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무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무가는 1280년 이전에 출생한 원나라 황족으로, 회왕 다르마발라와 고려 출신 궁녀 곽씨의 아들이다. 원 무종에 의해 위왕에 봉해졌으며, 원 인종으로부터 식읍을 하사받았다. 1323년 영종 암살 이후 예순 테무르가 즉위하면서 소환되었으나, 1324년에 사망했다. 그의 아들 베이르테무르는 고려 공민왕의 비 노국대장공주의 아버지이며, 딸 조국장공주는 고려 충숙왕의 왕비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나라 사람 - 주진형 (원나라)
    주진형은 원나라 시대의 의학자로, 유학적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자음강화 및 상화 이론을 정립하여 인체의 음양 균형을 강조했으며, 《단계심법》 등의 저서를 통해 후대 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324년 사망 - 마르코 폴로
    마르코 폴로는 13세기 후반 몽골 제국 시대에 아시아를 탐험한 베네치아 출신 상인이자 탐험가로, 아버지, 삼촌과 함께 약 24년간 중국을 포함한 극동 지역을 여행한 후 『동방견문록』을 남겨 유럽인의 아시아 인식 변화와 대항해시대에 기여했다.
  • 1324년 사망 - 고우다 천황
    고우다 천황은 가메야마 천황의 아들로 8세에 즉위하여 1274년부터 1287년까지 재위하며 몽골의 원정을 겪었고, 이후 상황으로서 인세이를 통해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학문과 예술에 능했으나 말년에는 불교에 심취하여 비판받기도 했다.
아무가
기본 정보
원어 이름阿木哥
민족몽골족
국적중국
출생지내몽골 자치구 시린궈러 맹(錫林郭勒盟) 둥우주무친 기(東烏珠穆沁旗)
직업가수, 배우
활동 시기2011년 - 현재
기타 정보
관련 활동톈위치(田育臣)

2. 생애

아무가는 쿠빌라이 카안의 손자 다르마발라와 곽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곽씨는 쿠빌라이가 다르마발라에게 하사한 여시녀였다.[1] 다르마발라가 콘기라트 출신 다기를 정후로 맞아 카이산과 아유르바르와다를 낳았기 때문에, 아무가는 서장자로 취급받았다.[1]

올제이투 카안 즉위 후, 카이두가 대원 울루스에 공세를 펼치자 아무가는 사령관으로 참전, 1302년 11월 선사군을 이끌고 하서 지방의 영하로 향했다.[2] 이는 안서왕 아난다 군이 빠진 하서 방면의 대비로 파견된 것이었다.[3] 이 공으로 1306년 8월 3천 정을 하사받았다.[4]

데시 황태자 사후, 올제이투 카안이 후사 없이 죽자 다르마발라의 아들들이 후계자로 부상했다. 황후 불간 하툰은 아난디를 즉위시키려 했으나, 아유르바르와다의 쿠데타와 카이산의 즉위로 다르마발라 가계가 중시되었다. 1311년 아유르바르와다는 "짐과 아무가는 이복 형제인데, 짐이 [아무가를] 돕지 않으면 그는 누구를 의지해야 하겠는가"라며 은 2만 정을 하사했다.[5] 1312년에는 경원로 정해현 6만 5천 호를 하사받았고,[6] 이후에도 정기적으로 하사를 받았다.[7][8][9][10]

1317년 윤정월, 죄에 연루되어 탐라 (제주도)로 유배되었고, 대청도로 이송되었다.[11] 1318년 6월, 술사 조자옥이 위왕부 사마에게 아무가의 이름이 도참에 응한다며 거병을 계획했으나, 산동 이진현에서 발각되어 주살되었다.[12]

1323년 영종 시데바라 암살 후, 다르마발라 자손 중 카이산의 아들들과 아무가가 남았지만, 콘기라트 출신이 아닌 이유로 구신들에 의해 배제되어 진왕 예순 테무르가 즉위했다. 같은 해 10월, 아무가는 고려에서 소환되었다.[13]

1324년 정월, 봉지인 대동으로 돌아갔지만,[14] 같은 해 6월에 사망했다.[15] 아무가의 딸은 고려 충숙왕에게 시집간 금동경화공주이며, 손녀는 고려 공민왕의 왕비 노국대장공주이다.

2. 1. 어린 시절

아무가는 1280년 이전에 출생하였으나 정확한 생년월일은 전해지지 않는다. 쿠빌라이 카안의 손자이자 황태자 다르마발라와 시비 곽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곽씨는 고려 출신 궁녀로 추정되며, 다르마발라가 장성하였을 때 쿠빌라이 칸이 하사하였다.[1] 아무가는 다르마발라의 첫 아들이었으나, 곽씨의 낮은 신분 때문에 정실부인이 되지 못하고 서출로 취급되어 칸위를 상속받지 못했다.

