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미나 제7군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미나 제7군단은 로마 군단으로, 알려진 군단 인물, 군단장, 트리부누스, 백부장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주요 인물로는 마르쿠스 안토니누스 프리무스, 트라야누스 등이 있으며, 군단장과 트리부누스 등의 계급별로 인물 목록을 제시한다. 특히 트리부누스는 기사 계급 출신 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와 원로원 의원 가문 출신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로 구분된다. 백부장으로는 티투스 플라비우스 루푸스가 확인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8년 설립 - 백마사
    백마사는 중국 뤄양에 있는 불교 사찰로, 68년에 불경과 불상을 흰 말에 싣고 온 두 승려의 전설에 따라 이름 붙여졌으며, 중국 불교 초창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장이 순례를 시작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 로마 군단 - 미네르비아 제1군단
    미네르비아 제1군단은 82년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창설한 로마 제국 군단으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에서 활동하고 다키아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내전기에 여러 황제를 지지하다 353년경 프랑크족 침공 이후 기록에서 사라졌다.
  • 로마 군단 - 아디우트릭스 제2군단
    아디우트릭스 제2군단은 로마 제국의 군단으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에서 시작해 브리튼을 거쳐 다키아 전쟁에 참전했으며, 아퀸쿰에 주둔하며 여러 전쟁에 파견되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권력 장악에 기여했고, 금석문 자료를 통해 활동 범위를 파악할 수 있다.
게미나 제7군단
군사 정보
복무 기간기원전 41년 ~ 5세기 초
충성로마
종류군단
규모약 5,000명
별칭게미나 (Gemina, 쌍둥이)
전투바타비아 반란
글라우시우스의 전투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 (주장됨)
베트리악움 전투
상세 정보
창설 연도기원전 41년
창설자아우구스투스
출신 군단불명 (아마도 히스파니아 출신)
제6군단 빅트릭스
제10군단 게미나
주둔지기원전 41년 ~ 기원전 9년: 히스파니아
기원전 9년 ~ 68년: 파노니아
68년 ~ 70년: 갈리아
70년 ~ 5세기 초: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상징황소
쌍둥이자리

2. 알려진 군단 인물

게미나 제7군단에는 다양한 계급의 인물들이 복무했던 기록이 남아 있다. 군단의 최고 지휘관인 군단장 (레가투스 레기오니스)을 비롯하여, 군단장을 보좌하던 고위 장교인 트리부누스 (원로원 계급 출신의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와 기사 계급 출신의 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 포함[23][24]), 그리고 병사들을 직접 지휘했던 백부장 (켄투리오) 등 여러 인물들의 이름이 비문이나 역사 기록을 통해 확인된다.

이들 중 주요 직책을 맡았던 인물들의 구체적인 목록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군단장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군단장(레가투스 레기오니스)은 로마 군단의 최고 지휘관으로, 주로 원로원 의원급 인사가 임명되었다. 다음은 게미나 제7군단의 군단장으로 알려진 인물 목록이다.

이름시기속주출처 자료
마르쿠스 안토니누스 프리무스69년경타키투스 역사 II.86
마르쿠스 울피우스 트라야누스[23]89년경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루키우스 아티우스 마크로120년과 128년 사이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티투스 비트라시우스 폴리오128년경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그나이우스 루키우스 테렌티우스 호물루스 유니오르142년경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퀸투스 코르넬리우스 세네키오 안니아누스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퀸투스 툴리우스 막시무스165년경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프루기166년경–170년경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아눌리누스171–172년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솔리우스197년 이전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2. 2. 트리부누스

트리부누스로마 군단의 고위 장교 중 하나로, 군단장을 보좌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23][24] 게미나 제7군단에서는 기사 계급 출신의 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와 원로원 계급 출신의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가 복무한 기록이 확인된다. 이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2. 1. 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

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는 고대 로마군단에서 기사 계급 출신이 맡았던 군사 호민관 직책 중 하나였다. 게미나 제7군단에서 확인된 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는 다음과 같다.

