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궁주링 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 공주령 학교는 1939년 8월 1일에 창설되어 1944년 8월에 폐쇄된 일본 육군의 군사 학교이다. 본부는 연구부, 교육부, 교도단, 재료창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관동군 소속 지휘관급 장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했다. 1940년 전차 전술 교육 부문이 공주령 육군 전차 학교로 독립하고, 1944년에는 교도단이 동원되어 제68여단으로 개편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역대 학교장 토미나가 노부마사, 세키 키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린성의 건축물 -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는 중국 지린성, 랴오닝성, 평안남도, 황해남도에 걸쳐 있는 유적으로, 오녀산성, 국내성, 환도산성 등 수도 유적과 고분군을 포함하며 200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지린성의 건축물 - 쓰핑 육군전차학교
쓰핑 육군전차학교는 1940년 일본 제국 육군이 중국 만주 쓰핑에 설립하여 기갑사단 장병의 교육 훈련을 담당하다 1945년 종전 직전 폐쇄된 전차 교육 기관이다. - 만주국의 교육 기관 - 대동학원
대동학원은 만주국 봉천성에 설립되어 오족협화 이념 교육과 일본어 강화 등 일본 제국주의 황민화 정책에 협력했다는 비판을 받는 교육기관으로, 광복 후 폐원되었으며 최규하 전 대통령 등을 배출했다. - 만주국의 교육 기관 -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만주국 육군군관학교는 1939년 만주국군 정규 군관 양성을 목표로 신징에 설립된 4년제 군관학교로, 다민족 학생들을 교육했으나 만주국 멸망과 함께 해체되었고 졸업생들은 대한민국 국군에 입대하여 사회 요직을 맡기도 했지만 친일 논란과 역사적 논쟁의 중심에 있다. - 만주국의 군사 - 만주국군
만주국군은 1932년 만주국 건국 후 동북군 등을 기반으로 창설되어 일본 관동군의 개입 하에 운영된 괴뢰군으로, 무장과 훈련 개선을 통해 규모가 확장되었으나, 소련군의 만주 침공으로 해체되었고, 만주국군 출신 조선인들은 광복 후 한국 사회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친일 행적으로 논란이 되었다. - 만주국의 군사 - 비행대 (만주국군)
만주국 비행대는 1937년 만주국군 소속으로 창설되어 일본인 조종사로 시작, 자체 사령부 설치 및 조종사 양성을 거쳐 다양한 항공기를 운용하다가 태평양 전쟁 말기 가미카제 공격을 감행하고 1945년 소련의 공격으로 소멸되었다.
| 육군 궁주링 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육군 궁주링 학교 |
| 한자 표기 | 陸軍公主嶺学校 |
| 개교 | 1939년 8월 15일 |
| 폐교 | 1944년 8월 30일 |
| 설립 형태 | 군학교 |
| 국가 | 만주국 |
| 위치 | 쓰핑성 쓰핑시 |
| 일본군 교육기관 | |
| 일본군 | [[파일:War flag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svg|center|50px|link=일본 제국 육군]] 일본 육군 |
| 교육총감부 소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예과사관학교 육군유년학교 육군예비사관학교 육군교도학교 육군보병학교 육군기병학교 육군야전포병학교 육군중포병학교 육군포공학교 지바 육군고사학교 육군공병학교 육군치중병학교 육군통신학교 육군자동차학교 육군기갑정비학교 육군공과학교 육군병기학교 육군 궁주링 학교 지바 육군전차학교 쓰핑 육군전차학교 육군소년통신병학교 육군소년전차병학교 육군 도야마 학교 육군 나라시노 학교 |
| 육군성 소관 | 육군헌병학교 육군경리학교 육군군의학교 육군수의학교 |
| 참모본부 소관 | 육군대학교 육군 나카노 학교 |
| 육군항공총감부 소관 | 육군항공사관학교 도코로자와 육군비행학교 시모시즈 육군비행학교 아케노 육군비행학교 하마마쓰 육군비행학교 하쿠조시 육군비행학교 구마가야 육군비행학교 다치아라이 육군비행학교 우쓰노미야 육군비행학교 호코타 육군비행학교 센다이 육군비행학교 기후 육군비행학교 육군항공기술학교 육군항공정비학교 다치카와 육군항공정비학교 기후 육군항공정비학교 육군항공통신학교 도쿄 육군항공학교 오쓰 육군소년비행병학교 오이타 육군소년비행병학교 |
| 해군 | [[파일:Naval Ensign of Japan.svg|center|50px|link=일본 제국 해군]] 일본 해군 |
| 해군성 소관 | 해군병학교 해군기관학교 해군경리학교 해군군의학교 해군대학교 |
| 진수부 소관 | 해군포술학교 해군수전학교 해군잠수학교 해군공기학교 해군통신학교 해군항해학교 해군대잠학교 해군공작학교 해군전측학교 해군기상학교 해군위생학교 |
2. 학교 연혁
- 1939년 8월 1일: '''육군 궁주링 학교'''가 창설되었다.
