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수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394년에 태어나 412년 18세의 나이로 고구려 왕위에 올랐다. 그는 연호를 사용하고 광개토대왕릉비와 충주고구려비를 건립하여 고구려의 위상을 드높였다. 또한 평양으로 천도하여 남진 정책을 추진했으며, 남조와 북조에 등거리 외교를 펼쳐 정세를 안정시켰다. 백제를 공격하여 수도 위례성을 함락시키고 개로왕을 살해하는 등 한반도 중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 말년에는 내치에 힘쓰며 안정을 추구하다 491년 97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북위 효문제로부터 강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91년 사망 - 제논 (황제)
    제논은 5세기 후반 동로마 제국의 황제였으며, 이사우리아 출신으로 레오 1세에 의해 등용되어 여러 차례 반란을 겪고 헤노티콘을 발표했으나 실패했으며, 491년에 사망했다.
  • 한국의 태왕 - 광개토대왕
    광개토대왕은 고구려 제19대 왕으로, 374년에 태어나 391년부터 412년까지 재위하며 영락 연호를 사용하고 백제, 왜, 거란 등을 정벌하여 고구려 영토를 확장했으며, 신라를 지원하여 왜군을 물리치고 내치에도 힘썼다.
  • 한국의 태왕 - 원성왕
    원성왕은 신라의 제38대 왕으로, 선덕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조상 추봉, 오묘 재정비, 독서삼품과 실시, 벽골제 증축 등 율령 체제적인 정책을 펼쳤으며, 사후 열조 묘호가 올려졌다.
장수왕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지안, 중국에 있는 장군총
지안, 중국에 있는 고구려의 옛 수도에 있는 "장군총". 중국 학자들은 이것이 장수왕과 그의 왕비의 무덤이라고 주장하지만, 많은 한국 학자들은 장수왕의 무덤이 427년에 장수왕이 수도를 옮긴 평양에 있다고 주장한다 (2010년 7월).
작위태왕
이름장수왕
한글 이름장수왕
한자 이름長壽王
로마자 표기Jangsu-wang
다른 로마자 표기Changsu-wang
출생 이름 (한글)거련 or 연
출생 이름 (한자)巨連 or 璉
출생 이름 (로마자 표기)Georyeon or Yeon
재위413년–491년 (78년)
출생일394년
사망일491년
사망 당시 나이97세
부친광개토대왕
계승자문자명왕
자녀고조다 · 고공 · 공주
능묘 (추정)장군총 (將軍塚)
시호장수(長壽) · 강(康)
연호연수(延壽), 건흥(建興), 연가(延嘉)
왕위 계승 정보
전임자광개토대왕
후임자문자명왕
왕세자 시절
작위고구려 태자
재위 기간409년 4월 ~ 412년 10월 (음력)
후임자태자 흥안 (안장왕)
기타 정보
종교불교
거련(巨連 · 巨璉) · 연(璉) · 신련(臣連)
출생지고구려 국내성
사망지고구려 안학궁
업적
주요 업적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끌었음
79년 동안 재위하여 동아시아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 통치한 군주 중 한 명
고구려의 수도를 평양으로 천도
중국과 교류하며 외교적 균형 유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계승하여 영토 확장 및 국력 강화

2. 생애

394년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태어나 409년에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412년 18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몸과 얼굴이 크고 잘 생겼으며 뜻과 기운이 호걸을 초월하였다고 한다.[15] 414년 광개토 대왕릉비를 건립하여 아버지의 업적을 기렸다.

427년 평양성으로 천도하여 내부적으로 왕권의 위상을 높이고 남진정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자 하였다. 대외적으로는 남조(南朝)와 북조(北朝)의 북위에 모두 화친을 맺고 조공을 바치는 등거리 외교를 통해 정세를 안정시켰다.

435년, 북연 황제 풍홍이 망명을 요청하자 이를 수락하였고, 이후 풍홍이 송나라로 망명을 시도하자 군대를 보내 살해하였다. 이 과정에서 송나라와 갈등을 빚기도 하였으나, 외교 관계를 통해 원만히 해결하였다.

472년, 백제 개로왕북위에 사신을 보내 고구려 공격을 요청하였으나, 북위는 이 사실을 고구려에 알렸다. 이에 고구려는 백제와 전면전을 준비하며 승려 도림(道琳)을 첩자로 보내 백제의 내정을 정탐하였다. 475년 백제를 공격하여 수도 위례성을 함락시키고 개로왕을 살해하였다. 481년에는 신라를 공격하여 호명성 등 7개 성을 함락시키고 미질부까지 진격하였다.

