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메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메룬은 중앙아프리카에 위치한 국가로, 다양한 지형과 기후를 가진 "미니 아프리카"로 불린다.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포르투갈 탐험가들이 '새우의 강'으로 명명한 데서 유래한 국명을 갖게 되었다. 1884년부터 1919년까지 독일의 식민지였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와 영국에 의해 분할 통치되었다.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했으며, 1961년 서카메룬과 통합하여 카메룬 연방공화국을 수립했다. 현재 대통령 중심의 공화국이며, 다당제 선거를 실시하고 있으나 부패와 인권 문제, 특히 영어 사용 지역의 분리 독립 움직임과 관련된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석유 생산국이며, 농업과 임업, 광업 등이 주요 산업이다. 카메룬은 다양한 민족과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기독교와 이슬람교가 주요 종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메룬 - 암바조니아
    암바조니아는 카메룬의 영어 사용 지역 자치권 회복과 독립을 주장하는 분리주의 세력이 사용하는 명칭으로, 1858년 흑인 노예 해방을 위한 이주지 건설에서 시작되어 1961년 카메룬 공화국과 통합되었으나, 1972년 자치 지위를 상실한 후 독립 운동이 시작되었고, 2017년 임시 정부가 독립을 선언하며 카메룬 정부와 무력 충돌을 겪고 있다.
  • 영국의 옛 식민지 - 세이셸
    세이셸은 인도양 서부 마다가스카르 북동쪽에 있는 115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 공화국으로, 포르투갈에 의해 발견된 후 프랑스, 영국을 거쳐 독립했으며,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크레올 혼혈인들이 주로 거주하며 세 가지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영국의 옛 식민지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 프랑스의 옛 식민지 - 세네갈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세네갈 공화국은 다양한 민족과 문화, 이슬람교를 배경으로 농업, 어업, 관광 등의 경제 부문을 기반으로 하며, 프랑스 식민 지배를 거쳐 독립 후 비교적 안정적인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있는 다중 언어 국가이다.
  • 프랑스의 옛 식민지 - 알제리
    알제리는 아프리카 북부 마그레브 지역에 위치한 국가로, 지중해 연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사하라 사막을 포함한 국토를 가지고 있으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거쳐 독립했으며, 현재는 대통령 중심 공화국 체제이나 군부의 영향력이 큰 국가이다.
카메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카메룬 지도
카메룬 위치
카메룬 지도
카메룬
기본 정보
공식 명칭 (프랑스어)레퓌블리크 뒤 카메룬
공식 명칭 (영어)Republic of Cameroon
공식 명칭 (독일어)Republik Kamerun
일반 명칭카메룬
카메룬 국기
카메룬 국기
카메룬 국장
카메룬 국장
국가 표어Paix – Travail – Patrie
국가 표어 (번역)평화 – 노동 – 조국
국가 (프랑스어)샹 드 랄리에망
국가 (영어)The Rallying Song
수도야운데
최대 도시두알라
공용어영어
프랑스어
시간대WAT
시간대 (UTC)+1
통화중앙아프리카 CFA 프랑
통화 코드XAF
면적475,442 km²
면적 순위53위
인구 (2024년 추정)30,966,105명
인구 순위52위
인구 밀도39.7명/km²
차량 통행 방향우측
국가 코드+237
인터넷 최상위 도메인.cm
정치
정치 체제단일제, 우세 정당제, 대통령 중심제 공화국, 독재
대통령폴 비야
총리조제프 응구트
상원 의장마르셀 니아트 니펜지
국회 의장카바예 예기예 지브릴
입법부카메룬 의회
상원카메룬 상원
하원카메룬 국회
민족
민족 구성 (2022년)바밀레케족-바뭄족: 22.2%
비우만다라어군: 16.4%
슈와 아랍족, 하우사족, 카누리족: 13.5%
베티/바사-음밤: 13.1%
풀라니족: 12.0%
링어군: 9.9%
아다마와-우방기어군(음붐어군-그바야어군): 9.8%
사와족: 4.6%
남서 반투족: 4.3%
피그미족: 2.3%
기타/외국인: 3.8%
종교
종교 구성 (2022년)기독교: 66.3%
이슬람: 30.6%
전통 아프리카 종교: 1.3%
무종교: 1.1%
기타: 0.7%
역사
독립 (프랑스)1960년 1월 1일
독립 (영국)1961년 10월 1일
경제
GDP (PPP, 2024년 추정)1,419억 3000만 달러
GDP (PPP) 순위94위
1인당 GDP (PPP, 2024년 추정)4,840 달러
1인당 GDP (PPP) 순위155위
GDP (명목, 2024년 추정)532억 1000만 달러
GDP (명목) 순위91위
1인당 GDP (명목, 2024년 추정)1,810 달러
1인당 GDP (명목) 순위158위
지니 계수 (2021년)42.2
지니 계수 변화감소
기타
인간 개발 지수 (2022년)0.587
인간 개발 지수 순위151위
인간 개발 지수 변화증가

2. 역사

현재 카메룬 지역에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가장 오랫동안 거주한 사람들은 바카족 (피그미족) 등이다.[227] 슈몰라카 발굴 조사에 따르면, 카메룬의 인류 거주 흔적은 3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5][16] 서기 500년경 차드 호 주변에서 사오 문명이 발생했으며, 이는 카넴-보르누 제국으로 이어졌다. 서부에는 왕국, 폰돔, 추장국이 생겨났다.

1470년대 포르투갈 선원들이 해안에 도착하여, 우리 강(Wouri River)을 '새우의 강'(Rio dos Camarõespt)이라 명명했는데, 이는 당시 풍부했던 카메룬 유령 새우(Cameroon ghost shrimp) 때문이었다.[12][13] 여기서 카메룬이라는 국명이 유래했다. 이후 유럽인들은 해안 주민들과 무역을 하였고, 기독교 선교사들이 내륙으로 진출했다.

1884년 독일 제국은 이 지역을 카메룬(Kamerun) 식민지로 선포하고 내륙으로 꾸준히 진출하기 시작했으며, 원주민들은 저항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함에 따라 카메룬은 국제 연맹 위임 통치령이 되었고, 1919년 프랑스령 카메룬(Cameroun프랑스어)과 영국령 카메룬으로 분할되었다.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였으며, 1961년 서카메룬과 통합했다. 1992년 다당제 선거를 실시했지만, 부정선거가 근절되지 않고 있다.

2. 1. 초기 역사

현재 카메룬 지역에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바카족(피그미족)과 같은 원주민 집단이 오랫동안 거주했다.[227] 슈몰라카(Shum Laka) 발굴 조사에 따르면, 카메룬의 인류 거주 흔적은 3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5][16] 약 2000년 전에는 동아프리카, 남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로 반투족 이동이 일어났다.[71]

서기 500년경 차드 호 주변에서 사오 문명이 발생했으며, 이는 카넴-보르누 제국으로 이어졌다. 서부에는 왕국, 폰돔, 추장국이 생겨났다. 1394년부터 북서부 지역에는 밤문 왕국이 존재했으며, 독자적인 바뭄 문자를 개발했다.

2. 2. 유럽의 도래와 식민지 시대

1470년대 포르투갈 선원들이 해안에 도착하여, 우리 강(Wouri River)을 '새우의 강'(Rio dos Camarõespt)이라 명명했는데, 이는 당시 풍부했던 카메룬 유령 새우(Cameroon ghost shrimp) 때문이었다.[12][13] 이후 유럽인들은 해안 주민들과 무역을 하였고, 기독교 선교사들이 내륙으로 진출했다.

독일은 1868년 함부르크의 베어만(Woermann) 회사가 우리 강 어귀에 창고를 건설하면서 카메룬에 기반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이후 구스타프 나히티갈(Gustav Nachtigal)은 현지 왕들 중 한 명과 조약을 맺어 해당 지역을 독일 황제에게 병합했다.[21] 1884년 독일 제국은 이 지역을 카메룬(Kamerun) 식민지로 선포하고 내륙으로 꾸준히 진출하기 시작했으며, 원주민들은 저항했다. 독일의 보호 아래 상업 회사들이 지역 행정을 담당했다. 이러한 양허(Concession (contract))들은 수익성 있는 바나나, 고무, 팜유, 코코아 농장을 운영하기 위해 강제 노동(Unfree labour)을 이용했다.[21] 심지어 인프라 프로젝트조차 강제 노동 체제에 의존했다. 이러한 경제 정책은 다른 식민지 국가들의 많은 비판을 받았다.[22]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함에 따라 카메룬은 국제 연맹 위임 통치령이 되었고, 1919년 프랑스령 카메룬()과 영국령 카메룬으로 분할되었다. 프랑스는 카메룬의 경제를 프랑스 경제와 통합[23]하고 자본 투자와 숙련된 노동자를 통해 기반 시설을 개선하여 강제 노역의 식민지 시스템을 수정했다.[22]

2. 3. 독립과 통일

1946년 국제 연맹 위임 통치령이 유엔 신탁 통치령으로 전환되면서, 프랑스령 카메룬에서 독립 문제가 중요한 쟁점으로 떠올랐다.[23] 1955년 7월 13일, 프랑스는 독립을 지지하는 정당인 카메룬 인민 연합(UPC)을 불법화했다.[25] 이로 인해 UPC는 장기 게릴라전을 벌였고, 루뱅 움 니오베, 펠릭스-롤랑 무미에, 에르네스트 우안디 등 여러 당 지도자들이 암살당했다.

