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과다채무빈곤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다채무빈곤국은 1996년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시작한 채무 탕감 이니셔티브인 HIPC 이니셔티브의 대상이 되는 국가를 의미한다. 이 이니셔티브는 채무 탕감, 저금리 차관 제공, 채무 재조정 등을 통해 국가 채무를 조정하며, 2012년 1월 기준 39개국이 HIPC 이니셔티브의 지원 대상이었다. HIPC 이니셔티브는 채무 지속 가능성 기준을 충족하는 국가에 채무 경감을 제공하며, 2020년 소말리아가 완료 지점을 통과하면서 37개국이 채무 탕감을 완료했다. HIPC 프로그램은 초기에는 비판을 받았으나, 이후 여러 차례 개선을 통해 채무 경감 기준 완화, 프로그램 기간 단축, 빈곤 감소 전략 문서(PRSP) 개혁 등을 추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발 - 국제개발연구센터
    국제개발연구센터는 개발도상국의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 기술 및 지식 연구를 지원하며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캐나다의 연구 지원 기관이다.
  • 개발 - 도시화
    도시화는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고 도시적 생활 방식이 확산되는 현상으로, 경제적 기회와 사회적 이동성을 제공하지만 주택, 교통, 환경 문제 등의 부작용도 발생시키며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 국제 개발 - 선진국
    선진국은 경제적 번영, 높은 인간 개발 지수, 산업화 등을 기준으로 분류되지만 명확한 정의는 없으며, 대한민국은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선진국으로 평가받아 2021년 UNCTAD에서 공식적으로 선진국으로 분류되었다.
  • 국제 개발 - 개발도상국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을 제외한 국가로 낮은 경제 발전 수준과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소득 수준, 산업화 정도 등에 따라 세분화되고 빈곤, 열악한 인적 자원, 환경 오염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협력과 노력이 요구된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과다채무빈곤국
개요
유형국제 금융 기구
목표빈곤 감소
지속 가능한 개발
국제 금융 시스템 안정화
설립1996년
주도 기관IMF
세계은행
대상 국가 선정 기준
자격 조건세계은행의 국제 개발 협회(IDA)로부터 차관을 받을 자격이 있는 국가
IMF의 빈곤 감축 및 성장 지원 시설(PRGF)을 통해 지원을 받을 자격이 있는 국가
채무 지속 불가능성이 있는 국가
목표 달성을 위한 접근 방식
핵심 전략채무 탕감
저금리 융자
빈곤 감소를 위한 기금 지원
채무 탕감 절차
1단계IMF와 세계은행이 국가의 채무 지속 가능성을 평가
2단계대상 국가가 빈곤 감소 전략을 개발하고 시행
3단계파리 클럽 및 기타 채권자들이 채무 탕감 제공
4단계IMF와 세계은행이 채무 탕감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비판
내용탕감 규모 부족
조건부 융자로 인한 정책 결정의 자율성 침해
복잡한 절차로 인한 지연
추가 정보
관련 기구IMF
세계은행
관련 문서Heavily Indebted Poor Countries (HIPC) Initiative: IMF 웹사이트
HIPC Initiative: 세계은행 웹사이트

2. HIPC 이니셔티브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이 1996년에 시작한 HIPC 이니셔티브는 채무 탕감, 저금리 차관 제공, 기존 채무의 재지불 감소 등을 포괄한다.[9] HIPC 이니셔티브의 지원 대상국이 되려면 국가 채무 상황이 전통적인 수단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상황이어야 한다. 원조 여부 및 규모는 해당 국가의 경제 관리 및 수행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9]

2012년 1월 기준으로 HIPC 이니셔티브는 39개국의 목록을 확정했으며, 이 중 33개국이 사하라 이남 국가이다.[9] 전체 또는 부분 지원을 받은 36개국은 다음과 같다:[10]



(*) 별표는 이니셔티브에서 제시한 목표 기준을 완전히 달성하지 못하여 일부 원조만 받을 수 있는 국가를 의미한다. 나머지 32개국은 목표 기준을 완전히 달성했다.[11] 에리트레아, 소말리아, 수단 3개국은 프로그램 참여 대상 예비 국가이다.

