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는 고구려가 건설한 유적으로, 200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 유적은 중국 지린성 지안시, 랴오닝성 환런 만족 자치현, 평안남도, 황해남도에 걸쳐 있으며, 오녀산성, 국내성, 환도산성 등 고구려의 수도 유적과 장군총을 비롯한 40기의 고분군을 포함한다. 2000년대 초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각각 유적의 단독 등재를 추진하면서 양국 간 고구려 역사 문제가 재조명되기도 했다. 현재 중국 지안시의 장수왕릉, 광개토대왕릉비, 우산 귀족 묘지, 환도산성, 고구려 문물 전시 센터는 중국 5A급 관광지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랴오닝성의 건축물 - 백암성
    백암성은 고구려가 요하 유역에 축조하여 서쪽 방어를 담당했던 성으로, 현재 중국 랴오닝성에 있으며 당나라에 함락된 후 랴오닝성 성급 문물 보호 단위로 지정되었다.
  • 랴오닝성의 건축물 - 천리장성 (고구려)
    천리장성은 고구려가 당나라의 침공에 대비하고 요동 방어선을 강화하기 위해 능안고성에서 비사성까지 주요 거점을 연결하여 구축한 방어 시설로, 최근에는 긴 성벽 형태가 아닌 촘촘한 성들의 형태로 여당전쟁에서 효과적인 방어에 기여했다는 학설이 제기되고 있다.
  • 지린성의 건축물 - 쓰핑 육군전차학교
    쓰핑 육군전차학교는 1940년 일본 제국 육군이 중국 만주 쓰핑에 설립하여 기갑사단 장병의 교육 훈련을 담당하다 1945년 종전 직전 폐쇄된 전차 교육 기관이다.
  • 지린성의 건축물 - 육군 궁주링 학교
    육군 공주령 학교는 1939년 창설되어 관동군 소속 지휘관급 장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다가 1944년에 폐쇄된 일본 육군의 군사 학교이다.
  • 고구려의 고분 - 덕흥리 고분
    덕흥리 고분은 408년에 사망한 고구려 고위 관료 진의 무덤으로, 횡혈식석실 구조와 벽화를 통해 그의 생전 모습과 신분, 불교 신앙을 보여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고구려 고분군에 속하는 중요한 유적이다.
  • 고구려의 고분 - 수산리 고분
    수산리 고분은 고구려 시대의 단실분으로,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연도와 묘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 벽화에는 인물풍속도를 주제로 당시 귀족의 생활상이 묘사되어 있다.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
기본 정보
장군총
장군총
위치랴오닝성지린성, 중국
포함오녀산성
국내성
환도산성
염모총
환문총
장천총
좌표41°09′25″N 126°11′14″E
등재 연도2004년
면적4,164.8599 헥타르
완충 구역14,142.4404 헥타르
유네스코 ID1135
등재 기준
기준(i)(ii)(iii)(iv)(v)
한국어 명칭
한국어 명칭고대 고구려 왕국의 수도와 무덤군
한글고대 고구려 왕국의 수도와 무덤군
한자古代高句麗王國의 首都와 무덤群
로마자 표기Godae Goguryeo wanggukui sudowa mudeomgun
중국어 명칭
중국어 명칭고구려 왕성, 왕릉 및 귀족 묘장
간체자高句丽王城、王陵及贵族墓葬
번체자高句麗王城、王陵及貴族墓葬
병음Gāogōulí wángcháng, wánglíngfānguìzúmùzàng
일본어 명칭
일본어 명칭고구려 전기의 도성과 고분

2. 역사적 배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0년경부터 고구려 유적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을 단독으로 추진하였다. 2003년에 등록될 예정이었으나, 중화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단독 등록에 반대하며 지린성에 있는 고구려 유적의 등록 신청을 하였다.[10] 그 결과, 2004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의 유적이 동시 등록되었다.[10] 이를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 고구려 역사 문제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알려지게 되었다.

