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원왕후는 고려 충숙왕의 비이자 충혜왕과 공민왕의 어머니이다. 1298년에 태어나 남양 홍씨 홍규와 삼한국대부인 김씨의 딸로, 충선왕의 제5비 순화원비의 동생이다. 1313년 충숙왕과 혼인하여 덕비가 되었으며, 원나라 공주와의 갈등 속에서 두 아들을 낳았다. 충혜왕 즉위 후에는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공민왕의 개혁에 반대하며 신돈과 대립하기도 했다. 1380년에 사망했으며, 영릉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우왕 - 근비 이씨
고려 우왕의 왕비이자 창왕의 어머니인 근비 이씨는 이인임의 족질녀로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위화도 회군 이후 우왕과 창왕이 폐위되면서 불우한 삶을 살았고, 창왕 폐위 후의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 고려 우왕 - 이백유
이백유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공신으로, 이성계의 친척이자 이색의 문하생으로 조선 건국에 기여하여 개국공신에 책록되었으나, 왕자의 난 때 정도전의 당여로 몰려 유배되었다. - 1298년 출생 - 이방실
이방실은 고려 말기의 무신으로, 충목왕을 보좌하며 관직에 등용되었고 공민왕 때 홍건적 격퇴에 공을 세웠으나, 정세운 암살 사건 연루와 권력 암투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1298년 출생 - 이곡
이곡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편년강목』, 『삼조실록』, 『가정집』 편찬에 참여하고 몽고종 명문을 남겼으며, 『죽부인전』을 통해 절의를 묘사하고 '시사설'로 사회 비판 및 공녀 문제 해결에 노력했다. - 1380년 사망 - 호유용
호유용은 명나라 초 좌승상으로 권력을 남용하다 홍무제에 의해 역모죄로 처형되었고, 이 사건으로 재상 제도가 폐지되고 황제 중심의 독재 체제가 강화되었으며, 최근에는 사건 조작 가능성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 1380년 사망 - 샤를 5세
샤를 5세는 백년 전쟁 시기 섭정으로 즉위하여 에티엔 마르셀의 반란과 자크리의 난을 진압하고 잃었던 영토를 회복했으며, 상비군과 관료층을 확립하여 프랑스 절대왕정의 기초를 다졌다.
공원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공원왕후 |
휘 | 홍씨 (洪氏) |
시호 | 공원(恭元) |
존호 | 숭경왕태후(崇敬王太后) |
출생 | 1298년 8월 25일 (음력 7월 18일) |
사망 | 1380년 2월 12일 (음력 1월 6일) |
묘소 | 영릉(令陵) |
신분 | |
왕후 | 고려 왕후 |
왕태후 | 고려 왕태후 |
가계 | |
아버지 | 홍규 |
어머니 | 삼한국대부인 김씨 |
배우자 | 충숙왕 |
자녀 | 충혜왕 공민왕 |
혼인과 책봉 | |
혼인 | 1313년 |
책봉 | 덕비(德妃) |
왕후로서의 생애 | |
왕후 기간 | 1313년 ~ 1330년 (음력) |
복위 후 왕후 기간 | 1336년 ~ 1339년 (음력) |
왕태후로서의 생애 | |
왕태후 기간 | 미상 ~ 1380년 (음력) |
추가 정보 | |
가문 | 남양 홍씨 |
2. 생애