독립을 지지하는 카메룬 인민 연합(UPC)의 지도자들


1960년 1월 1일, 프랑스령 카메룬은 아마두 아히조 대통령의 지휘 아래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여 카메룬 공화국이 되었다. 1961년 10월 1일, 영국령 남카메룬은 UN 총회의 결의에 따라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획득하고 카메룬 공화국과 합병하여 카메룬 연방공화국을 수립했다.[27] 10월 1일은 현재 통일의 날로,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27]

카메룬 연방공화국 국기

2. 4. 아히조와 비야 정권

아마두 아히조는 카메룬 인민연합(UPC)과의 전쟁을 통해 대통령의 권력을 강화했고, 1971년 UPC가 진압된 이후에도 권력을 유지했다.[202] 1966년에는 아히조가 이끄는 카메룬 국민연합(CNU)이 유일한 합법 정당이 되었다.[202] 1972년, 국민투표를 통해 연방 정부 체제가 폐지되고 카메룬 연합공화국이 수립되었다.[202]

아히조는 계획적 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추진하여 농업과 석유 개발을 우선시했다.[202] 1982년, 아히조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나 남부 출신의 폴 비야에게 권력을 이양했지만, CNU 당수 자리를 유지하며 비밀리에 국가를 통치하려 했다.[202]

1983년 아히조가 쿠데타를 계획했다는 이유로 프랑스로 추방되었고, 1984년 해외에 있는 아히조에게 사형 판결이 내려졌지만 집행되지는 않았다.[202] 비야는 권력 기반을 강화하며 독재 권력을 수립해 나갔고, 같은 해 국호를 현재의 카메룬 공화국으로 변경했다.[202]

비야는 초기에는 민주적인 정부를 추구했으나, 1984년 쿠데타 시도 이후 전임자의 권위주의적 통치 스타일로 회귀했다.[202]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카메룬은 경제 위기를 겪었다.[202] 1990년 다당제 정치가 재도입되었고,[202] 영어권 지역에서는 자치권 요구가 증대되어 암바조니아 분리 독립 움직임이 나타났다.[202]

2. 5. 최근 정세

2006년 바카시 반도 영토 분쟁이 해결되어 카메룬의 통제가 확립되었으나, 지역 분리주의 반란이 발생했다.[200][203][204] 2008년 두알라에서 운수 노조 파업이 폭력 시위로 확대되어, 카메룬은 15년 만에 최악의 폭력 사태를 겪었다.

2014년 카메룬은 보코하람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나이지리아 국경에 군대를 배치했다.[218][219] 2016년 영어권 지역에서 영어 사용 지속을 요구하는 시위가 발생, 정부의 탄압으로 앙글로폰 분쟁이 발발했다.[200][203][204] 2021년 북부 카메룬에서 물 분쟁으로 인한 민족 간 충돌이 발생, 수만 명의 주민들이 차드로 피신했다.

최근 카메룬에서는 살인, 강도, 절도 등의 강력 범죄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216] 특히 두알라에서는 마피아 활동이 활발하며 살인, 강도, 마약 밀매 등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수도 야운데에서도 강력 범죄가 빈발하고 있으며, 2020년 6월 이후 소규모 폭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217] 국경 지대에서는 습격 및 유괴 사건이 빈발하고 있으며, 정부군과의 충돌도 계속되고 있다.

3. 정치

카메룬은 국가 체제로 공화제, 대통령제를 채택한 입헌 국가이다. 1972년 5월 20일 국민투표를 통해 연방 정부 체제가 폐지되고 야운데를 중심으로 하는 카메룬 연합공화국이 수립되었다.[29] 이 날은 카메룬의 국경일이자 공휴일이다.[30]

초대 대통령 아마두 아히조는 계획적 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추진하며 주요 수출 작물과 석유 개발을 우선시했다.[31] 1975년에는 국가 통합의 상징으로 국기가 변경되었다. 아히조는 1982년 사임하고 폴 비야에게 권력을 이양했지만, 이후 권력 갈등이 발생했다.[32]

1982년부터 카메룬을 통치하고 있는 폴 비야(Paul Biya)


1980년대 중반부터 카메룬은 경제 위기를 겪었고, 1990년 다당제 정치가 재도입되었다.[34] 1992년 카메룬 노동법은 노동조합 가입의 자유를 보장한다.[35] 2006년에는 나이지리아와의 바카시 반도 영토 분쟁이 해결되었으나,[36] 지역 분리주의 반란이 발생하기도 했다.[37][38]

2008년에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발생했고, 2014년에는 보코하람과의 전쟁을 선포했다.[39] 2016년부터는 영어 사용 지역을 중심으로 분리주의 운동이 격화되어 내전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41][43]

카메룬의 주요 정당으로는 카메룬 인민 민주 연합이 있으며, 일당 우위 정당제를 이루고 있다. 사법부는 행정부 소속이며, 대법원은 대통령의 요구가 있을 때만 헌법재판을 할 수 있다.

카메룬은 영연방프랑코포니의 회원국이며, 외교 및 방위 정책은 프랑스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60][61] 대한민국과는 196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1972년 수교하였다.

카메룬군은 육군, 해군, 공군, 헌병대로 구성되어 있으며,[1] 18세에서 23세 사이의 고등학교 졸업 남녀는 군 복무 자격이 있다. 징병제는 없지만, 정부는 정기적으로 자원병을 모집한다.[1]

인권 단체들은 카메룬 정부의 인권 침해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3. 1. 대통령과 행정부

카메룬 대통령은 선출직이며, 정책 수립, 정부 기관 운영, 군대 지휘, 조약 협상 및 비준, 비상사태 선포 권한을 가진다.[49] 대통령은 총리를 포함한 모든 수준의 정부 관리를 임명한다.[50] 임기는 7년이며 국민투표로 선출된다.[1] 독립 이후 아마두 아히조(1960-1982), 폴 비야(1982-현재) 2명의 대통령이 있었다.

1960년부터 1982년까지 통치했던 전 대통령 아마두 아히조


3. 2. 의회와 입법부

카메룬 국회는 법률을 제정하며, 5년 임기로 선출된 18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1996년 헌법은 상원인 100석의 카메룬 상원을 설립했다.

3. 3. 사법부

카메룬의 법 체계는 민법, 영미법, 관습법이 혼합된 것이다. 사법부는 명목상 독립적이지만, 행정부 사법부의 권한 아래 있다. 대통령은 모든 수준의 판사를 임명한다. 사법부는 법원, 항소법원, 대법원으로 나뉜다. 국회는 정부 고위 관리를 심판하는 9명으로 구성된 고등법원 구성원을 선출한다.

3. 4. 정당과 정치 문화

카메룬은 정부 모든 단계에서 부패가 만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4] 1997년 카메룬은 29개 부처에 부패방지국을 설치했지만, 25%만이 운영되었다. 2012년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는 176개국 중 카메룬을 144위로 평가했다. 2006년 1월 18일, 폴 비야 대통령은 국가 부패방지 관측소(National Anti-Corruption Observatory)의 지휘 아래 부패 방지 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부패방지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패는 악화되어, 국제투명성기구는 2018년 180개국 중 카메룬을 152위로 평가했다.[55]

폴 비야 대통령의 카메룬 인민민주운동(CPDM)은 1990년 12월까지 유일한 합법 정당이었다. 그 이후로 많은 지역 정당들이 결성되었다. 주요 야당은 주로 카메룬의 영어 사용 지역에 기반을 두고 존 프루 엔디가 이끄는 사회민주전선(SDF)이다.[56]

폴 비야와 그의 당은 대선에서 대통령직과 국회를 장악해왔지만, 야당과 인권 단체들은 선거 불공정과 정부 탄압을 비판한다.[34] 인권 단체들은 정부가 시위를 막고, 회의를 방해하며, 야당 지도자들과 언론인들을 체포함으로써 야당의 자유를 억압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영어 사용 인구가 차별을 받고 있으며, 시위는 종종 폭력적인 충돌과 살인으로 확대된다.[57]

자유의 집(Freedom House)은 카메룬을 정치적 권리와 시민적 자유 측면에서 "자유롭지 않은" 국가로 평가한다.[59]

3. 5. 행정 구역

카메룬은 10개의 주(Region, 과거에는 Province)로 구성되어 있다.

