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숙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숙왕은 고려의 제27대 왕으로, 충선왕의 둘째 아들이다. 원나라의 간섭 속에서 왕위를 이어받아 개혁을 시도했으나 권세가의 반발로 어려움을 겪었다. 심양왕 왕고의 왕위 찬탈 시도와 원나라의 압력으로 인해 여러 차례 위기를 겪었으며, 아들 충혜왕에게 양위하기도 했다. 말년에는 충혜왕의 실정으로 다시 복위했으나, 정사를 돌보지 않고 사냥과 음주에 빠져 지내다 사망했다. 재위 기간 중 바티칸과의 접촉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아들로 충혜왕, 공민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충숙왕 - 경포대
경포대는 강릉시에 위치한 관동팔경 중 하나인 누정으로, 여러 이건과 중수를 거쳐 현재의 팔작지붕 건물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내부에는 다양한 시문 현판이 걸려 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명승지이다. - 고려 충숙왕 - 백상루
백상루는 안주성의 지휘소로 사용된 누각으로, 고려 시대 도자기 유물로 역사를 짐작할 수 있으며, 재건을 거쳐 2.23m 높이의 기단과 둥근 기둥, 팔작지붕의 구조적 특징을 지닌다. - 1294년 출생 - 쇼니 요리히사
쇼니 요리히사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규슈를 관할한 쇼니 씨의 5대 당주 쇼니 사다쓰네의 아들로, 겐코의 난과 겐무 신정에서 활약하고 아시카가 다카우지를 지지했으나, 세력 다툼과 패배로 은거하여 사망했다. - 1294년 출생 - 샤를 4세
샤를 4세는 카페 왕조의 마지막 프랑스 왕으로, 1322년부터 1328년까지 재위했으며, 잉글랜드와의 분쟁, 십자군 계획 등에 관여했고, 아들 없이 사망하여 카페 왕조의 직계 계승을 단절시켰다. - 원나라의 부마 - 충선왕
충선왕은 고려 제26대 왕으로 즉위 후 원나라 간섭 속에서 심양왕에 봉해졌으며, 고려와 심양을 동시에 통치하는 동군연합을 이루었으나 개혁 정치는 실패하고 티베트로 유배되었다. - 원나라의 부마 - 공민왕
공민왕은 고려의 제31대 왕으로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적인 개혁을 추진했지만, 친원 세력의 반발과 외세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개혁 정책과 신돈 등용을 통해 토지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시해당했다.
충숙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국왕 | 제27대 고려 국왕 |
칭호 | 국왕 |
원 간섭기 칭호 | 고려국 태상왕 |
휘 | 왕도 (王燾), 후에 왕만 (王卍) |
몽골 이름 | 아라트나시리 (Aratnashiri, 阿剌忒訥失里) |
시호 (고려) | 의효대왕(懿孝大王) |
시호 (원) | 충숙왕(忠肅王) |
생몰 기간 | 1294년 7월 30일 ~ 1339년 5월 3일 |
능묘 | 의릉(毅陵) |
통치 | |
즉위 | 1313년 4월 |
퇴위 | 1330년 2월 |
복위 | 1332년 3월 |
사망 | 1339년 5월 3일 (개경 침전) |
가족 관계 | |
부왕 | 충선왕 |
모후 | 의비 예쉬진 |
형제 | 광릉공, 덕흥군, 수춘옹주 |
왕후 | 공원왕후 홍씨 복국장공주 조국장공주 경화공주 |
자녀 | 3남 충혜왕 용산원자 공민왕 |
기타 정보 | |
몽골식 이름 | 아랄특눌실리 |
2. 생애
충선왕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원나라 출신인 의비이다. 모계에 관한 기록은 전무하다. 1299년 강릉군에 봉해졌고, 후에 강릉대군이 되었다. 아버지 충선왕을 따라 원의 궁정인 연경에서 자랐다. 친형이자 세자인 왕감이 충선왕과의 불화로 살해되자 후계자가 되었다. 1313년 4월, 고려 국왕으로 책봉되어 개경으로 돌아와 6월에 연경궁에서 즉위했다.[2]
1313년 아버지 충선왕이 왕위를 넘겨주면서 고려의 왕위에 올랐다. 하지만, 충선왕은 심양왕 자리를 조카 연안군 왕고에게 물려주었고, 왕고는 원나라 양왕(梁王)의 딸과 혼인해 원나라 부마의 대우를 받게 되면서 왕위 찬탈을 꾀했다. 이로 인해 고려 왕실과 심양왕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다.[2] 1321년 충숙왕은 원나라에 5년간 체류하였으며, 그때 왕인(王印)까지 빼앗기기도 했다.