1332년(충숙왕 복위 원년) 충숙왕이 복위하면서 공원왕후도 개경으로 돌아왔다. 이후 장남 충혜왕은 덕경부(德慶府)를 설치해 공원왕후를 보살폈고, 공민왕 즉위 후에는 문예부(文睿府)로 이름을 바꾸고 대비(大妃)로 책봉했다.[6]
공원왕후는 신돈과 대립했고,[2] 공민왕의 급진적인 개혁 정책에 대해 자주 간언하였다. 특히 공민왕이 개혁 정책에 걸림돌이 되는 여러 신하를 죽이는 것을 보고 "죄 없는 사람을 왜 이렇게 많이 죽이며, 왕이 어린 나이도 아닌데 왜 신하에게 국정을 맡기는가"라고 하자, 공민왕은 "어째서 모후는 나의 허물 들춰내기를 이와 같이 하는가"라고 반문하며 원망하였다.[6]
이후 공민왕과 공원왕후는 사이가 멀어져 공민왕은 한동안 문안 인사조차 하지 않았다. 그러다 신돈이 죽고 공민왕이 '''숭경왕태후'''(崇敬王太后) 존호를 올리며 관계가 회복되는 듯했다. 그러나 공민왕이 우(禑)를 후사로 세우려 하자, 종실에서 적당한 인물을 왕위에 세우려 했던 공원왕후와 다시 대립했다.[6]
1365년(공민왕 14년) 노국대장공주 사후 실의에 빠진 공민왕에게 "어째서 다른 비빈들은 가까이 하지 않는가"라고 묻자, 공민왕은 "공주만한 이가 없다"고 답했다. 이에 공원왕후는 "사람이 죽고 사는 것은 당연한 이치인데 고작 그런 일로 애통해하는가, 다른 사람이 알고 비웃을까 두렵다"라고 하였다. 평소 공민왕의 허물을 자주 지적했기 때문에 공민왕은 공원왕후를 만나는 것을 달갑지 않게 여겼다.[6]
1380년(우왕 6년) 1월 6일 사망하였다. 시호는 '''공원'''(恭元)이며, 능은 영릉(令陵)이다. 공원왕후에 대한 제사는 1391년(공양왕 3년)에야 시행되기 시작하였다.[6]
2. 1. 초기 생애와 혼인
1298년(충렬왕 24년) 7월 18일, 남양부원군 홍규와 삼한국대부인 김씨 사이에서 다섯째 딸로 태어났다.[6] 언니는 충선왕의 제5비인 순화원비였다.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단정하다는 소문이 났으며, 1313년(충선왕 5년) 8월 충숙왕과 혼인하여 '''덕비'''(德妃)에 책봉되었다. 입궁 후에도 예법에 따라 행동을 신중히 하여 충숙왕의 사랑을 받았다.[6]1315년(충숙왕 2년) 첫째 아들 정(禎, 충혜왕)을 낳았다. 충렬왕 이후 고려 왕들은 원나라 황실과의 혼인 정책으로 인해 원나라 황족이나 귀족들과 강제로 결혼해야 했고, 이는 충숙왕도 예외가 아니었다. 당시 충숙왕과 가장 먼저 결혼한 부인은 공원왕후였음에도, 훗날 충숙왕과 결혼한 복국장공주나 조국장공주 등이 고려 왕실에 들어오면서 홍씨는 종실 정안공의 집으로 나가서 지내야 했다. 하지만 충숙왕은 홍씨를 매우 사랑하여 매일 밤마다 궁을 나와 정안공의 집에서 거처하였는데, 이 때문에 복국장공주는 당시 덕비였던 홍씨를 매우 미워했다고 한다.
1318년 8월, 충숙왕과 홍씨, 복국장공주 등은 연경궁(延慶宮)으로 행차하여 연회를 즐겼다. 이때 충숙왕이 홍씨만을 가까이 하자 이에 질투심을 느낀 복국장공주는 충숙왕과 싸움이 붙었고, 이는 결국 충숙왕이 복국장공주를 구타하는 사태로 번져버렸다.[6] 결국 복국장공주는 1319년(충숙왕 3년)에 어린 나이로 급사했고, 뒤이어 1325년(충숙왕 12년)에는 조국장공주마저 산욕으로 사망하면서 충숙왕과 홍씨 사이는 더욱 깊어지게 되었다.
1330년(충숙왕 17년) 홍씨는 둘째 아들 기(祺, 공민왕)를 낳았다. 하지만 이 해 충숙왕이 왕위를 아들 정(충혜왕)에게 선위하면서, 홍씨와 충숙왕 사이에 조금씩 금이 가기 시작했다. 당시 신하들이 충숙왕과 홍씨를 이간질하는 말을 충숙왕이 그대로 믿어버리는 바람에, 그녀는 고향으로 추방되고 아들과의 대면도 금지되었다.
1332년(충숙왕 복위 원년) 충숙왕이 다시 복위하면서 그녀도 개경으로 돌아왔다.