- 1940년 9월 15일: 병과가 폐지되었다.[3][4][5][6]
- 1940년 12월 2일: 전차 전술 교육 부문이 궁주링 육군 전차 학교로 독립하였다. (교도전차대는 궁주링 육군 전차 학교의 교도전차대로 전출[7])
- 1941년 7월 ~ 8월: 관특연에 제독대 등 일부 요원을 파견하였다.
- 1943년 9월 말: 대소련전 연구에서 대미전 연구로 주제를 전환하여 각종 연구를 시작하였다.[8][9][10]
- 1944년 6월 20일: 교도단이 동원되어 군대화, 제68여단[11]으로 개편되었다.[12]
- 1944년 8월: 학교가 폐쇄되었다.
2. 1. 설립 배경
1930년대 후반, 일본은 만주 지역에서 소련과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관동군의 전투력 강화 및 현대전 대비를 위한 전문적인 군사 교육 및 연구 기관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이에 따라, 1939년 8월 1일, 만주국 공주령(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창춘시의 일부)에 육군 공주령 학교가 창설되었다.2. 2. 주요 연혁
- 1939년 8월 1일: '''육군 공주령 학교'''가 창설되었다.
- 1940년 9월 15일: 병과가 폐지되었다.[3][4][5][6]
- 1940년 12월 2일: 전차 전술 교육 부문이 공주령 육군 전차 학교로 독립하였다. (교도전차대는 공주령 육군 전차 학교의 교도전차대로 전출[7])
- 1941년 7월 ~ 8월: 관특연에 제독대 등 일부 요원을 파견하였다.
- 1943년 9월 말: 대소련전 연구에서 대미전 연구로 주제를 전환하여 각종 연구를 시작하였다.[8][9][10]
- 1944년 6월 20일: 교도단이 동원되어 군대화, 제68여단[11]으로 개편되었다.[12]
- 1944년 8월: 학교가 폐쇄되었다.
3. 학교 조직
궁주링 학교는 본부, 연구부, 교육부, 교도단, 재료창으로 구성되었다. 관동군의 보병 대대장·중대장급 지휘관의 실병 지휘 교육과 보병·포병·공병 연대장급 대상 소집 교육, 여러 병과 합동 작전에 관한 종합 연구 및 전차 전술 교육 실시 등을 목적으로 하였다.[1] 이를 위해 일본 육군 실시 학교 중 유일하게 각 병과 교도 연대를 예하에 두는 학교 교도단을 보유, 최대 규모의 교도 조직을 갖추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전황 악화로 학교가 폐쇄되었고, 소속 교도 부대는 제68여단으로 편성되어 실전에 투입되었다.[1]
3. 1. 연구부
중심 연구 목표는 "대 소련군 요새・견고한 진지 돌파전"이었다.[13]3. 2. 교육부
장교 교육 및 훈련을 담당하였다.[13]3. 3. 교도단
교도단은 각 병과 교도 연대를 예하에 둔 학교 교도단이다.- 교도 보병단 사령부
- 교도 보병 제1연대
- 교도 보병 제2연대 (*편성상의 정수로 실제로는 결원)
- 교도 포병 연대 (야포 1개 중대, 10식 유탄포 2개 중대, 15식 유탄포 1개 중대, 관측 1개 중대)
- 교도 전차 연대 (*공주령 육군 전차 학교가 신설되어, 해당 학교 교도 연대로 전속. 교도 업무를 해당 교도 연대에 위탁[13])
- 교도 공병 연대
- 교도 통신대
- 교도 제독대
3. 4. 재료창
군수 물자 및 장비를 관리하였다.[13]4. 교육
육군 궁주링 학교는 관동군 소속 대대장, 중대장, 연대장 등 지휘관급 장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했다. 일본 육군 실시 학교 중 가장 큰 규모의 교도 조직을 갖추고, 각 병과의 교도 연대를 예하에 두는 학교 교도단을 보유하여 여러 병과 합동 작전에 관한 종합 연구를 수행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 전황 악화로 학교가 폐쇄되면서, 소속 교도 부대는 제68여단[1]으로 실전 투입되었다.
