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내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내성은 고구려의 두 번째 수도로, 현재 중국 지린성 지안시에 있는 통구성으로 비정된다. 유리왕 때 수도로 정해져 광개토대왕 시기 고구려 영토 확장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장수왕 때 평양으로 천도하기 전까지 고구려의 주요 도시였다. 연개소문의 아들 연남생이 신라-당나라 연합군에 항복하면서 함락되었고, 고구려는 멸망했다. 성벽의 전체 길이는 2,686m이며, 위나암성과 함께 평지성과 산성을 이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퉁화시의 건축물 - 광개토대왕릉비
    광개토대왕릉비는 414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고구려 역사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록하여 고구려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퉁화시의 건축물 - 장군총
    장군총은 5세기 고구려 전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 지안시의 돌무지 계단식 적석총으로, 정교하게 가공된 화강암 방형 단을 쌓아 올린 형태이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고 한국 학계에서는 장수왕 또는 광개토대왕의 능으로 추정한다.
  • 유리명왕 - 황조가
    《황조가》는 고구려 유리왕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시로, 꾀꼬리의 의지하는 모습과 대비되는 화자의 고독한 심정을 노래하며, 작자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하지만 고대 권력자의 고독과 고뇌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유리명왕 - 도절
    도절은 고구려 유리명왕의 아들이자 첫 번째 태자였으며, 부여의 공격을 받았으나 폭설로 인해 물러났고, 기원전 1년에 사망하였다.
  • 석성 - 평양성 (고구려)
    평양성은 고구려가 수도를 옮긴 후 수도 역할을 한 성곽으로, 외성, 중성, 내성, 북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려 시대 서경, 조선 시대 평안도 핵심 성으로 기능했고 현재는 북한에서 문화재로 관리된다.
  • 석성 - 오녀산성
    오녀산성은 고구려의 첫 도읍지로 추정되는 산성으로, 훈강 유역 해발 200m 절벽 위에 위치하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국내성
개요
국내성 모퉁이
국내성 모퉁이
위치지안시, 지린성, 중국
유네스코 등재 유형(i)(ii)(iii)(iv)(v)
유네스코 ID1135-002
등재 연도2004년
면적59.24 헥타르
부분고구려 수도와 고분군
명칭
중국어 간체国内城
중국어 병음Gúonèi Chéng
중국어 웨이드-자일스Kuo-Nei Ch'eng
한자國內城
한국어국내성
로마자 표기Gungnae-seong
매큔-라이샤워 표기Kungnae-sŏng

2. 위치

졸본성에 이어 고구려의 두 번째 수도였던 국내성의 위치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했으나, 중국 지린성 지안에 있는 통구성(通溝城)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3. 역사

고구려의 두 번째 수도였던 국내성은 유리왕 대인 서기 3년에 수도로 정해진 이후[5] 약 425년간 고구려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광개토대왕 시기 고구려가 강력한 세력으로 성장하는 기반이 되었으며,[5] 장수왕이 427년 평양으로 수도를 옮긴 이후에도[6] 여전히 중요한 도시로 기능했다.[7] 그러나 고구려 말기인 666년, 연남생신라- 연합군에게 항복하면서 함락되었고, 이는 고구려 멸망(668년)으로 이어지는 과정의 일부였다.[8][9]

3. 1. 건립과 천도

고구려의 4대 국왕인 유리왕은 서기 3년 10월에 국내성을 수도로 정했다. 국내성은 19대 국왕인 광개토대왕이 고구려의 영토를 크게 확장하고 동북아시아의 강력한 세력으로 만들기 전까지 여러 차례 외적의 공격을 받았다.[5] 413년 광개토대왕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인 장수왕이 왕위를 계승했으며, 427년에는 수도를 평양으로 옮겼다.[6] 수도가 이전된 이후에도 국내성은 고구려에서 중요한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계속 수행했다.[7]

고구려 말기, 연개소문의 아들인 연남생 장군은 666년에 국내성을 신라- 연합군에게 넘겨주며 항복했고, 이로 인해 국내성은 함락되었다. 고구려는 668년 당나라 군대가 평양을 점령하고 마지막 왕인 보장왕연남건을 사로잡으면서 멸망했다.[8][9]

3. 2. 광개토대왕과 전성기

고구려의 4대 국왕인 유리왕은 서기 3년 10월에 국내성을 수도로 정했다. 그러나 국내성은 19대 국왕인 광개토대왕이 고구려의 영토를 크게 넓히고 동북아시아의 강력한 국가로 발돋움시키기 전까지 여러 차례 외침에 시달렸다.[5] 광개토대왕의 시대에 고구려는 전성기를 맞이하며 강력한 힘을 떨쳤다.

