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종2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2위는 율령제 하에서 내대신이나 장인별당 등 고위 관직에 주어진 위계로, 공경의 위계에 해당한다. 무사 사회에서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쇼군의 정실 부인에게 주어졌으며, 센고쿠 시대에는 오우치 요시타카가 무사로서는 처음으로 종2위를 받았다. 일본국 헌법 시행 후에는 참의원 의장이나 중의원 의장을 지낸 인물이 사망했을 때 추서되는 경우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계제 - 종3위
    종3위는 율령제 시대부터 존재한 고위 관직으로, 귀족의 관위였으며, 센고쿠 시대 이후에는 오다, 도요토미 가문 등의 인물들이 처음 받는 관직이 되었고, 에도 시대에는 쇼군가의 적손 등에게 수여되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공적이 뚜렷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영예로운 지위로 이어져 일본 사회의 권력 구조와 지배층의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 위계제 - 정6위
    정6위는 율령제에서 하급 관직에 수여된 위계로,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이후 소좌 계급에, 한국에서는 조선시대 6품의 당하관에 해당하며, 율령제 하에서는 차관에게 서임되고 5위 이상의 귀족과는 차별화되었다.
종2위
개요
종류위계
위치정2위의 아래, 종3위의 위
상세 내용
개요위계의 하나이다. 정2위의 아래, 종3위의 위이다.
역사율령제 하에서 경(卿), 대납언, 중납언, 참의 등에 상당한다.
현대일본국 헌법 하에서는 수여되지 않는다.

2. 율령제 하의 종2위

율령제 하에서 종2위는 주로 내대신이나 장인별당 정도에게 주어졌다. 유명한 인물로는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정실부인 다이라노 도키코가 있다.

종2위는 공경의 위계로 고위직이며, 무사들 사이에서는 가마쿠라 시대에서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호조 마사코 이후 정이대장군의 정실부인인 미다이도코로에게 주어진 적은 있었지만 장군의 가문에 주어진 적은 없었다. 무로마치 막부의 일문인 가마쿠라 구보도 종삼위이며, 무로마치 막부 관령의 직에 있는 자라 해도 위계는 삼위쯤에서 더 이상 승진되지 않았다. 그러다 센고쿠 시대 들어서 무사들을 제어하던 막부의 통제가 무너지고, 유력 다이묘가 조정에 직접 선을 대는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오우치 요시타카가 무사로서 처음으로 종2위를 받았다.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관백이 되면서 종2위에 올라, 위계 2위 이상의 상승무사가 등장하게 되었다.

일본국 헌법 시행 후에는 참의원 의장, 중의원 의장을 지낸 이가 사망하면 대개 이 위계에 봉해진다.

율령제 하의 관위 상당에서는 정2위와 마찬가지로 우대신에 해당하며, 령외관에서는 내대신이나 구로도노벳토에 해당한다고 여겨졌다. 여성의 경우, 대신의 정실 등도 이 위에 서임되었다. 유명한 예로는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정실인 타이라노 도키코로 "2위의 비구니"라고 칭해졌는데, 도키코가 종2위에 서임된 것은 외손자인 노리히토 친왕(타카쿠라 천황)의 입태자를 받은 것이며, 도키코의 서위 시점에서는 기요모리는 권대납언 겸 춘궁대부였다(다만, 기요모리도 직후에 내대신에 임명된다.).

에도 시대 이후, 도쿠가와 쇼군가의 일문인 고산케, 고산쿄가 종2위·권대납언에 오르는 예가 나타났다.

일본국 헌법에 규정된 영전으로서의 위계는 사후에 서위되기 때문에, 중의원 의장·참의원 의장 등 삼권의 장으로서 공로 있는 자가 사후에 받는 경우가 많다. 내각총리대신의 경우, 한 단계 위의 정2위를 수여받는 자가 많지만, 임기가 짧은 자(대개 1년 미만)는 종2위에 서임된다. 학술 분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 등이 종2위에 서임되고 있다.

