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화군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화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2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화읍이 군의 중심지이다. 각 면은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간직하고 있으며, 여러 개의 법정리로 나뉜다. 강화군은 선사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역사를 간직한 곳으로, 구석기 시대 유물부터 고인돌, 마니산 참성단 등 다양한 유적을 포함한다. 475년 고구려 때 혈구군으로 개칭된 이후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995년 인천광역시로 편입되어 현재에 이른다.

2. 행정 구역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행정 구역은 1개 읍과 12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화군 전체 면적은 411.27km2이며, 총 인구는 66,860명, 총 세대 수는 29,242세대이다.



각 읍면의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강화읍

강화군의 중심지이며, 강화군청이 위치한 곳이다. 한자로는 江華邑|강화읍중국어으로 표기한다. 면적은 24.96km2이며, 인구는 22,600명, 세대 수는 9,374세대이다.

2. 2. 면

강화군에는 강화읍 외에 12개의 면이 있다.

2. 2. 1. 선원면, 불은면, 길상면, 화도면, 양도면, 내가면, 하점면, 양사면, 송해면, 교동면, 삼산면, 서도면

볼음출장소159256


3. 법정리

강화군의 행정 구역은 1개 과 12개 으로 구성되며, 각 읍·면은 여러 개의 법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읍·면은 강화도 본섬을 비롯하여 교동도, 석모도, 서검도, 미법도, 볼음도, 주문도, 아차도, 말도 등 여러 섬에 걸쳐 분포한다. 각 읍과 면에 속하는 구체적인 법정리 목록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강화읍

강화읍강화도에 위치하며, 다음의 9개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3. 2. 면

강화군에는 선원면, 불은면, 길상면, 화도면, 양도면, 내가면, 하점면, 양사면, 송해면, 교동면, 삼산면, 서도면의 12개 면이 있다. 이들 면은 강화도 본섬을 비롯하여 교동도, 석모도, 서검도, 미법도, 볼음도, 주문도, 아차도, 말도 등 여러 섬에 걸쳐 분포하며, 각각 다수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3. 2. 1. 선원면, 불은면, 길상면, 화도면, 양도면, 내가면, 하점면, 양사면, 송해면, 교동면, 삼산면, 서도면

wikitext

법정리
선원면금월리, 연리, 지산리, 신정리, 창리, 선행리, 냉정리강화도
불은면두운리, 삼성리, 삼동암리, 고릉리, 오두리, 신현리, 덕성리, 잉성리
길상면온수리, 선두리, 동검리, 초지리, 장흥리, 길직리
화도면내리, 상방리, 문산리, 덕포리, 사기리, 동막리, 흥왕리, 여차리, 장화리
양도면하일리, 능내리, 건평리, 인산리, 삼흥리, 길정리, 도장리, 조산리
내가면고천리, 구하리, 오상리, 외포리, 황청리
하점면망월리, 삼거리, 신봉리, 부근리, 창후리, 이강리, 장정리, 신삼리
양사면철산리, 덕하리, 북성리, 교산리, 인화리
송해면솔정리, 신당리, 하도리, 양오리, 상도리, 숭뢰리, 당산리
교동면대룡리, 읍내리, 상룡리, 봉소리, 고구리, 동산리, 삼선리, 인사리, 지석리, 무학리, 난정리, 서한리, 양갑리교동도
삼산면석모리, 상리, 하리, 석포리, 매음리석모도
서검리서검도
미법리미법도
서도면볼음도리볼음도
주문도리주문도
아차도리아차도
말도리말도


4. 역사

1995년 3월 1일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로 편입된 강화도는 선사 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한반도의 역사가 깃든 중요한 지역이다. 하점면 장정리와 화도면 사기리·동막리 등지에서 구석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신석기 시대 유물 또한 섬 곳곳에서 확인되었다. 특히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인 지석묘(고인돌)가 하점면 부근리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80기 이상 발견되어, 오래전부터 이곳에 사람이 살았음을 보여준다.

단군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는 마니산 참성단과 그의 세 아들이 쌓았다는 전설이 깃든 정족산 삼랑성(정족산성)과 같은 유적은 강화도가 역사적으로 중요한 성지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하음 봉씨 시조의 천강 설화와 관련된 봉천대, 봉가지, 봉은사, 석조여래입상(일명 하음노구석상) 등의 유적도 이를 뒷받침한다.[2]

강화도의 행정 구역 명칭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상고시대 갑비고차를 시작으로 고구려,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혈구군, 해구군, 강화현, 강화군, 강화부, 강화도호부, 강화유수부 등으로 변천하였다.

