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자리 55 b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자리 55 b는 게자리 55 항성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1996년에 발견되었다. 시선 속도 변화를 통해 발견되었으며, 질량은 목성의 약 78%이다. 궤도는 항성에 가깝게 붙어 있으며, 궤도 경사각은 약 85°로, 질량은 목성의 약 80%로 추정된다. 가스 행성으로, 상층 대기에서 수소가 발견되었으며, 대기 통과 현상을 통해 태양열에 의해 서서히 증발하는 것이 관측되었다. 2015년 국제천문연맹의 명칭 공모를 통해 갈릴레오라는 이름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자리 55 - 게자리 55 f
    게자리 55 f는 게자리 55 항성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내에 위치한 최초의 행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260일의 공전 주기를 가진다.
  • 게자리 55 - 게자리 55 c
    게자리 55 c는 게자리 55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44일 주기로 항성을 돌며 지구 질량의 약 50배에 달하고 '리아'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 1996년 발견한 외계 행성 -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b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b는 1997년 발견된 외계 행성으로,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를 4.6일 주기로 공전하며, 목성보다 약간 작은 질량을 가진 가스 행성이다.
  • 1996년 발견한 외계 행성 - 큰곰자리 47 b
    큰곰자리 47 b는 큰곰자리 47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시선 속도법으로 발견되었으며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2.14 천문단위 떨어져 1095일에 한 번 공전하고 최소 질량은 목성의 2.62배로 추정되는 가스 행성일 가능성이 높다.
  • 갈릴레오 갈릴레이 - 시데레우스 눈치우스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1610년에 출판한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는 망원경으로 관측한 천체 기록으로, 달 표면, 수많은 별, 목성 주위의 네 개 천체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지동설 주장의 근거를 제시하며 과학 혁명에 영향을 미쳐 갈릴레오를 근대 과학의 선구자로 만들었다.
  • 갈릴레오 갈릴레이 - 갈릴레이 불변성
    갈릴레이 불변성은 뉴턴 역학에서 뉴턴 운동 법칙이 갈릴레이 변환으로 연결된 모든 좌표계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개념으로, 뉴턴 상대성이라고도 불리지만,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로런츠 변환을 제시하며 재검토되었다.
게자리 55 b
기본 정보
55 Cancri b의 상상도
55 Cancri b의 상상도
명칭55 Cancri b / 갈릴레오
별자리게자리
분류태양계외 행성, 뜨거운 목성
다른 이름게자리 55번별 Ab
게자리 Rho¹ 별 b
갈릴레오 (Galileo)
코페르니쿠스 b (Copernicus b)
HD 75732 b
글리제 324 Ab
HIP 43587 b
HR 3522 b
SAO 80478 b
BD+28 1660 b
IRAS 08496+2831 b
LHS 2062 b
TYC 1949-02012-1 b
2MASS J08523579+2819509 b
WDS J08526+2820 A b
WISE J085235.41+281948.5 b
항성 정보
항성55 Cancri A
형태G8 V
발견 정보
발견자Butler, Marcy
발견 장소캘리포니아, 미국
발견일1996년 4월 12일
발견 방법시선 속도
궤도 정보
궤도 장반경0.115 ± 0.0000011 AU
궤도 이심률0.014 ± 0.008
공전 주기14.65162 ± 0.0007 일 (0.04011325 년)
궤도 경사~85°
근점점 인자131.94 ± 30°
반진폭71.32 ± 0.41
근일점 통과 시각JD 2,450,002.94749 ± 1.2
위치 정보
기준 좌표계J2000.0
거리41.0 광년 (12.6 pc)
물리적 특징
질량0.824 ± 0.007 Mj
기타 정보
명명갈릴레오

2. 발견

게자리 55 b의 존재로 인해 게자리 55 별에서 관측되는 시선 속도 변화.