말년에는 정복 전쟁을 그만두고 내치에 힘썼으며, 중국과의 외교 관계도 계속 우호적으로 유지하였다. 491년 97세로 사망하자 북위 효문제는 애도를 표하고 관작을 추증하였으며, 강왕(康王)이라는 시호를 내렸다.[46]

2. 1. 초기 생애 및 즉위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394년에 태어났으며, 409년에 태자에 책봉되었다. 412년 음력 10월에 광개토왕이 죽자 18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15] 연가, 연수, 건흥 등의 연호가 새겨진 유물이 일부 발견되고 있어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414년에는 아버지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광개토 대왕릉비를 건립하였다.[15]

2. 2. 연호 사용 및 국내 정치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394년에 태어났으며, 409년에 태자에 책봉되었고, 412년 음력 10월에 왕위에 올랐다. 연가, 연수, 건흥 등의 연호가 새겨진 유물이 일부 발견되고 있어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414년에는 광개토 대왕릉비를 건립하여 광개토왕의 업적을 기렸으며, 423년(추정)에는 충주 고구려비를 세워 고구려의 위상을 널리 선포하였다.

충청북도 충주시 중원 고구려비(中原 高句麗碑)


장수왕은 내부적으로 왕권의 위상을 높여서 국내성의 귀족세력을 약화시키고, 남진정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427년평양성으로 천도하였다.[16][17][18] 이는 고구려가 번영하는 대도시로 성장하기에 더 적합한 지역으로, 고구려가 높은 수준의 문화적, 경제적 번영을 이루는 데 기여하였다.[19]

2. 3. 대외 관계 및 외교 전략

장수왕은 남조(南朝)와 북조(北朝)의 여러 왕조들과 모두 화친을 맺고 조공을 바치는 등거리 외교를 통해 정세를 안정시켰다. 북위(北魏)와는 풍홍의 망명 문제 등으로 일시적 마찰을 빚기도 했지만, 대체로 꾸준히 우호 관계를 유지했다. 이러한 적극적인 외교를 통해 고구려와 장수왕의 국제적 위상은 매우 높아졌으며, 장수왕은 높은 직위로 책봉을 받았고 고구려의 사신 또한 높은 대우를 받았다. 472년에는 북위가 고구려의 조공을 특별하게 우대하여 타국보다 더 자주, 더 많이 조공을 할 수 있게 하였다.[15]

435년, 북연 황제 풍홍이 망명을 요청하자, 장수왕은 이를 받아들였다. 이듬해 북연북위에 의해 멸망당할 때 군대를 보내 풍홍 및 그 일족들을 구출하였다. 고구려로 도망쳐온 풍홍은 스스로의 세력을 믿고 행패를 부렸으며, 이에 장수왕은 풍홍의 태자를 인질로 잡고 시중드는 인원도 몰수하였다. 이에 풍홍은 송나라에 망명을 요청하였으며, 이 사실을 알게 된 장수왕은 군대를 보내 풍홍을 살해하였다. 이때 송나라 사신 왕백구가 군사를 이끌고 고구려군을 공격하여 장수 고구가 죽고 손수가 생포되었는데, 장수왕은 다시 왕백구를 붙잡아 송으로 압송하였다. 고구려와 외교 관계를 망칠 수 없었던 송나라에서는 왕백구를 감옥에 가둬 고구려의 눈치를 본 후 석방하였다.[16][17][18]

중국과의 외교 관계가 안정된 가운데, 장수왕은 백제를 정벌하는 남진 정책을 추진하였다. 472년, 백제 개로왕북위에 사신을 보내 고구려를 공격해 줄 것을 요청하였는데, 북위는 이 사실을 고구려에 알려주었다. 이에 고구려는 백제와 전면전을 준비했다.[19]

479년 장수왕은 북위를 견제하기 위해 루란 카간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25] 유연과의 평화를 확보한 후, 장수왕은 당시 선비족 연맹의 한 갈래였던 거란을 공격했고,[26][27] 이어서 유연과 동맹을 맺고 득두유를 공격했다.[28]

