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토 후미오 (메이지 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토 후미오는 메이지 시대에 활동한 일본의 관료이자 정치인이다. 1884년 오이타현에서 태어나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내무성에 들어가 관료 생활을 시작했다. 대만총독부 총무장관, 농림대신, 내무대신을 역임했으며, 2·26 사건 당시에는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를 맡았다. 이후 대정익찬회에서 활동하다 A급 전범으로 지목되어 수감되었으나 석방되었고, 참의원 의원을 지냈다. 그는 일본 임업회 초대 회장을 역임했으며, 1980년 9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이타현의 정치인 - 이와야 다케시
이와야 다케시는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으로, 오이타현 의회 의원을 거쳐 중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외무 부대신, 방위대신 등을 역임한 일본의 정치인이다. - 신관료 - 호시노 나오키
호시노 나오키는 일본 제국의 관료로, 만주국에서 아편 독점국을 창설하여 마약 생산을 주도한 혐의로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며, 석방 후 기업 사장과 회장을 역임하다 1978년 사망했다. - 신관료 - 아베 겐키
아베 겐키는 일본의 내무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태평양 전쟁 말기 내무대신을 역임하고 전후 A급 전범 용의자로 체포되었으나 석방되었으며, 내무성 재직 시절 공산주의 탄압에 앞장섰고 전후에는 우익 활동을 펼쳤다. - 대만총독부 관련자 - 고토 신페이
고토 신페이는 일본의 의사이자 관료, 정치가로서,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내무대신, 외무대신, 철도원 총재, 도쿄 시장 등을 역임하며 대만총독부 민정장관, 만철 총재, 도쿄 부흥원 총재 등을 지내며 일본 근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대만총독부 관련자 - 핫타 요이치
핫타 요이치는 일본의 토목공학 기사이자 타이완 총독부 관리로, 타이완 총독부 기술관으로 근무하며 자난 평야 관개 사업의 일환인 우산터우 댐 건설을 주도하여 타이완 농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고, 그의 업적은 타이완에서 높이 평가받아 기리는 사업이 이어지고 있다.
고토 후미오 (메이지 시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 종2위 |
출생일 | 1884년 3월 7일 |
출생지 | 오이타현 오이타시 |
사망일 | 1980년 5월 13일 |
사망지 | 도쿄도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대정익찬회 (1940–1945) |
기타 정당 | 무소속 (1940년 이전) |
학력 | 도쿄 제국대학 |
관료 경력 | |
전 직책 | 타이완 총독부 총무장관 |
수상 대리 | |
직책 |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
국왕 | 쇼와 |
이전 수상 | 오카다 게이스케 |
다음 수상 | 오카다 게이스케 |
임기 시작 | 1936년 2월 26일 |
임기 종료 | 1936년 2월 29일 |
재임 기간 | 3일 |
국무 대신 | |
내각 | 도조 내각 |
임기 시작 | 1943년 5월 26일 |
임기 종료 | 1944년 7월 22일 |
농림 대신 | |
직책 | 제8대 농림대신 |
내각 | 오카다 내각 |
임기 시작 | 1934년 7월 8일 |
임기 종료 | 1936년 2월 29일 |
내무 대신 | |
직책 | 제46대 내무대신 |
내각 | 오카다 내각 |
임기 시작 | 1936년 2월 26일 |
임기 종료 | 1936년 3월 9일 |
참의원 의원 | |
선거구 | 오이타현 선거구 |
당선 횟수 | 1회 |
임기 시작 | 1953년 5월 3일 |
임기 종료 | 1959년 5월 2일 |