대부분의 외계 행성처럼, 게자리 55 b는 행성이 자신의 중력으로 항성게자리 55 A를 미세하게 끌어당겨 흔드는 효과를 관측하여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항성 스펙트럼의 도플러 효과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약 15일 주기로 시선 속도가 변하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13][9]

이 행성은 1996년 제프리 마시와 R. 폴 버틀러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이는 펄서 행성을 제외하고는 네 번째로 발견된 외계 행성이었다. 발견 사실은 같은 해에 발표된 목동자리 타우 b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b와 함께 공개되었다.[13][9]

분석 결과, 게자리 55 b의 질량은 최소 목성 질량의 약 78% (0.8배)에 해당했다.[13][9] 그러나 이 행성의 효과를 제외하고도 항성의 시선 속도에는 여전히 설명되지 않는 변화가 남아있었다. 이는 추가적인 행성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했으며, 결국 2002년에 더 바깥쪽 궤도를 도는 행성 게자리 55 d가 발견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계속된 연구를 통해 현재 게자리 55 항성계에는 b, c, d, e, f까지 총 5개의 행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3]

3. 궤도 및 질량

게자리 55 b는 항성 게자리 55에 비교적 가까운 거리를 돌고 있지만, 초기에 발견된 다른 뜨거운 목성페가수스자리 51 b만큼 극단적으로 가깝지는 않다. 공전 주기는 약 14.65일이며[12], 이 때문에 한때 바로 바깥 궤도를 도는 행성 게자리 55 c와 1:3의 평균운동 궤도 공명 관계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하지만 이후 정밀한 뉴턴 역학 시뮬레이션 결과, 두 행성의 공전 주기가 이 비율에 가깝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안정적인 궤도 공명 상태에 있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12][1]

행성의 질량과 궤도경사각은 발견 방법에 따라 추정치가 달라져 왔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3. 1. 궤도 경사각 및 질량

게자리 55 b를 발견할 때 사용한 시선 속도법의 단점은 오로지 해당 천체의 최소 질량만을 알 수 있다는 점이다. 초기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측성학적 측정에서는 게자리 55 b의 궤도경사각이 천구면에 대해 약 53도 기울어져 있는 것으로 관측되었다.[14] 만약 게자리 55 행성계의 모든 행성이 동일한 공전면 위에 있다고 가정할 경우, 이 값을 토대로 계산한 b의 실제 질량은 목성 질량의 약 1.03배로 추정되었다.[12]

그러나 2012년에 게자리 55 b의 상층 대기가 항성 앞을 지나가는 현상(통과)이 관측되면서 새로운 정보가 밝혀졌다. 이 관측 결과에 따르면, b의 궤도 경사각은 약 85도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같은 항성계의 행성인 게자리 55 e와 거의 같은 공전면 상에 있음을 시사한다.[2] 이 개선된 경사각 측정값을 바탕으로 게자리 55 b의 질량은 목성의 약 0.85배[2] (또는 80%)로 새롭게 추정되었다. 이 관측은 행성의 질량을 이전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기여했지만, 경사각이 임계 경사각에 가까워 행성의 반지름까지 정확히 측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2]

한편, 게자리 55 b는 항성에 비교적 가까운 거리를 돌고 있으며, 공전 주기는 약 14.65일이다. 이는 한때 바로 바깥 궤도를 도는 게자리 55 c와 1:3의 평균운동 공명 관계에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이후 정밀한 계산을 통해 두 행성의 공전 주기가 해당 비율에 가깝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안정적인 공명 상태에 있지 않다는 것이 확인되었다.[12][1]

4. 특징

게자리 55 b는 질량이 크기 때문에 고체 표면이 없는 가스 행성으로 여겨진다.[15] 행성의 대기가 항성 앞을 지나는 대기 통과 현상이 관측되었으며,[2] 이를 통해 상층 대기수소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 이 행성의 대기 조성이나 자연 위성 존재 가능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4. 1. 대기 조성

b는 질량이 크기 때문에 고체 표면이 없는 가스 행성으로 보인다.[15] 대기 통과 현상 관측을 통해 상층 대기에서 수소가 발견되었다.[2]

b는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관측되었으며, 대기 통과 현상도 매우 접선 방향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반지름, 밀도, 유효 온도 등의 자세한 물리적 특성은 아직 정확히 알 수 없다.[15][10] 만약 b의 조성 물질이 목성의 그것과 비슷하고 환경이 화학적 평형 상태에 있다고 가정한다면, 상층부 대기구름이 없고 알칼리 금속의 흡수선이 강하게 나타나는 스펙트럼을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15][10]