카메룬은 10개의 지역으로 나뉩니다.


카메룬은 10개의 자치권을 가진 지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지역은 선출된 지역 의회의 행정 아래 있다. 각 지역은 대통령이 임명한 주지사가 이끌고 있다.[49]

주지사들은 대통령의 의지를 실행하고, 지역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상황을 보고하며, 공무원을 관리하고, 평화를 유지하며, 더 작은 행정 단위의 책임자들을 감독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주지사들은 광범위한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지역에서 선전을 명령하고 군대, 헌병, 경찰을 소환할 수 있다.[49] 모든 지방 정부 공무원은 중앙 정부의 영토 행정부의 직원이며, 지방 정부는 예산의 대부분을 이 부처로부터 받는다.[71]

각 주는 58개의 주(프랑스어: départements프랑스어)로 세분되며, 이들은 대통령이 임명한 주지사(프랑스어: préfets프랑스어)가 이끌고 있다. 각 주는 다시 하위 주(프랑스어: arrondissements프랑스어)로 나뉘며, 하위 주는 부주지사(프랑스어: sous-prefets프랑스어)가 이끌고 있다. 구(프랑스어: chefs de district프랑스어)는 구청장이 관리하며 가장 작은 행정 단위이다.[72]

카메룬의 행정 구역
주 (Region)프랑스어 명칭주도
아다마와 주Région de l'Adamaoua프랑스어응가운데레
중앙 주Région du Centre프랑스어야운데
동부 주Région de l'Est프랑스어베르투아
극북부 주Région de l'Extrême-Nord프랑스어마루아
리토랄 주Région du Littoral프랑스어[205]두알라
북부 주Région du Nord프랑스어가루아
북서부 주Région du Nord-Ouest프랑스어바멘다
서부 주Région de l'Ouest프랑스어바후삼
남부 주Région du Sud프랑스어에볼로와
남서부 주Région du Sud-Ouest프랑스어부에아



가장 북쪽에 있는 세 지역은 극북주(Extrême Nord프랑스어), 북부주(Nord프랑스어), 아다마와주(Adamaoua프랑스어)이다. 이들의 남쪽에는 중부주(Centre프랑스어)와 동부주(Est프랑스어)가 있다. 남부주(Sud프랑스어)는 기니만과 남쪽 국경에 위치해 있다. 카메룬의 서부 지역은 네 개의 더 작은 지역으로 나뉘는데, 리토랄주(Littoral프랑스어)와 남서주(Sud-Ouest프랑스어)는 해안에 위치하고, 북서주(Nord-Ouest프랑스어)와 서부주(Ouest프랑스어)는 서부 초원 지대에 있다.[72]

나이지리아와 접하는 북서주와 남서주 2개 주는 과거 영국위임통치령이었고, 나머지 8개 주는 프랑스령이었다.

3. 6. 외교 관계

카메룬은 영연방프랑코포니의 회원국이다. 카메룬의 외교 정책은 주요 동맹국인 프랑스의 정책을 따르며,[60][61] 방위에 있어서도 프랑스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폴 비야 대통령은 석유가 풍부한 바카시 반도의 소유권을 놓고 나이지리아 정부와 수십 년간 갈등을 빚었다. 1994년 카메룬은 이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했으며, 2002년 국제사법재판소는 1913년 영국-독일 협정에 따라 카메룬에 주권이 있다고 판결했다.[63] 2006년 6월 유엔의 중재로 열린 정상회담에서 나이지리아가 해당 지역에서 철수하는 데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고, 양국 지도자는 그린트리 협정에 서명했다.[64]

2019년 7월, 카메룬을 포함한 37개국 유엔 대사들은 유엔 인권이사회에 공동 서한을 보내 신장 지역의 위구르인에 대한 중국의 대우를 옹호했다.[66]

3. 6. 1. 한국과의 관계

대한민국과는 1962년에 공식 수교하였다. 1960년 7월, 손원일(당시 주서독 대사) 특사 일행은 카메룬을 친선 방문하고, 상호간의 이해증진과 외교관계 수립에 관하여 원칙적인 합의를 보았다.[228] 1963년 8월 27일, 신임 카메룬 주재 한국 대사 백선엽(당시 주프랑스 대사 겸임)은 아마두 아히조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정하였다.[229] 한국은 1969년 1월부터 카메룬에 상주대사관을 유지하기 시작하였다. 1970년 의료협정, 1978년 통상,경제협정, 1983년 무역협정, 1985년 문화협정(가서명) 등의 협정을 체결하였다. 외환위기의 여파로 1998년 상주대사관을 철수하고, 주나이지리아 대사관이 겸임하도록 하였다. 대사관 철수 후 모하마두 다보 명예 영사가 수도 야운데에서 활동하였다. 2008년 9월에 다시 카메룬 상주대사관이 재개설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1972년 수교하였다. 한국과 카메룬을 직접 연결하는 항공편이 없기 때문에 프랑스케냐 등 다른 나라를 경유해야 카메룬에 갈 수 있다. 2011년부터는 카메룬에서도 한국어 수업을 개설하였다.

3. 6. 2. 주변국과의 관계

카메룬은 차드, 니제르 등과 사이가 매우 좋지 않으며, 1970년 당시에는 이 나라들과 민족 다툼도 있었다.[228]

3. 7. 군사

카메룬군(프랑스어: ''Forces armées camerounaises'', FAC)은 육군(''Armée de Terre''), 해군(''Marine Nationale de la République'' (MNR), 해병대 포함), 카메룬 공군(''Armée de l'Air du Cameroun'', AAC), 헌병대로 구성되어 있다.[1]

군사 퍼레이드 중인 군용 차량


18세에서 23세 사이의 고등학교 졸업 남녀는 군 복무 자격이 있다. 입대자는 4년간 복무해야 한다. 카메룬에는 징병제가 없지만, 정부는 정기적으로 자원병을 모집한다.[1]

신속개입대대 소속 카메룬 군인(2007년 촬영)


준군사조직으로는 헌병대(Gendarmerie nationale camerounaise프랑스어)가 있다. 또한 특수부대로 신속개입대대( Bataillon d'intervention rapide|de|Bataillon d’intervention rapide프랑스어) 및 신속개입여단(Brigade d’intervention rapide프랑스어)이 편성되어 있으며, 이 부대는 육군이 관할하고 있다.

3. 8. 인권

인권 단체들은 경찰과 군이 범죄 용의자, 소수 민족, 동성애자, 정치 활동가들을 학대하고 고문했다고 비난한다. 국제연합 수치에 따르면, 내전으로 인해 2만 1천 명 이상이 이웃 국가로 피난했고, 16만 명이 국내 실향민이 되었다.[67] 감옥은 과밀 상태이며, 적절한 식량과 의료 시설 접근이 제한적이다.[2] 동성애 행위는 형법으로 금지되어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69] 2020년 이후 휴먼라이츠워치는 보코하람이 카메룬 극북 지역에서 공격을 강화하여 민간인을 살해했다고 주장했다.[70] 2009년 시위 도중 약 100명의 민간인이 살해된 사건을 계기로 앰네스티는 카메룬 치안 당국의 폭력에 대한 우려를 보고했다.[223]

4. 지리

카메룬은 중앙아프리카에 위치하며, 기니만대서양에 접한다. 면적은 475442km2로 세계에서 53번째로 큰 나라이다. "소형 아프리카"로 묘사될 정도로 다양한 기후와 식생(해안, 사막, 산맥, 열대우림, 사바나)이 존재한다.[74] 서쪽으로 나이지리아, 북동쪽으로 차드, 동쪽으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남쪽으로 적도 기니, 가봉, 콩고 공화국과 국경을 접한다.[1]

카메룬은 5개의 지리적 지역으로 나뉜다. 해안 평야는 숲으로 덮여 있고 덥고 습하다. 남부 카메룬 고지는 열대 우림으로 덮여 있지만, 건기와 우기가 구분되어 습도는 다소 낮다. 카메룬은 국립공원, 야생동물 보호 구역, 동물 보호 구역, 식물 보호 구역으로 구성된 4개의 보호 구역이 지정되어 있다. 또한, 카메룬 일부와 인접 국가에서는 국경을 넘는 보호지역(Transboundary protected area, TBPA)이 존재한다.