2. 2. 원나라와의 관계와 갈등
충렬왕 이후 고려 왕들은 원나라 황실의 혼인 정책으로 인해 원나라 황족이나 귀족들과 강제로 결혼해야 했으며, 충숙왕도 예외는 아니었다. 충숙왕과 가장 먼저 결혼한 부인은 공원왕후였지만, 훗날 충숙왕과 결혼한 복국장공주나 조국장공주 등이 고려 왕실에 들어오면서 공원왕후는 종실 정안공의 집으로 나가서 지내야 했다.[6]하지만 충숙왕은 공원왕후를 매우 사랑하여 매일 밤마다 궁을 나와 정안공의 집에서 거처하였는데, 이 때문에 복국장공주는 당시 덕비였던 공원왕후를 매우 미워했다고 한다.[6]
1318년 8월, 충숙왕과 공원왕후, 복국장공주 등은 연경궁(延慶宮)으로 행차하여 연회를 즐겼다. 이때 충숙왕이 공원왕후만을 가까이 하자 이에 질투심을 느낀 복국장공주는 충숙왕과 싸움이 붙었고, 이는 결국 충숙왕이 복국장공주를 구타하는 사태로 번져버렸다. 결국 복국장공주는 1319년(충숙왕 3년)에 어린 나이로 급사했고, 1325년(충숙왕 12년)에는 조국장공주마저 산욕으로 사망하면서 충숙왕과 공원왕후 사이는 더욱 깊어지게 되었다.[6]
2. 3. 충숙왕과의 갈등
1313년(충선왕 5년) 8월 충숙왕과 혼인하여 '''덕비'''(德妃)에 책봉되었다. 그녀는 입궁 전부터 총명하고 단정하였다고 소문이 났는데, 입궁 후에도 예법에 따라 행동을 신중히 하여 충숙왕의 사랑을 받았다.[6]충렬왕 이후 고려 왕들은 원나라 황실의 혼인 정책으로 인해 원의 황족이나 귀족들과 강제로 결혼을 해야만 했고, 그것은 충숙왕도 예외가 아니었다. 당시 충숙왕과 가장 먼저 결혼한 부인은 공원왕후였음에도, 훗날 충숙왕과 결혼한 복국장공주나 조국장공주 등이 고려 왕실에 들어오면서 홍씨는 종실 정안공의 집으로 나가서 지내야 했다.
하지만 충숙왕은 홍씨를 매우 사랑하여 매일 밤마다 궁을 나와 정안공의 집에서 거처하였는데, 이때문에 복국장공주는 당시 덕비였던 홍씨를 매우 미워했다고 한다.
1318년 8월, 충숙왕과 홍씨, 복국장공주 등이 연경궁(延慶宮)으로 행차하여 연회를 즐겼는데, 이때 충숙왕이 홍씨만을 가까이 하자 이에 질투심을 느낀 복국장공주는 충숙왕과 싸움이 붙었고, 이는 결국 충숙왕이 복국장공주를 구타하는 사태로 번져버렸다.[6] 결국 복국장공주는 1319년(충숙왕 3년)에 어린 나이로 급사했고, 뒤이어 1325년(충숙왕 12년)에는 조국장공주마저 산욕으로 사망하면서 충숙왕과 홍씨 사이는 더욱 깊어지게 되었다.
1330년(충숙왕 17년) 홍씨는 둘째 아들 기(祺, 공민왕)을 낳았다. 하지만 이 해 충숙왕이 왕위를 아들 정(禎, 충혜왕)에게 선위하면서, 홍씨와 충숙왕과의 사이에 조금씩 금이 가기 시작한다. 당시 신하들이 충숙왕과 홍씨를 이간질하는 말을 충숙왕이 그대로 믿어버리는 바람에, 그녀는 고향으로 추방되고 아들과의 대면도 금지되었다.[6]
2. 4. 아들들의 즉위와 정치적 영향력
1330년(충숙왕 17년) 홍씨는 둘째 아들 기(祺, 공민왕)를 낳았다.[6] 하지만 이 해 충숙왕이 왕위를 아들 정(禎, 충혜왕)에게 선위하면서, 홍씨와 충숙왕과의 사이에 조금씩 금이 가기 시작했다. 당시 신하들이 충숙왕과 홍씨를 이간질하는 말을 충숙왕이 그대로 믿어버리는 바람에, 그녀는 고향으로 추방되고 아들과의 대면도 금지되었다.[6]1332년(충숙왕 복위 원년) 충숙왕이 다시 복위하면서 그녀도 개경으로 돌아왔다. 이후 장남 충혜왕은 그녀를 위해 덕경부(德慶府)를 설치했고, 공민왕이 즉위하면서 그 이름을 문예부(文睿府)로 고쳤다. 이와 동시에 그녀는 대비(大妃)에 책봉되었다.[6]