이름서위일비고
오토모노 야스마로와도 7년 5월 1일
(714년 6월 17일)
다이나곤, 추증(정삼위)
후지와라노 미야코요로 7년 1월 10일
(723년 2월 19일)
몬무 천황부인
후지와라노 무치마로덴표 6년 1월 17일
(734년 2월 24일)
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다치바나노 모로에덴표 11년 1월 13일
(739년 2월 25일)
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토요나리덴표 20년 3월 22일
(748년 4월 24일)
다이나곤, 종삼위에서 진계
다치바나노 코나카치덴표 21년 4월 1일
(749년 4월 21일)
쇼무 천황 부인,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나카마로덴표쇼호 2년 1월 16일
(750년 2월 26일)
다이나곤,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츠구나와엔랴쿠 5년 4월 11일
(786년 5월 13일)
다이나곤,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우치마로다이도 4년 1월 1일
(809년 1월 20일)
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후유츠구고닌 13년 1월 7일
(822년 2월 2일)
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오구시고닌 14년 4월 27일
(823년 6월 9일)
다이나곤, 정삼위에서 진계
키요하라노 나츠노덴초 10년 3월 6일
(833년 3월 30일)
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요시후사가쇼 2년 1월 7일
(849년 2월 3일)
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미나모토노 마코토가쇼 3년 4월 17일
(850년 5월 31일)
다이나곤,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나가라사이코 3년 6월 23일
(856년 7월 28일)
곤츄나곤,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요시사다텐안 원년 4월 19일
(857년 5월 16일)
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미나모토노 토오루조간 15년 1월 7일
(873년 2월 8일)
사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모토츠네조간 15년 1월 7일
(873년 2월 8일)
세쇼・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한시 여왕닌나 3년 1월 8일
(887년 2월 4일)
고코 천황뇨고, 종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온시엔기 9년 2월 21일
(909년 3월 15일)
다이고 천황 뇨고, 종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야스코덴랴쿠 10년 4월 2일
(956년 5월 14일)
무라카미 천황 뇨고, 종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가이시텐엔 2년 12월 7일
(975년 1월 21일)
레이제이 천황 뇨고
후지와라노 요시코간코 2년 1월 10일
(1005년 2월 21일)
이치조 천황 뇨고, 종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겐시간코 2년 1월 13일
(1005년 2월 24일)
이치조 천황 뇨고, 종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소시간코 7년 1월 20일
(1010년 2월 6일)
이치조 천황 뇨고,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켄시간코 7년 1월 20일
(1010년 2월 6일)
쇼시, 종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이시조와 2년 9월 16일
(1013년 10월 23일)
쇼시, 종삼위에서 진계


2. 1. 주요 인물

이름서위일비고
오토모노 야스마로와도 7년 5월 1일
(714년 6월 17일)
다이나곤, 추증(정삼위)
후지와라노 미야코요로 7년 1월 10일
(723년 2월 19일)
몬무 천황부인
후지와라노 무치마로덴표 6년 1월 17일
(734년 2월 24일)
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다치바나노 모로에덴표 11년 1월 13일
(739년 2월 25일)
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토요나리덴표 20년 3월 22일
(748년 4월 24일)
다이나곤, 종삼위에서 진계
다치바나노 코나카치덴표 21년 4월 1일
(749년 4월 21일)
쇼무 천황 부인,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나카마로덴표쇼호 2년 1월 16일
(750년 2월 26일)
다이나곤,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츠구나와엔랴쿠 5년 4월 11일
(786년 5월 13일)
다이나곤,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우치마로다이도 4년 1월 1일
(809년 1월 20일)
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후유츠구고닌 13년 1월 7일
(822년 2월 2일)
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오구시고닌 14년 4월 27일
(823년 6월 9일)
다이나곤, 정삼위에서 진계
키요하라노 나츠노덴초 10년 3월 6일
(833년 3월 30일)
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요시후사가쇼 2년 1월 7일
(849년 2월 3일)
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미나모토노 마코토가쇼 3년 4월 17일
(850년 5월 31일)
다이나곤,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나가라사이코 3년 6월 23일
(856년 7월 28일)
곤츄나곤,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요시사다텐안 원년 4월 19일
(857년 5월 16일)
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미나모토노 토오루조간 15년 1월 7일
(873년 2월 8일)
사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모토츠네조간 15년 1월 7일
(873년 2월 8일)
세쇼・우다이진, 정삼위에서 진계
한시 여왕닌나 3년 1월 8일
(887년 2월 4일)
고코 천황뇨고, 종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온시엔기 9년 2월 21일
(909년 3월 15일)
다이고 천황 뇨고, 종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야스코덴랴쿠 10년 4월 2일
(956년 5월 14일)
무라카미 천황 뇨고, 종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가이시텐엔 2년 12월 7일
(975년 1월 21일)
레이제이 천황 뇨고
후지와라노 요시코간코 2년 1월 10일
(1005년 2월 21일)
이치조 천황 뇨고, 종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겐시간코 2년 1월 13일
(1005년 2월 24일)
이치조 천황 뇨고, 종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소시간코 7년 1월 20일
(1010년 2월 6일)
이치조 천황 뇨고, 정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켄시간코 7년 1월 20일
(1010년 2월 6일)
쇼시, 종삼위에서 진계
후지와라노 이시조와 2년 9월 16일
(1013년 10월 23일)
쇼시, 종삼위에서 진계


3. 무가 정권 하의 종2위

율령제 하에서 종2위는 주로 내대신이나 장인별당 정도에게 주어졌다. 유명한 예시는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정실부인 다이라노 도키코가 있다.