4. 1. 교육 내용
관동군의 보병 대대장·중대장의 실병 지휘 교육, 보병·포병·공병 각 연대장의 소집 교육과, 여러 병과 합동 작전에 관한 종합 연구 및 전차 전술 교육 실시 등이 교육 내용이었다.[1]
5. 제68여단
1944년, 전황이 악화되자 공주령 학교의 교도단은 동원되어 제68여단으로 개편되었다. 제68여단은 학교 교도단의 교관, 교원, 하사관 등으로 구성되었으나, 실제로는 신병 교육을 담당하는 부대와 큰 차이가 없었다.
5. 1. 부대 평가 논란
일부 저작물에서는 제68여단을 일본 육군 최정예 부대로 묘사했지만, 실제로는 신병 교육을 담당하는 부대와 유사했다. 전선 부대의 하급 장교들이 상급 직무를 맡는 상황에서, 학교 출신 장교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계급을 보유하고 있어 "머리만 크고 병사는 교육 도중"이라는 평가를 받았다.[2]제68여단에는 1식 기동 47mm 속사포, 100식 기관단총, 100식 화염 방사기, 저격총 등 최신 병기가 우선 배치되기는 했다.[2] 그러나 이는 전술 연구를 위한 목적이었으며, 실제 전투력과는 거리가 있었다. 급격한 신병 증가로 인해 교육의 질이 저하되었고, 전선이나 다른 부대에서는 이러한 실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과거의 정예 부대라는 인식에 머물렀다.[2]
5. 2. 비판적 시각
태평양 전쟁 개전 후 징병 인원이 크게 늘어나면서, 군학교 교도연대는 최정예 부대라는 과거의 모습에서 벗어나 일반 신병 교육을 담당하는 곳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럼에도 전선 부대나 고급 장교들은 이러한 변화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교도연대가 여전히 최정예 부대라는 착각에 빠져 제68여단을 과대평가했다.[2]전시 상황에서 신병 교육 장소가 부족해지면서 군학교 교도연대가 신병 교육을 담당하는 것은 당연했다. 그러나 현장 지휘관들은 이러한 체제 변화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과거 군학교 교도연대에 대한 인상에 머물렀다. 이 때문에 대본영이나 방면군 수뇌부는 제68여단이 1개 사단에 상당하는 전력을 가졌다고 믿는 발언을 하기도 했으며, 이는 여단 참모들을 곤혹스럽게 만들었다.[2]
6. 주요 인물
육군 궁주링 학교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역대 학교장'''
| 이름 | 임기 |
|---|---|
| 토미나가 노부마사 소장 (육사 21기) | 1939년 8월 15일 - 1940년 12월 2일 (1939년 10월 2일 중장) |
| 세키 키지 중장 (육사 19기) | 1940년 12월 2일 - 1941년 9월 11일 |
| (결원) | 1941년 9월 11일 - 1941년 10월 15일 |
| 우시지마 미쓰루 중장 (육사 20기) | 1941년 10월 15일 - 1942년 4월 1일 |
| 야노 오토사부로 중장 (육사 22기) | 1942년 4월 1일 - 1942년 7월 15일 |
| 기타노 겐조 중장 (육사 22기) | 1942년 7월 15일 - 1943년 10월 15일 |
| (결원) | 1943년 10월 15일 - 1943년 12월 16일 |
| 무라카미 게이사쿠 중장 (육사 22기) | 1943년 12월 16일 - 1944년 8월 30일 |
- '''역대 간사'''
| 육사 기수 | 재임 기간 | 비고 |
|---|---|---|
| 야마다 쿠니타로 (육사 27기) | 1940년 3월 9일 - 1941년 4월 10일 | * 1940년 8월 1일 소장 |
| 히라타 마사한 (육사 25기) | 1941년 3월 1일 - 1941년 11월 6일 | |
| 타가미 하치로 (육사 25기) | 1942년 9월 14일 - 1943년 10월 1일 | * 1943년 6월 10일 중장 * 1942년 12월 1일 - 1943년 3월 18일: 겸 공주령 학교 교도보병연대장 |
- '''교관'''
| 이름 | 육사 기수 | 재임 기간 |
