이 학업에서 벗어나 저녁에 사교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87] "딥 슐럽"은 JCR 위원회(대학 학생회)가 주최하는 대학 "봅스" 행사도 개최한다. "딥 슐럽"은 개조 공사 후 2023년에 재개장했으며, 현재 자체 당구대를 갖춘 완비된 바이다.[88]3. 8. 기타 시설
스월스 코트(Swirles Court)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노스 웨스트 케임브리지 개발 지구의 에딩턴 지역에 있으며, 2017년에 문을 열었다. 이 숙소는 대학원생, 2학년 이상 학부생을 위해 최대 325개의 개인 욕실이 딸린 싱글룸을 제공한다.
스월스 코트는 거턴 칼리지 동문인 버사 스월스(제프리스 부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7] 연중 학생 숙소로 운영되며, 24시간 칼리지 문지기가 근무한다. 별도의 세탁 시설과 본관과는 다른 우편 주소를 가지고 있다. 거턴 칼리지는 대학교로부터 5년 갱신 계약으로 건물을 임대한다.
2017년, 거턴 칼리지는 대학원생 숙소를 시내 중심가 근처의 울프슨 코트에서 스월스 코트로 이전했다.[48] 울프슨 코트는 3acre 부지에 지어진 거턴 칼리지의 별관이었다. 1969년 백주년 기념 모금으로 자금을 조달했으며, 1971년에 케임브리지 건축가 데이비드 윈 로버츠와 제프리 클라크가 설계했다.[49] 자체적인 취사 및 숙소 시설(106개의 개인 학생 기숙사)을 갖추고 있었다.[50] 퀸 엘리자베스 코트는 본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1992년에 대학원생 숙소 목적으로 건설된 3채의 연결된 주택 2개동(36개의 대형 개인 학생 기숙사)으로 구성되었다.[41] 이곳은 회의 장소로 자주 사용되었으며,[50] 브라이트 호라이즌이 운영하는 보육 시설도 있었다.[51]
2016년 최초의 마스터플랜 제출과 2022년 재제출에 이어, 새로운 주거 시설, 부속 회의 공간, 강당, 이전된 스포츠 시설을 건설하기 위한 개요 계획 신청이 2023년 6월 사우스 캠브리지셔 구의회에 의해 승인되었다.[89] 새로운 건물은 주로 스월스 코트에서 이전하고 장기적으로 계획된 대학원생 증가를 수용하기 위해 405개의 학생 기숙사 방을 제공할 것이다.[90]
4. 학생 생활
거턴 칼리지는 거턴 칼리지 보트 클럽을 비롯하여 배드민턴, 축구, 하키, 조정, 럭비, 크리켓, 크로스컨트리, 라크로스, 네트볼, 스쿼시, 수영, 탁구, 테니스, 배구, 수구 등 다양한 학생 주도 스포츠 팀을 운영하며, 자체 스포츠 경기장을 제공한다. 하키는 혼성 팀도 운영된다. 칼리지에는 야외 테니스 코트, 실내 스쿼시 코트, 체육관이 있으며, 1900년부터 사용된 실내 온수 수영장은 케임브리지 칼리지 중 유일하게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칼리지 주변에는 1마일 길이의 달리기 트랙도 조성되어 있다. 1995년 남자 축구팀은 처음으로 Cuppers에서 우승했으며, 1997-98년에는 첫 리그 챔피언십에서, 2003-04년에는 두 번째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거턴 칼리지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음악 학부 위원장(겸 거턴 칼리지 음악 연구 책임자)의 지원을 받으며 음악 분야에서 강세를 보인다. 지난 10년 동안 대학교 내 음악 분야에서 꾸준히 상위 3위 안에 들었다. 칼리지에는 스타인웨이 모델 B를 포함한 4대의 그랜드 피아노, 2단 쳄발로, 2대의 오르간이 갖춰져 있으며, 모든 학부 음악 학생들은 개인 연습용 피아노를 제공받는다. 28명으로 구성된 예배당 합창단은 매주 일요일 저녁 예배와 화요일 자정 기도를 드리며, 8개의 CD를 발매했다. 거턴 칼리지는 연간 300GBP의 학부 오르간 장학금과 연간 100GBP의 합창 장학금을 지원한다.