거란이 고구려에 항복한 후, 장수왕은 북위남제 모두에게 선물을 보냈다. 남제북위는 모두 고구려와의 관계를 강화하려 했다. 북위 황제들은 고구려 사절을 중국 사절과 동등하게 대우했다. 북위 효문제 시대에만 41명의 사절이 파견되었지만,[29] 장수왕이 남제와 계속 우호 관계를 유지하면서 사절 교류 빈도는 줄어들기 시작했다. 사절 교류 감소에 분노한 북위 효문제남제 수도에 도착하기 전에 고구려 사절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장수왕은 아랑곳하지 않고 남제에 사절을 계속 보냈다. 북위가 고구려를 막을 수 없었던 것은 장수왕의 외교 전략, 즉 상황을 극대화하고 라이벌 중국 국가 간의 권력 투쟁을 고구려에 유리하게 조종한 성공을 보여준다.[21][10]

413년, 동진에 입조하여 책봉을 받고 “사지절(使持節)·도독영주제군사(都督營州諸軍事)·정동장군(征東將軍)·고구려왕(高句麗王)·낙랑공(樂浪公)”의 칭호를 받았다. 438년경 장수왕의 관작은 “사지절(使持節)·산기상시(散騎常侍)·도독영평이주제군사(都督營平二州諸軍事)·정동대장군(征東大將軍)·고구려왕(高句麗王)·낙랑공(樂浪公)”이었다. 낙랑공(樂浪公)은 자국 영토 이외에 낙랑군(樂浪郡)의 옛 땅을 지배할 것을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45] 남조 송은 낙랑군 지역을 명목상으로는 아직 중국 땅으로 여기면서,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고구려에 낙랑공의 관작을 수여함으로써 명목과 현실을 조정하고 있었다.[45] 463년에는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를 인정받고 “차기대장군(車騎大將軍)”으로 승진하였다.

남조 송의 무제는 즉위 다음 달에 인사를 단행했는데, 그중에는 한국과 관련된 것도 있었다. 정동장군 고구려왕 고연을 정동대장군으로, 진동장군 백제왕 부여영을 진동대장군으로 승격시켰다. 이 장군 인사는, 다른 서주옹주자사가 대(對)북방 관련으로 임명되어 있는 것처럼, 실제 송의 세력 범위를 반영하고 있다.[47] 그 안에 고구려와 백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며, 고구려와 백제의 승격은 신왕조 성립에 대한 기념과 내조를 촉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고 여겨져 왔다. 물론 그러한 면은 인정해야 하지만, 이 인사를 볼 때 고구려와 백제는 단순한 외국이 아니라 송 국내의 장군과 동등하게 취급되고 있으며, 송이 군사적으로 양국에 기대하고 있었던 모습을 엿볼 수 있다.[47]

2. 4. 남진 정책과 한반도 내 영향력 확대

장수왕은 427년 평양성으로 천도하여 국내성 귀족 세력을 약화시키고 남진 정책 추진의 기반을 다졌다. 백제신라433년부터 혼인 동맹을 맺어 고구려에 대항하였는데, 이는 100년 이상 지속되며 고구려의 한반도 통일을 저지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30]

454년 신라와 적대 관계가 시작되었고, 468년 신라의 실직주성을 공격하여 점령했다. 472년 백제 개로왕북위에 고구려 공격을 요청하는 밀서를 보냈으나, 북위는 이 사실을 고구려에 알려주었다. 고구려는 승려 도림을 첩자로 보내 백제의 국력을 소모시켰다. 475년 장수왕은 백제를 공격, 수도 위례성을 함락하고 개로왕을 살해했다. 백제는 웅진(지금의 공주)으로 수도를 옮겨야 했다.[2][33] 이 전쟁으로 고구려는 한강 유역을 거의 완전히 장악했다.[15]

481년 신라를 공격하여 호명성 등 7개 성을 함락시키고 미질부까지 진격했다. 이러한 정복 전쟁을 통해 고구려는 한반도 중부 일대를 확고하게 장악하였다. 장수왕은 신라 정벌의 승리를 기념하여 충주에 아버지와 자신의 업적을 기리는 비석(오늘날 충주 고구려비)을 세웠는데, 이는 한반도에 남아있는 유일한 고구려 비석이다.[40][41]

2. 5. 말년 및 사망

말년의 장수왕은 정복 전쟁을 그만두고 내치에 힘썼으며, 중국과의 외교 관계도 계속 우호적으로 유지하여 안정을 구가하였다. 491년 음력 12월, 97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3][4] 이 소식을 들은 북위효문제는 특별히 직접 애도를 표했으며 차기대장군, 태부, 요동군개국공, 고구려왕 등의 관작을 추증하고, “강(康)”이라는 시호를 추서하였다.[46] 장수왕의 재위 기간 동안 고구려는 전성기를 맞이하여, 내몽골에서 현재 대한민국의 충청북도 남쪽 한강 유역까지 영토를 확장하였다.