카메룬은 카메룬 화산대가 있는 세계적인 화산 국가이다. 카메룬 산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큰 화산 중 하나이다. 서부 고지대는 온난하고 강수량이 많아 토지가 비옥하며, 카메룬 초원은 카메룬을 대표하는 초원이다.

아다마와 고지를 경계로 북부에는 스텝, 남부에는 열대림이 펼쳐져 있다. 아다마와 고지는 분수계이기도 하며, 주요 하천은 북부의 베누에 강, 북동부의 우리 강, 남부의 사나가 강, 로그네 강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나가 강은 카메룬 최대 하천이며, 우리 강은 비아프라 만에 위치한 우리 강 하구와 연결되어 있다.

쾨펜의 기후 구분으로 본 카메룬 지도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거의 전역이 열대(A)에 속한다. 북부(스텝 기후, BS, 사바나 기후, Aw)에서 남부(열대 우림 기후, Af)로 이동함에 따라 기후가 습윤해진다. 이러한 기후 분포를 "미니 아프리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북부 저지대는 기온은 높지만 강수량은 적다.

북부의 건기는 7월과 8월이지만, 남부는 이 시기에 우기가 된다. 카메룬 산 남서쪽 사면은 강우량이 많으며, 연강수량이 10,680mm에 달한다. 기온의 연교차는 전국적으로 5~10이다.

북부의 룸시키는 기암으로 유명한 관광지이다. 니오스 호에서는 1986년화산 가스 재해가 발생하여 1,700명 이상이 사망했다.

4. 1. 지형

카메룬은 지배적인 지형, 기후 및 식생 특징에 따라 5개의 주요 지리적 구역으로 나뉜다. 해안 평야는 기니만에서 내륙으로 15km에서 150km까지 뻗어 있으며, 평균 고도는 90m이다.[75] 매우 덥고 습하며 짧은 건기를 가진 이 지역은 숲이 우거져 있으며, 지구상에서 가장 습한 지역 중 일부를 포함하고 있는 크로스-사나가-비오코 해안 삼림의 일부이다.[76]

남카메룬 고원은 해안 평야에서 평균 고도 650m까지 상승한다.[77] 건기와 우기가 번갈아 나타나 해안보다 습도가 낮지만, 이 지역에서는 적도 열대우림이 우세하다. 이 지역은 대서양 적도 해안 삼림 생태 지역의 일부이다.[78]

와자 국립공원의 코끼리


카메룬 산맥으로 알려진 산, 언덕, 고원의 불규칙한 사슬은 해안의 카메룬 산(카메룬에서 가장 높은 지점, 4095m)[79]에서 카메룬 북쪽 국경의 차드 호(북위 13°05')까지 거의 뻗어 있다. 이 지역은 특히 서부 고원 지대에서 온화한 기후를 가지고 있지만 강수량은 높다. 특히 카메룬 산 주변의 토양은 카메룬에서 가장 비옥한 토양 중 하나이다.[79] 이곳의 화산 활동으로 화산 분화구 호수가 생성되었다. 1986년 8월 21일, 이러한 호수 중 하나인 니오스 호에서 이산화탄소가 분출되어 1,700명에서 2,000명 사이의 사망자가 발생했다.[80] 이 지역은 세계자연기금에 의해 카메룬 고지대 삼림 생태 지역으로 구분되었다.[81]

남쪽 고원은 북쪽으로 풀이 무성하고 험준한 아다마와 고원으로 상승한다. 이 지형은 서쪽 산악 지역에서 뻗어 나와 국가의 남쪽과 북쪽 사이의 장벽을 형성한다. 평균 고도는 1100m이며,[77] 평균 기온은 22°C에서 25°C이며, 4월부터 10월까지 강우량이 높고 7월과 8월에 최고치에 달한다.[82] 동수단 사바나인 북부 저지대 지역은 아다마와 고원의 가장자리에서 차드 호까지 뻗어 있으며 평균 고도는 300m에서 350m이다.[79] 특징적인 식생은 사바나 관목과 풀이다. 이 지역은 강수량이 적고 중간 기온이 높은 건조 지역이다.

카메룬에는 네 가지 배수 패턴이 있다. 남쪽의 주요 강은 엔템 강, 뇽 강, 사나가 강, 우리 강이다. 이 강들은 남서쪽 또는 서쪽으로 흘러 기니만으로 직접 유입된다. 자 강과 카데이 강은 남동쪽으로 콩고 강으로 흘러든다. 카메룬 북부에서는 베누에 강이 북쪽과 서쪽으로 흘러 니제르 강으로 유입된다. 로그온 강은 북쪽으로 흘러 카메룬이 세 개의 이웃 국가와 공유하는 차드 호로 유입된다.[83]

4. 2. 야생 생물

카메룬의 야생 생물은 식물상동물상으로 구성된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습한 지역 중 하나이며,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높은 생물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84][85] 2020년 기준 카메룬의 산림 피복률은 총 토지 면적의 약 43%인 20340480ha이며, 1990년 22500000ha에서 감소했다. 2020년에는 자연적으로 재생되는 산림이 20279380ha, 조림된 산림이 61100ha를 차지했다. 2015년 기준 산림 면적의 약 15%가 보호 지역 내에 있었으며, 산림 면적의 100%가 국유로 보고되었다.[86][87]

카메룬은 야생 생물을 보존하기 위해 국립공원, 동물원, 산림 보호구, 보호구역 등 20개 이상의 보호 구역을 가지고 있다. 1932년 식민지 행정부 시절 북부 지역에서 모조고 고코로 보호구, 베누에 보호구가 처음으로 조성되었고, 1934년 3월 24일 와자 보호구가 설립되었다. 보호 구역의 면적은 초기 카메룬 면적의 약 4%에서 12%로 증가했으며, 행정부는 토지 면적의 30%를 보호 구역으로 지정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88]

카메룬의 풍부한 야생 생물은 156종의 고유종을 포함한 8,260종의 기록된 식물종, 14종의 고유종을 포함한 409종의 포유류, 8종의 고유종을 포함한 690종의 조류, 250종의 파충류, 200종의 양서류로 구성된다.[84][85] 이 종들은 열대 저지대, 기니 만 연안을 포함한 남부 지역, 연안을 따라 위치한 270000ha 규모의 맹그로브 숲, 산악림과 사바나 등 다양한 곳에 서식한다. 엠밤 제렘 국립공원, 베누에 국립공원, 코룹 국립공원, 타카만다 국립공원, 카그웨네 고릴라 보호구는 이들을 위한 중요한 보호 지역이다.[84] 카메룬은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조류와 같은 해양 및 담수 종의 중요한 번식지이기도 하다.[85]

5. 경제와 인프라

2017년 카메룬의 1인당 GDP(구매력 평가 기준)는 3700USD였다. 주요 수출 시장은 네덜란드, 프랑스, 중국, 벨기에, 이탈리아, 알제리, 말레이시아이다.[1] 2004년부터 2008년까지 공공 부채를 줄이고 외환보유고를 늘리는 등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89] 카메룬은 중앙아프리카 국가 은행(BEAC), 중앙아프리카 관세 및 경제 연합(UDEAC), 아프리카 사업법 조화 기구(OHADA)의 회원국이며,[90] 통화는 CFA 프랑을 사용한다.[1]

2019년 실업률은 3.38%로 추산되었고,[91] 2014년 기준 인구의 23.8%가 하루 1.9USD의 국제 빈곤선 이하로 생활하고 있다.[92] 1980년대 후반부터 카메룬은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주창한 빈곤 감소, 산업 민영화, 경제 성장 증대 프로그램을 추진해 왔다. 관광 산업을 장려하기 위한 노력도 하고 있다.[93]

카메룬의 2013년 국내총생산(GDP)는 약 279억달러로,[206] 일본사가현과 거의 같은 경제 규모이다.[207] 독립 후 25년 동안은 카카오, 커피, 바나나 등의 농산물과 1970년대 후반부터 채굴이 시작된 원유 등 1차 산품 수출로 아프리카 국가들 중에서도 경제적으로 성공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 석유와 농산물 가격이 동시에 하락하고 경제 운영에도 실패하면서 10년간의 장기 불황을 겪었다. 이로 인해 1인당 GDP가 1986년부터 1994년까지 60% 이상 감소했다. 하지만 전력을 거의 수력발전으로 충당하고, 석유 증산에 성공했으며, 농업에 적합한 지형 등의 조건이 맞물리면서 2000년 시점에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 경제적으로 성공한 국가가 되었다.