|---|---|---|
| 후카보리 유키 | 28기 | 1940년 8월 1일 - 1940년대 |
| 시게미 이사오 | 27기 | 1940년 3월 9일 - 1940년 12월 2일 |
| 마쓰다 이와오 | 28기 | 1940년 12월 2일 - 1941년 10월 15일 |
| 와타나베 구메이치 | 31기 | 1941년 7월 7일 - 1941년 11월 22일 |
| 시게미 이사오 | 27기 | 1941년 12월 1일 - 1942년 12월 1일 |
| 다카시마 다쓰히코 | 30기 | 1942년 4월 24일 - 1943년 3월 11일 |
| 구리스 다케오 | 27기 | 1943년 3월 15일 - 1944년 3월 22일 |
| 이와모토 다카지 | 28기 | 1943년 10월 15일 - 1944년 2월 10일 |
- '''연구 주사'''
| 이름 | 임기 |
|---|---|
| 호소미 코레오 | 1939년 8월 1일 ~ 1940년 12월 1일 |
| 후루카와 히로시 | 1942년 8월 1일 ~ 1944년 3월 1일 |
- '''학교 부속'''
| 부임 기간 | 이름 |
|---|---|
| 1942년 4월 17일 - 1944년 3월 2일 | 홍사익 소장 (육사 26기) |
- '''교도단장'''
| 이름 | 임기 |
|---|---|
| 쓰보시마 후미오 | 1940년 10월 1일 ~ 1941년 9월 1일 |
| 고가 겐 | 1941년 9월 1일 ~ 1942년 12월 1일 |
| 타가미 하치로 (겸임) | 1942년 12월 1일 ~ 1943년 3월 18일 |
| 이시야마 하루키 | 1943년 3월 18일 ~ 1944년 3월 22일 |
| 구리스 타케오 | 1944년 3월 22일 ~ 1944년 6월 23일 |
- '''교도보병연대장'''
| 취임일 | 이름 | 비고 |
|---|---|---|
| 1940년 8월 13일 | 후카보리 유키 대좌(육사 28기) | 겸임, 본무: 공주령 육군 학교 교관 |
| 1941년 10월 15일 | 오코구마 이치로 대좌(육사 25기) | |
| 1943년 8월 2일 | 오키 시즈오 대좌(육사 28기) | 이후 제68여단 보병 제126연대장 |
- '''교도포병연대장'''
| 이름 | 육군사관학교 기수 | 재임 기간 |
|---|---|---|
| 시게나가 키요시 중좌 | 28기 | 1940년 8월 1일 ~ 194?년 ?월 ?일 |
| 우스다 타츠지 중좌 | 31기 | 1942년 7월 22일 ~ 194?년 ?월 ?일 |
| ? | ?기 | 194?년 ?월 ?일 ~ 194?년 ?월 ?일 |
- '''교도공병연대장'''
| 이름 | 재임 기간 |
|---|---|
| 本道 博|혼도 히로시일본어 소좌 (육군사관학교 33기) | 1940년 8월 1일 ~ 1941년 10월 15일 |
| 遠藤 秀人|엔도 히데토일본어 소좌 (육군사관학교 35기) | 1941년 10월 15일 ~ 1943년 6월 10일 |
| 後藤 健一|고토 겐이치일본어 소좌 (육군사관학교 40기) | 1943년 6월 10일 ~ 1944년 6월 23일 (*후임: 제68여단 공병대장) |
- '''교도전차대장'''
6. 1. 역대 학교장
| 이름 | 임기 |
|---|---|
| 토미나가 노부마사 소장 (육사 21기) | 1939년 8월 15일 - 1940년 12월 2일 (1939년 10월 2일 중장) |
| 세키 키지 중장 (육사 19기) | 1940년 12월 2일 - 1941년 9월 11일 |
| (결원) | 1941년 9월 11일 - 1941년 10월 15일 |
| 우시지마 미쓰루 중장 (육사 20기) | 1941년 10월 15일 - 1942년 4월 1일 |
| 야노 오토사부로 중장 (육사 22기) | 1942년 4월 1일 - 1942년 7월 15일 |
| 기타노 겐조 중장 (육사 22기) | 1942년 7월 15일 - 1943년 10월 15일 |
| (결원) | 1943년 10월 15일 - 1943년 12월 16일 |
| 무라카미 게이사쿠 중장 (육사 22기) | 1943년 12월 16일 - 1944년 8월 30일 |
6. 2. 역대 간사
| 육사 기수 | 재임 기간 | 비고 |
|---|---|---|
| 야마다 쿠니타로 (육사 27기) | 1940년 3월 9일 - 1941년 4월 10일 | * 1940년 8월 1일 소장 |
