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여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려여객은 1966년 천일여객자동차로부터 분사하여 설립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운송 업체이다. 부산을 기점으로 시작하여, 1980년대에 터미널 및 정비공장을 설립하며 성장했다. 2019년 4월 기준으로 모든 노선이 고속버스로 전환되었으며, 서울, 성남 등에서 김해, 통영 방면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기아 그랜버드 시리즈를 주력 차종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의 관광버스 기업 - 천일여객
천일여객은 1976년 천일고속에서 분사되어 설립된 부산광역시 소재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운송 기업으로, 부산을 기점으로 서부 경남, 대구, 서울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터미널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천일여객그룹 - 밀양교통
밀양교통은 1970년에 설립된 경상남도 밀양시의 유일한 시내버스 회사로, 밀양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와 농어촌버스를 운행하며 밀양역을 기점으로 다양한 노선을 운영한다. - 경상남도의 고속버스 기업 - 천일여객
천일여객은 1976년 천일고속에서 분사되어 설립된 부산광역시 소재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운송 기업으로, 부산을 기점으로 서부 경남, 대구, 서울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터미널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경상남도의 고속버스 기업 - 천일고속
천일고속은 1949년에 설립되어 1970년부터 고속버스 운행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운송 기업으로, 전국 주요 노선을 운행하며 우등고속버스 도입으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켰고 본점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다.
고려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고려여객자동차 주식회사 |
원어 | Korea Express Bus Co., Ltd.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66년 2월 16일 |
시장 정보 | 비상장 |
장소 (주사무소)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사상로 201 (괘법동) |
장소 (면허등록지) | 경상남도 거제시 고현 |
장소 (본점)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168 (초량동) |
국가 | 대한민국 |
인물 (대표이사) | 박재상, 박치현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외버스, 고속버스 |
자본금 | 822,630,000원 (2020.12) |
매출액 | 10,761,101,916원 (2020) |
영업이익 | -4,284,245,181원 (2020) |
순이익 | -5,206,567,481원 (2020) |
자산총액 | 12,847,340,397원 (2020.12) |
주주 | 박남수 외 특수관계인: 100% |
종업원 | 142명 (2020.12) |
모기업 | 천일여객그룹 |
2. 역사
고려여객은 1966년 2월 16일 천일여객자동차(현 천일고속)에서 분사하여 설립되었다. 부산을 기점으로 시외버스 사업을 시작했으며, 1981년 부산 북구 감전동에 정비공장을 설립했다. 같은 해 9월 관광사업발전 기여업체로 선정되었고, 10월 28일 창녕에 2급 자동차정비공장을 설립했다. 1982년 9월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과 부곡버스터미널을, 1987년 11월 19일 밀양버스터미널을 건립했다. 1988년 감사패를 받았고, 1994년 박남수 회장이 국민훈장 목련장을 수상했다. 1997년과 1998년 서울 ~ 통영, 서울 ~ 김해(장유 경유) 노선이 고속버스로 인가받았다. 2005년 밀성여객이 계열분리되었고, 2009년 천일고속이 독립하면서 천일여객그룹이 모회사가 되었다.[1]
2. 1. 연혁
- 1966년 2월 16일: 당시 같은 계열사였던 천일여객자동차(현 천일고속)로부터 분사하여 설립되었으며, 부산을 기점으로 하는 시외버스로 시작했다.[1]
- 1981년: 부산 북구 감전동에 정비공장을 설립했고,[1] 같은 해 9월 관광사업발전 기여업체로 선정되었다.[1]
- 1981년 10월 28일: 창녕에 2급 자동차정비공장을 설립했다.[1]
- 1982년 9월: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과 부곡버스터미널을 설립했다.[1]
- 1987년 11월 19일: 밀양버스터미널을 건립했다.[1]
- 1988년: 감사패를 수상하였다.[1]
- 1994년: 박남수 회장이 국민훈장 목련장을 수상하였다.[1]
- 1997년 ~ 1998년: 서울 ~ 통영, 서울 ~ 김해(장유 경유) 노선이 고속버스로 인가받았다.[1]