거턴 칼리지는 생물학, 역사, 경제학(조앤 로빈슨 학회), 지리학, 음악, 의학, 현대 언어학, 법학 등 많은 전공 분야에 자체적인 동아리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미술 동아리, 영화 동아리, 거턴 아마추어 극단(GADS) 등 다양한 학생 주도 동아리가 운영되고 있으며, 거턴 앰네스티와 언덕 위의 오케스트라는 각각 인권과 음악에 관심 있는 학생들을 위한 활동을 제공한다.
거턴 칼리지의 스프링 볼은 1883년의 전통적인 춤에서 유래되었으며, 1969년 칼리지 개교 100주년을 기념하면서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현재 스프링 볼은 보통 사순절이 끝난 다음 금요일에 열리며, 약 20명의 현재 거턴 칼리지 학생들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조직한다.
4. 1. 기숙사 및 숙박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다른 많은 칼리지와 마찬가지로, 거턴 칼리지에서도 외부 손님에게 숙박 및 아침 식사 서비스를 제공한다. 2024년 기준 숙박 요금은 객실 유형에 따라 다르다.
케임브리지 칼리지는 관례적으로 3년차 학부생에게 숙소를 제공한다. 본관의 방들은 복도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 건물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이동할 수 있다.[41] 일부 방은 원래 앨프레드 워터하우스에 의해 세트로 설계되었다.[52]
매년, JCR에서 방 배정을 위한 추첨이 진행된다.[40] 1학년에게는 방이 무작위로 배정되며,[41] 저등급 방을 배정받은 학생은 다음 해에 방을 먼저 선택할 수 있다. 칼리지는 JCR 및 MCR과 모든 비-엔 스위트 룸에 동일한 임대료를 부과하는 정책에 대해 정기적으로 협의한다.
2022년, 칼리지는 레지던스 장학금 제도를 도입하여 케임브리지 장학금을 받는 모든 학생에게 임대 기간 동안 주당 20GBP의 임대료 할인을 제공한다. 이 학생들의 중간 임대료는 케임브리지 칼리지 중 가장 낮다.[42]
대부분의 학부생은 본관에서 생활하며, 2학년은 Swirles Court에서 생활할 수 있다. 거턴 칼리지는 뉴넘 칼리지와 함께 건물 내 모든 학부생 숙소에 대해 동일한 요금을 부과하는 유일한 칼리지이다.[43] 본관은 연간 임대(학기 날짜에 따라 38주 또는 39주)되는 348개의 방을 제공한다.[44]
2017년부터 대학원생들은 스월스 코트(Swirles Court)에서 생활한다. 이곳은 웨스트 케임브리지의 에딩턴 개발 지구의 일부이다.[45] 헌팅던 로드에 있는 한 건물은 연구 펠로우를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45] 대학원 연합은 거턴 칼리지가 기혼 대학원생에게 충분한 양의 주택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지적했으며, 기혼 학생들을 위한 스월스 코트의 방은 없다고 밝혔다.[46]
Swirles Court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노스 웨스트 케임브리지 개발 지구의 에딩턴 지역에 있으며, 2017년에 문을 열었다. 이 숙소는 대학원생, 2학년 이상 학부생을 위해 최대 325개의 개인 욕실이 딸린 싱글룸을 제공한다.
이 숙소는 거턴 칼리지 동문인 버사 스월스(제프리스 부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7] Swirles는 연중 학생 숙소로 운영된다. 또한 24시간 연중무휴로 칼리지 문지기가 근무하며, 별도의 세탁 시설과 본관과는 다른 우편 주소를 가지고 있다. 거턴 칼리지는 5년 갱신 계약으로 대학교로부터 건물을 임대한다.