이전 의원 | 이와오 진조 |
다음 의원 | 무라카미 하루조 |
귀족원 의원 | |
임기 시작 | 1930년 12월 23일 |
임기 종료 | 1945년 12월 18일 |
훈장 | |
훈장 | 훈1등 욱일대수장 |
훈장 | 훈1등 서보장 |
포장 | 남수포장 |
기념장 | 제1회 국세 조사 기념장 |
가족 | |
배우자 | 고토 하루코 |
자녀 | 장남: 고토 마사오 |
이미지 | |
![]() |
2. 약력
서력 | 일본 연호 | 내용 |
---|---|---|
1908년 7월 | 메이지 41년 | 도쿄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 졸업 |
1908년 12월 | 메이지 41년 | 내무성 관료가 됨 |
1922년 6월 | 다이쇼 11년 | 내무성 경보국장(警保局長) |
1924년 9월 | 다이쇼 13년 | 대만총독부 총무장관 |
1928년 | 쇼와 3년 | 대중불경사건(台中不敬事件)으로 총무장관 사임 |
1930년 12월 | 쇼와 5년 | 귀족원 칙임의원(勅任議員) |
1932년 1월 | 쇼와 7년 | 고노에 후미마로 등과 국유회(國維會)를 발기, 이사가 됨 |
1932년 5월 ~ 1934년 7월 | 쇼와 7년 ~ 쇼와 9년 | 사이토 내각의 농림대신 |
1934년 7월 ~ 1936년 3월 | 쇼와 9년 ~ 쇼와 11년 | 오카다 내각의 내무대신 |
1936년 2월 | 쇼와 11년 | 2·26 사건으로 내무대신 관저를 습격당했지만 외출 중이어서 무사. 오카다 게이스케 총리의 소식이 불명확했기 때문에 이틀 간 내각 총리대신 임시대리를 맡음(총리는 생존) |
1941년 8월 | 쇼와 16년 | 대정익찬회 중앙협력회 의장 |
1942년 6월 | 쇼와 17년 | 대정익찬회 사무총장 |
1943년 4월 | 쇼와 18년 | 대정익찬회 부총재 |
1943년 5월 ~ 1944년 7월 | 쇼와 18년 ~ 쇼와 19년 | 도조 내각의 국무대신 |
1945년 12월 | 쇼와 20년 | A급 전범으로 지명되어 스가모 구치소에 구치 |
1948년 12월 | 쇼와 23년 | 불기소로 석방 |
1953년 4월 ~ 1959년 6월 | 쇼와 28년 ~ 쇼와 34년 | 참의원 의원(오이타 지방구大分地方区, 료쿠후카이緑風会) |
1980년 5월 13일 | 쇼와 55년 | 사망. 향년 97세(만96세). |
1884년 오이타현에서 태어난 고토 후미오는 1908년 도쿄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내무성 관료가 되었다. 이후 대만총독부 총무장관, 귀족원 의원 등을 역임했다.[3]
3. 생애
고토 후미오의 생애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시기 내용 1908년 ~ 1928년 도쿄제국대학 졸업, 내무성 관료, 대만총독부 총무장관 역임 1930년 ~ 1945년 귀족원 의원, 사이토 내각 농림대신, 오카다 내각 내무대신, 대정익찬회 중앙협력회 의장, 도조 내각 국무대신 역임 1945년 ~ 1980년 A급 전범 지명 및 석방, 참의원 의원 역임, 일본청년관 이사장 역임
2·26 사건 당시 내무대신이었던 고토는 오카다 게이스케 총리가 생사 불명이었기 때문에, 이틀간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를 맡았다.[3]
3. 1. 초기 생애 및 관료 경력
1884년 3월, 오이타현오이타시에서 태어났다. 제5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08년 7월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해 11월, 고등문관시험에 '''수석'''으로 합격하고, 12월에 내무성 관료가 되었다.[1]
1910년 12월, 육군 보병 제72연대에 입영하여 약 1년 반 동안 군 복무를 마쳤다.
1917년 5월부터 1919년 12월까지 구미 지역으로 유학을 다녀왔다. 귀국 후 같은 달 경보국 경무과장이 되었고, 1920년 9월에는 대신관방 문서과장 및 대신 비서관을 겸임했다.
1922년 6월, 경보국장이 되었다. 1923년 관동 대지진 발생 6주 후인 10월 12일, 경보국장직에서 사임했다.
1924년 9월, 대만총독부 총무장관에 취임했다. 같은 해 12월부터 1925년 4월까지 대만총독부 교통국 총장 서리를 겸임했다. 1928년 타이중 불경 사건으로 총무장관직에서 물러났다.