이름시기속주출처 자료
가이우스 유니우스 플라비아누스125년경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CIL VI 1620 = ILS 1342
아비티우스 Q.f. 루푸스2세기AE 1955, 228


2. 2. 2.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는 원로원 의원 가문 출신의 젊은이들이 주로 맡았던 고위 장교직이었다. 게미나 제7군단에서 확인된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는 다음과 같다.

이름시기속주출처 자료
가이우스 율리우스 스카풀라125년경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IGRR III.176-178
루키우스 네라티우스 프로쿨루스125년경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CIL IX 2457 = ILS 1076
퀸투스 헤디우스 루푸스 롤리아누스 겐티아누스[24]175년경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CIL II 4121 = ILS 1145; CIL II 4122
가이우스 아이밀리우스 베레니키아누스 막시무스3세기 초CIL XII 3163


2. 3. 백부장 (켄투리오)

이름계급시기속주출처 자료
티투스 플라비우스 루푸스켄투리오 (베테라누스)?이탈리아, 모이시아, 다키아CIL XI 20 = ILS 2082; CIL III 971


참조

[1] 서적 "La Historia de León, Vol. 1: Prehistoria y Edad Antigua" http://dialnet.uniri[...] Universidad de León 2013-11-18
[2] 문서 Caesar B.C. iii. 3
[3] 서적 Trajan Optimus Princeps Routledge 1997
[4] 문서 Tacitus Hist. ii. 11, 67, 86, iii. 7, 10, 21-25, iv. 39; Inscr. ap. Gruter, p. 245, no. 2.
[5] 문서 Muratori, p. 2037, no. 8, 130; p. 335, nos. 2, 3, 163; p. 336, no. 3, 167; Gruter, p. 260, no. 1, 216
[6] 문서 Orelli, no. 3496, 182; no. 4815; Gruter, p. 365, no. 7.
[7] 문서 C. I. vol. iii. no. 4022
[8] 문서 C. I. vol. i. no. 1126.
[9] 문서 Lehne, Schriften, vol. i. nos. 11, 62; Borghesi, Sulle iscr. Rom. del Reno, p. 26
[10] 문서 Booking, N. D. pt. ii. pp. 1026, seq.'; Marquardt's Becker, Röm. Alterthum, vol. iii. pt. 2, p. 354; Grotefend, in Pauly's Realencyklopädie, s. v. Legio.
[11] 서적 Trajan: Optimus Princeps
[12]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Verlag Gieben 1989
[13] 서적 "La Historia de León, Vol. 1: Prehistoria y Edad Antigua" http://dialnet.uniri[...] Universidad de León 2013-11-18
[14] 문서 카이사르 B.C. iii. 3
[15] 서적 Trajan Optimus Princeps Routledge 1997
[16] 문서 Tacitus Hist. ii. 11, 67, 86, iii. 7, 10, 21-25, iv. 39; Inscr. ap. Gruter, p. 245, no. 2.
[17] 문서 Muratori, p. 2037, no. 8, 130; p. 335, nos. 2, 3, 163; p. 336, no. 3, 167; Gruter, p. 260, no. 1, 216
[18] 문서 Orelli, no. 3496, 182; no. 4815; Gruter, p. 365, no. 7.
[19] 문서 C. I. vol. iii. no. 4022
[20] 문서 C. I. vol. i. no. 1126.
[21] 문서 Lehne, Schriften, vol. i. nos. 11, 62; Borghesi, Sulle iscr. Rom. del Reno, p. 26
[22] 문서 Booking, N. D. pt. ii. pp. 1026, seq.'; Marquardt's Becker, Röm. Alterthum, vol. iii. pt. 2, p. 354; Grotefend, in Pauly's Realencyklopädie, s. v. Legio.
[23] 서적 Trajan: Optimus Princeps
[24]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Verlag Gieben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