4. 2. 만찬회 (Formal halls)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모든 칼리지 중, 거턴 칼리지와 킹스 칼리지는 일주일에 한 번으로 만찬회가 가장 적게 열린다. 만찬회는 보통 약 160명의 학생과 손님을 수용하며, 2024년 기준 티켓 가격은 각각 14GBP와 19GBP이다.4. 3. 스포츠
거턴 칼리지는 다양한 학생 주도의 스포츠 팀을 운영하고 있으며, 크리켓, 축구, 하키, 네트볼, 배구 경기를 위한 자체 스포츠 경기장을 제공한다. 2011년 창단된 거턴 칼리지의 "클라우드 레오파드"는 칼리지 라크로스 디비전 1팀으로, 옥스퍼드의 거턴의 자매 칼리지와 경기를 개최한다. 경기장 개축 공사는 2009년에 완료되었다.[91]남녀 팀으로는 배드민턴, 축구, 하키, 조정(거턴 칼리지 보트 클럽), 럭비 팀이 있다. 하키는 혼성 팀도 운영한다. 남녀 모두 참가할 수 있는 팀으로는 크리켓, 크로스컨트리, 라크로스, 네트볼, 스쿼시, 수영, 탁구, 테니스, 배구, 수구 팀이 있다. 칼리지에는 야외 테니스 코트와 실내 스쿼시 코트, 그리고 체육관이 있다. 실내 온수 수영장은 1900년부터 사용되었다.[92] 칼리지 주변에는 1마일 길이의 달리기 트랙이 있다.
1995년 남자 축구팀은 처음으로 Cuppers에서 우승했으며, 1997-98년에는 첫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2003-04년 거턴은 두 번째로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4. 4. 음악
거턴 칼리지는 음악 분야에서 강력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음악 학부 위원장(겸 거턴 칼리지 음악 연구 책임자)의 지원을 받는다.[93] 지난 10년 동안, 이 칼리지는 대학교 내 음악 분야에서 꾸준히 상위 3위 안에 들었다. 2005년에는 거턴 칼리지 학생이 음악 최우등에서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94] 학생과 연구원들이 운영하는 거턴 칼리지 음악 협회는 학기 중 매주 콘서트를 개최하며, 학기별 오케스트라 콘서트도 연다.[95] 칼리지는 스타인웨이 모델 B를 포함한 4대의 그랜드 피아노, 2단 쳄발로, 2대의 오르간을 갖추고 있다. 모든 학부 음악 학생들은 재학 기간 동안 개인 연습용 피아노를 방에 제공받는다.[96] 예배당 오르간은 2002년에 설치된 스위스 St. Martin 사의 4단 오르간이다.[65]예배당 합창단은 28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주 일요일 저녁 예배(Choral Evensong)와 화요일 자정 기도(Compline)를 칼리지 예배당에서 부른다. 합창단은 8개의 CD를 발매했다.[97] 거턴 칼리지는 연간 300GBP의 학부 오르간 장학금[98], 연간 100GBP의 합창 장학금[99] 및 합창 전시회를 지원한다.
4. 5. 동아리 (Societies)
거턴 칼리지는 미술사 및 교육 학위 과정을 제외한 모든 전공의 학부생을 받으며,[100] 학생들의 다양한 관심사를 충족시키는 여러 학생 주도 동아리를 운영하고 있다. 생물학, 역사, 경제학(조앤 로빈슨 학회), 지리학, 음악, 의학, 현대 언어학, 법학 등 많은 전공 분야에 자체적인 동아리가 있다. 또한 미술 동아리, 영화 동아리, 그리고 한 학기당 약 두 편의 연극을 제작하는 거턴 아마추어 극단(GADS)이 있다. 마지막으로, 거턴 앰네스티와 언덕 위의 오케스트라[101]는 각각 인권과 음악에 특별한 관심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활동을 제공한다.4. 6. 스프링 볼 (Spring Ball)
거턴 칼리지의 스프링 볼은 1883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전통적인 춤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1969년 칼리지가 개교 100주년을 기념하면서 스프링 볼이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다.[1] 현재 스프링 볼은 보통 사순절이 끝난 다음 금요일에 열리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칼리지의 대부분이 5월 무도회를 개최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1] 스프링 볼은 약 20명의 현재 거턴 칼리지 학생들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조직한다.[1]5. 상징
거턴 칼리지의 상징은 설립자 및 기부자인 마담 보디숑, 알더리 남작 부인(제13대 딜론 자작의 딸), H. R. 톰킨슨, 그리고 에밀리 데이비스의 문장에서 파생되었다. 에밀리 데이비스는 문장이 없어 웨일스 색상인 녹색과 은색으로 대신 표현되었다.[104] 1928년, 칼리지는 다음과 같은 문장을 부여받았다.