HIPC 이니셔티브의 채무 탕감 및 지원을 받기 위한 기준은 1996년에 설정되었다. 이 기준에 따르면, 국가는 전통적인 수단(양자 원조, 차관 등)을 통한 지원이 만성적인 적자와 한계에 직면한 경우에 해당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빚과 수출의 비중이 200~250%이거나 정부 간 차관 비율이 전체 정부 예산의 280%를 초과하는 경우를 말한다.[12]

3. 대상 국가

2012년 1월 기준, 39개국이 과다채무빈곤국(HIPC) 대상국으로 지정되었으며, 이 중 33개국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이다.[9] 2020년까지 37개 국가가 프로그램을 완료하고 채무를 전부 또는 일부 탕감받았다.[2][3] 수단은 2021년 6월 국제 통화 기금(IMF) 집행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 HIPC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5]

3. 1. 대상 국가 목록

1996년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시작한 과다채무빈곤국(HIPC) 이니셔티브는 채무 탕감, 저금리 차관 제공, 기존 채무 재조정 등을 포함한다. 2012년 1월 기준 39개국이 이니셔티브 대상 목록에 포함되었으며, 그 중 33개국이 사하라 이남 국가이다.[9] 이들 중 36개국은 전체 또는 부분 지원을 받았다.[10]

에리트레아, 소말리아, 수단 3개국은 예비 대상 국가로 지정되었다.

3. 1. 1. 채무 탕감 완료 국가



2020년 소말리아가 완료 지점을 통과한 후, 위에 언급된 37개 국가가 프로그램을 완료하고 대외 채무를 전액 탕감받았다.[2]

3. 1. 2. 예비 대상 국가

에리트레아, 수단 2개국은 과다채무빈곤국(HIPC) 프로그램 참여를 고려하고 있다.[2] 2021년 6월 28일 국제 통화 기금(IMF) 집행 이사회는 수단에 대한 채무 탕감 분담금을 충당하기 위한 재정 계획을 승인했다.[5] 이는 압달라 함독이 이끄는 수단의 민간 주도 과도 정부와 내각이 강력한 경제 개혁을 시행하여 결정 지점에 도달한 후에 이루어졌다.

4. HIPC 조건

HIPC 이니셔티브 상 채무 탕감 및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기준이 필요한데, 1996년 세워진 기준선은 국가가 양자 원조, 차관 등 전통적인 수단을 통해서 받은 지원이 만성 적자 및 한계에 직면한 경우에 해당한다.[12] 보통 빚과 수출의 비중이 200~250%일 때 혹은 정부 간 차관 비율이 전체 정부 예산의 280%를 초과할 경우를 말한다.[12]

5. 재원

국제통화기금(IMF)은 HIPC 프로그램 자격 요건을 갖춘 40개국에 채무 경감을 제공하는 데 드는 총비용을 약 710억달러(2007년 기준)로 추산한다.[2] 이 자금의 절반은 IMF, 세계은행, 기타 다자간 기구에서 제공하며, 나머지 절반은 채권국에서 제공한다. IMF의 비용 분담은 1999년 IMF 금 매각 수익금으로 충당되고 있지만, IMF는 이 자금으로 전체 비용을 충당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수단, 소말리아 등 추가 국가가 프로그램 참여 자격 요건을 충족하면 추가 자금을 조달해야 할 것으로 추정한다.[2]

6. 비판 및 개선

과다채무빈곤국(HIPC) 계획은 초기 시행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에 직면하여 비판을 받았다. 채무 지속 가능성 정의가 임의적이고 제한적이라는 지적과 함께, 1999년까지 채무 경감을 받은 국가가 단 4개국에 불과하다는 점이 문제로 제기되었다.[6] 프로그램 기간(6년)이 너무 길고 경직되어 채무국의 개별적인 상황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었다.[6]

국제 통화 기금(IMF)과 세계 은행이 채무 탕감을 이행 시점까지 유보하여, 구조 개혁 추진 중에도 채무 상환 부담이 지속되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었다.[6] 특히, 민영화와 같은 구조 개혁은 공공 서비스 비용을 증가시켜 빈곤층의 부담을 가중시키기도 했다.[6]

