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계양구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양구의 행정 구역은 12개의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효성동, 계산동, 작전동, 계양동으로 나뉜다. 효성동은 효성1동과 효성2동으로, 계산동은 계산1동, 계산2동, 계산3동, 계산4동으로, 작전동은 작전1동, 작전2동, 작전서운동으로, 계양동은 계양1동, 계양2동, 계양3동으로 구성된다. 계양구는 고구려 시대에 주부토군으로 시작하여 고려 시대에는 계양도호부, 조선 시대에는 부평도호부로 불렸으며, 일제강점기를 거쳐 1995년 부평구에서 분구되어 인천광역시 계양구로 신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계양구의 행정 구역 - 계산동 (인천)
    계산동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여러 교육 시설과 계산역, 경인교대입구역 등 교통 시설, 그리고 다양한 편의 시설과 아파트 단지를 포함한다.
  • 인천 계양구의 행정 구역 - 계양동 (인천)
    계양동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속하는 행정 구역이며, 1989년 인천직할시에 편입되어 설치되었고, 1992년과 2015년에 동이 분동되었으며, 경인 아라뱃길, 계산택지, 계양산전통시장, 계양테크노밸리 등이 위치하고, 다양한 학교와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인천광역시의 구군별 행정 구역 - 남동구의 행정 구역
    남동구의 행정 구역은 20개의 행정동과 11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88년 남구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후 행정동의 분동 및 합병을 거쳐 현재에 이른다.
  • 인천광역시의 구군별 행정 구역 - 강화군의 행정 구역
    강화군의 행정 구역은 인천광역시의 군으로, 강화읍을 중심으로 1읍 12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이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계양구의 행정 구역
개요
구청 소재지계양구 계산새로88번길 8 (계산동)
면적45.66km²
인구283,473명 (2023년 12월)
인구 밀도6,208명/km²
행정 구역
행정동11개
법정동8개
정치
구청장윤환 (국민의힘)
국회의원갑: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을: 이형섭 (국민의힘)
지역 정보
우편 번호21069 ~ 21149
지역 전화 번호032

2. 행정 구역

계양구는 1995년 3월 1일 인천광역시 부평구에서 분구되어 설치되었다.[2] 계양구는 19개의 법정동을 12개의 행정동으로 관리하고 있다.

2. 1. 행정동

행정동한자인구면적(km²)
효성1동曉星洞33,9152.30
효성2동35,5342.69
계산1동桂山洞24,6601.57
계산2동19,4551.69
계산3동24,2980.46
계산4동23,5750.83
작전1동鵲田洞33,4000.82
작전2동29,0460.98
작전서운동鵲田-瑞雲洞36,2343.79
계양1동桂陽洞42,33925.93
계양2동41,9154.52
계양3동

2. 2. 법정동

계양구의 법정동은 1995년 3월 1일 부평구에서 분구되면서 설치되었다.[2]

법정동설명
효성동(曉星洞)부평군 마장면 효성리 지역으로, 원적산 밑에 큰 벼랑이 있어 새벼리 또는 효성이라고 하였다. 1914년에 부천군 부내면에 편입되었고, 1940년에 인천부에 편입되어 서정(曙町)으로 개칭하였다. 1946년에 효성동으로 개칭하였고, 1995년 3월 1일 계양구에 편입되었다.[2]
계산동(桂山洞)
작전동(鵲田洞)
서운동(瑞雲洞)
박촌동(朴村洞)
노오지동(老梧地洞)
선주지동(仙住池洞)
이화동(梨花洞)
오류동(梧柳洞)
갈현동(葛峴洞)
둑실동(纛室洞)
목상동(木霜洞)
다남동(多男洞)
장기동(場基洞)
임학동(林鶴洞)
용종동(龍宗洞)
병방동(兵房洞)
방축동(放築洞)
귤현동(橘峴洞)
동양동(東陽洞)
상야동(上野洞)
하야동(下野洞)
평동(坪洞)


3. 역사

계양구는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여러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다. 470년 고구려가 주부토군을 설치하였고,[1] 757년 통일신라는 장제군으로,[2] 1215년 고려는 계양도호부로,[3] 1413년 조선은 부평도호부로 이름을 바꾸었다.[4]

1914년 일제강점기에 부천군 부내면에 편입되었다가, 1940년 인천부에 편입되었다. 1949년 인천시로 개칭된 후, 1968년 북구가 설치되었다. 1981년 인천직할시로 승격되었고, 1989년 김포군 계양면이 북구 계양동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동 분동을 거쳐 1995년 인천광역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 3월 1일 부평구에서 분구되어 인천광역시 계양구가 신설되었다.[2] 이후 행정동 통합 및 분동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1. 고대 ~ 조선

3. 2. 일제강점기 ~ 현재

3. 3. 계양구 분구 이후

1995년 3월 1일 인천광역시 부평구에서 분구하여 '''인천광역시 계양구'''가 신설되었다.[2] (11행정동)

1998년 10월 31일 작전3동서운동작전서운동으로 통합하였다.[3] (10행정동)

2003년 3월 1일 계산3동계산3동, 계산4동으로 분동하였다.[4] (11행정동)

2015년 4월 1일 계양1동을 계양1동과 계양3동으로 분동하였다.[5] (12행정동)

참조

[1] 웹사이트 계양구 2012년 통계연보 http://www.gyeyang.g[...] 2012-07-30
[2] 법률 서울특별시 광진구등9개자치구설치및특별시·광역시·도간관할구역변경등에관한법률 법률 제4802호 1994-12-22
[3] 법령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구조례 제208호 1998-10-30
[4] 법령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구조례 제417호 2003-02-28
[5] 법령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 정수 조례 구조례 제920호 2015-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