카메룬은 세계 혁신 지수에서 2024년 123위를 차지했다.[111] 관광 산업에도 주력하고 있지만, 아직 전 지역이 개발된 것은 아니며, 세계관광기구(UNWTO)로부터 공식적인 "관광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카메룬을 포함한 구 프랑스령 중앙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사용되는 CFA 프랑프랑스 프랑과의 환율이 고정되어 있어 안정적인 경제 운영의 기반이 되었다. 반면, 프랑스 환율에 좌우되는 부작용도 있었다. 경제권으로서는 프랑스 경제 블록에 편입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카메룬은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와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 사이에 위치하지만, 어느 쪽에도 가입되어 있지 않다. 양국간 경제 원조에서는 프랑스의 출자액이 가장 많다. 1인당 원조 수혜액은 30USD(1998년)로 아프리카 국가들로서는 평균적이다.

무역 상대국은 프랑스, 독일, 일본 순이다. 대일 무역에서는 카메룬의 큰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카메룬의 수출에서는 목재가 54%(2016년), 카카오 원두가 34%를 차지하여 이 두 품목으로 약 88%에 달한다. 수입에서는 화학섬유가 4할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기계류, 의약품이 뒤따른다.

5. 1. 산업

카메룬 인구의 약 70%가 농업에 종사하며, 2017년 농업은 GDP의 약 16.7%를 차지했다.[1] 대부분의 농업은 지역 농민들이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여 자급자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잉여 생산물은 판매되며, 일부 농민은 상업적 용도로 별도의 밭을 유지한다. 도시 지역은 식량 공급을 농민 농업에 의존하고 있다. 해안 지역의 토양과 기후는 바나나, 코코아, 야자유, 고무, 차의 광범위한 상업적 재배를 촉진한다. 남카메룬 고원 내륙 지역에서는 커피, 설탕, 담배 등이 재배된다. 커피는 서부 고지대의 주요 상품 작물이며, 북부 지역에서는 목화, 땅콩, 쌀 등이 재배된다. 2004년 카메룬에서는 공정무역 목화 생산이 시작되었다.[94]

카메룬 우기 중 Wallya 지역의 네덜란드산 황소와 암소


가축은 전국적으로 사육된다.[95] 어업은 5,000명을 고용하고 매년 10만 톤 이상의 해산물을 제공한다.[96][97] 야생동물 고기는 오랫동안 농촌 지역 주민의 주요 식량이었지만, 현재는 도시 지역에서 별미로 여겨진다. 상업적 야생동물 고기 거래는 삼림 벌채와 더불어 카메룬 야생 동물에 대한 주요 위협이 되고 있다.[98][99]

남부 열대 우림에는 광대한 목재 매장량이 있으며, 카메룬 총 토지 면적의 37%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97] 그러나 넓은 지역은 접근하기 어렵다. 주로 외국계 기업이 담당하는 벌목[97]은 정부에 연간 6000만달러의 세금을 제공하며(1998년 기준), 법률은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목재 이용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 산업은 카메룬에서 가장 규제가 적은 산업 중 하나이다.[100]

2017년 공장 기반 산업은 GDP의 약 26.5%를 차지했다.[1] 카메룬 산업의 75% 이상이 두알라와 보나베리에 위치해 있다. 카메룬은 상당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광범위하게 채굴되지는 않는다('카메룬 광업' 참조). 석유 개발은 1986년 이후 감소했지만 여전히 상당한 부문이어서 가격 하락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101] 급류와 폭포가 남부 강을 막고 있지만, 이러한 지역은 수력 발전의 기회를 제공하며 카메룬 에너지의 대부분을 공급한다. 사나가 강은 에데아에 위치한 가장 큰 수력 발전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카메룬의 나머지 에너지는 석유 동력 열 엔진에서 나온다. 카메룬의 많은 지역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받지 못하고 있다.[102]

5. 2. 교통

카메룬은 트랜스아프리카 고속도로의 3개 노선이 통과한다.

  • 라고스-몸바사 고속도로
  • 트리폴리-케이프타운 고속도로
  • 다카르-엔자메나 고속도로


카메룬의 교통은 도로 포장률이 6.6%에 불과하여[1] 어려운 편이다. 검문소에서는 경찰과 헌병이 여행객에게 뇌물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며,[103] 동부와 서부 국경 지역에서는 도로 강도 문제도 심각하다.

두알라 항구


여러 사설 회사가 운영하는 시외 버스 서비스는 모든 주요 도시를 연결하며, 가장 인기 있는 교통 수단이다. 철도 서비스인 ''Camrail''은 서쪽의 쿰바에서 동쪽의 벨라보와 북쪽의 응아운데레까지 운행된다.[104]

두알라와 야운데에 국제공항이 있으며, 마루아에 세 번째 공항이 건설 중이다.[105]

두알라는 카메룬의 주요 항구이며,[106] 크리비 심해항은 2014년에 운영을 시작했다. 북부 지역에서는 베누에 강이 가루아에서 나이지리아까지 계절적으로 항해가 가능하다.[107]

5. 3. 통신

21세기 이후 카메룬에서는 언론의 자유가 향상되었지만, 언론은 여전히 부패와 특수 이익 집단, 정치 집단의 영향을 받고 있다. 신문들은 정부의 보복을 피하기 위해 자체 검열을 하는 경향이 있다. 주요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은 국영이며, 유선 전화 및 전신도 대부분 정부의 통제하에 있다. 그러나 21세기 이후 휴대전화 네트워크와 인터넷 제공업체가 급증하면서 대부분 규제를 받지 않고 있다.[206]

6. 인구

카메룬의 인구는 년 기준 명이었다. 평균 수명은 62.3세(남성 60.6세, 여성 64세)이다.[1] 여성(50.5%)이 남성(49.5%)보다 약간 더 많으며, 25세 미만 인구가 60%를 넘고, 65세 이상 인구는 3.11%에 불과하다.[1]

여성의 날 행사에 참여한 카메룬 여성들


인구는 도시와 농촌에 거의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112] 인구 밀도는 대도시, 서부 고지대, 북동부 평원에서 가장 높다.[113] 두알라, 야운데, 가루아가 가장 큰 도시이다. 반면 아다마와 고원, 남동부 베누에 저지대, 남부 고원의 대부분은 인구 밀도가 낮다.[114]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2013년 출산율은 4.8명, 인구 증가율은 2.56%였다.[149] 서부 고지대와 북부 지역 사람들은 일자리를 찾아 해안 농장 지역과 도시 중심부로 이동하는데, 이러한 이동은 주로 남성이기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성비 불균형이 발생한다.[115][117]

극북 지역의 무스검족의 집은 흙과 풀로 지어져 있다.


일부일처제와 일부다처제가 모두 행해지며, 평균적인 카메룬 가정은 확대 가족 형태이다.[118] 카메룬 사회는 남성 중심적이며, 여성에 대한 폭력과 차별이 흔하다.[119]

6. 1. 민족

카메룬의 고유한 민족 및 언어 집단의 수는 230개에서 282개 사이로 추산된다.[120][121] 아다마와 고원은 이들을 북부와 남부로 크게 나눈다. 북부 사람들은 수다니어계 집단과 풀라니족이며, 남부에는 반투어와 준반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살고 있다.

주민은 남부와 서부는 반투계팡족, 바카 피그미족, 중부는 반투계의 우테족, 북부는 수단계의 두르족, 풀라족 등이다. 약 5,000명의 기엘레족과 바카 피그미족이 남동부 및 해안 열대 우림에 거주한다.[122] 외국인 중 가장 큰 집단은 나이지리아인이다.[123]

6. 2. 난민

2007년, 카메룬은 약 9만 7400명의 난민과 망명 신청자를 수용했다. 이 중 4만 9300명은 중앙아프리카공화국(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전쟁으로 인해 서쪽으로 피난 온 사람들), 4만 1600명은 차드, 2900명은 나이지리아 출신이었다.[125] 2005년 이후 중앙아프리카공화국 강도들에 의한 카메룬 시민 납치 사건이 증가했다.

2014년 초,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폭력을 피해 수천 명의 난민이 카메룬으로 왔다.[126]

2014년 6월 4일, AlertNet은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

> 유엔에 따르면, 12월 이후 거의 9만 명이 이웃 국가 카메룬으로 피난했으며, 주로 여성과 어린이들로 구성된 최대 2000명이 매주 국경을 넘고 있다고 합니다.

>

>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인 에르타린 쿠젠은 "여성과 어린이들이 수 주, 때로는 수개월 동안 길을 걸으며 식량을 구하며 카메룬에 도착하고 있으며 충격적인 상태에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127]

6. 3. 언어



※파란색은 프랑스어, 빨간색은 영어. 남서부 2개 주가 영어권.