당시 주일본 중국 대사였던 우다웨이의 요청으로 등록이 연기되었고, 화가 히라야마 이쿠오가 중화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양국의 중재를 맡아 2004년에 동시 등록 형태로 결정되었다.[10]

2. 1. 유네스코 등재 과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0년경부터 고구려 유적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을 단독으로 추진하였다. 2003년에 등록될 예정이었으나, 중화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단독 등록에 반대하며 지린성에 있는 고구려 유적의 등록 신청을 하였다.[10] 그 결과, 2004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의 유적이 동시 등록되었다.[10] 이를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 고구려 역사 문제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알려지게 되었다.[10]

당초 2003년에 등록될 예정이었으나, 당시 주일본 중국 대사였던 우다웨이의 요청으로 등록이 연기되었고, 화가 히라야마 이쿠오가 중화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양국의 중재를 맡아 2004년에 동시 등록 형태로 결정되었다.[10]

3. 도성 유적

고구려의 도성 유적은 랴오닝성 환런 만족 자치현오녀산성, 지린성 지안시의 국내성과 환도산성(위나암성)을 포함한다. 이 유적들은 고구려 초기 수도의 모습을 보여준다.[6]

유네스코
지정번호
사진등록명소재지
1135
위나암성
환도산성
Hwando
지린성 지안시
1135
국내성
국내성
Gungnae
1135
오녀산성
오녀산성
Wunü Mountain
랴오닝성 환런 만족 자치현



오녀산성은 부분적으로만 발굴되었고, 국내성은 평양으로 수도를 옮긴 후 보조 수도 역할을 했다. 환도산성에는 대규모 궁궐터와 많은 무덤이 남아있다. 이들은 자연과 인공의 조화, 그리고 이후 고구려 수도 건설에 끼친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6]

3. 1. 오녀산성



오녀산성(오녀산성)은 고구려의 첫 번째 수도였다. 국내성과 환도산성 역시 고구려의 수도였다.[6] 오녀산성은 부분적으로만 발굴되었다. 고구려의 수도는 바위, 숲, 강과 같은 자연과 인간의 창조물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보여주며, 이후 인접 문화권에서 모방된 산성의 초기 사례이다.[6]

3. 2. 국내성

지린성 지안시에 있는 국내성은 고구려가 평양으로 수도를 옮긴 후에도 보조 수도 역할을 했다.[6] 환도산성에는 큰 궁궐과 많은 무덤을 포함한 유적들이 있다.[6]

국내성과 환도산성으로 대표되는 수도 체제는 이후 고구려가 건설한 수도에도 영향을 주었다.[6] 고구려의 수도는 바위, 숲, 강과 같은 자연과 인간이 만든 것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보여준다.[6]

유네스코
지정번호
사진등록명소재지
1135국내성
Gungnae
지린성 지안시


3. 3. 환도산성



지린성 지안시에 있는 환도산성(위나암성)에는 큰 궁궐과 많은 무덤들이 있다.[6] 국내성과 환도산성으로 대표되는 수도 체제는 이후 고구려 정권이 건설한 수도 건설에도 영향을 주었다.[6] 고구려의 수도는 바위, 숲, 강과 같은 자연과 인간의 창조물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보여준다.[6]

4. 고분군

이 유적지는 중국 동북부와 한반도 북부를 지배했던 고구려가 건설한 40기의 고분 유적을 포함한다.[6] 고분은 왕묘 14기와 귀족묘 26기로 구성되어 있다. 일부 고분은 기둥 없이 넓은 공간을 덮고 그 위에 무거운 돌이나 흙 봉분을 얹을 수 있도록 정교한 천장을 갖추고 있다. 고분 벽화는 예술적 기량과 특정한 양식을 보여주는 동시에 다양한 문화의 강한 영향을 보여주는 예이기도 하다.[6]

4. 1. 주요 고분

유네스코
지정번호
사진등록명소재지
1135
120x120픽셀
장군총지린성 지안시
1135
120x120픽셀
광개토왕릉비
1135태왕릉
1135위나암성
1135천추총
1135서대총
1135임강총
1135국내성
1135각저총
1135
120x120픽셀
무용총
1135오녀산성랴오닝성 환런 만족 자치현