3. 2. 정치 활동
1908년 도쿄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내무성 관료가 되었다.[3] 1922년 내무성 경보국장이 되었고,[3] 1924년에는 대만총독부 총무장관이 되었다.[3] 1928년 대중불경사건(台中不敬事件)으로 총무장관직에서 사임했다.[3]
1930년 귀족원 칙임의원이 되었고,[3] 1932년에는 고노에 후미마로 등과 함께 국유회(國維會)를 발기하여 이사가 되었다.[3] 같은 해 사이토 내각의 농림대신으로 취임했으며, 1934년 오카다 내각에서는 내무대신을 역임했다.[3]
1936년 2·26 사건 당시 내무대신 관저가 습격당했지만, 외출 중이어서 무사했다. 오카다 게이스케 총리가 생사 불명이었기 때문에, 고토는 이틀간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를 맡았다.[3]
1941년 대정익찬회 중앙협력회 의장을 맡았고, 1942년에는 대정익찬회 사무총장, 1943년에는 부총재를 역임했다.[3] 1943년부터 1944년까지 도조 내각의 국무대신을 지냈다.[3]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5년 A급 전범으로 지명되어 스가모 구치소에 구치되었으나, 1948년 불기소로 석방되었다.[3] 1953년부터 1959년까지 참의원 의원(오이타 지방구, 료쿠후카이)을 역임했다.[3]
3. 3. 전후 활동
1945년 12월 A급 전범으로 지명되어 스가모 구치소에 구치되었으나,[2] 1948년 12월 불기소로 석방되었다.
1953년 4월부터 1959년 6월까지 참의원 의원(오이타현 선거구, 녹풍회)을 역임하였다.
1952년 재단법인 전력 경제 연구소를 설립하고, 원자력 발전을 포함한 전원 설치에 힘썼다.
1956년 일본 청년관 이사장에 취임하여 청년 육성에 기여했으며, 1969년 11월에는 일본 청년관 이사장직을 사임하고 명예 회장이 되었다.
1973년 4월 부인 치코가 사망하였다.
1980년 5월 폐렴으로[4] 9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사망일을 기해 정3위에서 종2위로 서위되었다.[5]
4. 수상 내역
수여 일자 | 훈장 및 서위 |
---|---|
1916년 1월 19일 | 훈6등 단광욱일장[6] |
1916년 4월 1일 | 훈5등 쌍광욱일장[7] |
1920년 11월 1일 | 훈4등 서보장[8] |
1921년 7월 1일 | 제1회 국세 조사 기념장[9] |
1926년 8월 26일 | 훈3등 서보장[7] |
1934년 4월 24일 | 훈1등 서보장[7] |
1960년 11월 3일 | 남수포장[10] (오랜 기간 청년단 육성, 일본청년관 이사장, 일본산업개발청년협회 주재자로서 근로 청년의 지도에 기여)[11] |
1971년 11월 3일 | 훈1등 욱일대수장 |
1980년 5월 13일 | 종2위 |
5. 가족 관계
장남은 법무대신을 지낸 고토 마사오이며, 차남은 도쿄가쿠게이대학 명예교수인 고토 요네오이다.
6. 평가
나카무라 소우에츠 저, 『고토 후미오 - 인격의 통제에서 국가 사회의 통제로』 일본경제평론사 〈평전·일본의 경제사상〉, 2008년
참조
[1]
웹사이트
後藤文夫
https://kotobank.jp/[...]
[2]
뉴스
梨本宮・平沼・平田ら五十九人に逮捕命令
毎日新聞(東京)
1945-12-04
[3]
서적
貴族院要覧(丙)
1946-12
[4]
서적
事典有名人の死亡診断 近代編
吉川弘文館
[5]
간행물
官報
1980-05-20
[6]
간행물
官報
1916-01-20
[7]
서적
青年と歩む後藤文夫
[8]
간행물
官報
1921-05-21
[9]
간행물
官報
1922-02-14
[10]
데이터베이스
後藤文夫(ゴトウフミオ,政治家)
[11]
간행물
官報
1960-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