> 사분면으로 녹색과 은색에 십자화가 반전된 둥근 방패 청설모가 있고, 두 번째와 세 번째 분기에는 초승달 적색, ...칼리지의 학장과 이사 및 그들의 후계자가 영원히 인장, 방패 또는 기타 방법에 따라 문장 법률에 따라 사용하도록 한다.[105]
거턴 칼리지의 가운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학부생 가운의 표준 패턴을 따르며, 소매는 어깨에서 약 20.32cm 길이로 꿰매져 있다.[106] 1948년 여왕에게 수여된 최초의 여성 명예 학위인 LL.D. 학위 수여식에서 가운과 모자의 정확한 복장이 준수되었다. 학위복으로서 가운은 소매가 닫혀 있어야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거의 변경 없이 채택되었고, 사각 모자가 머리 장식으로 선택되었다. 졸업반 학생들은 칼리지 축제 기간에는 가운을 착용하지 않는다.
거턴 칼리지는 전통적인 2단어 형식 및 완전한 형식의 라틴어 감사 기도문을 사용한다. 정찬과 같은 정식 행사에서는 2단어 형식의 감사 기도문이 낭독된다. 식사 전에는 ''Benedictus benedicat'' (축복받은 자가 축복을 내리소서), 식사 후에는 ''Benedictus benedicatur'' (축복받은 자에게 찬미가 드리워지소서)라고 낭독한다. 이 기도문은 칼리지 창립 이후부터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107]
완전한 형식의 감사 기도문은 1950년에 앨리슨 듀크와 질 블래스토가 작곡했다.[108] 재단 기념 만찬과 칼리지 축제에서 불린다.
''Benedic Domine, nobis et omnibus huius collegii alumnis,
donisque tuis quae de munificentia tua sumus iam sumpturi;
et illis salubriter nutriti debitas tibi gratias pie reddamus.
Custodi, quaesumus, Domine, filios et filias
et consule necessitatibus animarum et corporum,
hoc ipso momento et in aeternum.''|주님, 저희와 이 칼리지의 모든 구성원들을 축복하시고,
주님의 은혜로 저희가 받으려는 주님의 선물들을 축복하소서;
그리고 이것들을 통해 건강하게 양육받아 마땅한 감사를 경건하게 주님께 드리게 하소서.
주님, 간청하오니, 주님의 아들과 딸들을 보호하시고,
저희의 영혼과 육신의 필요를 돌보시어,
지금 이 순간과 영원토록 저희를 돌보소서.la
"The Girton Pioneers"(곡조는 "영국 척탄병")는 1873년 히친에서 여러 학생들이 작곡했으며, 1871년에 트라이포스 시험을 처음으로 치른 세 학생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109]
> 어떤 이들은 수석 랭글러에 대해 이야기하고,
> 어떤 이들은 더블 퍼스트에 대해 이야기하지,
> 그리고 진실로 그들의 종류 중에서
> 이들이 최악은 아니지;
> 하지만 모든 케임브리지 영웅들 중에서
> 우드헤드, 쿡, 럼스덴과 비교할 만한 사람은 없지,
> 기턴의 선구자들이라네.[109]
기턴 학생들은 "우리는 기턴 - 슈퍼 기턴! 아무도 우리를 좋아하지 않지만, 우리는 신경 쓰지 않아!"라는 구호를 외치기도 한다. 이는 밀월 축구 클럽 팬들의 구호인 "아무도 우리를 좋아하지 않아, 우리는 신경 쓰지 않아"를 모방한 것이다.
