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FC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FC는 1945년 경성전기 축구단을 모체로 창단된 대한민국 축구 클럽으로, 한국전력공사의 축구단을 거쳐 2001년 한국수력원자력에 인수되었다. 2013년 연고지를 경주로 이전했으며, 내셔널리그에서 2번, 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에서 3번 우승했다. 2020년 K3리그에 참가하여 준우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주시의 축구단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WFC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WFC는 2017년 창단하여 WK리그에 참가하는 대한민국의 여자 축구단으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리그 상위권을 유지하며 4차례 챔피언 결정전 준우승을 기록했고, 2018년 감독 사임 및 논란 이후 2019년 송주희 감독 부임 후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 경주시의 축구단 - 경주시민축구단
    경주시민축구단은 경주시를 연고로 하는 대한민국의 축구단으로, 2010년 K3리그 챔피언십, 2011년 챌린저스리그 챔피언십, 2018년 K3리그A 챔피언십에서 우승했고 2015년 K3리그 챔피언십에서 준우승했다.
  • 내셔널리그 구단 - 부산교통공사 축구단
    부산교통공사 축구단은 2006년에 창단되어 내셔널리그에서 활동했으며, 전국체육대회 우승과 내셔널리그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고 K3리그에도 참가했다.
  • 내셔널리그 구단 - 수원 FC
    수원 FC는 2003년 수원시청 축구단으로 창단되어 내셔널리그를 거쳐 K리그에 참가, K리그1에 승격과 강등을 반복하며 수원 더비 등 다양한 경기를 치르고, 2010년 내셔널리그 우승을 포함한 컵 대회 우승 경력을 보유한 수원시 연고의 프로축구단이다.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클럽명경주 한국수력원자력 FC
영문 명칭Gyeongju Korea Hydro & Nuclear Power Football Club
약칭KHNP
창단1945년 (경성전기 축구단)
재창단1962년 (한국전력 축구단)
이전 명칭경성전기 축구단 (1945년 ~ 한국 전쟁)
한국전력 축구단 (1962년 ~ 2001년)
대전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 (2001년 ~ 2013년)
홈 경기장경주시민운동장
수용 인원12,199명
구단주정재훈
감독서보원
리그K3리그
2024 시즌3위 (16팀 중)
웹사이트경주 한국수력원자력 FC 공식 웹사이트
대전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 로고
대전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 로고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 색상녹색
원정 유니폼 색상흰색
기타 정보
마스코트핫토리

2. 역사

한국전력공사의 전신인 경성전기가 1945년 창단한 축구단을 모체로 하고 있어, 연속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대전 한국철도 축구단에 이어 현존하는 두 번째로 오래된 축구단이다. 연속성을 기준으로 재창단 연도를 따지면 대전 한국철도 축구단의 재창단 연도가 1961년 혹은 1962년 10월로 불분명하기 때문에, 1962년 2월 재창단한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축구단이 될 수도 있다.

경성전기 축구단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해체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경성전기, 조선전업, 남선전기가 통합되어 1961년 7월 한국전력주식회사로 새로 출범하였다. 이듬해인 1962년 2월 한국전력에서 축구단을 재창단하였다.[19][20]

한국전력 축구단은 실업 축구 대회에 참가하였으며, 2001년 한국전력공사에서 한국수력원자력이 분사했을 때 축구단을 이관받았다. 한국수력원자력 본사가 경주로 이전함에 따라 2013년 2월 대전에서 경주로 연고지 이전을 확정하였다.[21]

과거 내셔널리그 홈페이지 및 한국수력원자력 측에서는 공식 창단 연도를 1945년으로 공표했지만, 이는 공식적인 창단식 등의 명확한 근거 자료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예전부터 1945년 창단했다는 말이 전해져 내려온 것으로, 명확한 근거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내셔널리그 연맹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에서도 조사 중이다.

1945년 창단설은 한국전력의 전신인 경성전기와 조선전업 축구단이 1940년대전국축구선수권대회 등에 참가한 사실에 기반한다. 그러나 1945년에 창단되었다는 명확한 근거 자료는 현재 발견되지 않고 있다.