대기 통과 현상은 이 행성의 대기가 모항성의 열에 의해 서서히 증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증발 속도는 이전에 연구된 다른 뜨거운 목성형 행성들보다는 느리다.[4]

이 행성에는 큰 자연 위성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행성의 강한 조석력 때문에 위성이 안정적인 궤도를 유지하기 어렵고, 설령 있었다 하더라도 항성계의 나이에 비해 짧은 시간 안에 궤도를 이탈하거나 파괴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16][11]

4. 2. 위성 존재 가능성

이 행성에는 커다란 자연 위성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16][11] 이는 행성의 강한 조석력이 위성이 안정적으로 공전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만약 위성이 존재했더라도, 항성계의 나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안에 궤도를 이탈하거나 행성의 조석력 때문에 파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6][11]

5. 명칭

2015년 국제천문연맹(IAU)은 외계 행성계의 이름을 공모하고 투표하는 행사를 진행했으며, 게자리 55 항성계도 이 대상에 포함되었다. 2015년 12월 15일, IAU는 네덜란드의 아마추어 천문가 단체 연맹이 제안한 이름들이 최종 선정되었다고 발표했다.


  • 주성: '''코페르니쿠스'''(Copernicus) - 폴란드의 천문학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이름에서 따왔다.
  • * b: '''갈릴레오'''(Galileo) -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이름에서 따왔다.
  • * c: '''브라헤'''(Brahe) - 덴마크의 천문학자 '''티코 브라헤'''의 이름에서 따왔다.
  • * d: '''리퍼헤이'''(Lipperhey) - 네덜란드의 렌즈 제작자이자 실용적인 망원경 발명가 중 한 명으로 알려진 '''한스 리페르헤이'''의 이름에서 따왔다.
  • * e: '''얀센'''(Janssen) - 네덜란드의 안경 제작자이자 현미경과 망원경 발명가 중 한 명으로 알려진 '''자카리아스 얀센'''의 이름에서 따왔다.
  • * f: '''해리엇'''(Harriot) - 영국의 수학자이자 처음으로 망원경을 이용해 달 표면을 관측하고 그림을 남긴 것으로 알려진 '''토머스 해리엇'''의 이름에서 따왔다.

참조

[1] 논문 Five Planets Orbiting 55 Cancri 2008-03
[2] 논문 Hint of a transiting extended atmosphere on 55 Cancri b 2012-11-01
[3] 문서 D. Dragomir, 2012-08-27, referred to in Ehrenreich
[4] 웹사이트 Astrophile: First puffy, 'warm Jupiter' spotted - space - 12 October 2012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12-11-09
[5] 웹사이트 NameExoWorlds: An IAU Worldwide Contest to Name Exoplanets and their Host Stars http://www.iau.org/n[...] IAU.org 2014-07-09
[6] 웹사이트 NameExoWorlds The Process http://nameexoworlds[...] 2015-09-05
[7] 뉴스 Final Results of NameExoWorlds Public Vote Released http://www.iau.org/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5-12-15
[8] 웹사이트 NameExoWorlds The Approved Names http://nameexoworlds[...] 2015-12-27
[9] 논문 Three New 51 Pegasi-Type Planets 1997
[10] 논문 Theoretical Spectra and Atmospheres of Extrasolar Giant Planets 2003
[11] 논문 Stability of Satellites around Close-in Extrasolar Giant Planets 2002
[12] 저널 Five Planets Orbiting 55 Cancri 2008-03
[13] 저널 Three New 51 Pegasi-Type Planets http://www.journals.[...] 1997
[14] 저널 Detection of a NEPTUNE-mass planet in the ρ1 Cnc system using the Hobby-Eberly Telescope http://xxx.lanl.gov/[...] 2004
[15] 저널 Theoretical Spectra and Atmospheres of Extrasolar Giant Planets http://adsabs.harvar[...] 2003
[16] 저널 Stability of Satellites around Close-in Extrasolar Giant Planets http://adsabs.harvar[...]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