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체육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국체육대회는 1920년 조선체육회가 개최한 제1회 전조선야구대회를 시작으로, 일제강점기, 광복 이후를 거쳐 현재까지 이어져 오는 대한민국의 종합 스포츠 대회이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전국체육대회'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개인전에서 시·도 대항전 방식으로 바뀌었다.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을 통해 스포츠 선진국으로 발돋움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전국체육대회는 개회식, 폐회식, 성화 채화, 체육대회가 및 승리의 노래 등으로 구성되며, 전국소년체육대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등과 함께 전국 규모의 체육 대회로 개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스포츠 대회 - 전국소년체육대회
전국소년체육대회는 1972년 전국체육대회에서 초등학생부와 중학생부가 분리되며 시작된 대한민국의 청소년 스포츠 대회로, 전국스포츠소년대회로 불리다 명칭이 변경되었고, 시·도별 종합대회 운영 방식을 거쳐 1992년부터 전국 규모의 종합대회로 개최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스포츠 대회 - 전국 체스 선수권 대회
전국 체스 선수권 대회는 2009년부터 2024년까지 매년 개최된 체스 대회이며, 에르뎀 다쉬바예프, 장경식, 김인구, 안성민, 이준혁, 마틴 워커, 권세현 등이 우승했다. - 1920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올림픽 아이스하키
올림픽 아이스하키는 남자 아이스하키가 19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시작되어 동계 올림픽으로 전환된 후 1924년부터 꾸준히 개최되었고, 여자 아이스하키는 1998년 동계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캐나다가 남녀 모두 강세를 보인다. - 1920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는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이 주관하는 국가 대항 아이스하키 대회이며, 1920년 하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토너먼트를 세계 선수권 대회로 간주하면서 시작되어, 현재는 5개의 디비전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 연례 스포츠 행사 -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는 1920년대부터 시작된 소프트테니스 대회로, 현재 1923년과 1924년 18세 이하부 여자 단체전 우승팀 기록만 일부 남아 있어 상세한 역사 규명을 위한 추가 조사가 요구된다. - 연례 스포츠 행사 - 레슬링 월드컵
레슬링 월드컵은 남자 자유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여자 자유형의 세 종목 단체전 대회로, 각 팀은 7체급 선수들이 1대1 대결을 통해 승패를 가리고 8개국이 참가하여 우승팀을 결정한다.
전국체육대회 | |
---|---|
기본 정보 | |
![]() | |
대회 명칭 | 전국체육대회 |
원어 명칭 | National Sports Festival |
협회 | 대한체육회 |
개최국 | 대한민국 |
주최 | 대한체육회 |
대회 유형 |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개최 주기 | 매년 |
하위 대회 | 전국생활체육대축전 |
웹사이트 | meet.sports.or.kr |
설립 | 1920년 |
개최 횟수 | 105회 (2024년) |
2. 역사
1919년 3.1 운동의 정신을 본받아 1920년 7월 13일에 조선체육회가 창설된 후 첫 행사로 11월에 배재고보운동장에서 열린 '제1회 전조선야구대회'를 시작으로 본다.[6] 1925년 경성운동장(동대문운동장)에서 종합경기대회가 열렸지만, 일본인이 주도했기 때문에 1934년 조선체육회 창립 15주년 기념 전조선종합경기대회를 진정한 한민족 체육대회로 본다. 그러나 1938년 조선체육회가 강제 해산되면서 제18회 대회를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6]
1945년 광복과 함께 조선체육대회가 부활, 12월에 자유해방 경축 전국종합경기대회를 열었고, 이것이 제26회 전국체육대회가 되었다. 1950년 한국전쟁으로 제31회 대회는 중지되었으나, 1951년 제32회 대회가 광주에서 개최되었고, 1955년 제36회 대회부터 성화가 등장했다. 1970년 태능 국제수영장 개장과 함께 제51회 대회부터 하계대회(수영, 조정)를 추계대회로 통합하고, 1972년 제53회 대회부터 전국소년체육대회가 분리 개최되었다.[6]
현재와 같은 연례 행사의 번호 매기기는 1920년 전조선야구대회와 조선체육회(조선체육회|한국어)의 설립에서 유래한다.