1318년에는 탐라의 반란을 평정하고, 폐해가 많았던 사심관을 폐지했다. 재위 초에는 토지 겸병과 고리대금을 규제하거나, 원나라에 보내는 공녀의 수를 줄이는 등 개혁에 의욕을 보였으나, 권세가의 반발로 큰 효과를 얻지 못했다. 한편, 정비로 맞이한 보국공주와는 관계가 원만하지 못했고, 덕비 홍씨를 둘러싼 치정 다툼에 휘말린 보국공주가 병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1323년 시디바라가 암살되면서 올제이투의 계획은 중단되었다. 충선왕·충숙왕 부자에게 호의적이었던 태정제가 즉위하면서 상황이 일변하여 왕위를 지킬 수 있었다. 1325년 고려로 돌아왔으나, 오랫동안 국내를 비웠고, 같은 해에 재혼한 조국공주마저 난산으로 사망했기 때문에, 더 이상 정치에 흥미를 잃어버렸다. 1330년 아들 충혜왕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지만, 충혜왕이 원나라에 의해 폐위되면서 2년 만에 다시 복위되었다.
충숙왕은 만년에 정사를 방치한 채 사냥과 음주로 세월을 보냈다. 1339년 46세로 훙거(薨去)했다.[2][3]
2. 1. 초기 생애
1299년 강릉군에 봉해졌고, 후에 강릉대군이 되었다. 아버지 충선왕을 따라 원의 궁정인 연경에서 자랐다. 친형이자 세자인 왕감이 충선왕과의 불화로 살해되자 후계자가 되었다. 1313년 4월, 고려 국왕으로 책봉되어 개경으로 돌아와 6월에 연경궁에서 즉위했다.[2]2. 2. 즉위와 원나라의 간섭
1313년 아버지 충선왕이 왕위를 넘겨주면서 고려의 왕위에 올랐다. 충숙왕의 어머니는 원나라 출신인 의비였으나, 모계에 관한 기록은 전혀 남아있지 않다. 충숙왕은 강릉대군(江陵大君)으로 봉해졌으나 세자였던 형 왕감이 죽은 후 충선왕의 후계자가 되었다. 1314년 충선왕은 아들인 충숙왕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2] 1313년 4월, 고려 국왕으로 책봉되어 개경으로 돌아와 6월에 연경궁에서 즉위했다.하지만, 충선왕은 심양왕 자리를 조카 연안군 왕고에게 물려주었고, 왕고는 원나라 양왕(梁王)의 딸과 혼인해 원나라 부마의 대우를 받게 되면서 왕위 찬탈을 꾀했다. 이로 인해 고려 왕실과 심양왕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다.[2]
1321년 충숙왕은 사촌 형인 충숙왕이 주색과 사냥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는다며 참소한 심양왕 연안군 왕고 때문에 원나라에 5년간 체류하였으며, 그때 왕인(王印)까지 빼앗기기도 했다. 결국, 1321년에 원나라 황실로부터 명령을 받아 연경으로 소환되어 국왕의 인장을 압수당하기에 이르렀다.
1318년에는 탐라의 반란을 평정하고, 폐해가 많았던 사심관을 폐지했다. 재위 초에는 토지 겸병과 고리대금을 규제하거나, 원나라에 보내는 공녀의 수를 줄이는 등 개혁에 의욕을 보였으나, 권세가의 반발로 큰 효과를 얻지 못했다.
1323년 시디바라가 암살되면서 올제이투의 계획은 중단되었다. 충선왕·충숙왕 부자에게 호의적이었던 태정제가 즉위하면서 상황이 일변하여 왕위를 지킬 수 있었다.
2. 3. 복위와 말년
1325년 고려로 돌아온 충숙왕은 1330년 아들 충혜왕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지만, 충혜왕이 원나라에 의해 폐위되면서 2년 만에 다시 복위되었다.충숙왕은 만년에 정사를 방치한 채 사냥과 음주로 세월을 보냈다. 1339년 46세로 훙거(薨去)했다.[2][3]
3. 가족 관계
아버지 | 충선왕 |
---|---|
어머니 | 의비 야속진 |
할아버지 | 충렬왕 |
할머니 | 원나라 보르지긴 씨족 장목왕후 |
왕비와 후궁 | 복국대장공주, 조국대장공주, 경화공주, 공원왕후 홍씨, 수비 권씨 |
자녀 | 충혜왕, 용산원자, 공민왕 |
이복 형제 | 덕흥군 |
손자 | 충목왕, 충정왕, 우왕, 왕석기 |
손녀 | 장녕공주 |
- 조부: 충렬왕 - 고려 제25대 왕.