3. 가계

장수왕중국어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
아버지광개토대왕
어머니미상
왕비미상
아들고조다
아들고공[49]
공주[50]
손자문자명왕
할아버지고국양왕


4. 연표


5. 대중 문화 속 장수왕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yongyang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2016-02-02
[2] 웹사이트 King Jangsu https://web.archive.[...]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6-02-02
[3] 서적 East Asia at the Center: Four Thousand Years of Engagement with the Worl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07-29
[4]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Scribner 2016-07-29
[5] 서적 The History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7-15
[6] 서적 Averting Global War: Regional Challenges, Overextension, and Options for American Strategy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6-07-15
[7] 서적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seventh to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ESCO 2016-10-10
[8]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6-11-19
[9] 서적 Korea at the crossroads : the history and future of East Asia Happyreading 2007
[10]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07-15
[11] 서적 East Asia at the Center: Four Thousand Years of Engagement with the Worl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07-29
[12]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10-11
[13]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14]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6-07-29
[15] 서적 Korean History in Map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2-01
[16] 서적 Koguryo Tomb Murals: World Cultural Heritage https://books.google[...] Giljabi Media 2016-02-02
[17] 서적 Koguryŏ = Koguryo, the origin of Korean power & pride Northeast Asia History Foundation 2007
[18]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19]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07-15
[20] 서적 East Asia :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Wadsworth 2014
[21]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22] 서적 The genesis of East Asia : 221 B.C. - A.D. 907 https://books.google[...] Associate for Asian Studies [u.a.] 2016-02-02
[23] 웹사이트 Koguryo: The glorious ancient Korean Kingdom in Northeast Asia https://www.nahf.or.[...] 2016-02-02
[24] 웹사이트 King Jangsu(2) https://web.archive.[...]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6-02-02
[25] 웹사이트 Koguryo: The glorious ancient Korean Kingdom in Northeast Asia https://www.nahf.or.[...] 2016-02-02
[26]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2-02
[27] 서적 The Dreams of the living and hopes of the dead : Goguryeo tomb mural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7
[28] 서적 한나절에 읽는 백제의 역사 https://books.google[...] ebookspub (이북스펍) 2016-11-16
[29] 서적 The genesis of East Asia : 221 B.C. - A.D. 907 https://books.google[...] Associate for Asian Studies [u.a.] 2016-02-02
[30]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6-10-12
[31]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02-02
[32] 서적 Samguk Sagi http://db.history.go[...] 2016-02-02
[33] 서적 Asia and Oceania: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10-12
[34] 서적 Korea's pastimes and customs Homa & Sekey Books
[35] 서적 Seoul : a field guide to history Dolbegae Publishers 2007
[36] 서적 A history of Korea Saffron Books 2005
[37] 서적 Pre-modern East Asia :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Wadsworth 2016-02-01
[38] 서적 Samguk yusa (三國遺事 卷第) http://db.history.go[...] 2016-02-02
[39] 웹사이트 장수왕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6-10-12
[40] 웹사이트 Chungju Goguryeobi Monument (중원/충주 고구려비) https://web.archive.[...]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6-02-02
[41] 뉴스 Goguryeo stele found in northern China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3-01-16
[42] 웹사이트 Age of Empires: World Domination Launched for Android and iOS http://gadgets.ndtv.[...] 2016-06-16
[43] 웹사이트 Age of Empires: World Domination https://web.archive.[...] 2016-06-16
[44] 일반 好太王碑文によれば、好太王の死は412年であり、『三国史記』の記年とは1年のずれがある。
[45] 서적 倭の五王 – 王位継承と五世紀の東アジア 中央公論新社 2018-01-19
[46] 일반 『魏書』高句麗伝では長寿王(璉)の享年を百余歳と記している。
[47] 서적 倭の五王 – 王位継承と五世紀の東アジア 中央公論新社 2018-01-19
[48] 일반 광개토왕릉비 비문에 의하면 412년이고, 《삼국사기》의 기록에는 413년에 즉위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49] 웹사이트 충주 고구려비 기록 https://db.history.g[...]
[50] 일반 북위의 풍태후가 그녀를 헌문제의 후궁으로 삼고자 했으나, 장수왕은 공주가 결혼했다고 둘러대고 보내지 않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