회차 | 년도 | 개최지 | 기간 | 종목 | 세부 종목 | 참고 | |
---|---|---|---|---|---|---|---|
1 | 1920 | 장소 미정 | 1 | 1 | |||
2 | 1921 | 장소 미정 | |||||
3 | 1922 | 장소 미정 | |||||
4 | 1923 | 장소 미정 | |||||
5 | 1924 | 장소 미정 | |||||
6 | 1925 | 장소 미정 | |||||
7 | 1926 | 장소 미정 | |||||
8 | 1927 | 장소 미정 | |||||
9 | 1928 | 장소 미정 | |||||
10 | 1929 | 장소 미정 | |||||
11 | 1930 | 장소 미정 | |||||
12 | 1931 | 장소 미정 | |||||
13 | 1932 | 장소 미정 | |||||
14 | 1933 | 장소 미정 | |||||
15 | 1934 | 경성 | 11월 2일~5일 | ||||
16 | 1935 | 경성 | 10월 22일~26일 | ||||
17 | 1936 | 경성 | 9월 | ||||
18 | 1937 | 경성 | 9월 | ||||
19-25 | 1938년–1944년 | 중단 | |||||
26 | 1945 | 서울 | 10월 27일~30일 | ||||
27 | 1946 | 서울 | 10월 16일~20일 | ||||
28 | 1947 | 서울 | 10월 13일~19일 | ||||
29 | 1948 | 서울 | 10월 20일~26일 | ||||
30 | 1949 | 서울 | 10월 15일~23일 | ||||
31 | 1950 | 한국 전쟁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음 | |||||
32 | 1951 | 광주 | 10월 27일~31일 | ||||
33 | 1952 | 서울 | 10월 18일~24일 | ||||
34 | 1953 | 서울 | 10월 17일~22일 | ||||
35 | 1954 | 서울 | 10월 19일~25일 | ||||
36 | 1955 | 서울 | 10월 15일~22일 | ||||
37 | 1956 | 서울 | 10월 3일~9일 | ||||
38 | 1957 | 부산 | 10월 18일~24일 | ||||
39 | 1958 | 서울 | 10월 3일~9일 | ||||
40 | 1959 | 서울 | 10월 3일~9일 | ||||
41 | 1960 | 대전 | 10월 10일~16일 | ||||
42 | 1961 | 서울 | 10월 11일~15일 | ||||
43 | 1962 | 대구 | 10월 24일~29일 | ||||
44 | 1963 | 전주 | 10월 4일~9일 | ||||
45 | 1964 | 경기도 | 9월 3일~8일 | ||||
46 | 1965 | 광주 | 10월 5일~10일 | ||||
47 | 1966 | 서울 | 10월 10일~15일 | ||||
48 | 1967 | 서울 | 10월 5일~10일 | ||||
49 | 1968 | 서울 | 9월 12일~17일 | ||||
50 | 1969 | 서울 | 10월 28일~11월 2일 | ||||
51 | 1970 | 서울 | 10월 6일~11일 | ||||
52 | 1971 | 서울 | 10월 8일~13일 | ||||
53 | 1972 | 서울 | 10월 6일~11일 | ||||
54 | 1973 | 부산 | 10월 12일~17일 | ||||
55 | 1974 | 서울 | 10월 8일~13일 | ||||
56 | 1975 | 대구 | 10월 7일~12일 | ||||
57 | 1976 | 부산 | 10월 12일~17일 | ||||
58 | 1977 | 광주 | 10월 10일~15일 | ||||
59 | 1978 | 인천 | 10월 12일~17일 | ||||
60 | 1979 | 충청남도 | 10월 12일~17일 | ||||
61 | 1980 | 전라북도 | 10월 8일~13일 | ||||
62 | 1981 | 서울 | 10월 10일~15일 | ||||
63 | 1982 | 경상남도 | 10월 14일~19일 | ||||
64 | 1983 | 인천 | 10월 6일~11일 | ||||
65 | 1984 | 대구 | 10월 11일~16일 | ||||
66 | 1985 | 강원도 | 10월 10일~15일 | ||||
67 | 1986 | 서울, 경기도, 부산 | 6월 20일~25일 | ||||
68 | 1987 | 광주 | 10월 13일~18일 | ||||
69 | 1988 | 장소 미정 | 5월 9일~22일 | ||||
70 | 1989 | 경기도 | 9월 26일~10월 1일 | ||||
71 | 1990 | 충청북도 | 10월 15일~21일 | ||||
72 | 1991 | 전라북도 | 10월 7일~13일 | ||||
73 | 1992 | 대구 | 10월 10일~16일 | ||||
74 | 1993 | 광주 | 10월 11일~17일 | ||||
75 | 1994 | 대전 | 10월 27일~11월 2일 | ||||
76 | 1995 | 경상북도 | 10월 2일~8일 | ||||
77 | 1996 | 강원도 | 10월 7일~13일 | ||||
78 | 1997 | 경상남도 | 10월 8일~14일 | ||||
79 | 1998 | 제주특별자치도 | 9월 25일~10월 1일 | ||||
80 | 1999 | 인천 | 10월 11일~17일 | ||||