]]

공용어프랑스어영어이지만, 두 언어를 모두 사용하는 바이링구얼 주민은 매우 적다.[128] 카메룬 대통령실 추산에 따르면 프랑스어와 영어 사용자의 공식 비율은 각각 70%와 30%이다. 최대 도시 두알라와 수도 야운데 등이 있는 구 프랑스령 지역에 국민 대다수가 거주하며, 이 지역에서는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고 영어는 통용되지 않는다. 반면 영어는 구 영국령 카메룬 지역이었던 북서주와 카메룬 남서주에서만 사용되며, 현지에서는 카메룬 피진 영어가 공용어이다.[129] 1970년대 중반 이후 도시 중심부에서는 영어, 프랑스어, 피진의 혼합어인 캄프랑글레가 인기를 얻고 있다.[130]

식민지 언어 외에도 약 2,000만 명의 카메룬인이 약 250개의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131]

2017년, 영어권 주민들이 프랑스어 사용자들에 의한 억압으로 인식되는 것에 대해 언어 시위를 벌였다.[133]

구 독일 식민지였기 때문에 독일어 학습자도 많으며, 아프리카에서 독일어 사용자가 가장 많은 국가로 여겨진다.

그 외 토착 언어로 팡어, 풀라어, 이엠바어, 바사어, 카누리어, 밤문어, 두알라어, 아게엠어 등이 사용되고 있다.

6. 4. 종교

카메룬은 종교의 자유와 다양성이 높은 나라이다. 주요 종교는 기독교로 인구의 약 3분의 2가 믿고 있으며, 이슬람교는 약 4분의 1이 믿는 주요 소수 종교이다.[138] 많은 사람들이 전통 종교 또한 믿고 있다. 무슬림은 주로 북부에, 기독교인은 주로 남부와 서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지만, 두 종교 신자 모두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138] 대도시에는 두 집단 모두 상당한 인구가 있다.[138] 카메룬의 무슬림들은 수피파, 살라피파,[139] 시아파, 무교파 무슬림으로 나뉜다.[139][140]

승리의 성모 대성당, 야운데의 가톨릭 교회 성당


과거 영국령 카메룬 지역이었던 북서부와 남서부 주는 프로테스탄트 비율이 가장 높다. 남부와 서부 지역의 프랑스어 사용 지역은 대부분 가톨릭이다.[138] 남부 민족 집단은 주로 기독교나 전통 아프리카 애니미즘 신앙, 또는 이 둘을 혼합한 혼합 신앙을 따른다. 사람들은 마법을 널리 믿으며, 정부는 이러한 관행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마녀로 의심되는 사람들은 종종 군중 폭력의 대상이 된다. 이슬람 지하디스트 단체인 안사르 알 이슬람이 카메룬 북부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141]

북부 지역에서는 현지에서 우세한 풀라니족이 거의 전적으로 무슬림이지만, 전체 인구는 무슬림, 기독교인, 토착 종교 신봉자 (풀라니족이 "''키르디''"(이교도)라고 부름) 사이에 상당히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138] 서부 지역의 밤붐족은 대부분 무슬림이다.[138] 토착 전통 종교는 전국 시골 지역에서 행해지지만, 도시에서는 거의 공개적으로 행해지지 않는데, 이는 많은 토착 종교 집단이 본질적으로 지역적이기 때문이다.[138]

6. 5. 교육과 보건

카메룬의 어린이들


2013년 카메룬의 성인 읽기능력 비율은 71.3%로 추산되었다. 15~24세 청소년의 경우 남성은 85.4%, 여성은 76.4%였다.[142] 대부분의 어린이는 사립학교나 종교 시설보다 저렴한 국영학교에 다닌다.[143] 카메룬의 교육 시스템은 영국과 프랑스의 전례가 혼합된 형태이며,[144] 대부분의 수업은 영어 또는 프랑스어로 진행된다.[145]

카메룬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취학률 중 하나를 기록하고 있다.[143] 그러나 문화적 태도, 가사일, 조기 결혼, 임신 및 성희롱으로 인해 여학생의 등교율은 남학생보다 낮다. 남부 지역의 등교율이 더 높지만,[143] 교사들의 불균형적인 배치로 인해 북부 지역 학교는 만성적인 교사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2013년 초등학교 취학률은 93.5%였다.[142]

카메룬의 취학률은 아동 노동의 영향도 받는다. 2014년 12월, 국제노동국이 발표한 '아동 노동 또는 강제 노동으로 생산된 상품 목록'에는 카카오 생산에 아동 노동을 이용하는 국가로 카메룬이 포함되어 있었다.[147]

카메룬의 기대수명


카메룬의 의료 서비스 질은 전반적으로 낮다.[148] 2012년 기대수명은 56세로 추산되며,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기간은 48년으로 예상된다.[149] 카메룬의 출산율은 여전히 높아 여성 1인당 평균 4.8명의 자녀를 출산한다.[149]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카메룬에는 인구 5,000명당 의사 1명꼴이다.[150] 2014년 국내총생산(GDP) 지출의 4.1%만이 의료 부문에 할당되었다.[151] 의료 시스템 예산 삭감으로 인해 의료 전문가가 부족하다. 간호사들은 도움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실직 상태에 있으며, 일부는 기술을 유지하기 위해 자원봉사를 하고 있다.[152] 대도시를 제외하고는 시설이 더럽고 장비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153]

2012년 사망 원인 상위 3가지는 HIV/AIDS, 하부 호흡기 감염, 설사 질환이었다.[149] 풍토병으로는 뎅기열, 사상충증, 리슈마니아증, 말라리아, 수막염, 주혈흡충증, 아프리카 수면병이 있다.[154] 2016년 15~49세 인구의 HIV/AIDS 유병률은 3.8%로 추산되지만,[155] 질병에 대한 강한 사회적 낙인으로 인해 보고된 사례 수는 실제보다 적다.[2]

카메룬에서 널리 퍼져 있는 전통 관습인 가슴 다림질은 여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56][157][158][159] 여성 성기 절제(FGM)는 널리 퍼져 있지는 않지만 일부 지역에서 행해지고 있다.[160] 전통 의학근거 중심 의학의 대안으로 여전히 인기가 있다.

2024년 세계 기아 지수(GHI)에서 카메룬은 데이터가 충분한 127개국 중 79위를 차지했다. 카메룬의 GHI 점수는 18.3으로 중간 수준으로 간주된다.[161]

7. 문화

카메룬은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는 만큼 다채로운 문화를 가지고 있다. 주민은 크게 남부와 서부의 반투계 민족(팡족, 바카 피그미족 등), 중부의 반투계 우테족, 북부의 수단계 민족(두르족, 풀라족 등)으로 나뉘며, 275개 이상의 민족 집단으로 세분화된다.[202]

여성을 본뜬 부적 (상아제)


프랑스어영어가 공용어이지만, 두 언어를 모두 구사하는 주민은 많지 않다. 구 프랑스령 지역에서는 프랑스어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반면, 영어는 구 영국령 카메룬 지역이었던 북서주와 카메룬 남서주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 지역에서는 캄토크(카메룬 피진 영어)가 사용되며, 프랑스어 사용도가 낮아 분리 독립 운동이 일어나기도 한다. 독일 식민지였던 영향으로 독일어 학습자도 많아, 아프리카에서 독일어 사용자가 가장 많은 국가로 꼽힌다.[202] 그 외에도 팡어, 풀라어 등 다양한 토착 언어가 사용된다.

7. 1. 음악과 춤

음악과 춤은 카메룬 의식, 축제, 사교 모임, 이야기 전달에 필수적인 부분이다.[162][164] 전통 춤은 매우 정교하게 구성되며, 남성과 여성을 분리하거나 한 성별의 참여를 완전히 금지하기도 한다.[163] 춤의 목적은 순수한 오락에서부터 종교적 헌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164] 전통적으로 음악은 구전으로 전해진다. 전형적인 공연에서는 합창단이 독창자의 노래를 따라 부른다.[165]

반주는 손뼉을 치고 발을 구르는 것만큼 간단할 수도 있지만,[166] 전통 악기로는 무용수들이 착용하는 방울, 박수 치는 도구, 북, 토킹 드럼, 플루트, 뿔, 탬버린, 스크레이퍼, 현악기, 휘슬, 실로폰 등이 있으며, 악기 조합은 민족 집단과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일부 연주자는 하프와 같은 악기 반주에 맞춰 혼자서 완전한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165][167]

인기 있는 음악 스타일에는 해안 지방의 암바세 베이, 바사족의 아시코, 방강테족의 망감베우, 방강테족의 차마시가 있다.[168] 나이지리아 음악은 영어 사용 카메룬 연주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프린스 니코 엠바가의 하이라이프 히트곡 "스윗 마더"는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아프리카 레코드이다.[169]