종2위는 공경의 위계로 고위직이며, 무사들 사이에서는 가마쿠라 시대에서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호조 마사코 이후 정이대장군의 정실부인인 미다이도코로에게 주어진 적은 있었지만 장군의 가문에 주어진 적은 없었다. 무로마치 막부의 일문인 가마쿠라 구보도 종삼위이며, 무로마치 막부 관령의 직에 있는 자라 해도 위계는 삼위쯤에서 더 이상 승진되지 않았다. 그러다 센고쿠 시대 들어서 무사들을 제어하던 막부의 통제가 무너지고, 유력 다이묘가 조정에 직접 선을 대는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오우치 요시타카가 무사로서 처음으로 종2위를 받았다.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관백이 되면서 종2위에 올라, 위계 이위 이상의 상승무사가 등장하게 되었다.

일본국 헌법 시행 후에는 참의원 의장, 중의원 의장을 지낸 이가 사망하면 대개 이 위계에 봉해진다.

아시카가 타다요시는 1358년(엔분 3년/쇼헤이 13년) 2월 12일에 종3위에서, 오오치 요시타카는 1548년(덴분 17년)에, 아소 코레토요는 1549년(덴분 18년)에, 도요토미 히데나가는 1587년(덴쇼 15년) 8월 8일에 종2위에 올랐다.

4. 근현대의 종2위

율령제 하에서 종2위는 주로 내대신이나 장인별당 정도에게 주어졌다.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정실부인 다이라노 도키코가 대표적인 예이다.

무사들 사이에서는 가마쿠라 시대에서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호조 마사코 이후 정이대장군의 정실부인인 미다이도코로에게 주어진 적은 있었지만, 장군의 가문에 주어진 적은 없었다. 무로마치 막부의 일문인 가마쿠라 구보도 종삼위였으며, 무로마치 막부 관령 직에 있는 자라 해도 위계는 삼위쯤에서 더 이상 승진되지 않았다. 그러다 센고쿠 시대 들어 무사들을 제어하던 막부의 통제가 무너지고, 유력 다이묘가 조정에 직접 선을 대는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오우치 요시타카가 무사로서 처음으로 종2위를 받았다.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관백이 되면서 종2위에 올라, 위계 2위 이상의 상승무사가 등장하게 되었다.

일본국 헌법 시행 후에는 참의원 의장, 중의원 의장을 지낸 이가 사망하면 대개 이 위계에 봉해진다.

메이지 시대 이후로는 여러 인물들이 종2위에 봉해졌다. 주요 인물로는 1897년(메이지 30년) 도쿠가와 아키타케, 1908년(메이지 41년) 우에스기 테루토라, 1910년(메이지 43년) 이케다 테루마사, 1911년(메이지 44년) 오토리 케이스케, 1918년(다이쇼 7년) 다테 마사무네, 1922년(다이쇼 11년) 모리 오가이, 1931년(쇼와 6년) 기타자토 시바사부로, 1938년(쇼와 13년) 요나이 미츠마사와 가노 지고로, 그리고 1943년(쇼와 18년) 나가노 오사미와 스기야마 하지메 등이 있다.

4. 1. 추서 대상

4. 2. 한국 관련 인물

5. 현대의 종2위

일본국 헌법 시행 후에는 참의원 의장, 중의원 의장을 지낸 이가 사망하면 대개 이 위계에 봉해진다.

모두 사망 시에 추서되었다. 직책의 '''굵은 글씨'''는 '''삼권의 장''' 경험자이다.