공식 구단 소개에는 경성전기 축구단을 모체로 한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조선전업 축구단이 1949년 제4회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22], 김용식 선수 활동[23] 등 경성전기 축구단보다 더 큰 족적을 남겼다. 그럼에도 경성전기 축구단만 모체로 인정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명확한 설명이 없다.

1945년 경성전기 축구단이 창단되었더라도, 현재의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으로 연속성 있게 이어진 것은 아니다. 또한 1945년 창단 연도 견해는 2010년대 이후 나온 것으로, 2000년대까지는 축구계와 언론에서 한국전력 축구단으로 재창단한 1962년이 창단 연도로 통용되었다.[24]

결론적으로 현재 공표되는 1945년 창단 연도는 외국의 유서 깊은 축구단처럼 1945년에 창단되어 현재까지 역사와 전통이 이어진 축구단으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해체 후 공백기를 거쳐 재창단한 축구단의 경우, 구단마다 모체 창단 연도를 사용하거나(오랜 역사를 원하는 경우) 후신 창단 연도를 사용하는 등( 서울 이랜드 FC처럼 신생 구단임을 내세우고 싶은 경우) 일관된 기준이 없어 논란이 되고 있다.

2. 1. 창단 초기 (1945-1961)

한국전력공사의 전신인 경성전기가 1945년 창단한 축구단을 모체로 하고 있어, 연속성을 제외하면 대전 한국철도 축구단에 이어 현존하는 두 번째로 오래된 축구단이다. 다만, 연속성을 기준으로 재창단 연도를 따지면 대전 한국철도 축구단의 재창단 연도가 1961년 혹은 1962년 10월로 불분명하기 때문에, 1962년 2월 재창단한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축구단이 될 수도 있다.

경성전기 축구단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해체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후 경성전기, 조선전업, 남선전기가 통합되어 1961년 7월 한국전력주식회사로 새로 출범하였다. 이듬해인 1962년 2월 한국전력에서 축구단을 재창단하였다.[19][20]

하지만 공식 구단 소개에는 경성전기 축구단을 모체로 하고 있다고 공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조선전업 축구단이 1949년 제4회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22]을 비롯하여 축구계 원로 김용식도 활동하는 등[23] 경성전기 축구단보다 더 큰 족적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경성전기 축구단만 모체로 인정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명확한 설명이 없다.

1945년 창단 연도는 2010년대 이후 나온 견해로, 2000년대까지는 축구계와 언론 등에서 한국전력 축구단으로 재창단한 1962년이 창단 연도로 통용되었다.[24]

2. 2. 한국전력 축구단 시절 (1962-2000)

한국전력공사의 전신인 경성전기 축구단은 1945년에 창단되어, 대전 한국철도 축구단에 이어 현존하는 두 번째로 오래된 축구단이다. 다만, 연속성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 해당한다. 연속성을 기준으로 재창단 연도를 비교하면, 대전 한국철도 축구단의 재창단 연도가 1961년 혹은 1962년 10월로 불분명하여, 1962년 2월에 재창단한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축구단일 수도 있다.

경성전기 축구단은 한국전쟁 중 해체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경성전기, 조선전업, 남선전기가 통합되어 1961년 7월 한국전력주식회사로 새로 출범하였고, 이듬해인 1962년 2월 한국전력 축구단으로 재창단되었다.[19][20]

한국전력 축구단은 실업 축구 대회에 참가하였으며, 2001년 한국전력공사에서 한국수력원자력이 분사되면서 축구단도 함께 이관되었다.

한국전력 축구단 시절 주요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대회성적
1962제10회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우승
1962제16회 전국축구선수권대회우승
1963제1회 춘계전국종별(일반,군,대학)리그준우승
1965제2회 춘계전국실업대회우승
1965제19회 전국축구선수권대회우승
1966제3회 춘계전국실업대회준우승
1967제48회 전국체육대회우승
1968제5회 추계전국실업연맹전우승
1969제6회 춘계전국실업연맹전우승
1982제8회 서울시 선수권대회우승
1982제37회 전국축구선수권대회준우승
1990제22회 군/실업 축구대회준우승
1992'92 추계실업연맹전준우승
1993제41회 대통령배 전국대회준우승
1993'93 추계실업연맹전우승
1993제25회 군/실업 축구대회우승
1996'96 추계실업연맹전준우승