가장 인기 있는 두 가지 음악 스타일은 마코사와 비쿠트시이다. 마코사는 두알라에서 발전했으며 민속 음악, 하이라이프, 소울, 콩고 음악을 혼합한 것이다. 마누 디방고, 프란시스 베베, 모니 빌레, 쁘띠 페와 같은 연주자들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전 세계적으로 이 스타일을 대중화했다. 비쿠트시는 에원도족 사이에서 전쟁 음악으로 시작되었다. 안 마리 엔지에와 같은 예술가들은 1940년대부터 이것을 인기 있는 댄스 음악으로 발전시켰고, 마마 오한자와 레 떼 브뤼레와 같은 연주자들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에 국제적으로 이것을 대중화했다.[170]

7. 2. 공휴일

카메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애국심 관련 공휴일은 통일의 날이라고도 불리는 국경일이다.[171] 가장 주목할 만한 종교 공휴일로는 성모 승천과 부활절 후 39일째 되는 날인 승천절이 있다.[171] 북서부와 남서부 주(암바조니아라고 총칭됨)에서는 10월 1일을 독립기념일로 여기며, 암바조니아인들은 이 날을 카메룬으로부터의 독립 선언일로 간주한다.[171]

날짜한국어 표기현지어 표기비고
1월 1일신정New Year's Day
2월 11일청년의 날National Youth Day
5월 1일메이데이Labor Day
5월 20일건국기념일National Day
8월 15일성모 승천 대축일Assumption
12월 25일크리스마스Christmas


7. 3. 요리

카메룬 요리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전국적으로 저녁에 한 가지 요리로 구성된 큰 식사가 일반적이다. 코코얌, 옥수수, 카사바(마니옥), 수수, 플랜테인, 감자, , 얌을 주재료로 사용하며, 종종 으깨어 반죽 같은 푸푸로 만든다.[172] 푸푸는 녹색 채소, 땅콩, 팜유 또는 기타 재료로 만든 소스, 수프, 스튜와 함께 제공된다.[172] 고기와 생선은 인기 있지만 비싸며, 닭고기는 종종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된다.[173] 요리는 매우 매콤하며, 소금, 빨간 고추 소스, 마기 등으로 양념한다.[174][175][176]

플랜테인과 카사바로 만든 "보볼로"는 은돌레(고기와 새우)와 함께 제공된다.


식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전통적으로는 오른손으로 음식을 먹는다. 아침 식사는 빵과 과일, 커피 또는 로 구성된다. 밀가루를 사용한 퍼프퍼프(도넛), 바나나와 밀가루로 만든 아크라 바나나, 콩 케이크 등도 아침 식사로 먹는다. 간식은 인기가 많으며, 특히 큰 마을에서는 노점상에서 구입할 수 있다.[177][178]