"I love to go a-bicycling"이라는 칼리지 노래는 "I love to go a-wandering"의 곡조에 맞춰 불리며, 기턴이 시내 중심가에서 약 4.02km 떨어져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 이 곡은 1960년대부터 불려졌다.[20] JCR 회장 안나 코코니가 1972년에 작곡한 "Wolfson Court에 바치는 노래"도 있다.[20]
5. 1. 문장 (Arms)
거턴 칼리지는 설립자 및 기부자인 H. R. 톰킨슨, 마담 보디숑, 알더리 남작 부인(제13대 딜론 자작의 딸), 그리고 문장이 없어서 대신 웨일스 색상인 녹색과 은색으로 표현된 에밀리 데이비스의 문장에서 파생된 문장을 신청했다.[104]
1928년에 모든 사람이 디자인을 받아들였고, 칼리지는 다음과 같은 문장을 받았다.
> 우리... 거턴 칼리지의 학장과 이사들에게 다음과 같은 문장을 부여하고 할당한다. 즉, 사분면으로 녹색과 은색에 십자화가 반전된 둥근 방패 청설모가 있고, 두 번째와 세 번째 분기에는 초승달 적색, ...칼리지의 학장과 이사 및 그들의 후계자가 영원히 인장, 방패 또는 기타 방법에 따라 문장 법률에 따라 사용하도록 한다.[105]
5. 2. 가운 (Gown)
거턴 칼리지의 가운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학부생 가운 표준 패턴을 따르며, 소매는 어깨에서 약 20.32cm 길이로 꿰매져 있다.[106] 1948년 10월 21일, 여왕에게 수여된 최초의 여성 명예 학위인 LL.D. 학위 수여식에서 가운과 모자의 정확한 복장이 준수되었다. 학위복으로서 가운은 거의 변경 없이 채택되었으며(소매는 여성들이 반소매 드레스를 입는 여름에도 맨 어깨가 보이지 않도록 닫아야 했다), 사각 모자가 머리 장식으로 선택되었다. 그러나 여성이 케임브리지 대학교 학위를 받을 수 없었던 시절을 기억하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이 기념하는 칼리지 축제 기간에는 가운을 착용하지 않는다.5. 3. 감사 기도문 (Grace)
거턴 칼리지는 전통적인 2단어 형식의 라틴어 감사 기도문과 보다 최근에 만들어진 완전한 형식의 감사 기도문을 사용한다. 정찬과 같은 정식 행사에서는 2단어 형식의 감사 기도문이 낭독된다. 식사 시작 전에는 ''Benedictus benedicat'' (축복받은 자가 축복을 내리소서), 식사 후에는 ''Benedictus benedicatur'' (축복받은 자에게 찬미가 드리워지소서)라고 낭독한다. 1926년에 2단어 형식의 감사 기도문이 사용된 증거가 있으며, 이 기도문은 칼리지 창립 이후부터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107]완전한 형식의 감사 기도문의 가사와 음악은 각각 1950년에 앨리슨 듀크와 질 블래스토가 작곡했다.[108] 이 감사 기도문은 여학생들이 대학교의 정식 구성원으로 인정된 이후에 만들어졌으며, 이를 통해 거턴 칼리지는 다른 칼리지들과 보조를 맞추게 되었다.[108] 이 기도문은 재단 기념 만찬과 같이 가장 격식을 갖춘 행사에서 사용되며, 졸업반 학생들이 모두 참석하는 칼리지 축제에서 1년에 한 번 불린다.
''Benedic Domine, nobis et omnibus huius collegii alumnis,
donisque tuis quae de munificentia tua sumus iam sumpturi;
et illis salubriter nutriti debitas tibi gratias pie reddamus.
Custodi, quaesumus, Domine, filios et filias
et consule necessitatibus animarum et corporum,
hoc ipso momento et in aeternum.''|주님, 저희와 이 칼리지의 모든 구성원들을 축복하시고,
주님의 은혜로 저희가 받으려는 주님의 선물들을 축복하소서;
그리고 이것들을 통해 건강하게 양육받아 마땅한 감사를 경건하게 주님께 드리게 하소서.