2. 3.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 시절 (2001-현재)

한국전력공사의 전신인 경성전기 축구단이 1945년 창단되어, 대전 한국철도 축구단에 이어 현존하는 두 번째로 오래된 축구단이다. 경성전기 축구단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해체된 것으로 추정되며, 1961년 7월 한국전력주식회사로 새로 출범한 후 1962년 2월 한국전력에서 축구단을 재창단하였다.[19][20]

한국전력 축구단은 실업 축구 대회에 참가하였으며, 2001년 한국전력공사에서 한국수력원자력이 분사했을 때 축구단을 이관받았다.[4] 한국수력원자력 본사가 경주로 이전함에 따라 2013년 2월 대전에서 경주로 연고지 이전을 확정하였다.[21]

주요 대회 실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대회명결과
2001년제48회 대통령배 전국대회3위
2001년제11회 전국실업선수권대회준우승
2001년제82회 전국체육대회3위
2001년FA컵 선수권대회16강
2004년K2 축구선수권대회3위
2008년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우승
2009년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준우승
2009년제90회 전국체육대회준우승
2010년한국 내셔널리그전기리그 우승, 통합 준우승
2013년한국 내셔널리그통합 준우승 (리그 4위)
2017년한국 내셔널리그통합 우승



2013 시즌을 앞두고 경주시로 연고지를 이전했다.[8] 경주 한국수력원자력으로 이름을 바꾼 후, 2013년과 2015년에 내셔널리그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17년에는 창단 후 처음으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9]

2018년에는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지만, 2019년 챔피언십 결승에서 강릉시청에 2-0으로 패하며 준우승에 그쳐 3연패 달성에는 실패했다.[10]

경주 한국수력원자력은 2020년 내셔널리그를 흡수하며 새롭게 출범한 K3리그에 참가하여 2020 시즌 준우승을 차지했다.[11]

2016년,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FC와 경주시장은 기존 남자팀과 함께 여자 축구팀 창단을 발표했다.[12]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WFC는 2017년에 공식 출범했다.[13]

2. 4. 창단 연도 논란

한국전력공사의 전신인 경성전기가 1945년 창단한 축구단을 모체로 하고 있어, 연속성을 제외하면 대전 한국철도 축구단에 이어 현재 존재하는 두 번째로 오래된 축구단이다. 그러나 연속성을 기준으로 재창단 연도를 고려하면 대전 한국철도 축구단의 재창단 연도가 1961년 혹은 1962년 10월로 불분명하여, 1962년 2월 재창단한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이 현재 가장 오래된 축구단이 될 수도 있다.

경성전기 축구단은 한국전쟁 중 해체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경성전기, 조선전업, 남선전기가 통합되어 1961년 7월 한국전력주식회사로 새로 출범하였다. 1962년 2월, 한국전력은 축구단을 재창단하였다.[19][20]

과거 내셔널리그 홈페이지와 한국수력원자력 측은 공식 창단 연도를 1945년으로 발표했지만, 이는 명확한 근거 자료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예전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에 따른 것이었다. 내셔널리그 연맹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은 현재 이 문제에 대해 조사 중이다.

1945년 창단설은 한국전력의 전신인 경성전기와 조선전업 축구단이 1940년대전국축구선수권대회 등에 참가한 사실에 기반하지만, 1945년에 창단되었다는 명확한 근거는 현재 없다.

공식 구단 소개에는 경성전기 축구단을 모체로 한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조선전업 축구단이 1949년 제4회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22], 김용식 선수 활동[23] 등 더 큰 족적을 남겼음에도 경성전기 축구단만 모체로 인정하는 이유에 대한 명확한 설명은 없다.