- 조모: 정순왕후 - 원 세조 쿠빌라이의 딸.
- 이복 동생: 덕흥군 왕혜 (1314년-1367년) - 원나라에 파견되는 일이 잦았으며, 지시로 고려를 침공하여 조카인 공민왕의 정권 탈취를 노렸으나 실패. 유배되어 유배지에서 사망.
3. 1. 부모
- 아버지: 충선왕
- 할아버지: 충렬왕
- 할머니: 원나라 보르지긴 씨족 장목왕후
- 어머니: 의비 야속진
3. 2. 왕비와 후궁
시호 | 본관 이름 | 생몰년 | 부모 | 비고 | |
---|---|---|---|---|---|
제1비 | 복국장공주 濮國長公主 | 이린지발 亦憐眞八刺 | ? - 1319년 | 에센테무르 也先帖木兒 ? | |
제2비 | 조국장공주 曹國長公主 | 금동 金童 | 1308년 - 1325년 | 에무게 阿木哥 ? | |
제3비 | 경화공주 慶華公主 숙공휘령공주 肅恭徽寧公主 | 바얀쿠투 伯顔忽都 | ? - 1344년 | ? | |
제4비 | 공원왕후 홍씨 恭元王后 洪氏 명덕태후 明德太后 | 남양 | 1298년 - 1380년 | 홍규 洪奎 삼한국대부인 김씨 三韓國大夫人 金氏 | 충선왕비 순화원비의 동생 |
제5비 | 수비 권씨 壽妃 權氏 | 안동 | ? - 1340년 | 권렴 權廉[11] |
3. 3. 자녀
이름 | 생몰년 | 생모 | 배우자 | 비고 |
---|---|---|---|---|
충혜왕 | 1315년 - 1344년 | 공원왕후 홍씨 | 덕녕공주, 정순숙의공주, 희비 윤씨 | 제28대 국왕 |
용산원자 | 1325년 - 1341년 | 조국공주 | 미상 | |
공민왕 | 1330년 - 1374년 | 공원왕후 홍씨 | 노국대장공주 | 제31대 국왕 |
4. 평가
충숙왕은 침착하면서도 결단력 있는 성격으로 예서의 달인이었다고 전해진다. 깨끗한 습관을 유지하여 목욕을 즐겼는데, 한 달에 항아리 10개 분량의 향료와 60여 장의 손수건을 사용할 정도였다.[5]
복위 후에는 왕궁을 떠나 지방이나 도성 밖에서 머무는 일이 잦았고, 대신들의 접견도 거절하는 경우가 많았다. 심왕 왕고 일파는 이러한 태도를 구실 삼아 원나라에 충숙왕이 정무를 제대로 돌보지 않는다고 고발했고, 원나라는 사신을 보내 진상을 조사했다. 충숙왕은 사신 앞에서 심왕 측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하며 그동안의 경위를 상세히 설명하여 사신을 감동시켰다.
아버지 충선왕은 정순왕후 소생의 혼혈이었고, 어머니 야속진은 순수한 몽골인이었기에 충숙왕은 고려 역대 왕들 중 몽골 혈통이 가장 짙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스스로 고려인이라는 자각이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1330년, 퇴위 직후 연경으로 가는 길에 황주에서 마침 귀국하던 아들 충혜왕과 만났다. 이때 충혜왕이 몽골 풍속에 따라 호례를 올리자, 충숙왕은 "네 아비가 모두 고려인인데, 어찌 나에게 호례를 올린다는 것이냐? 옷차림도 사치스럽구나"라며 크게 꾸짖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6]
5. 기타
충숙왕은 침착하면서도 결단력 있는 성격으로 예서에 능숙했다.[5] 평소 깨끗한 습관을 유지하여 목욕을 즐겼으며, 한 달에 항아리 10개 분량의 향료와 60여 장의 손수건을 사용했다.[5] 복위 후에는 왕궁을 떠나 지방이나 도성 밖에서 머무는 일이 잦았고, 대신들의 접견도 거절했다. 심왕 왕고 일파는 이를 구실로 원나라에 충숙왕이 정무를 볼 수 없다고 고발했고, 원나라는 사신을 파견하여 추궁했다. 이에 충숙왕은 사신에게 심왕 측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하고, 그동안의 경위를 설명하여 사신을 감동시켰다.