그녀는 신돈과 대립관계에 있었고,[2] 공민왕의 급진적인 개혁정책에 대해 자주 간언을 하였다. 특히 공민왕이 개혁정책에 걸림돌이 되는 여러 신하를 죽이는 것을 보고 홍씨는 '죄없는 사람을 왜 이렇게 많이 죽이며, 왕이 어린나이도 아닌데 왜 신하에게 국정을 맡기는가'라고 간하자, 공민왕은 '어째서 모후는 나의 허물 들춰내기를 이와같이 하는가?'라고 반문하며 홍씨를 원망하였다.[6]
이후 공민왕과 홍씨는 사이가 멀어져 공민왕은 한동안 홍씨에 대한 문안인사조차도 하지 않았다. 그러다 신돈이 죽고 공민왕이 홍씨에게 '''숭경왕태후'''(崇敬王太后)의 존호를 올리며 그 관계가 가까스로 회복되었다. 그러나 공민왕이 자신의 후사를 우(禑, 우왕)로 세우려 하면서, 종실 중에 적당한 인물을 왕위에 세우려 했던 홍씨와 다시 대립관계가 형성되었다.[6]
1365년(공민왕 14년) 왕비 노국대장공주가 죽고난 후 실의에 빠져있던 공민왕에게 '어째서 다른 비빈들은 가까이 하지 않는가?'라고 묻는 홍씨에 대해 공민왕이 '공주만한 이가 없다.' 고 하자, 홍씨는 '사람이 죽고 사는 것은 당연한 이치인데 고작 그런 일로 애통해하는가, 다른 사람이 알고 비웃을까 두렵다.'라고 한 적도 있다. 이런 식으로 그녀는 평소 공민왕에 대해 그의 허물을 자주 지적하였고, 이때문에 공민왕이 홍씨를 만나는 것을 달갑지 않게 여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공민왕은 자신의 허물을 알고 있는 궁인이나 환관들에게 홍씨에게는 아무 말도 하지 말 것을 명령하기도 했다.[6]
충혜왕 재위 기간 동안 그녀의 거처는 덕경부(德慶府)로 불렸지만, 공민왕 재위 기간 동안 문예부(文睿府)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또한 그의 명령에 따라 그녀는 '''대비'''로 격상되었고, 이후 숭경부(崇敬府)에 머무르면서 새로운 존칭인 '''숭경왕태후'''(崇敬王太后)를 받았다.[1]
신돈이 처형되자 그녀와 아들의 관계는 개선되었다.[1] 공민왕 사후, 그녀의 손자인 우왕이 왕위에 올랐다. 1376년, 소년의 생모이자 신돈의 노비였던 반야가 왕의 어머니로 인정받지 못하는 것에 항의하기 위해 그녀의 거처에 몰래 들어왔다. 홍씨 부인은 그 여자를 쫓아냈고, 나중에 그 여자를 임진강에 던졌다.[1]
2. 5. 사망
1380년(우왕 6년) 1월 6일에 사망했다. 시호는 '''공원'''(恭元)이며, 능은 영릉(令陵)이다. 공원왕후에 대한 제사는 1391년(공양왕 3년)에야 시행되기 시작하였다.[6]3. 가족 관계
아버지 | 홍규 (1242년 ~ 1316년) |
---|---|
어머니 | 광주군대부인 김씨 (1258년 ~ 1339년) |
남편 | 충숙왕 (1294년 ~ 1339년) |
시아버지 | 충선왕 (1275년 ~ 1325년) |
시어머니 | 의비 야속진 (? ~ 1316년) |
장남 | 충혜왕 (1315년 ~ 1344년) |
며느리 | 이련진반 |
손자 | 충목왕 |
며느리 | 희비 윤씨 |
손자 | 충정왕 |
차남 | 공민왕 (1330년 ~ 1374년) |
며느리 | 노국대장공주 |
4. 대중 매체에서
참조
[1]
서적
Goryeosa
http://db.history.go[...]
2021-02-24
[2]
서적
한국時代劇で学ぶ人物大事典
[3]
서적
고려사
[4]
서적
고려사
[5]
서적
고려사
[6]
웹사이트
홍규묘지명
http://gsm.nricp.go.[...]
[7]
문서
홍규묘지명
[8]
문서
홍규처김씨묘지명
[9]
문서
유홍의 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