주님, 간청하오니, 주님의 아들과 딸들을 보호하시고,
저희의 영혼과 육신의 필요를 돌보시어,
지금 이 순간과 영원토록 저희를 돌보소서.la
5. 4. 노래 (Songs)
"The Girton Pioneers" (곡조는 "영국 척탄병")는 1873년 히친에서 여러 학생들이 작곡했다.[20] 이 곡은 1871년에 트라이포스 시험을 처음으로 치른 세 학생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109] 이 곡은 "영국 척탄병"의 곡조에 맞춰 불린다. 다음은 첫 번째 연이다.
어떤 이들은 수석 랭글러에 대해 이야기하고,
어떤 이들은 더블 퍼스트에 대해 이야기하지,
그리고 진실로 그들의 종류 중에서
이들이 최악은 아니지;
하지만 모든 케임브리지 영웅들 중에서
우드헤드, 쿡, 럼스덴과 비교할 만한 사람은 없지,
기턴의 선구자들이라네.[109]
더 최근에는 기턴 학생들이 "우리는 기턴 - 슈퍼 기턴! 아무도 우리를 좋아하지 않지만, 우리는 신경 쓰지 않아!"라는 구호를 외치는 것으로 유명해졌는데, 이는 밀월 축구 클럽 팬들의 유명한 구호인 "아무도 우리를 좋아하지 않아, 우리는 신경 쓰지 않아"를 모방한 것이다. "아무도 우리를 좋아하지 않아"라는 언급은 기턴이 다른 많은 칼리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2016년 캐주얼 합창단은 두 명의 합창단원이 작사 및 편곡한 "It's a Long Way to Tipperary"의 개작인 "Long Way to Girton College"를 공연했다.
"I love to go a-bicycling"이라는 칼리지 노래는 "I love to go a-wandering"의 곡조에 맞춰 불리며, 기턴이 시내 중심가에서 약 4.02km 떨어져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 이 곡은 1960년대부터 불려졌다.[20] 예를 들어, 두 번째 연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내가 캐슬 힐을 올라갈 때,
바람과 강풍 속에서,
강한 욕망이 나를 채우네
뉴 홀에 가고 싶도록 말이야.
''후렴:''
폴-데-레, 폴-데-라,
폴-데-레, 폴-데-라-아-아-아-
.... 뉴 홀에 가고 싶네.[20]
JCR 회장 안나 코코니가 1972년에 작곡한 또 다른 노래는 "Wolfson Court에 바치는 노래"라고 불린다.[20] 칼리지의 부속 건물은 그 해에 문을 열었다. 학생들은 종종 본관보다 덜 넓고 우아한 건물의 현대적인 건축물에 결함이 있다고 생각했다. 첫 번째 두 연은 다음과 같다.
케임브리지 서쪽의 밀밭에서,
클락슨 로드라는 차선에서,
울프슨 코트가 자랑스럽게 서 있네;
이제 그 이야기를 들려주네
수돗물이 나오는 백 개의 방,
더 바랄 수 있겠어?
남자 친구를 고르지 않는다면 말이야,
키가 5피트 4인치 이상인![20]
6. 저명한 동문 및 펠로우
거턴 칼리지 출신 또는 펠로우로 재직했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엘리자베스 사이먼스, 영국 귀족
- 샌디 톡스비, 코미디언 및 작가
- 디나 빈트 압둘 하미드, 전 요르단 왕비
- 메리 아덴, 전 영국 대법원 판사
- 사오 산다, 용훼 공주

이 칼리지는 비판적 사회 과학자들의 학제 간 그룹의 본거지이며, 조앤 로빈슨이 주도하는 이단 경제학 전통을 가지고 있다.[103]
6. 1. 기타 주요 인물
- 허타 에어턴: 과학자[103]
- 사로지니 나이두: 시인, 정치가[103]
- 로자먼드 레이먼: 소설가[103]
- 조앤 로빈슨: 경제학자[103]
- 마르그레테 2세: 덴마크 여왕[103]
- 노리히토 친왕비 히사코 (1972-1975년)[103]
- 도라 러셀 - 버트런드 러셀의 두 번째 부인[103]
7. 관련 도서
M.C. 브래드브룩, 『저 이교도의 장소』 (Chatto and Windus, 1969)
참조
[1]
간행물
Notice by the Editor
https://www.admin.ca[...]