81 | 2000 | 부산 | 10월 12일~18일 | ||||
82 | 2001 | 충청남도 | 10월 10일~16일 | ||||
83 | 2002 | 제주특별자치도 | 11월 9일~15일 | ||||
84 | 2003 | 전라북도 | 10월 10일~16일 | ||||
85 | 2004 | 충청북도 | 10월 8일~14일 | ||||
86 | 2005 | 울산 | 10월 14일~20일 | ||||
87 | 2006 | 경상북도 | 10월 17일~23일 | ||||
88 | 2007 | 광주 | 10월 8일~14일 | ||||
89 | 2008 | 전라남도 | 10월 10일~16일 | ||||
90 | 2009 | 대전 | 10월 20일~26일 | ||||
91 | 2010 | 경상남도 | 10월 6일~12일 | ||||
92 | 2011 | 경기도 | 10월 6일~12일 | ||||
93 | 2012 | 대구 | 10월 11일~17일 | ||||
94 | 2013 | 인천 | 10월 18일~24일 | ||||
95 | 2014 | 제주특별자치도 | 10월 28일~11월 3일 | ||||
96 | 2015 | 강원도 | 10월 16일~22일 | ||||
97 | 2016 | 충청남도 | 10월 7일~13일 | ||||
98 | 2017 | 충청북도 | 10월 20일~26일 | ||||
99 | 2018 | 전라북도 | 10월 12일~18일 | ||||
100 | 2019 | 서울특별시 | 10월 4일~10일 | ||||
101 | 2020 | 경상북도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음 | ||||
102 | 2021 | 경상북도 | 10월 8일~14일 | ||||
103 | 2022 | 울산 | 10월 7일~13일 | ||||
104 | 2023 | 전라남도 | 10월 13일~19일 |
2. 1. 일제강점기 (1920년 ~ 1945년)
1919년 3.1 운동의 정신을 본받아 1920년 7월 13일에 조선체육회가 창설된 후 첫 행사로서 11월에 배재고보운동장에서 거행한 '제1회 전조선야구대회'를 그 시작으로 본다.[6] 1925년에는 경성운동장(동대문운동장)이 세워지고, 이를 기념하여 조선신관경기대회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이 대회는 일본인에 의해 준비되고 운영되었기 때문에, 진정한 한민족의 체육대회는 1934년 조선체육회 창립 15주년을 기념하여 개최된 전조선종합경기대회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1938년 조선체육회가 강제 해산당하고 민족체육이 억압당함으로써 전조선경기대회는 제18회 대회를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6]1934년 제15회 대회부터 종합경기대회 형식으로 개최되었다. 1937년까지는 대일본제국 정부로부터 조선 거주자를 위한 경기대회로 인가받았으나, 1938년에 조선체육회는 명치신궁경기대회(국민체육대회의 전신)에 흡수 통합되어 사실상 중단되었고, 일본인을 포함한 조선 거주 선수들도 재일한국·조선인과 마찬가지로 일본 거주 조선인과 같이 동 대회에 출전하게 되었다.[2]
2. 2. 해방 이후 (1945년 ~ 현재)
1945년 광복과 더불어 그해 11월에 조선체육대회가 부활하자, 곧이어 12월 초겨울에 자유해방 경축 전국종합경기대회를 열었는데, 이 대회가 제26회 전국체육대회가 된다.[6]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제31회 대회는 중지되고 말았다.[6] 이후 1951년 체육인들의 굳센 의지와 집념 속에 제32회 대회를 광주에서 개최하였으며, 1955년 제36회 전국체육대회 때부터 성화가 등장했다.[6] 1970년 태능 국제수영장의 개장과 함께 제51회 대회부터 하계대회(수영, 조정)를 추계대회로 통합하고, 1972년 제53회 서울대회 때 초등학교부와 중학교부를 분리시켜 전국소년체육대회를 별도로 개최하게 되었다.[6]제76회 전국체육대회는 지방 중소도시에서 개최하여 때마침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방자치제의 의미를 살리는 계기가 되었다. 1996년 제77회 전국체육대회 때는 체전 사상 처음으로 ‘달곰이’라는 마스코트가 선을 보였고, 1997년 제78회 전국체육대회는 울산광역시가 새로운 시도지부로 참가하여 16개 시도가 우승을 다투었다. 1998년 제주전국체전은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서울올림픽 개최 10주년을 기념하는 대회로, 20,000여 명의 국내 및 해외동포 선수들이 참가하여 일대 성황을 이루었다. 2003년 제84회 전북전국체전에서는 16개 시도 대표와 해외동포 등 22,330명의 선수들이 참가한 가운데 2003년 10월 10일부터 7일간 열려 경기도가 1위를 차지했다.[6]
대한민국의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2020년 개최된 제101회 전국동계체육대회의 개회식과 폐회식이 취소되고, 오찬으로 대체되었다.[7] 또한 2020년에 열릴 예정이었던 제101회 전국체육대회도 1년 정도 연기되었다.