2. 2. 위왕 책봉

1302년 에무게는 중앙아시아에서 카이두가 원나라를 공격할 때, 군사를 이끌고 사령관으로 출정하여 카이산과의 전투에 참여했다.[2] 같은 해 11월 하서(河西) 영하(宁夏)의 선사군(善射军)이 에무게의 휘하에 예속되었다.[2] 하서 지방에서 카이두 군을 격퇴한 뒤, 안서왕 아난다의 군사를 대신하여 하서 영하에 주둔했다.[3]

원 성종 사후, 다르마발라의 정궁인 다기는 에무게를 헐뜯고 고려로 유배 보냈다. 원 무종 (퀼리그 칸 카이산) 즉위 후, 에무게는 소환되어 위왕(魏王)에 봉해지고 수뉴금인(兽纽金印)을 하사받았다.[5] 원 인종은 에무게를 이복형제로서 각별히 대우하며, (钞) 2천 정을 내리고 다른 전례에 구애받지 않게 하였다.[5] 1311년 원 인종은 에무게에게 식읍 2만 호를, 1312년에는 경원로(庆元路) 정해현(定海县) 65,000호를 식읍으로 하사받았다.[6]

2. 3. 유배와 복귀

1311년 경원로(慶元路) 정해현(定海县) 65,000호를 식읍으로 하사받았으나, 얼마 안 되어 죄를 지어 고려의 탐라(제주도)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고려의 대청도로 옮겨졌다.[17]

1317년 술사 조자옥(赵子玉)이 위왕부의 사마(司马)인 조탈불태(曹脱不台) 등에게, 에무게의 이름이 도참(图谶)에 응한다며(그에게 왕이 될 기운이 있다고) 몰래 병기와 갑옷, 깃발과 북을 갖추어 두고 배편으로 대청도로 가서 에무게를 맞이해서 대도로 들이고 난을 일으키려 하였으나,[18] 에무게는 조자옥 등의 황제 추대 제의를 거절하고 만나주지 않았다. 조자옥, 조탈불태 등이 이진(利津)에 이르렀을 때 일이 발각되어 조자옥 등은 주살되었고,[19] 에무게도 1318년 고려로 유배되었다. 그 해 어떤 이유로 영지와 왕인(도장)을 압수당했다.

1323년 소환되어[20] 대동으로 옮겨졌다.

2. 4. 생애 후반

1323년, 영종 시디발라 케겐 칸이 암살된 후, 다르마발라의 후손 중 유력한 칸위 계승 후보였으나, 알 수 없는 이유로 배제되었다. 콘기라트 출신이 아니라는 점이 불리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13] 결국 진왕 예순 테무르가 칸으로 추대되었다.

예순 테무르 즉위 후, 태정 원년(1324년)에 아무가를 소환하여 궐로 오도록 하였다. 그해 1월 봉지 다퉁을 떠나 입경했지만,[14] 같은 해 5월에서 6월 사이에 사망하였는데, 사망 원인은 기록에 등장하지 않는다.[15] 시호는 전해지지 않는다.

3. 가족 관계

아무가는 쿠빌라이 칸의 여시녀였던 어머니 곽씨와 다르마발라 사이에서 태어났다. 다르마발라가 콘기라트 출신 다기를 정후로 맞아 카이산과 아유르바르와다를 낳았기 때문에, 아무가는 서장자로 취급받았다.[1]

아무가의 딸은 고려 제27대 왕 충숙왕에게 시집간 금동 (조국장공주)과 경화공주이며, 손녀는 고려 제31대 왕 공민왕의 왕비 노국대장공주이다.

『원사』 종실 세계표에 따른 아무가의 가계도는 다음과 같다.

위왕 아무가(Amuγa, 阿木哥)
토크・부카 대왕(Toq-buqa, 脱不花)
만지 대왕(Manzi, 蛮子)
서정왕 아르크(Aruq, 阿魯)
위왕 보로토・테무르(Bolot-temür, 孛羅帖木児)
탕구타이 왕(Tanγutai, 唐兀台)
다르마시리 왕(Darmaširi, 答児蛮失里)
보로토 대왕(Bolot, 孛羅)


3. 1. 자녀

3. 2. 고려 왕실과의 인연

고려 충숙왕조국장공주공민왕노국대장공주는 각각 아무가의 딸과 손녀이다.[1] 그러나 조국장공주는 자녀를 낳지 못했고, 노국대장공주의 아들은 일찍 사망하여 고려 왕위를 계승하지 못했다.[1] 아무가의 또 다른 딸 경화공주충숙왕에게 시집갔다.[14][15]

참조

[1] 서적 元史
[2] 서적 元史
[3] 논문 杉山2004
[4] 서적 元史
[5] 서적 元史
[6] 서적 元史
[7] 서적 元史
[8] 서적 元史
[9] 서적 元史
[10] 서적 元史
[11] 서적 高麗史
[12] 서적 元史
[13] 서적 高麗史
[14] 서적 元史
[15] 서적 元史
[16] 서적 고려사
[17] 서적 고려사
[18] 서적 원사
[19] 서적 원사
[20] 서적 고려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