| 히라타 마사한 (육사 25기) | 1941년 3월 1일 - 1941년 11월 6일 | |
| 타가미 하치로 (육사 25기) | 1942년 9월 14일 - 1943년 10월 1일 | * 1943년 6월 10일 중장 * 1942년 12월 1일 - 1943년 3월 18일: 겸 공주령 학교 교도보병연대장 |
6. 3. 교관
| 이름 | 육사 기수 | 재임 기간 |
|---|---|---|
| 후카보리 유키 | 28기 | 1940년 8월 1일 - 1940년대 |
| 시게미 이사오 | 27기 | 1940년 3월 9일 - 1940년 12월 2일 |
| 마쓰다 이와오 | 28기 | 1940년 12월 2일 - 1941년 10월 15일 |
| 와타나베 구메이치 | 31기 | 1941년 7월 7일 - 1941년 11월 22일 |
| 시게미 이사오 | 27기 | 1941년 12월 1일 - 1942년 12월 1일 |
| 다카시마 다쓰히코 | 30기 | 1942년 4월 24일 - 1943년 3월 11일 |
| 구리스 다케오 | 27기 | 1943년 3월 15일 - 1944년 3월 22일 |
| 이와모토 다카지 | 28기 | 1943년 10월 15일 - 1944년 2월 10일 |
6. 4. 연구 주사
| 이름 | 임기 |
|---|---|
| 호소미 코레오 | 1939년 8월 1일 ~ 1940년 12월 1일 |
| 후루카와 히로시 | 1942년 8월 1일 ~ 1944년 3월 1일 |
6. 5. 학교 부속
| 부임 기간 | 이름 |
|---|---|
| 1942년 4월 17일 - 1944년 3월 2일 | 홍사익 소장 (육사 26기) |
6. 6. 교도단장
| 이름 | 임기 |
|---|---|
| 쓰보시마 후미오 | 1940년 10월 1일 ~ 1941년 9월 1일 |
| 고가 겐 | 1941년 9월 1일 ~ 1942년 12월 1일 |
| 타가미 하치로 (겸임) | 1942년 12월 1일 ~ 1943년 3월 18일 |
| 이시야마 하루키 | 1943년 3월 18일 ~ 1944년 3월 22일 |
| 구리스 타케오 | 1944년 3월 22일 ~ 1944년 6월 23일 |
6. 7. 교도보병연대장
| 취임일 | 이름 | 비고 |
|---|---|---|
| 1940년 8월 13일 | 후카보리 유키 대좌(육사 28기) | 겸임, 본무: 공주령 육군 학교 교관 |
| 1941년 10월 15일 | 오코구마 이치로 대좌(육사 25기) | |
| 1943년 8월 2일 | 오키 시즈오 대좌(육사 28기) | 이후 제68여단 보병 제126연대장 |
6. 8. 교도포병연대장
| 이름 | 육군사관학교 기수 | 재임 기간 |
|---|---|---|
| 시게나가 키요시 중좌 | 28기 | 1940년 8월 1일 ~ 194?년 ?월 ?일 |
| 우스다 타츠지 중좌 | 31기 | 1942년 7월 22일 ~ 194?년 ?월 ?일 |
| ? | ?기 | 194?년 ?월 ?일 ~ 194?년 ?월 ?일 |
6. 9. 교도공병연대장
| 이름 | 재임 기간 |
|---|---|
| 本道 博|혼도 히로시일본어 소좌 (육군사관학교 33기) | 1940년 8월 1일 ~ 1941년 10월 15일 |
| 遠藤 秀人|엔도 히데토일본어 소좌 (육군사관학교 35기) | 1941년 10월 15일 ~ 1943년 6월 10일 |
| 後藤 健一|고토 겐이치일본어 소좌 (육군사관학교 40기) | 1943년 6월 10일 ~ 1944년 6월 23일 (*후임: 제68여단 공병대장) |
6. 10. 교도전차대장
참조
[1]
문서
独立混成旅団に関する記述
[2]
문서
陸軍公主嶺学校と星兵団
[3]
문서
兵科と兵種の関係に関する記述
[4]
문서
戦車兵の兵科変更
[5]
문서
乗車騎兵への歩兵出身者補職
[6]
문서
兵科の垣根を越えた柔軟運用
[7]
문서
公主嶺戦車学校教導戦車隊の継続
[8]
문서
教育訓練重点の変更と天皇の苦言
[9]
문서
天皇の危機感と絶対国防圏の策定
[10]
문서
戦略、兵器、物動の整理と再構築
[11]
문서
歩兵第126連隊等の構成
[12]
문서
歩兵団と教導部隊による動員計画
[13]
문서
四平陸軍戦車学校と教導戦車旅団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