1948년 대한민국이 수립되면서 이 해부터 대회 명칭이 “전국체육대회”로 변경되었고, 개인전 경기 방식에서 시·도 간 경쟁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1988년 제69회 대회는 서울올림픽의 영향으로 종목별 대회만 개최되었다.
2. 3. 역대 대회
전국체육대회는 1920년 7월 13일 조선체육회가 창설된 후 첫 행사로 11월 배재고보운동장에서 열린 '제1회 전조선야구대회'를 시작으로 본다.[6] 1925년에는 경성운동장에서 종합경기대회가 열렸지만, 일본인이 주도했기 때문에 1934년 조선체육회 창립 15주년 기념 전조선종합경기대회를 진정한 한민족 체육대회로 본다. 그러나 1938년 조선체육회가 강제 해산되면서 제18회 대회를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6]1945년 광복과 함께 조선체육대회가 부활, 12월에 자유해방 경축 전국종합경기대회를 열었고, 이것이 제26회 전국체육대회가 되었다. 한국전쟁으로 1950년 제31회 대회는 중지되었으나, 1951년 제32회 대회가 광주에서 개최되었고, 1955년 제36회 대회부터 성화가 등장했다. 1972년 제53회 대회부터 전국소년체육대회가 분리 개최되었다.[6]
1996년 제77회 대회에서는 마스코트 '달곰이'가 처음 등장했고, 1997년 제78회 대회에는 울산광역시가 새로운 시도지부로 참가했다. 1998년 제주전국체전은 서울올림픽 10주년을 기념하여 20,000여 명의 선수들이 참가했다. 2003년 제84회 전북전국체전에는 22,330명의 선수들이 참가하여 경기도가 1위를 차지했다.[6]
대한민국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2020년 제101회 전국동계체육대회 개·폐회식이 취소되고 오찬으로 대체되었다.[7] 2020년 예정이었던 제101회 전국체육대회도 1년 연기되었다.
3. 구성
각 도별로 대항하여 1위, 2위, 3위 등 종합 시상을 하며, 해외동포 종합시상, 고등부 및 일반부 종합시상, 모범 선수단상 등이 주어진다. 전국체육대회는 매년 열리도록 규정되어 있지만, 올림픽과 아시안 게임 등의 국제적인 스포츠 행사가 열리는 해에는 변경할 수도 있다.[5]
3. 1. 참가 자격
대한체육회 주최로 대한체육회에 가입한 각 종목 경기 단체의 경기가 실시된다. 참가 자격은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아마추어 선수로서, 각 지방에서 예선을 거쳐 종목별 경기 단체의 지방 지부에 등록된 선수로 제한된다.[5]3. 2. 경기 종목
대한체육회 주최로 대한체육회에 가입한 각 종목 경기 단체의 경기가 실시된다. 참가 자격은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진 아마추어 선수로서, 각 지방에서 예선을 거쳐 종목별 경기 단체의 지방 지부에 등록된 선수로 제한된다. 경기 방법은 각 도별로 대항하여 1위, 2위, 3위 등 종합 시상을 하며, 그 밖에 해외동포 종합시상, 부별(고등부, 일반부) 종합시상, 모범 선수단상 등이 주어진다. 전국체육대회는 매년 열리도록 규정되어 있지만, 올림픽과 아시안 게임 등의 국제적인 스포츠 행사가 거행되는 해에는 변경할 수도 있다.[5]3. 3. 개회식
전국체육대회 개회식은 주경기장에서 치르는 것이 원칙이다.개회식은 식전공연, 대통령 및 귀빈 입장, 개식 선언, 선수단 입장, 국민의례(애국가 제창, 순국 선열 및 호국 영령에 대한 묵념), 개회 선언, 환영사, 대회기 게양, 대회사, 기념사, 선수 및 심판 대표 선서, 성화맞이 공연, 성화 점화 순으로 진행된다.
