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위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건위군은 기원전 135년 전한 무제 때 설치된 군으로, 현재의 쓰촨성, 구이저우성 일대에 위치했다. 야랑국을 정복한 후 설치되었으며, 익주에 속했다. 왕망 때 서순군으로 개칭되었으나 후한 때 다시 건위군으로 돌아갔다. 이후 진, 남조, 수,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관할 지역과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758년 가주로 개칭되면서 건위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건위군은 전한 무제가 서남이(西南夷)를 정복하고 세운 군 중 하나로, 옛 야랑국 지역에 해당한다.[1]
2. 역사
기원전 135년(건원 6년)에 설치되었는데, 이는 한나라가 남월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당몽이 야랑후 다동(多同)을 설득하여 한나라에 귀부하게 하였고, 야랑의 땅과 광한군 남부를 합쳐 건위군을 설치하였다.
왕망이 신을 건국하면서 서순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이 건국되면서 건위군으로 명칭이 복귀되었다.
진, 남조 송, 남조 제를 거치면서 5개 현을 관할했고, 남조 양 때는 융주에 속했다.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융주에 편입되었다가, 607년(대업 3년)에 다시 건위군으로 개칭되었다.
618년(무덕 원년), 당나라가 건위군을 융주로 개명하고, 742년(천보 원년) 가주를 건위군으로, 758년(건원 원년) 다시 가주로 개칭하면서 건위군이라는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 1. 전한
기원전 135년(건원 6년), 한무제가 남월을 견제하기 위해 낭중장 당몽(唐蒙)을 파견하여 야랑을 복속시키고 광한군 남부와 함께 건위군을 설치했다.[1] 초기 치소는 폐현(오늘날의 구이저우성 쭌이 시)이었으나, 이후 남광현, 북도현으로 옮겨졌다. 익주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109,419호, 489,486명이 거주했다.[9]
《한서》지리지에 따르면, 원연·수화 연간에 총 12현을 관할했다.[9]
이름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북도현 | 僰道縣 | 이빈시 남서 | 응소에 따르면 옛 북후국(僰侯國)이다. |
강양현 | 江陽縣 | 루저우시 | |
무양현 | 武陽縣 | 메이산시 펑산구 | 철관이 있다. |
남안현 | 南安縣 | 러산시 | 염관, 철관이 있다. |
자중현 | 資中縣 | 쯔양시 | |
부현 | 符縣 | 러산시 허장현 | 온수(溫水)가 남으로 폐(鄨)에 이르러 검수(黚水)로 들어가고, 감수는 또 남으로 폐(鄨)에 이르러 강수(江水)로 들어간다. |
우비현 | 牛鞞縣 | 쯔양시 젠양시 | |
남광현 | 南廣縣 | 이빈시 쥔롄현? | 분관수(汾關山)에서 부흑수(符黑水)가 나와 북으로 북도에서 강수로 들어간다. 또 대섭수(大涉水)가 북으로 부에 이르러 강수로 들어가니, 세 군을 지나 840리를 지난다. |
한양현 | 漢陽縣 | 비제시 웨이닝이족후이족먀오족자치현·허장현? | 도위가 다스린다. 산탑곡(山闟谷)에서 한수(漢水)가 나와 동으로 폐(鄨)에 이르러 연(延)으로 들어간다. |
존마현 | 𨚲䣕縣 | 취징시 쉬안웨이시 북? | |
주시현 | 朱提縣 | 자오퉁시 | 산에서 은이 난다. 응소에 따르면 주시산이 남서쪽에 있다. |
당랑현 | 堂琅縣 | 리장시 위룽나시족자치현? |
[9][10]
왕망이 신을 건국한 후에는 서순군으로 개칭되었다.
2. 2. 신
왕망 때 건위군의 이름을 서순(西順)으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2. 3. 후한 ~ 당
기원전 135년(건원 6년), 한나라의 낭중장인 당몽이 군을 이끌고 야랑국에 들어가 야랑후 다퉁과 회견하여 한나라의 관리를 둘 것을 약속했다. 당몽이 귀국하자 그 지역에 건위군이 설치되었다. 왕망 때 서순군으로 개칭되었다.후한이 건국되자 건위군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진, 남조 송, 남조 제 때 건위군은 모두 5개 현을 관할했다.
남조 양 때, 융주가 설치되었고, 건위군은 융주에 속했다.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자 건위군은 폐지되어 융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융주는 건위군으로 개칭되었다.
618년(무덕 원년), 당나라에 의해 건위군은 융주로 개명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가주는 건위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건위군은 가주로 개칭되었고, 건위군의 호칭은 사라졌다.
각 시대별 건위군이 관할했던 현은 다음과 같다.
시대 | 관할 현 |
---|---|
전한 | 부도, 강양, 무양, 남안, 자중, 부, 우비, 남광, 한양, 존정, 주제, 당랑 (12개 현) |
후한 | 무양, 자중, 우비, 남안, 부도, 강양, 부절, 남광, 한안 (9개 현) |
진 | 무양, 남안, 부도, 자중, 우비 (5개 현) |
남조 송 | 무양, 남안, 자중, 부도, 야관 (5개 현) |
남조 제 | 무양, 남안, 자중, 부도, 야관 (5개 현) |
수나라 | 부도, 건위, 남계, 개변 (4개 현) |
[1]
서적
漢書
3. 속현
이름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북도현 僰道縣 이빈시 남서 응소에 따르면 옛 북후국(僰侯國)이다. 강양현 江陽縣 루저우시 무양현 武陽縣 메이산시 펑산구 철관이 있다. 남안현 南安縣 러산시 염관, 철관이 있다. 자중현 資中縣 쯔양시 부현 符縣 러산시 허장현 온수(溫水)가 남으로 폐(鄨)에 이르러 검수(黚水)로 들어가고, 감수는 또 남으로 폐(鄨)에 이르러 강수(江水)로 들어간다. 우비현 牛鞞縣 쯔양시 젠양시 남광현 南廣縣 이빈시 쥔롄현? 분관수(汾關山)에서 부흑수(符黑水)가 나와 북으로 북도에서 강수로 들어간다. 또 대섭수(大涉水)가 북으로 부에 이르러 강수로 들어가니, 세 군을 지나 840리를 지난다. 한양현 漢陽縣 비제시 웨이닝이족후이족먀오족자치현·허장현? 도위가 다스린다. 산탑곡(山闟谷)에서 한수(漢水)가 나와 동으로 폐(鄨)에 이르러 연(延)으로 들어간다. 존마현 𨚲䣕縣 취징시 쉬안웨이시 북? 주시현 朱提縣 자오퉁시 산에서 은이 난다. 응소에 따르면 주시산이 남서쪽에 있다. 당랑현 堂琅縣 리장시 위룽나시족자치현? 4. 각주
참조
[2]
서적
漢書地理志上
[3]
서적
後漢書
[4]
서적
晋書
[5]
서적
宋書
[6]
서적
南斉書
[7]
서적
隋書
[8]
서적
旧唐書
[9]
서적
한서
[10]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