HIPC는 채권자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설계되어 채무국의 실질적인 채무 부담 완화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6] 니제르 언론인 무사 탕가리(Moussa Tchangari)는 HIPC가 인구가 많은 개발도상국을 제외하고 소규모 국가만을 대상으로 하여, 세계 빈곤층 대다수가 혜택을 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7]

또한, HIPC 참여 국가는 국제 통화 기금(IMF)과 세계 은행의 요구에 따라 빈곤 감소 전략 문서(PRSP)를 채택하고, 공기업 민영화, 임금 노동력 감축, 보조금 삭감 등 초자유주의적 구조 조정 조치를 시행해야 했다.[7] 이러한 조치들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빈곤 심화, 사회 서비스 질 저하, 기대 수명 감소, 질병 재발, 실업 증가, 산업화 후퇴, 만성적인 식량 부족 등 심각한 사회 문제를 야기했다는 비판을 받았다.[7]

6. 1. 개선 노력

국제 통화 기금(IMF)은 1999년에 과다채무빈곤국(HIPC) 지원 조건을 완화하고, 프로그램 기간을 단축하는 등 대대적인 개혁을 단행했다.[6] 채무 지속 불가능성 기준을 낮춰 채무-수출 비율 150%, 채무-정부 수입 비율 250%로 변경하고, '플로팅 완료 지점'을 도입하여 6년의 구조 기간을 폐지했다.[6] 또한, 중간 채무 탕감을 허용하여 국가들이 완료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부분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6]

IMF는 빈곤 감소 및 성장 시설(PRGF)의 조건을 간소화하고, 각 국가의 빈곤 감소 전략 문서(PRSP)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하도록 했다.[6] PRSP는 경제 성장과 빈곤 감소를 위한 국가의 거시 경제, 구조 및 사회 프로그램을 담고 있으며, 지역 사회, NGO, 시민 사회 단체의 참여를 통해 수립된다.[6]

2001년에는 외부 요인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국가에 추가적인 채무 탕감을 제공하는 '토핑 업' 제도를 도입했다.[6] 2005년에는 세계 최빈국 19개국에 대한 초기 채무 경감 조치가 발표되었고,[8] 2006년에는 추가적인 채무 탕감이 예상되었다.[6] 2006년 12월 현재, 21개국이 HIPC 완료 지점에 도달했으며, IMF와 세계 은행은 총 350억달러의 HIPC 채무 경감을 승인했다. 2001년 이후 5개국은 '토핑 업' 지원으로 16억달러를 추가로 받았다.[6]

참조

[1] 간행물 Developing Countries: Status Of The Heavily Indebted Poor Countries Debt Relief Initiative: NSIAD-98-229. GAO Reports 2015-09-10
[2] 웹사이트 Factsheet: Debt Relief Under the Heavily Indebted Poor Countries (HIPC) Initiative http://www.imf.org/e[...] 2021-12-29
[3] 웹사이트 Heavily Indebted Poor Countries, https://www.worldban[...] World Bank 2021-12-29
[4] 웹사이트 Somalia to Receive Debt Relief under the Enhanced HIPC Initiative https://www.imf.org/[...] 2021-06-07
[5] 웹사이트 IMF approves financing plan of debt relief to Sudan https://www.reuters.[...] 2021-06-29
[6] 웹사이트 E. Carrasco, C. McClellan, & J. Ro (2007), "Foreign Debt: Forgiveness and Repudiation" University of Iowa Center for International Finance and Development E-Book http://www.uiowa.edu[...]
[7] 서적 Debt, The IMF, and The world Bank Monthly Review Press U.S.
[8] 뉴스 IMF approves debt relief for poorest countries http://news.ft.com/c[...] 2007-08-10
[9] 웹사이트 Heavily Indebted Poor Countries, http://web.worldbank[...] World Bank 2012-01-24
[10] 웹사이트 Factsheet: Debt Relief Under the Heavily Indebted Poor Countries (HIPC) Initiative http://www.imf.org/e[...] 2010-01-13
[11] 웹사이트 Liberia Qualifies for Complete Debt Relief under HIPC Initiative http://web.worldbank[...]
[12] 웹인용 E. Carrasco, C. McClellan, & J. Ro (2007), "Foreign Debt: Forgiveness and Repudiation" University of Iowa Center for International Finance and Development E-Book http://www.uiowa.edu[...] 2008-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