선수단 입장은 차기 개최지가 먼저 입장하고 개최지가 마지막에 입장한다. 개회 선언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하는 것이 원칙이며, 체육대회가에 맞춰 대회기가 게양된다. 대통령이 기념사를 하고 선수대표 2명과 심판대표 1명이 나와서 선서를 한다.
이어 성화주자 4명이 나와서 봉송을 한 뒤 최종 점화자에 의해서 성화가 점화된다.
3. 4. 폐회식
전국체육대회 폐회식은 일주일 전 개회식이 열렸던 곳에서 치르는 것이 원칙이다.폐회식은 식전공연, 귀빈 입장, 개식 선언, 선수단 입장, 국민의례, 성적 발표, 종합 시상 및 종목별 시상, 공로패 전달, 기념공연, 환송사, 대회기 강하, 대회기 이양, 차기 개최지 홍보영상 및 문화공연, 폐회사, 폐회 선언, 성화 소화, 식후공연 순으로 진행된다.
선수단은 구분없이 입장한다. 종합시상은 시.도별 종합 시상, 해외동포, 고등학교부, 성취상, 모범선수단상, 경기단체질서상, 최우수 선수상 순으로 진행된다. 시.도별 종합 1위는 시.도별 노래에 맞춰 시.도기가 게양된다. 최우수 선수상은 한국체육기자연맹 소속 기자들의 투표로 선정된다. 승리의 노래에 맞춰 대회기가 강하된다. 이어 차기 개최지에 대회기를 이양하고, 차기 개최지의 문화공연이 이어진다. 폐회 선언은 시.도 교육감이 한다.
3. 5. 성화 채화
매년 10월 3일 개천절에 인천광역시 강화군 마니산 참성대에서 성화 채화식이 열린다.3. 6. 체육대회가 및 승리의 노래
대한체육회가 제정한 것으로, 윤석중(尹石重) 작사, 김순애(金順愛) 작곡(후에 김희조 편곡)이다. 1949년 제30회 전국체육대회 때부터 개회식에서 대회기를 게양할 때 합창단이 부른다.[1][가사]
떨치자 세상에 우리의 의기를
펼치자 세상에 우리의 슬기를
조국의 명예를 짊어진 우리들
다리는 가볍고 맡은 짐 무겁다
보아라 우리는 젊고 씩씩한 모습
아아 대한민국 체육대회
전국체육대회의 성공 개최를 기념하고 참가 선수단의 영광을 위하여 대한체육회가 제정한 것으로, 폐회식에서 대회기를 내릴 때 합창단이 부른다. 작사는 김상권, 작곡은 김희조이다.[1]
4. 기타 전국 규모의 체육 대회
참조
[1]
문서
전국체육대회 개최 기록
[2]
서적
생활자의 일본통치시대: 왜 「좋은 관계」였던 것을 말하지 않는가
(출판사 정보 없음)
2000
[3]
뉴스
북한에 서울에서 체육대회 참가 제안, 한국 담당 장관
http://www.chosunonl[...]
2018-11-14
[4]
뉴스
【칼럼】 스스로 목소리를 낼 수 없는 한국 스포츠계
http://www.chosunonl[...]
2018-11-14
[5]
웹사이트
전국체육대회의 개요
http://donation.enc.[...]
[6]
백과사전
전국체육대회의 역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
[7]
뉴스
'코로나 바이러스 우려' 전국동계체전 개폐회식 미개최
https://m.sports.nav[...]
중앙일보
[8]
웹사이트
대한체육회 전국체육대회 연혁
http://www.sports.or[...]
[9]
뉴스
전국체전 폐막... 전북선수단, 전북체육 위상 드높여
https://www.newsis.c[...]
NEWSIS
2022-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