씨명주요 직책서위된 년월일비고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내각총리대신, 구 황족(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왕)1990년(헤이세이 2년) 1월 20일대훈위 국화대수장
도쿠나가 마사토시참의원 의장, 운수대신1990년(헤이세이 2년) 9월 23일정8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우사미 다케시궁내청 장관1991년(헤이세이 3년) 1월 19일훈1등 욱일대수장
아베 신타로외무대신, 통상산업대신, 내각관방장관1991년(헤이세이 3년) 5월 15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요코타 기사부로최고재판소 장관1993년(헤이세이 5년) 2월 17일종4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문화훈장
핫토리 다카아키최고재판소 장관1993년(헤이세이 5년) 3월 24일종5위에서 승서
나다오 히로키치중의원 의장, 문부대신, 후생대신1994년(헤이세이 6년) 1월 22일종4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오카하라 마사오최고재판소 장관1994년(헤이세이 6년) 7월 14일종5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대수장
시모다 다케조최고재판소 판사, 외무사무차관, 주 미국 특명전권대사, 일본 프로 야구 커미셔너1995년(헤이세이 7년) 1월 22일종5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대수장
와타나베 미치오외무대신, 통상산업대신, 대장대신, 후생대신1995년(헤이세이 7년) 9월 15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도쿠가와 요시히로시종장1996년(헤이세이 8년) 2월 2일정5위에서 진계
다카쓰지 마사미법무대신, 내각법제국 장관, 최고재판소 판사1997년(헤이세이 9년) 5월 10일종5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대수장
후쿠다 하지메중의원 의장, 법무대신, 자치대신, 통상산업대신1997년(헤이세이 9년) 9월 12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후쿠이 겐이치공학 박사, 일본학술진흥회 회장, 노벨 화학상 수상자1998년(헤이세이 10년) 1월 9일종6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대수장
우노 소스케내각총리대신, 외무대신, 통상산업대신1998년(헤이세이 10년) 2월 19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하라 분베참의원 의장, 환경청 장관, 경시총감1999년(헤이세이 11년) 9월 7일정6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니카이도 스스무내각관방장관, 과학기술청 장관, 자유민주당 부총재2000년(헤이세이 12년) 2월 3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이토 소이치로중의원 의장, 과학기술청 장관, 방위청 장관2001년(헤이세이 13년) 9월 4일정8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테라다 지로최고재판소 장관2002년(헤이세이 14년) 3월 17일종7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대수장
사쿠라우치 요시오중의원 의장, 외무대신, 건설대신, 농림대신2003년(헤이세이 15년) 7월 5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곤수포장
사카타 미치타중의원 의장, 법무대신, 방위청 장관2004년(헤이세이 16년) 1월 13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하라 겐자부로중의원 의장·부의장, 노동대신2004년(헤이세이 16년) 11월 6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야구치 고이치최고재판소 장관2006년(헤이세이 18년) 7월 25일정7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대수장
히라이와 가이시도쿄 전력 회장, 일본 경제 단체 연합회 회장2007년(헤이세이 19년) 5월 22일동화대수장
이노우에 유타카참의원 의장, 문부대신2008년(헤이세이 20년) 6월 22일동화대수장
쓰치야 요시히코사이타마현 지사, 참의원 의장, 환경청 장관2008년(헤이세이 20년) 10월 5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니시오카 다케오참의원 의장, 문부대신, 중의원 의원2011년(헤이세이 23년) 11월 5일동화대수장
다무라 하지메중의원 의장, 통상산업대신, 운수대신, 노동대신2014년(헤이세이 26년) 11월 1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마치다 아키라최고재판소 장관2015년(헤이세이 27년) 4월 5일동화대수장
마치무라 노부타카중의원 의장, 내각관방장관, 외무대신, 문부과학대신2015년(헤이세이 27년) 6월 1일동화대수장
하타 츠토무내각총리대신, 외무대신, 대장대신, 농림수산대신2017년(헤이세이 29년) 8월 28일동화대수장
쿠사바 료하치최고재판소 장관2020년(레이와 2년) 3월 13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쿠라타 히로유키참의원 의장, 자치대신, 국가공안위원장2020년(레이와 2년) 4월 7일동화대수장
에다 사츠키참의원 의장, 법무대신, 환경대신, 중의원 의원2021년(레이와 3년) 7월 28일동화대수장
도요다 쇼이치로토요타 자동차 회장, 일본 경제 단체 연합회 회장2023년(레이와 5년) 2월 14일동화대수장
미요시 사토루최고재판소 장관2023년(레이와 5년) 3월 6일훈1등 욱일대수장
하야시 히로코참의원 의장, 국토교통대신, 전 배우(오기 치카게)2023년(레이와 5년) 3월 9일동화대수장, 전후 최초의 여성 종2위 수위자
호소다 히로유키중의원 의장, 내각관방장관·내각관방부장관2023년(레이와 5년) 11월 10일동화대수장


5. 1. 최근 서위/추서자

모두 사망 시에 종2위에 서위되었다. 직책의 '''굵은 글씨'''는 '''삼권의 장''' 경험자이다.