- 2005년: 같은 계열사였던 밀성여객이 계열분리되었다.[1]
- 2009년: 천일고속이 독립하면서 모회사인 천일여객그룹이 되었다.[1]
3. 운행 노선
고려여객은 2015년 12월 기준으로 42개 노선(직행 39개, 고속 3개)을 운행하며, 총 93대(직행 69대, 고속 4대, 우등 16대, 예비 4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1]
운행 노선 수 | 보유 대수 |
---|---|
42개 (직행 39개, 고속 3개) | 93대 (직행 69대, 고속 4대, 우등 16대, 예비 4대) |
고속버스 노선은 과거 시외버스에서 전환된 노선으로, 천일여객과 공동 운행하는 서울경부 ↔ 김해, 서울경부 ↔ 통영 노선과 속리산고속과 공동 운행하는 성남 ↔ 통영 노선이 있다.[2]
시외버스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중심으로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
- 남서울 출발 노선:
- 남서울 → 부곡 (현풍, 창녕, 영산 경유, 천일여객과 공동 운행)
- 남서울 → 서부산 (장유 경유와 남지 경유로 나뉨, 천일여객과 공동 운행)
- 남서울 → 용원 (진해, 진해경찰서 경유, 경전여객, 천일여객과 공동 운행)
- 서부산 출발 노선:
- 서부산 - 포항 (경주 경유, 금아여행, 아성고속, 천마고속, 천일여객 공동 운행)[1]
- 서부산 - 거창 (현풍, 고령 경유/가조 경유)[1]
- 서부산 - 창녕 (일부 시간대 서대구 운행)[1]
- 서부산 - 마산 (심야 시간 남산동, 정우상가, 창원 경유)[1]
- 서부산 - 창원[1]
- 서부산 - 동대구 (코리아와이드경북 공동 운행)[1]
- 창원 출발 노선:
- 인천 (마산 경유, 경기고속, 경남고속, 천일여객과 공동 운행)[1]
- 안산 (오산, 수원, 마산 경유, 코리아와이드경북, 경남고속, 천일여객과 공동 운행)[2]
- 서대구
- 마산 출발 노선:
- 마산 → 창녕 → 현풍 (직통과 완행으로 나뉨, 일부 시간대 서대구까지 운행)
- 마산 → 구미 (복지상가, 구미공단 경유)
- 서대구 출발 노선:
- 서대구 → 통영 (마산 경유와 남마산정류소, 배둔정류소, 진동, 고성 경유로 나뉨)
- 서대구 → 창원 (직통과 마산 경유로 나뉨)
- 서대구 → 김해 (부곡, 영산 경유와 창녕 경유로 나뉨)
- 서대구 → 마산
- 서대구 → 창녕
- 서대구 → 부곡 (창녕, 영산 경유)
3. 1. 고속버스
과거 시외버스에서 고속버스로 전환된 노선을 운행한다.[2]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 구간 | 경유지 | 대수 (일반) | 대수 (우등) |
---|---|---|---|---|---|
서울경부 ↔ 김해 | 천일여객 | 서울경부 ↔ 김해 | 선산휴게소, 장유 | 2 | 8 |
서울경부 ↔ 통영 | 천일여객 | 서울경부 ↔ 통영 | 인삼랜드휴게소 | 1 | 7 |
성남 ↔ 통영 | 속리산고속 | 성남 ↔ 통영 | 인삼랜드휴게소 | 1 | 1 |
3. 1. 1. 서울경부 출발 노선
천일여객과 공동 운행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2] 모든 노선은 시외버스에서 고속버스로 전환되었다.
3. 1. 2. 성남 출발 노선
2019년 4월 기준이다.[2] 모든 노선이 시외버스에서 고속버스로 전환되었다.
3. 2. 시외버스
고려여객은 경상남도 창원시를 중심으로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3. 2. 1. 남서울 출발 노선
- 남서울 → 부곡 (현풍, 창녕, 영산 경유, 천일여객과 공동 운행)
- 남서울 → 서부산 (장유 경유와 남지 경유로 나뉨, 천일여객과 공동 운행)
- 남서울 → 용원 (진해, 진해경찰서 경유, 경전여객, 천일여객과 공동 운행)
3. 2. 2. 서부산 출발 노선
- 서부산 - 포항 (경주 경유, 금아여행, 아성고속, 천마고속, 천일여객 공동 운행)[1]
- 서부산 - 거창 (현풍, 고령 경유/가조 경유)[1]
- 서부산 - 창녕 (일부 시간대 서대구 운행)[1]
- 서부산 - 마산 (심야 시간 남산동, 정우상가, 창원 경유)[1]
- 서부산 - 창원[1]
- 서부산 - 동대구 (코리아와이드경북 공동 운행)[1]
3. 2. 3. 창원 출발 노선
3. 2. 4. 마산 출발 노선
3. 2. 5. 서대구 출발 노선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통영 (\마산 경유와 남마산정류소, 배둔정류소, 진동, 고성 경유로 나뉨)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창원 (직통과 마산 경유로 나뉨)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김해 (부곡, 영산 경유와 창녕 경유로 나뉨)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마산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창녕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부곡 (창녕, 영산 경유)
4. 운행 차량
고려여객은 기아 그랜버드 시리즈를 주력 차종으로 운행한다.
4. 1. 기아
기아에서 생산하는 버스 차종은 다음과 같다.참조
[1]
간행물
시외버스 면허대수 현황
http://open.gyeongna[...]
경상남도청 교통물류과
2016-02-29
[2]
간행물
고속버스 운행계통표
국토교통부
2019-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