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화공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화공주는 원나라 출신으로 고려 충숙왕의 제3비이다. 1332년 충숙왕과 결혼하여 1333년 고려로 들어왔으며, 충숙왕 사후 충혜왕에게 강간당하는 사건을 겪었다. 이후 조적과 연합하여 충혜왕을 몰아내는데 기여했고, 1344년에 사망했다. 드라마 기황후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44년 사망 - 시모네 마르티니
시모네 마르티니는 14세기 이탈리아 시에나 출신의 화가이며, 부드럽고 장식적인 화풍으로 유명하며, 《마에스타》,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 폴립티크》, 《성 마가레트와 성 안사누스와 함께 한 수태고지》 등의 작품을 제작하고 1344년 아비뇽에서 사망했다. - 1344년 사망 - 주세진
명나라 홍무제 주원장의 아버지 주세진은 가난한 소작농으로 여러 지역을 떠돌며 농사를 짓다가 아들이 황제가 된 후 인조순황제로 추존되었다. - 원나라의 공주 - 노국대장공주
노국대장공주는 쿠빌라이 칸의 증손녀로 원나라 공주였으나 공민왕과 정략결혼 후 고려에 와서 공민왕의 반원 정책을 지지하며 헌신적으로 내조했으나 난산으로 사망하여 공민왕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고 사후 대장공주로 추증되었으며 현재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 원나라의 공주 - 제국대장공주
제국대장공주는 몽골 제국의 공주로서 고려의 충렬왕과 결혼하여 고려 왕비가 되었으며, 몽골 풍습을 전파하고 아들 충선왕을 낳았으며, 고려 왕실과 원나라 황실 간의 관계 강화에 기여했다. - 고려-원나라 관계 - 원나라의 일본 원정
원나라의 일본 원정은 13세기 후반 쿠빌라이 칸이 일본을 정복하려 두 차례 시도한 원정으로, 몽골, 고려, 중국 군대가 참여했으나 두 번 모두 태풍으로 인해 실패하고 일본 가마쿠라 막부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 고려-원나라 관계 - 삼별초의 항쟁
삼별초의 항쟁은 최씨 무신정권의 군사조직인 삼별초가 원종의 친몽 정책과 해산 명령에 반발하여 1270년 강화도에서 시작, 배중손을 중심으로 왕족 왕온을 왕으로 추대하며 진도와 제주도에서 3년간 고려-원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1273년 진압되어 고려의 몽골 지배 강화와 원의 제주도 직접 통치를 가져왔으며, 민족적 저항의 상징으로 평가되지만 무신정권의 잔재라는 비판도 있다.
경화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경화공주 |
원 이름 | 바얀쿠타그 또는 백안홀도 |
중국어 이름 | 바얀쿠타그 () |
한국어 (음차) | 백안홀도 () |
몽골어 | 바얀 후타그 |
만주어 | ᠪᠠᠶᠠᠨᡴᠣᠲᠣᠭ (bayan kotog) |
신분 | |
직책 | 고려 왕비 |
재위 기간 | 1333년–1339년 |
즉위 | 1333년 |
이전 | 조국장공주 |
이후 | 덕녕공주 |
섭정 | 충숙왕 |
왕 | 군주 |
배우자 | 충숙왕 (1339년) |
배우자 | 충혜왕 (1344년) |
고려 왕실 | 왕 (결혼) |
생애 | |
출생지 | 원나라 |
사망일 | 1344년 7월 24일 |
사망지 | 고려 |
매장일 | 1344년 |
매장지 | 알 수 없음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아무가 (논쟁 중) |
기타 정보 | |
시호 | 숙공휘령공주 (원나라에서 1367년에 내림) |
시호 (다른 이름) | 백안홀도공주 |
2. 생애
경화공주는 원나라 출신으로, 이름은 '''백안홀도'''(伯顔忽都)이다. 고려로 시집 온 다른 원나라 황족들과는 달리 가계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다만 당시 백안(伯顔) 가문이 원나라 귀족 가문이었기 때문에, 경화공주 역시 귀족 출신일 것으로 추정된다[12].
1332년(충숙왕 복위 원년) 당시 원나라에 체류중이던 충숙왕과 결혼하여[11] 1333년(충숙왕 복위 2년) 음력 3월에 고려로 들어왔다[13]. 충숙왕에게는 고려인 공원왕후 등의 부인이 있었지만, 경화공주도 몽골 출신이라는 이유로 명덕태후 등을 밀어내고 복국장공주, 조국장공주에 이어 제3비로 기록되었다.
충숙왕 사후 영안궁(永安宮)에서 지냈다. 1339년(충혜왕 복위 원년) 충혜왕은 경화공주를 위해 음력 5월과 음력 7월에 각각 영안궁에서 잔치를 베풀었다[14][15]. 음력 8월 경화공주가 답례 연회를 베풀었을 때, 충혜왕은 연회가 끝난 후에도 술에 취한 척하며 나가지 않고 있다가 경화공주를 강간하였다[16].
다음날 경화공주는 이 일을 치욕스럽게 느끼고 원나라로 돌아가기 위해 말을 사들이려 했으나, 충혜왕이 이엄과 윤계종(희비 윤씨의 아버지) 등에게 명하여 마시장을 열지 못하게 하여 원나라로 돌아가지 못했다.
얼마 후 이 일을 알게 된 원나라는 사신 두린 등을 고려에 파견하여 경화공주에게 황제가 하사한 술을 올리고 충혜왕의 옥새를 빼앗아 공주에게 넘겼으며[19], 충혜왕은 원나라로 압송되었다. 이후 경화공주는 정사를 처결하였다[20].