4. 1. 상고 시대

상고시대에 강화도는 갑비고차로 불렸다.

4. 2. 고구려

475년 고구려 장수왕 때 혈구군으로 개칭되었다.

4. 3. 신라

4. 4. 고려

940년 고려 태조 때 강화현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1232년 고려 고종 때 강화군으로 승격되었으며, 1363년 고려 공민왕 때는 강화부로 승격되었다.

4. 5. 조선

1394년 조선 태조는 강화에 도호부를 설치하였다.[1] 1627년 조선 인조 때에는 강화유수부로 승격되었는데,[2] 이는 강화도가 외세의 침략을 막는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기 때문이다. 이후 1895년 조선 고종 때 강화군으로 개칭되었고, 다음 해인 1896년 다시 강화부로 승격되었다.

4. 5. 1. 일제 강점기

1906년 강화유수영이 폐지되고 강화군으로 개칭되었다.

1914년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통폐합 정책에 따라 교동군이 강화군에 편입되었으며, 군내 면들이 다음과 같이 통폐합되었다.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강화군부내면(府內面)부내면관청리, 국화리, 남산리, 신문리
장령면(長嶺面)갑곶리, 대산리, 용정리, 옥림리, 월곶리
서사면(西寺面) 교항동/증산동, 송산동/인화동양사면교산리, 인화리
북사면(北寺面) 덕현동/군하동, 북정동/삼성동, 군하동/포촌동/철곶동덕하리, 북성리, 철산리
송정면(松亭面) 포촌동/숭뢰동 일부/(삼해면) 당산동 일부, 숭뢰동 일부/갑성동 일부/(부내면) 당주동 일부/(장령면) 대묘동 일부송해면숭뢰리, 신당리
삼해면(三海面) 상도동 일부/당산동 일부/(송정면) 숭뢰동 일부, 솔정동, 하도동/상도동 일부상도리, 솔정리, 하도리
불은면(佛恩面) 곶내동/능촌동/고잔동, 넙성동/신현동 일부, 광성동/덕진동, 신현동 일부, 오두동불은면고릉리, 넙성리, 덕성리, 신현리, 오두리
인정면(仁政面) 두두미동/백운동, 삼동암동/마장동 일부/서문동 일부, 석성동/석문동 일부/마장동 일부두운리, 삼동암리, 삼성리
내가면(內家面)내가면고천리, 구하리, 오상리, 외포리, 황청리
외가면(外家面) 망월동/산곶동, 삼거동 일부하점면망월리, 삼거리
간점면(艮岾面) 이현동/강후동 일부, 삼거동/신성동, 창교동/강후동 일부이강리, 신삼리, 창후리
하음면(河陰峴) 양오리동 일부/(삼해면) 당산동 일부, 부근동/삼정동 일부/(삼해면) 하도동, 봉상동/신촌동/(외가면) 삼거동 일부, 양오리동 일부/(삼해면) 당산동 일부, 양오리동 일부/장정동 일부당산리, 부근리, 신봉리, 양오리, 장정리
하도면(下道面)하도면내리, 덕포리, 동덕리, 문산리, 사기리, 상방리, 여차리, 장화리, 흥왕리
상도면(上道面)양도면능내리, 도장리, 조산리, 하일리
위량면(位良面)건평리, 삼흥리, 인산리
길상면(吉祥面)길정리
길상면길직리, 동검리, 선두리, 온수리, 장흥리, 초지리
선원면(仙源面)선원면금월리, 냉정리, 선행리, 신정리, 연리, 지산리, 창리
교동군서면(西面)수정면난정리, 동산리, 서한리, 양갑리
북면(北面)무학리, 지석리
화개면삼선리, 인사리
남면(南面)읍내리, 대룡리
동면(東面)고구리, 봉소리, 상룡리
제도면(諸島面)삼산면매음리, 미법리, 서검리, 석모리, 석포리
송가면(松家面)상리, 하리



1934년에는 교동도의 수정면과 화개면이 통합되어 교동면으로 개편되었다.

4. 6. 대한민국

1962년 볼음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3년에는 강화면이 강화읍으로 승격되었다.

참조

[1] 간행물 2010 군정백서
[2] 웹사이트 강화군 연혁 http://www.ganghwa.i[...] 2012-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