1945년 경성전기 축구단이 창단되었더라도, 현재의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으로 연속성이 있게 이어진 것은 아니다. 또한 1945년 창단 연도 견해는 2010년대 이후 나온 것으로, 2000년대까지는 축구계와 언론에서 한국전력 축구단으로 재창단한 1962년이 창단 연도로 통용되었다.[24]

결론적으로, 현재 공표되는 1945년 창단 연도는 외국의 유서 깊은 축구단처럼 1945년에 창단되어 현재까지 역사와 전통이 이어진 축구단으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처럼 해체 후 공백기를 거쳐 재창단한 축구단의 경우, 구단마다 모체 창단 연도를 사용하거나(오랜 역사를 원하는 경우) 후신 창단 연도를 사용하는 등( 서울 이랜드 FC처럼 신생 구단임을 내세우고 싶은 경우) 일관된 기준이 없어 논란이 되고 있다.

3. 역대 성적

시즌리그FA컵ACL기타
디비전순위
2003내셔널리그전기: 10위---
후기: 10위
2004전기: 4위--리그컵: 4강
후기: 8위
2005전기: 10위16강--
후기: 11위
2006전기: 9위32강-리그컵: 8강
후기: 9위
2007전기: 5위26강-리그컵: 조별리그
후기: 10위
20088위32강-리그컵: 우승
200911위32강-리그컵: 준우승
2010전기: 1위16강-리그컵: 8강
후기: 14위
20118위32강-리그컵: 조별리그
201214위32강-리그컵: 8강
2013내셔널리그4위32강-리그컵: 조별리그
P: 준우승
20143위32강-리그컵: 우승
P: PO
20153위32강-리그컵: 4강
P: 준우승
20163위32강-리그컵: 조별리그
P: PO
20171위32강-리그컵: 4강
P: 우승
20181위16강-리그컵: 준우승
P: 우승
20193위8강-리그컵: 우승
P: 준우승
2020K3리그2위16강--
P: 준우승
2021K3리그4위2라운드--
2022K3리그3위3라운드--
2023K3리그10위2라운드--
2024K3리그3위2라운드--
2025K3리그TBD--


4. 우승 기록

대회우승준우승
내셔널리그2회 (2017, 2018)4회 (2010, 2013, 2015, 2019)
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3회 (2008, 2014, 2019)
K3리그1회 (2020)
전국체육대회금메달 1회 (1967)은메달 1회 (2009)
전국축구선수권대회2회 (1962, 1965)4회 (1964, 1967, 1980, 1982)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1회 (1962)3회 (1964, 1967, 1993)


5. 선수단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FC는 2023년 2월 31일과 2024년 3월 25일에 선수 명단을 발표했다.[14]

2023년 선수 명단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2024년 3월 25일 기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2024년 3월 25일 선수 명단
번호포지션이름국적
2DF윤상은
3DF이슬찬
4DF여재율
5DF윤병권
6MF곽성욱
7MF김정주
8MF이동희
9FW이형경
10FW레오나르도 칼릴
11FW니시구치 레오
13GK한승협
14FW이석규
16DF장지성
17DF이유찬
18FW문승원
19FW조건규
20DF이기운
21GK김태흥
22MF민동진
23MF이혁탁
24MF김한성
27DF김영욱
29DF이준석
32DF이병욱
44DF김진혁
51GK정성욱
77FW우병철
99FW김수성



과거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FC에서 활동했던 선수로는 허정무 (1978-1980), 고기구 (2003, 2011-2012), 최원권 (2014), 김민재 (2016), 김영후 (2017) 등이 있다.

5. 1. 현재 선수 명단 (2023년 2월 31일 기준)

2023년 2월 31일 기준 현재 선수 명단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한승협
4DF윤지혁
5DF윤병권
6MF고마츠
7FW김정주
8MF성봉재
9FW레오
10FW주한성
11FW김현성
12MF유종우
13MF김정수
14FW조우진
15MF이현탁
16DF장지성
17DF지의수
18MF김재민
19FW김양우
20FW심재민
21GK김태홍
22MF김경훈
23DF정철웅
24DF김한성
25DF김진혁
26DF김동우
27DF김영욱
28MF유지민
29FW김수성
31GK김도완
33DF서경주
99FW서동현


6. 스태프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FC의 스태프는 감독 서보원, 수석 코치 하용우, 골키퍼 코치 김민규, 코치 김정겸, 서동현, 메디컬 트레이너 이승복으로 구성되어 있다.[15]

6. 1. 코칭 스태프

직책이름
감독서보원
수석 코치하용우
골키퍼 코치김민규
코치김정겸, 서동현
메디컬 트레이너이승복

[15]

7. 클럽 역대 인물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FC는 그동안 여러 감독과 선수들이 팀을 거쳐갔다.