1344년(충목왕 즉위년) 음력 6월 15일에 사망했다[21]. 같은 해 음력 9월 18일에 장례를 치렀으며[22], 호는 '''경화공주'''이다. 1367년(공민왕 16년) 음력 1월 10일 원나라에서 '''숙공휘령공주'''(肅恭徽寧公主)의 시호를 내렸다[23].
충숙왕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으며, 능은 어디 있는지 알 수 없다.
2. 1. 가계와 왕비 책봉
원나라 출신으로, 이름은 '''백안홀도'''(伯顔忽都)이다. 고려로 시집 온 다른 원나라 황족들과는 달리 가계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다만 당시 백안(伯顔) 가문이 원나라 귀족 가문이었기 때문에, 경화공주 역시 귀족 출신일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12]. 일설에는 경화공주가 조국장공주와 자매 혹은 이복자매로 위왕 아목가의 딸이라는 설이 있다.1332년(충숙왕 복위 원년) 당시 원나라에 체류중이던 충숙왕과 결혼하여[11] 1333년(충숙왕 복위 2년) 음력 3월에 고려로 들어왔다[13]. 충숙왕에게는 고려인 공원왕후 등의 부인이 있었지만, 경화공주도 몽골 출신이라는 이유로 명덕태후 등을 밀어내고 복국장공주, 조국장공주에 이어 제3비로 기록되었다.
경화공주의 가계에 대한 수수께끼가 많지만, 당시 "백안(伯顔)" 씨족은 귀족이었으므로 경화공주는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것으로 여겨진다. 모리히라 마사히코는 경화공주가 조국공주, 즉 충숙왕의 부인의 자매 또는 이복 자매였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1325년 언니가 사망한 후 경화공주는 언니의 남편과 결혼했는데, 이는 왕이 원나라에 머물던 1330년에서 1333년 사이, 그리고 그들이 고려로 돌아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2. 2. 충숙왕 사후
충숙왕 사후 영안궁(永安宮)에서 지냈다. 1339년(충혜왕 복위 원년) 충혜왕은 경화공주를 위해 음력 5월과 음력 7월에 각각 영안궁에서 잔치를 베풀었다[14][15]. 경화공주도 음력 8월 그 답례를 베풀었는데, 이 날 충혜왕은 연회가 끝난 후에도 술에 취한 척하며 나가지 않고 있다가 경화공주를 강간하였다[16]. 당시 충혜왕은 경화공주가 저항하자 송명리 등을 시켜 공주를 붙잡고 움직이지 못하게 하였다. 충혜왕은 경화공주 외에도 부왕 충숙왕의 제4비인 수비 권씨, 외숙 홍융의 처 황씨를 강간하는 등 패륜적인 행위를 일삼았다[17].이 일이 있은 다음날 경화공주는 이 일을 치욕스럽게 느끼고 원나라로 돌아가기 위해 말을 사들이려 했으나, 충혜왕이 이엄과 윤계종(희비 윤씨의 아버지) 등에게 명하여 마시장을 열지 못하게 하여 원나라로 돌아가지 못했다. 그러자 경화공주는 심왕파이던 조적에게 자신이 강간당한 일을 알렸고, 충혜왕을 몰아낼 절호의 기회로 생각한 조적이 경화공주 편에 서서 군사를 모으는 바람에 연경궁의 충혜왕 일파와 영안궁의 경화공주 일파 사이에서 전투가 벌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적은 이때 충혜왕에게 살해되었다[18]. 얼마 후 이 일을 알게 된 원나라가 사신 두린 등을 고려에 파견하여 경화공주에게 황제가 하사한 술을 올리고 충혜왕의 옥새를 빼앗아 공주에게 넘겼으며[19], 충혜왕은 원나라로 압송되었다. 이후 경화공주는 정사를 처결하면서 충혜왕의 총신이었던 찬성사 정천기를 정동성에 가두고, 김지겸을 권정동성에, 김자를 제조도첨의사사에 임명하였다[20].
2. 3. 사망과 후손
경화공주는 1344년(충목왕 즉위년) 음력 6월 15일에 사망했다[21]. 같은 해 음력 9월 18일에 장례를 치렀으며[22], 호는 '''경화공주'''이다. 1367년(공민왕 16년) 음력 1월 10일 원나라에서 '''숙공휘령공주'''(肅恭徽寧公主)의 시호를 내렸다[23].충숙왕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으며, 능은 어디 있는지 알 수 없다.
3. 가족 관계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서적
Goryeosa
[2]
서적
Goryeosa
[3]
서적
Goryeosa
[4]
서적
Goryeosa
[5]
서적
Goryeosa
[6]
서적
Goryeosa
[7]
논문
[8]
논문
[9]
인용
[10]
서적
《고려사》 권37 〈세가〉 권37 - 충목왕 즉위년 6월 임신(壬申) 기사
[11]
웹인용
《동사강목》권13하 1332년
https://web.archive.[...]
2018-11-12
[12]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2000-03-25
[13]
서적
《고려사》권35〈세가〉권35
[14]
서적
《고려사》권36〈세가〉권36
[15]
서적
《고려사》권36〈세가〉권36
[16]
서적
《고려사》권36〈세가〉권36
[17]
웹인용
《동사강목》제13하 1339년
https://web.archive.[...]
2018-11-12
[18]
서적
《신돈과 그의 시대》, 김창현
http://book.naver.co[...]
[19]
뉴스
아들에게 겁탈당한 몽골 출신 고려왕비는?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7-06-29
[20]
서적
《고려사》권89〈열전〉권2- 충숙왕 후비 경화공주
[21]
서적
《고려사》권37〈세가〉권37
[22]
서적
《고려사》권37〈세가〉권37
[23]
서적
《고려사》권41〈세가〉권4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