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태와 통시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시태와 통시태는 언어학 용어로, 페르디낭 드 소쉬르가 발전시킨 개념이다. 공시태는 특정 시점의 언어 상태를, 통시태는 시간에 따른 언어의 변화를 의미한다. 소쉬르는 언어 변화는 체계를 형성하지 않는다고 보고, 영화의 비유를 통해 공시적 관점과 통시적 관점을 구분하여 설명했다. 소쉬르의 사후 출판된 저서 《일반 언어학 강의》 이후, 공시태와 통시태의 분리는 논쟁의 대상이 되었으며, 구조 언어학자들은 이를 거부했지만 생성 문법 학자들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소쉬르 이전에도 유사한 개념이 존재했으며, 에우제니오 코셰리우는 소쉬르의 구분을 재검토하여 언어 변이를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용어를 제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디낭 드 소쉬르 - 기표와 기의
기표와 기의는 소쉬르가 제시한 기호의 두 요소로, 기표는 감각으로 인지 가능한 형태, 기의는 기표가 나타내는 개념이나 의미를 뜻하며, 이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페르디낭 드 소쉬르 - 일반언어학 강의
일반언어학 강의는 소쉬르의 제자들이 그의 강의 노트를 바탕으로 편집하여 출간한 책으로, 랑그와 빠롤, 기표와 기의, 공시태와 통시태 등의 개념을 제시하며 현대 언어학의 기초를 다지고 구조주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내용 정확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이분법 - 심신 문제
심신 문제는 마음과 몸, 정신과 물질의 관계를 다루는 철학 및 과학 분야의 핵심 질문으로, 마음과 몸이 서로 다른 실체라는 이원론과 하나의 실체라는 일원론으로 나뉘며, 현대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은 뇌 활동과 의식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 이분법 - 말굽 이론
말굽 이론은 정치적 스펙트럼의 극단이 서로에게 가까워진다는 개념으로, 좌우 극단의 유사한 입장을 설명하는 데 활용되지만, 지나치게 단순화되었다는 비판과 연구 부족의 한계가 존재한다. - 언어학 - 에스놀로그
에스놀로그는 세계 언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7,000개 이상의 언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언어의 명칭, 화자 수, 지리적 분포, 언어 계통 등을 포함한다. - 언어학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대규모 언어 모델이 원하는 작업을 정확히 수행하도록 지시사항, 맥락, 입력 데이터 등을 조합하여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설계하는 방법론으로, 컨텍스트 내 학습을 통해 모델의 창발적 능력을 활용하며 텍스트, 이미지, 코드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델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공시태와 통시태 |
---|
2. 개념 발전
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1896년부터 1911년까지 제네바에서 일반 언어학 교수로 재직하며 통시태와 공시태 개념을 발전시켰다. 이 개념은 그의 사후 출판된 ''일반 언어학 강의''(1916년)에 나타나 있다.
2. 1. 소쉬르의 관점
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언어 변화가 절대적인 법칙에 기반한다고 주장한 신문법학파와 달리, 언어 변화(통시태)가 체계를 형성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는 언어가 의미와 형태의 상호 연결성에 기반한 체계적 평형에 의해 유지된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서 언어가 왜 그러한 형태를 가지는지 이해하려면 통시적 차원과 공시적 차원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2]소쉬르는 아우구스트 슐라이허와 막스 뮐러와 같은 다윈주의 언어학자들이 언어를 생물체로 보고 언어학이 생명 과학에 속한다고 주장한 것도 거부했다. 그는 무빙 픽처의 비유를 사용하여 공시적 관점과 통시적 관점의 구분을 설명했다. 영화 속 물체는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각 그림은 정적('공시적')이고 그림 사이에는 생명이 없는 프레임만 있을 뿐이다. 마찬가지로 언어의 "생명"(언어 변화)은 이전 단계와 물리적으로 독립적인 일련의 정적 지점으로 구성된다. 소쉬르는 공시태와 통시태를 혼동하는 것을 경고하며, 이들이 동시에 연구될 수 없다고 우려했다.[2]
2. 2. 소쉬르 이후의 논쟁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사후 출판된 ''일반 언어학 강의'' 이후, 공시적 언어학과 통시적 언어학의 분리는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3] 로만 야코프슨과 앙드레 마르티네를 포함한 구조 언어학자들은 이를 거부했지만, 생성 문법 학자들은 소쉬르의 진술을 역사-비교 방법론의 전반적인 거부로 간주하여 호평했다.[3] 1979년, 조셉 그린버그는 역사 언어학에 대한 관심이 부활하고 있으며, 소쉬르가 구상했지만 실제로는 절대적이지 않았던 공시적 연구와 통시적 연구의 엄격한 분리가 이제 널리 거부되고 있다고 말했다.[4]반대로, 마크 아로노프는 소쉬르가 언어 이론을 통시태가 아닌 공시태에 기반을 두어 언어학에서 19세기 전통의 진화적 설명을 깨뜨렸다고 주장한다.[5]
2. 3. 다른 분야로의 확장
소쉬르의 공시태와 통시태 개념은 언어학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철학, 사회학, 정신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 개념을 차용하여 사용했다.- 철학 및 사회학: 롤랑 바르트와 장 폴 사르트르는 공시태와 통시태의 이원적 대립을 자신들의 이론에 적용했다.[6]
- 정신 분석: 자크 라캉은 정신 분석 이론에 공시태와 통시태 개념을 도입하여 활용했다.[6]
이처럼 공시태와 통시태의 구분은 언어학을 넘어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2. 4. 소쉬르 이전의 유사 개념
페르디낭 드 소쉬르 이전에도, 폴란드 언어학자 얀 보두앵 드 쿠르트네와 카잔 학파의 미코와이 크루셰프스키는 언어의 '''정태'''와 '''역동'''이라는 유사한 개념을 독립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했다.[7]3. 추가 발전
에우제니오 코셰리우는 1970년에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공시태와 통시태 구분을 언어 설명에서 재검토하여, 언어 변이를 설명하기 위해 지방어적, 사회적, 화용적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8][9][10]
3. 1. 에우제니오 코셰리우의 재검토
1970년, 에우제니오 코셰리우는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공시태와 통시태 구분을 언어 설명에서 재검토하여, 언어 변이를 설명하기 위해 지방어적, 사회적, 화용적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8][9][10]참조
[1]
서적
Synchrony and Diachrony: A dynamic interface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North America
2013
[2]
서적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1916
[3]
간행물
Diachrony in Synchrony in (eds.) Maher, Bornhard and Koerner, Papers from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istorical Linguistics
John Benjamins
1982
[4]
논문
Rethinking Linguistics Diachronically
1979-06
[5]
서적
On Looking into Words (and Beyond): Structures, Relations, Analyses
https://langsci-pres[...]
SUNY Press
2020-03-03
[6]
서적
The Four Fundamental Concepts of Psycho-Analysis
https://books.google[...]
Éditions du Seuil
1978
[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8]
서적
The History of English in a Social Context: A Contribution to Historical Sociolinguistics
https://books.google[...]
Introduction
[9]
서적
Einführung in die strukturelle Betrachtung des Wortschatzes
1970
[10]
서적
Language-Specific Factors in First Language Acquisition: The Expression of Motion Events in French and German
https://books.google[...]
2012
[11]
서적
Synchrony and Diachrony: A dynamic interface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North America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