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녕궁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녕궁주는 고려 원종과 경창궁주 유씨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 왕씨이며 개성 왕씨 본관이다. 순안공 왕종 등과는 친남매이고, 고려 충렬왕과는 이복 남매이다. 광평공 왕혜와 결혼하였다. 1277년(충렬왕 3년)에 어머니 경창궁주와 언니 순안공이 역모를 꾀했다는 무고를 받았으며, 함녕궁주의 생애는 혼인 사실 외에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언제 사망했는지 알 수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세기 출생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는 14세기 독일의 도미니크 수도회 신학자이자 신비주의자로, "신성의 무(無)" 개념을 중심으로 신과 인간의 합일과 자아 초월을 강조하는 독특한 신학 사상으로 이단 논란에 휩싸였으나, 후대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며 재평가되고 있다. - 13세기 출생 - 구스노키 마사시게
구스노키 마사시게는 가마쿠라 막부 말기부터 겐무 신정기에 활약한 무장으로, 고다이고 천황을 지지하여 막부에 맞섰으나 아시카가 다카우지와의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그의 충절은 높이 평가받고 출신 배경과 생애에 대한 다양한 논쟁이 존재한다. - 고려의 왕녀 - 정녕원비
정녕원비는 고려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1274년 정녕궁주에 책봉되었고 종실 제안공 왕숙과 혼인한 인물이다. - 고려의 왕녀 - 명순원비
명순원비는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한양공 왕현과 혼인하여 계양후 왕광을 낳았으며, 1320년에 사망한 고려의 왕족이다. - 무신정권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 무신정권 - 삼별초의 항쟁
삼별초의 항쟁은 최씨 무신정권의 군사조직인 삼별초가 원종의 친몽 정책과 해산 명령에 반발하여 1270년 강화도에서 시작, 배중손을 중심으로 왕족 왕온을 왕으로 추대하며 진도와 제주도에서 3년간 고려-원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1273년 진압되어 고려의 몽골 지배 강화와 원의 제주도 직접 통치를 가져왔으며, 민족적 저항의 상징으로 평가되지만 무신정권의 잔재라는 비판도 있다.
함녕궁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함녕궁주 |
작위 | 궁주 (공주) |
배우자 | 광평공 왕혜 |
왕조 | 고려 왕조 |
아버지 | 고려 원종 |
어머니 | 경창궁주 유씨 |
친척 | 고종(친조부), 안혜태후(친조모), 신안공(외조부), 가순궁주(외조모), 경원공(시아버지, 종조부) 등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고려 |
사망지 | 고려 |
사망일 | 미상 |
매장지 | 미상 |
국적 | 고려 |
2. 생애
함녕궁주는 언제 태어났는지 명확하지 않으며, 고려 원종의 제2비 경창궁주 유씨의 차녀로 태어났다. 성은 왕, 본관은 개성이다. 순안공 왕종 등과 친남매간이며, 충렬왕의 이복 남매이다.
[1]
웹사이트
함녕궁주
http://db.history.go[...]
2021-09-09
함녕궁주의 어머니 경창궁주는 왕족 출신으로, 아버지는 현종의 아들 평양공 왕기의 7세손인 신안공 왕전이며, 어머니는 희종과 성평왕후 임씨의 딸인 가순궁주이다[5]. 함녕궁주의 친조모인 안혜태후 유씨도 희종과 성평왕후의 딸이니, 함녕궁주의 친조모와 외조모는 서로 친자매간이다. 경창궁주의 유씨 성은 외가의 성씨를 따른 것이다[6].
함녕궁주의 생애에 대해서는 혼인 사실을 제외하고는 《고려사》 등에 남아있는 것이 없다[7]. 따라서 언제 사망했는지도 알 수 없다. 호는 '''함녕궁주'''이다.
이복 누이 충렬왕 즉위 후인 1277년(충렬왕 3년), 궁주의 모후 경창궁주와 친누이 순안공은 역모를 꾀했다는 무고를 받아 경창궁주는 폐서인이 되었고, 순안공은 외딴 섬으로 유배를 가야 했다[8].
3. 가족 관계
관계 이름 비고 친조부 고종 고려 제23대 왕 (재위 : 1213년 ~ 1259년) 친조모 안혜태후 유씨 희종과 성평왕후 임씨의 딸. 외조모 가순궁주의 친언니 아버지 원종 고려 제24대 왕 (재위 : 1259년 ~ 1274년) 어머니 경창궁주 유씨 원종의 제2비 외조부 신안공 전 외조모 가순궁주 이복 남매 충렬왕 고려 제25대 왕 (재위 : 1274년 ~ 1298년, 1298년 ~ 1308년) 남매 시양후 이 남매 순안공 종 언니 경안궁주 시아버지, 종조부 경원공 조 남편, 당숙 광평공 혜
함녕궁주는 광평공 왕혜와 결혼하였다. 왕혜는 희종과 성평왕후의 아들 경원공 왕조의 장남으로, 함녕궁주에게는 9촌 숙부뻘이자[9] 5촌 당숙이 된다. 왕혜의 초명은 순 또는 준(恂)이며[10], 1279년 경상도로 파견되어 원나라에서 온 사신 탑납, 합백나와 함께 동방(일본)[11]을 정벌하는 데 쓸 전함을 감독하기도 하였다. 왕혜는 1285년 음력 10월 3일에 사망하였는데[12], 사후 그의 재산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충렬왕에게 몰수되었다.[13]
참조
[2]
서적
高麗史
https://books.google[...]
Shinseowon
2001
[3]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4]
서적
한권으로읽는고려왕조실록
https://books.google[...]
Dŭllyŏk
2000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왕전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6]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경창궁주〉
http://people.aks.ac[...]
2012-08-04
[7]
문서
《고려사》권91〈열전〉권4 - 함녕궁주
[8]
문서
《고려사》권91〈열전〉권4 - 순안공 왕종
[9]
문서
함녕궁주 ← 원종 ← 고종 ← 강종 ← 명종 ← 인종 → 신종 → 희종 → 경원공 → 광평공
[10]
웹사이트
네이버 한자사전
http://hanja.naver.c[...]
[11]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2000-03-25
[12]
문서
《고려사》권30〈열전〉권30 - 충렬왕 11년 10월 - 광평공 왕혜가 죽다
[13]
문서
《고려사》권91〈열전〉권4 - 경원공 왕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