광개토대왕이 413년에 세상을 떠나자, 그의 아들인 장수왕이 왕위를 이어받았다. 장수왕은 427년에 수도를 평양으로 옮겼지만,[6] 국내성은 수도 이전 이후에도 고구려에서 여전히 중요한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유지했다.[7]

고구려 멸망 직전인 666년, 연개소문의 아들인 연남생 장군이 국내성을 신라- 연합군에게 넘겨주면서 성은 함락되었다. 결국 고구려는 668년 당나라 군대가 평양을 점령하고 마지막 왕인 보장왕연남건 등을 사로잡으면서 멸망하게 되었다.[8][9]

3. 3. 장수왕과 평양 천도

광개토대왕은 고구려의 영토를 크게 확장하고 동북아시아의 강력한 세력으로 만들었다.[5] 광개토대왕이 413년에 사망한 후, 그의 아들인 장수왕이 왕위를 계승했다. 장수왕은 427년에 수도를 평양으로 옮겼다.[6] 수도를 평양으로 옮긴 이후에도 국내성은 고구려에서 여전히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7]

고구려 멸망 직전인 666년, 연개소문의 아들인 연남생 장군이 국내성을 신라- 연합군에 항복하면서 국내성은 함락되었다. 이후 고구려는 668년에 당나라 군대가 평양을 점령하고 보장왕연남건을 포로로 잡으면서 멸망했다.[8][9]

3. 4. 고구려 멸망과 국내성 함락

고구려 멸망 직전인 666년, 연개소문의 아들인 연남생 장군은 국내성을 신라- 연합군에 넘기며 항복하였고, 이로 인해 국내성은 함락되었다. 이후 고구려는 668년 당나라 군대가 수도 평양을 점령하고 보장왕연남건을 사로잡으면서 최종적으로 멸망하였다.[8][9]

4. 특징

국내성 성벽의 전체 길이는 2686m이며, 동서 방향이 남북 방향에 비해 약간 더 길다. 현재 성벽은 상당 부분 훼손된 상태이다. 지안 서북쪽 2.5km 지점에 위치한 해발 676m의 환도산에는 산성인 위나암성(尉那巖城)이 있다. 고구려는 이 시기부터 평지성과 산성을 한 조로 조성하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평지에 있는 국내성이 외적의 공격을 받을 경우 산성인 위나암성으로 피난하여 방어했던 것으로 보인다.

5. 갤러리

6. 관련 항목

참조

[1] Youtube Complex of Koguryo Tombs (UNESCO/NHK) https://whc.unesco.o[...] UNESCO 2010-01-01
[2] 웹사이트 The Capital City of Koguryo Viewed from the Satellite (enlarged edition) http://www.historyfo[...]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2015-06-27
[3] 웹사이트 Gungnae Fortress http://100.naver.com[...]
[4] 웹사이트 Capital Cities and Tombs of the Ancient Koguryo Kingdom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1-04-10
[5] 서적 Nation building:the geopolitical history of Korea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8-01-01
[6] 서적 New history of Korea Jimoondang 2005-01-01
[7] 서적 The Dreams of the Living and Hopes of the Dead:Goguryeo Tomb Mural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7-01-01
[8] 서적 This history of Korea, 2nd edition 2000-01-01
[9] 간행물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Northeast History Foundation 2007-01-01
[10] 웹사이트 国内城 (Naver百科) https://terms.naver.[...]
[11] 웹사이트 高句麗いにしえの地を訪ねて:築城連帯が確実な最初の都城、国内城(高句麗研究会) http://www.searchnav[...]
[12] 웹사이트 Capital Cities and Tombs of the Ancient Koguryo Kingdom https://whc.unesco.o[...] UNESCO 2023-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