5. 1. 교황 요한 22세의 서한
1333년 교황 요한 22세가 충숙왕에게 서한을 보냈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 서한은 현존하지 않고, 고려에 전달되었는지도 알 수 없지만, 그 필사본이 남아서 현존하고 있다[13]. 서한의 내용에는 충숙왕이 고려 내 기독교 신자들에게 잘 대해주어서 고맙다는 감사의 말이 들어있었고, 이 때문에 고려에 소수지만 기독교인이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현재 고려 영토 내에 있었다는 기독교 신자들의 정체는 원나라를 방문한 로마 가톨릭의 선교사들로부터 세례를 받은 가톨릭교도이거나, 원나라를 통해 들어온 네스토리우스교 신자들의 후손이라고 여겨진다.바티칸에서 발견된 편지들은 충숙왕 재위 기간에 바티칸과 고려 간의 첫 번째 접촉이 시작되었음을 시사하며, 이는 스페인 가톨릭 사제 그레고리오 데 세스페데스가 고려의 후계 국가인 조선을 방문하기 261년 전의 일이다. 다만 일부 한국 연구자들은 이 편지가 위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2][3]
5. 2. 대중문화
2005년 MBC 드라마 ''직지''에서 이정길이 연기했다.[4]2013년~2014년 MBC 드라마 ''기황후''에서 권태원이 연기했다.[5]
5. 3. 성격
침착하면서도 결단력 있는 성격으로 예서의 달인이었다.[5] 깨끗한 습관을 유지하여 목욕을 즐겼으며, 한 달에 항아리 10개 분량의 향료와 60여 장의 손수건을 사용했다.[5] 복위 후에는 왕궁을 떠나 지방이나 도성 밖에서 머무는 일이 잦았고, 대신들의 접견도 거절했다. 심왕 왕고 일파는 이를 구실로 원나라에 충숙왕이 정무를 볼 수 없다고 고발했고, 원나라는 사신을 파견하여 추궁했다. 충숙왕은 사신에게 심왕 측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하고, 그동안의 경위를 설명하여 사신을 감동시켰다.아버지 충선왕은 정순왕후 소생의 혼혈이었고, 어머니 야속진은 순수한 몽골인이었다. 충숙왕은 고려 역대 왕들 중 몽골 혈통이 가장 짙었지만, 스스로 고려인이라는 자각이 강했다. 1330년, 퇴위 직후 연경으로 가는 길에 황주에서 귀국하던 아들 충혜왕과 만났다. 충혜왕이 몽골 풍속에 따라 호례를 올리자, 충숙왕은 "네 아비가 모두 고려인인데, 어찌 나에게 호례를 올린다는 것이냐? 옷차림도 사치스럽구나"라며 크게 화를 내며 질책했다.[6]
5. 4. 고려인으로서의 자각
충숙왕의 아버지 충선왕은 정순왕후 소생의 혼혈이었고, 어머니 야속진은 순수한 몽골인이었다. 고려 역대 왕들 중 몽골의 혈통이 가장 짙었음에도 불구하고, 충숙왕은 스스로 고려인이라는 자각이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1330년, 퇴위 직후 연경으로 여행을 떠나는 도중 황주에서 마침 귀국하던 아들 충혜왕과 만났다. 이때 충혜왕은 몽골 풍속에 따라 호례를 행했지만, 충숙왕은 "네 아비가 모두 고려인인데, 어찌 나에게 호례를 올린다는 것이냐? 옷차림도 사치스럽구나"라며 격노하여 충혜왕을 엄하게 질책한 일화가 있다.[6]참조
[1]
서적
事大與保國 ── 元明之際的中韓關係
https://books.google[...]
香港教育圖書公司
[2]
뉴스
[독자기고] 로마 교황이 고려 충숙왕에게 보낸 서신과 역사왜곡의 위험
https://news.koreada[...]
2024-02-02
[3]
뉴스
Manuscript of 14th Century Pope's Letter to Goryeo King Found
https://world.kbs.co[...]
2016-10-05
[4]
문서
Ratna Śrī
[5]
문서
고려사절요
[6]
문서
고려사
[7]
문서
고려사
[8]
문서
고려사
[9]
문서
고려사
[10]
서적
事大與保國 ── 元明之際の中韓關係
https://books.google[...]
香港教育圖書公司
[11]
문서
충혜왕비 화비 홍씨의 외조부
[12]
문서
조인규의 손녀
[13]
뉴스
교황, 1333년에 고려 충숙왕에게 서한 보냈다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6-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