2019-03-06
[2]
웹사이트
Annual report and Financial Statements Year ended 30 June 2018
https://www.girton.c[...]
Girton College, Cambridge
2019-01-02
[3]
웹사이트
Girton College
https://www.undergra[...]
2022-01-19
[4]
문서
1933
[5]
문서
1933
[6]
문서
1961
[7]
문서
1969
[8]
문서
1961
[9]
문서
1933
[10]
문서
[11]
문서
1977
[12]
문서
1933
[13]
문서
1913
[14]
문서
1933
[15]
서적
The Englishwoman's Review of Social and Industrial Questions: 1897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9-09-23
[16]
문서
1933
[17]
문서
1913
[18]
문서
1933
[19]
웹사이트
Manning, (Elizabeth) Adelaide (1828–1905)
[20]
웹사이트
College Songs
http://www.girton.ca[...]
2011-09-01
[21]
문서
1913
[22]
문서
1913
[23]
문서
1961
[24]
문서
1913
[25]
문서
1969
[26]
문서
1913
[27]
웹사이트
Robertson, Caroline Anna Croom (1837/8–1892), college administrator
https://www.oxforddn[...]
2020-07-18
[28]
문서
1933
[29]
문서
2005
[30]
문서
2005
[31]
문서
2005
[32]
문서
2005
[33]
문서
2005
[34]
문서
2005
[35]
문서
2005
[36]
웹사이트
Christ's triumphant in 2019 Tompkins Table
https://www.varsity.[...]
2019-08-01
[37]
간행물
Girton College Statutes 2009
[38]
간행물
Girton College Statutes 2009
[39]
웹사이트
Dr Elisabeth Kendall elected as the new Mistress of Girton College
https://www.girton.c[...]
2022-10-28
[40]
웹사이트
Girton College JCR
http://www.girtonjcr[...]
2011-09-10
[41]
웹사이트
Undergraduate accommodation
http://www.girton.ca[...]
2011-06-30
[42]
웹사이트
Residency Benefits and Extras
http://www.girton.ca[...]
2024-05-10
[43]
뉴스
Rents: extortionate or proportionate?
http://archive.varsi[...]
2011-02-24
[44]
웹사이트
Conferences at Girton College
https://web.archive.[...]
2011-06-26
[45]
웹사이트
A brief guide to Girton
http://www.girton.ca[...]
2011-06-26
[46]
뉴스
Graduate Union calls for action on postgraduate student 'housing crisis': A report compiled by the Graduate Union has highlighted the issues that face postgraduates in housing
https://www.varsity.[...]
2019-02-22
[47]
웹사이트
Girton College embraces Eddington
http://www.nwcambrid[...]
North West Cambridge Development
2017-06-12
[48]
웹사이트
Graduate Fees and Charges
https://www.girton.c[...]
2018-11-09
[49]
문서
Brown 1999
[50]
웹사이트
Wolfson court
http://www.conferenc[...]
2011-06-30
[51]
웹사이트
Wolfson Court | Day Nurseries & Pre-School | Cambridge
https://www.brightho[...]
[52]
웹사이트
British listed buildings entry on Girton College
http://www.britishli[...]
2011-06-26
[53]
문서
English heritage
1981
[54]
문서
Jones 1913
[55]
문서
Bradbrook 1969
[56]
웹사이트
About Girton College Library
https://web.archive.[...]
Girton library
2011-06-27
[57]
뉴스
Girton College building wins architecture award
https://web.archive.[...]
2006-06-22
[58]
웹사이트
Girton College Library and Archive, Cambridge
https://web.archive.[...]
2011-06-22
[59]
웹사이트
Girton College Library: SCONUL Design Award
https://archive.toda[...]
Girton library
2007-12-04
[60]
웹사이트
About Girton College Library
https://web.archive.[...]
Girton library
2011-06-27
[61]
문서
Bradbrook 1952
[62]
ODNB
Stanley, Henrietta Maria, Lady Stanley of Alderley (1807–1895)
http://www.oxforddnb[...]