'''역대 감독'''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FC의 역대 감독에 대한 정보는 하위 섹션인 '''역대 감독'''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역대 주요 선수'''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FC의 역대 주요 선수에 대한 정보는 하위 섹션인 '''역대 주요 선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1. 역대 감독

순번이름취임사임시즌비고
1대백금봉[26]초대 감독
2대김득기[27]
3대유현철1971-1995
4대송광석1996-2001
5대배종우2002-2011
6대어용국2011-2018
7대서보원2018-


7. 2. 역대 주요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어느새 파이널리스트까지... 경주 한수원 레벨업시킨 '송주희 매직' https://www.bestelev[...] 2022-12-28
[2] 웹사이트 한전 체육부 결단 육상, 축구, 농구 http://newslibrary.n[...] 2019-11-08
[3] 웹사이트 Korea Republic – Gyeongju Korea Hydro & Nuclear Power FC https://int.soccerwa[...] 2019-11-08
[4] 웹사이트 한수원 축구단, 28일 오후3시 경주 홈 개막전 http://www.gjfocus.c[...] 2015-03-26
[5] 웹사이트 '세미 프로' K2리그 공식 출범 https://www.chosun.c[...] 2003-04-10
[6] 웹사이트 [내셔널리그 전기] 대전한국수력원자력 우승 https://www.chosun.c[...] 2010-06-06
[7] 웹사이트 대전 한수원 '한골차' 아쉬운 준우승 https://www.cctoday.[...] 2010-11-21
[8] 웹사이트 한수원 축구단 연고지 경주로 확정 대전 한수원을 경주 한수원축구단으로 http://m.gjnews.com/[...] 2013-02-19
[9] 웹사이트 경주한수원에 첫 우승 안긴 어용국-서보원의 '27년의 동행' https://www.chosun.c[...] 2017-11-11
[10] 웹사이트 강릉시청, 경주한수원 꺾고 내셔널리그 '10년 만의 챔피언' https://www.yna.co.k[...] 2019-11-09
[11] 웹사이트 경주한수원 축구단 2020 통합 K3리그 준우승 http://www.sportsdb.[...] 2020-12-06
[12] 웹사이트 경주시-한수원, 경주 연고 여자 축구단 창단 https://www.energyko[...] 2016-10-17
[13] 웹사이트 경주 한수원 여자축구단 창단 http://m.smnews.co.k[...] 2017-03-23
[14] 웹사이트 선수단 (남자) https://www.khnpfc.c[...]
[15] 웹사이트 선수단 (남자) https://www.khnpfc.c[...]
[16] 뉴스 한전 3일 결단식 https://newslibrary.[...] 1962-02-02
[17] 뉴스 한전 체육부 결단 육상, 축구, 농구 https://newslibrary.[...] 1962-02-04
[18] 웹사이트 한수원 축구단 연고지 경주로 확정 https://news.naver.c[...] 네이버스포츠 2013-02-07
[19] 뉴스인용 http://newslibrary.n[...]
[20] 뉴스인용 http://newslibrary.n[...]
[21] 뉴스 한수원 축구단 연고지 경주로 확정 https://news.naver.c[...]
[22] 뉴스 全國蹴球選手權大會(전국축구선수권대회) 電業軍(전업군)이優勝(우승) 延禧大學軍奮戰惜敗(연희대학군분전석패) https://newslibrary.[...]
[23] 뉴스 올림픽蹴球選手(축구선수) 蹴協(축협)서26名選定(명선정) https://newslibrary.[...]
[24] 간행물 월간축구 1983년 1월호 40P~43P
[25] 뉴스인용 http://n-league.net/[...]
[26] 간행물 월간축구 1984년 9월호 86페이지
[27] 간행물 월간축구 1984년 9월호 86페이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