이 유적지는 중국 동북부와 한반도 북부를 지배했던 고구려가 건설한 40기의 고분 유적을 포함한다.[6]

일부 고분은 기둥 없이 넓은 공간을 덮고 그 위에 무거운 돌이나 흙 봉분을 얹을 수 있도록 정교한 천장을 갖추고 있다. 고분 벽화는 예술적 기량과 특정한 양식을 보여주는 동시에 다양한 문화의 강한 영향을 보여주는 예이기도 하다.[6]

이 고분들은 벽화와 구조면에서 인간 창의성의 걸작을 보여준다.[6]

  • 왕묘 - 장수왕릉으로 여겨지는 장군총을 비롯한 14기
  • 귀족묘 - 26기

4. 2. 고분 벽화

일부 고분은 기둥 없이 넓은 공간을 덮고 그 위에 무거운 돌이나 흙 봉분을 얹을 수 있도록 정교한 천장을 갖추고 있다. 고분 벽화는 예술적 기량과 특정한 양식을 보여주는 동시에 다양한 문화의 강한 영향을 보여주는 예이다.[6] 이 고분들은 벽화와 구조면에서 인간 창의성의 걸작을 보여준다.[6]

5. 고구려 역사 논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0년경부터 유적의 세계유산 등록을 단독으로 추진하였다. 2003년에 등록될 예정이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이 북조선의 단독 등록에 반대하여 지린성에 있는 고구려 유적의 등록 신청을 하였다. 그 결과, 북조선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유적이 2004년에 동시 등록되었다. 이를 계기로 북조선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 고구려 역사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이 다시 한번 인식되었다.[10]

당시 주일본 중국 대사였던 우다웨이의 요청으로 등록이 연기되었고, 화가 히라야마 이쿠오가 중·조 양국의 중재를 맡아 2004년에 양국의 유적이 동시 등록되었다.[10] 이로써 북한과 중국 사이에 고구려 지역의 영토 문제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부각되었다.

6. 관광

지린성 퉁화 시 지안 시의 장수왕릉(고구려 유적공원), 광개토대왕릉비, 우산 귀족 묘지, 환도산성, 고구려 문물 전시 센터는 2019년에 중국 5A급 관광지로 인증되었다.[1]

참조

[1] 백과사전 Koguryo http://www.britannic[...] 2013-10-15
[2] 서적 State Formation in Korea: Emerging Elites 2013
[3] 서적 The History and Archaeology of the Koguryo Kingdom 2016
[4] 서적 Historical Atlas of Northeast Asia 2014
[5] PhD The origin and rise of the Korean kingdom of Koguryo, from the 1st century to A.D. 313 University of London 1964
[6] 웹사이트 Capital Cities and Tombs of the Ancient Koguryo Kingdom https://whc.unesco.o[...] UNESCO
[7] 웹사이트 集安高句丽考古遗址公园(第一批国家考古遗址公园) http://www.kaogu.cn/[...] Institute of Archaeology,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2014-02-28
[8] 웹사이트 DECISIONS ADOPTED AT THE 28TH SESSION OF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SUZHOU, 2004) https://whc.unesco.o[...] 2004-10-26
[9] 웹사이트 Hunting Scene (detail) http://www.art-and-a[...] 2021-07-21
[10] 웹사이트 世界遺産というパワーゲーム 「人類全体が守るべきもの」を決める裏には熾烈な駆け引きがある(3/3) http://globe.asahi.c[...] 朝日新聞グローブ 2017-11-14
[11] 웹사이트 吉林省通化市高句丽文物古迹旅游景区 https://www.mct.gov.[...] 中華人民共和国文化観光部 2021-07-22
[12] 웹사이트 集安高句丽文物古迹旅游景区 http://whhlyt.jl.gov[...] 吉林省文化和旅游厅 2020-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