2012-12-05
[63]
문서
Jones 1913
[64]
문서
Jones 1913
[65]
웹사이트
Chapel Organ
https://www.girton.c[...]
2018-05-17
[66]
학술지
Notes on the chapel window
Girton college
[67]
간행물
Girton College Statutes 2009
[68]
문서
Megson and Lindsay 1961
[69]
문서
College chapel GC 2010
[70]
웹사이트
Chapel & faith
https://www.girton.c[...]
Girton College
[71]
서적
Jones 1913
[72]
서적
Brown 1999
[73]
서적
Brown 1999
[74]
서적
Brown 1999
[75]
서적
Brown 1999
[76]
서적
Brown 1999
[77]
웹사이트
Forest Research – Black squirrels
http://www.forestry.[...]
2011-06-22
[78]
웹사이트
Lawrence Room History
http://www.girton.ca[...]
2011-07-01
[79]
웹사이트
Lawrence Room
http://www.girton.ca[...]
2011-07-02
[80]
논문
Heron 'Bearer of Philosophia' and Hermione 'Grammatike'
Egypt Exploration Society
[81]
웹사이트
People's Portraits – 10th Anniversary Collection Exhibition
http://www.therp.co.[...]
2011-07-04
[82]
뉴스
Ordinary people: Extraordinary paintings
https://www.independ[...]
2011-07-04
[83]
웹사이트
Focus on: The People's Portraits
http://www.greenpebb[...]
Green Pebble
2011-07-04
[84]
웹사이트
People's Portraits Girton College
http://www.girton.ca[...]
2011-07-01
[85]
웹사이트
People's Portraits Artist List
http://www.girton.ca[...]
2011-07-04
[86]
웹사이트
"People's Portraits Reception at the Mall Galleries {{!}} Girton College"
https://www.girton.c[...]
2024-08-18
[87]
웹사이트
Dining and Socialising
https://www.girton.c[...]
[88]
간행물
Cambridge Students
Varsity
2023-01
[89]
뉴스
Decision on Cambridge University Girton College's 405 student rooms bid
https://www.cambridg[...]
Cambridgeshire Live
2023-06-28
[90]
웹사이트
Planning Application
https://applications[...]
South Cambridgeshire District Council
2023-06-28
[91]
웹사이트
Girton College Sports Pitch Announcement
http://www.girton.ca[...]
2011-08-30
[92]
서적
Jones 1913
[93]
웹사이트
Academic and related staff
http://www.mus.cam.a[...]
2011-09-05
[94]
웹사이트
Study Music
https://www.girton.c[...]
2018-06-16
[95]
웹사이트
Girton College Music Society
https://www.girton.c[...]
2018-06-16
[96]
웹사이트
Music at Girton
https://www.girton.c[...]
2018-05-17
[97]
웹사이트
Girton College Choir
https://www.girton.c[...]
2018-05-17
[98]
웹사이트
Organ Scholarships
https://www.girton.c[...]
2018-05-17
[99]
웹사이트
Choral Scholarships
https://www.girton.c[...]
2018-05-17
[100]
웹사이트
Subject information
http://www.girton.ca[...]
2011-07-02
[101]
웹사이트
The orchestra on the hill
http://www.orchestra[...]
2011-06-26
[102]
웹사이트
A History of Girton's Ball
https://www.girton.c[...]
Girton College
2016-05-18
[103]
웹사이트
The Year 2020
https://issuu.com/gi[...]
2020-10-23
[104]
간행물
Girton Review
1928-00
[105]
논문
Girton College and its Arms
http://www.societies[...]
Cambridge University Heraldic and Genealogical Society
2011-06-27
[106]
웹사이트
Academic matters
http://www.girton.ca[...]
2011-06-22
[107]
서적
Alma Mater: Memoirs of Girton College 1926–1929
David and Charles
[108]
논문
Dining graces at Cambridge colleges
paper presented to the Interdisciplinary Seminar, Faculty of Classics
[109]
문서
Jones 1913, pp. 28f.
[110]
지식백과
거튼 칼리지
https://terms.naver.[...]
네이버 두산 지식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