씨명주요 직책서위된 년월일비고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내각총리대신, 구 황족(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왕)1990년(헤이세이 2년) 1월 20일대훈위 국화대수장
도쿠나가 마사토시참의원 의장, 운수대신1990년(헤이세이 2년) 9월 23일정8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우사미 다케시궁내청 장관1991년(헤이세이 3년) 1월 19일훈1등 욱일대수장
아베 신타로외무대신, 통상산업대신, 내각관방장관1991년(헤이세이 3년) 5월 15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요코타 기사부로최고재판소 장관1993년(헤이세이 5년) 2월 17일종4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문화훈장
핫토리 다카아키최고재판소 장관1993년(헤이세이 5년) 3월 24일종5위에서 승서
나다오 히로키치중의원 의장, 문부대신, 후생대신1994년(헤이세이 6년) 1월 22일종4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오카하라 마사오최고재판소 장관1994년(헤이세이 6년) 7월 14일종5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대수장
시모다 다케조최고재판소 판사, 외무사무차관, 주 미국 특명전권대사, 일본 프로 야구 커미셔너1995년(헤이세이 7년) 1월 22일종5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대수장
와타나베 미치오외무대신, 통상산업대신, 대장대신, 후생대신1995년(헤이세이 7년) 9월 15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도쿠가와 요시히로시종장1996년(헤이세이 8년) 2월 2일정5위에서 진계
다카쓰지 마사미법무대신, 내각법제국 장관, 최고재판소 판사1997년(헤이세이 9년) 5월 10일종5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대수장
후쿠다 하지메중의원 의장, 법무대신, 자치대신, 통상산업대신1997년(헤이세이 9년) 9월 12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후쿠이 겐이치공학 박사, 일본학술진흥회 회장, 노벨 화학상 수상자1998년(헤이세이 10년) 1월 9일종6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대수장
우노 소스케내각총리대신, 외무대신, 통상산업대신1998년(헤이세이 10년) 2월 19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하라 분베참의원 의장, 환경청 장관, 경시총감1999년(헤이세이 11년) 9월 7일정6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니카이도 스스무내각관방장관, 과학기술청 장관, 자유민주당 부총재2000년(헤이세이 12년) 2월 3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이토 소이치로중의원 의장, 과학기술청 장관, 방위청 장관2001년(헤이세이 13년) 9월 4일정8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테라다 지로최고재판소 장관2002년(헤이세이 14년) 3월 17일종7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대수장
사쿠라우치 요시오중의원 의장, 외무대신, 건설대신, 농림대신2003년(헤이세이 15년) 7월 5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곤수포장
사카타 미치타중의원 의장, 법무대신, 방위청 장관2004년(헤이세이 16년) 1월 13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하라 겐자부로중의원 의장·부의장, 노동대신2004년(헤이세이 16년) 11월 6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야구치 고이치최고재판소 장관2006년(헤이세이 18년) 7월 25일정7위에서 승서,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히라이와 가이시도쿄 전력 회장, 일본 경제 단체 연합회 회장2007년(헤이세이 19년) 5월 22일동화대수장
이노우에 유타카참의원 의장, 문부대신2008년(헤이세이 20년) 6월 22일동화대수장
쓰치야 요시히코사이타마현 지사, 참의원 의장, 환경청 장관2008년(헤이세이 20년) 10월 5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니시오카 다케오참의원 의장, 문부대신, 중의원 의원2011년(헤이세이 23년) 11월 5일동화대수장
다무라 하지메중의원 의장, 통상산업대신, 운수대신, 노동대신2014년(헤이세이 26년) 11월 1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마치다 아키라최고재판소 장관2015년(헤이세이 27년) 4월 5일동화대수장
마치무라 노부타카중의원 의장, 내각관방장관, 외무대신, 문부과학대신2015년(헤이세이 27년) 6월 1일동화대수장
하타 츠토무내각총리대신, 외무대신, 대장대신, 농림수산대신2017년(헤이세이 29년) 8월 28일동화대수장
쿠사바 료하치최고재판소 장관2020년(레이와 2년) 3월 13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쿠라타 히로유키참의원 의장, 자치대신, 국가공안위원장2020년(레이와 2년) 4월 7일동화대수장
에다 사츠키참의원 의장, 법무대신, 환경대신, 중의원 의원2021년(레이와 3년) 7월 28일동화대수장
도요다 쇼이치로토요타 자동차 회장, 일본 경제 단체 연합회 회장2023년(레이와 5년) 2월 14일동화대수장
미요시 사토루최고재판소 장관2023년(레이와 5년) 3월 6일훈1등 욱일대수장
하야시 히로코참의원 의장, 국토교통대신, 전 배우(오기 치카게)2023년(레이와 5년) 3월 9일동화대수장, 전후 최초의 여성 종2위 수위자
호소다 히로유키중의원 의장, 내각관방장관·내각관방부장관2023년(레이와 5년) 11월 10일동화대수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