참조

[1] Factbook 2022-05-16
[2] 웹사이트 Peuls du Cameroun: Préserver l'ethos, suivre l'air du temps https://www.aa.com.t[...] 2024-07-10
[3] 웹사이트 Democracy Index 2020 https://www.eiu.com/[...] 2021-12-17
[4] 서적 Tyrants: the World's 20 Worst Living Dictators Regan Press 2006
[5] 뉴스 The world's enduring dictators: Paul Biya, Cameroon https://www.cbsnews.[...] CBS News 2011-06-19
[6] 웹사이트 For the sake of Cameroon, life-president Paul Biya must be forced out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20-11-02
[7] Factbook 2023-06-22
[8]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24 Edition. (Cameroon)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4-04-20
[9] 웹사이트 Gini Index coefficient https://www.cia.gov/[...] The World Factbook 2024-09-24
[10] 간행물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11] 논문 French and British Colonial Legacies in Education: Evidence from the Partition of Cameroon http://wrap.warwick.[...] 2019-09
[12] 웹사이트 Cameroon https://www.etymonli[...] 2024-02-06
[13] 웹사이트 Camarões: o que os crustáceos têm a ver com o país? https://veja.abril.c[...] Veja 2020-11-21
[14] 서적 Aspects of Cameroon Englishes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22-02-08
[15] 논문 The Holocene Archaeological Sequence of Shum Laka Rock Shelter (Grasslands, Western Cameroon) 2001
[16] 논문 On Microlithic Quartz Industries at the End of the Pleistocene in Central Africa: The Evidence from Shum Laka (NW Cameroon) 2003
[17] 참고자료
[18] 논문 Cameroon and the Commonwealth of nations
[19] 참고자료
[20] 웹사이트 Bamum http://africa.si.edu[...] National Museum of African Art, Smithsonian Institution 2012-01-29
[21] 웹사이트 historyworld http://historyworld.[...] 2019-04-17
[22] 참고자료
[23] 참고자료
[24] 참고자료
[25] 논문 Cameroonian Nationalists Go Global: From Forest Maquis to a Pan-African Accra
[26] 논문 Nationalism, democratisation and political opportunism in Cameroon
[27] 서적 Cameroon https://books.google[...] Mason Crest 2014-09-02
[28] 참고자료
[29] 참고자료
[30] 웹사이트 20 May National Day https://www.prc.cm/e[...] 2019-05-03
[31] 참고자료
[32] 참고자료
[33] 웹사이트 Dja Faunal Reserve https://whc.unesco.o[...] UNESCO 2024-10-25
[34] 참고자료
[35] 논문 Freedom of Trade Union Membership: An Appraisal of the 1992 Labour Code of Cameroon https://scholar.goog[...]
[36] 뉴스 Cameroon: Presidents Obasanjo And Biya Shake Hands on Disputed Bakassi Peninsula http://allafrica.com[...] Allafrica 2006-06-13
[37] 웹사이트 Cameroon Rebels Threaten Security in Oil-Rich Gulf of Guinea https://jamestown.or[...] Jamestown Foundation 2010-11-24
[38] 논문 Preventing renewed violence through peacebuilding in the Bakassi peninsula (Cameroon)
[39] 뉴스 Cameroon, Chad Deploy Troops to Fight Boko Haram – Nigeria http://reliefweb.int[...] ReliefWeb 2014-06-10
[40] 뉴스 Boko Haram has been repelled, Cameroon's leader declares https://www.cbc.ca/n[...] CBC News 2018-09-30
[41] 뉴스 Rights groups call for probe into protesters' deaths in Cameroon https://www.cnn.com/[...] CNN 2016-12-15
[42] 뉴스 Cameroon internet shut for separatists https://www.bbc.com/[...] BBC News 2017-10-02
[43] 뉴스 Burning Cameroon: Images you're not meant to see https://www.bbc.com/[...] BBC News 2018-06-25
[44] 웹사이트 The world's most neglected conflict https://web.archive.[...] New Frame 2020-11-18
[45] 뉴스 In a world full of wars, why are so many of them ignore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9-06-09
[46] 뉴스 Insecurity Escalates In North Region As Gov't, Military Concentrate In Anglophone Regions https://natimesnews.[...] The National Times 2019-02-25
[47] 뉴스 Thousands flee northern Cameroon after deadly intercommunal clashes https://www.france24[...] France 24 2021-12-10
[48] 뉴스 Northern Cameroon bears brunt of inter-ethnic clashes, 22 dead, 30 injured https://www.africane[...] Africanews 2021-12-14
[49] 서적 Neba
[50] 웹사이트 Cameroon: Government https://globaledge.m[...] Michigan State University: Broad College of Business
[51] 서적 Neba
[52] 웹사이트 Cameroon: Institutional Situation https://web.archive.[...] Montesquieu University of Bordeaux
[53] 웹사이트 Government in Cameroon http://www.commonwea[...] Commonwealth of Nations
[54] 웹사이트 Business Corruption in Cameroon https://web.archive.[...] Business Anti-Corruption Portal
[55] 웹사이트 2018 – CPI https://www.transpar[...] Transparency.org 2019-01-29
[56] 서적 West
[57] 뉴스 Rights groups call for probe into protesters' deaths in Cameroon http://edition.cnn.c[...] CNN 2016-12-15
[58] 뉴스 Cameroon goes offline after Anglophone revolt http://edition.cnn.c[...] CNN 2017-02-03
[59] 서적 Freedom House
[60] 서적 DeLancey and DeLancey
[61] 서적 Ngoh
[62] 서적 DeLancey and DeLancey
[63] 뉴스 Court Rules for Cameroon In Oil Dispute With Nigeri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2-10-11
[64] 웹사이트 Agreement Transferring Authority over Bakassi Peninsula from Nigeria to Cameroon 'Triumph for the Rule of Law' Secretary-General Says in Message for Ceremony http://www.un.org/pr[...] www.un.org
[65] 뉴스 Cameroon profile https://www.bbc.com/[...] BBC News 2017-11-01
[66] 뉴스 Which Countries Are For or Against China's Xinjiang Policies?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19-07-15
[67] 웹사이트 OHCHR – UN Human Rights Chief deeply alarmed by reports of serious rights breaches in Cameroon https://www.ohchr.or[...] 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68] 웹사이트 Cameroon https://www.globalr2[...]
[69] 간행물 State-sponsored Homophobia: A world survey of laws prohibiting same-sex activity between consenting adults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Lesbian and Gay Association (ILGA) 2008-05
[70] 웹사이트 Cameroon: Boko Haram Attacks Escalate in Far North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21-04-05
[71] 웹사이트 Cameroon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1-08-25
[72] 웹사이트 Core document forming part of the reports of States Parties: Cameroon http://www.unhchr.ch[...] UNHCHR
[73] 웹사이트 Country Profiles http://www.internati[...] UCLA African Studies Center
[74] 간행물 DeLancey and DeLancey
[75] 간행물 Neba
[76] 간행물 Neba
[77] 간행물 Neba
[78] 웹사이트 ICAM of Kribi Campo http://www.unido.org[...] UNIDO
[79] 간행물 Neba
[80] 간행물 null null
[81] 웹사이트 Cameroon Highlands Forests http://wwf.panda.org[...] WWF
[82] 간행물 Neba
[83] 웹사이트 Country Files: Cameroon http://www.fao.org/d[...]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84] 웹사이트 Cameroon http://www.wcs.org/w[...] Wildlife Conservation Society
[85] 웹사이트 Beyond Boundaries:Regional Overview of Transboundary Natural Resource Management in Central Africa http://www.worldwild[...] World Wildlife Organization 2001
[86] 서적 Terms and Definitions FRA 2025 Forest Resources Assessment, Working Paper 194 https://openknowled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23
[87] 웹사이트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 2020, Cameroon https://fra-data.fao[...]
[88] 웹사이트 Mapping of Protected Areas Evolution in Cameroon from the Beginning to 2000: Lesson to Learn and Perspectives. http://www.cartesia.[...] World Wildlife Organization 2001
[89] 웹사이트 Cameroon Financial Sector Profile http://www.mfw4a.org[...] MFW4A
[90] 웹사이트 The business law portal in Africa http://www.ohada.com[...] OHADA
[91] 웹사이트 Cameroon Unemployment rate – data, chart https://www.thegloba[...] 2020-05-19
[92] 웹사이트 Poverty headcount ratio at $1.90 a day (2011 PPP) (% of the population) – Cameroon Data https://data.worldba[...] 2020-05-18
[93] 웹사이트 Cameroon Business Mission Fact Sheet 2010–2011 http://nl.nabc.nl/Po[...] Netherlands-African Business Council 2011
[94] 간행물 Fairtrade Cotton: Assessing Impact in Mali, Senegal, Cameroon and India https://files.fairtr[...] Fairtrade International, University of Greenwich and Institute of Development Studies 2011-05
[95] 웹사이트 Cameroon livestock production map http://www.fao.org/a[...] FAO
[96] 웹사이트 Women's role in Cameroon fishing communities http://www.fao.org/d[...] FAO
[97] 웹사이트 Cameroon http://www.awf.org/c[...] AWF 2013-02-28
[98] 뉴스 UK project tackles bushmeat diet http://news.bbc.co.u[...] BBC 2002-04-10
[99] 뉴스 Cameroon's bushmeat dilemma http://news.bbc.co.u[...] BBC 2008-03-14
[100] 웹사이트 Logging in the Green Heart of Africa http://wwf.panda.org[...] WWF
[101] 웹사이트 Strengthening Transparency in the Oil Sector in Cameroon http://www.imf.org/e[...] IMF 2006
[102] 웹사이트 Harnessing Central Africa's Hydropower Potential http://www.climatepa[...] Climate Parliament
[103] 간행물 Hudgens and Trillo
[104] 웹사이트 Getting around Cameroon http://www.worldtrav[...] World Travel Guide
[105] 웹사이트 Equipment for the Future Maroua International Airport http://www.cameroono[...] Cameroon Online 2013-04-03
[106] 웹사이트 SOS Children's Village Douala http://www.soschildr[...] SOS Children's Villages 2013-04-12
[107] 서적 DeLancey and DeLancey
[108] 간행물 Cameroon – Annual Report 2007
[109] 서적 Mbaku
[110] 서적 Mbaku
[111]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2024-10-22
[112] 서적 West
[113] 서적 Neba
[114] 서적 Neba
[115] 서적 Neba
[116] 서적 Neba
[117] 서적 Neba
[118] 서적 Mbaku
[119] 서적 Mbaku
[120] 서적 Neba
[121] 서적 West
[122] 서적 Neba
[123] 서적 Neba
[124] 웹사이트 Cameroon: Regions, Major Cities & Towns http://citypopulatio[...] 2020-10-09
[125] 뉴스 World Refugee Survey 2008 http://www.refugees.[...] U.S. Committee for Refugees and Immigrants 2008-06-19
[126] 웹사이트 Cameroon: Location of Refugees and Main Entry Points (as of 02 May 2014) – Cameroon http://reliefweb.int[...] 2014-06-08
[127] 웹사이트 Cameroon: Starving, Exhausted CAR Refugees Stream Into Cameroon – UN http://allafrica.com[...] 2014-06-08
[128] 웹사이트 Presentation of Cameroon https://www.prc.cm/e[...] 2023-03-29
[129] 서적 Neba
[130] 서적 DeLancey and DeLancey
[131] 논문 The Language Situation in Cameroon
[132] 웹사이트 Linguistic diversity in Africa and Europe – Languages Of The World https://www.language[...] 2019-07-04
[133] 웹사이트 African Powder Keg: Cameroonian Conflict and African Security https://calrev.org/2[...] 2019-04-16
[134] 뉴스 Deaths and detentions as Cameroon cracks down on anglophone activist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8-01-03
[135] 논문 Political crisis, protests and implications on nation building in Cameroon
[136] 웹사이트 Relief Web Humanitarian Dashboard https://reliefweb.in[...] 2021-08-11
[137] 웹사이트 Religion https://www.cia.gov/[...] 2024-05-22
[138] 웹사이트 July–December, 2010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 Cameroon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20-09-29
[139] 뉴스 The veil in west Africa: Banning the burqa: Why more countries are outlawing the full-face veil https://www.economis[...] 2016-02-15
[140] 웹사이트 (제목 없음) Pew Forum on Religious & Public life 2013-10-29
[141] 뉴스 Boko Haram timeline: From preachers to slave raiders https://www.bbc.co.u[...] BBC News 2013-05-15
[142] 웹사이트 Statistics https://www.unicef.o[...] 2018-02-04
[143] 참고자료 Mbaku
[144] 참고자료 DeLancey and DeLancey
[145] 참고자료 Mbaku
[146] 웹사이트 2013 Findings on the Worst Forms of Child Labor -Cameroon http://www.dol.gov/i[...] 2015-06-29
[147] 웹사이트 List of Goods Produced by Child Labor or Forced Labor http://www.dol.gov/i[...] 2015-06-29
[148] 참고자료 DeLancey and DeLancey
[149] 웹사이트 Cameroon: WHO Statistical Profile https://www.who.int/[...] 2015-01-01
[150] 뉴스 3 medical marvels saving lives http://edition.cnn.c[...] CNN 2013-11-18
[151] 웹사이트 UNdata country profile Cameroon http://data.un.org/C[...] 2018-02-04
[152] 웹사이트 The need is so great http://www.dandc.eu/[...] D+C Development and Cooperation/ dandc.eu 2013-06-27
[153] 참고자료 West
[154] 참고자료 West
[155] 웹사이트 Cameroon http://www.unaids.or[...] 2018-02-04
[156] 뉴스 Africa | Cameroon girls battle 'breast ironing' http://news.bbc.co.u[...] BBC News 2015-06-29
[157] 웹사이트 BBC World Service – Outlook, Fighting 'Breast Ironing' in Cameroon http://www.bbc.co.uk[...] 2015-06-29
[158] 웹사이트 Campaigners warn of 'breast ironing' in the UK – Channel 4 News http://www.channel4.[...] 2015-06-29
[159] 간행물 Breast Ironing: A harmful traditional practice in Cameroon http://www.ohchr.org[...] Gender Empowerment and Development(GeED) 2011-08-24
[160] 간행물 UNICEF 2013 http://www.unicef.or[...] UNICEF 2013
[161] 웹사이트 Global Hunger Index Scores by 2024 GHI Rank https://www.globalhu[...] 2024-12-13
[162] 참고자료 Mbaku
[163] 참고자료 Mbaku
[164] 참고자료 West
[165] 참고자료 Mbaku
[166] 참고자료 Mbaku
[167] 참고자료 West
[168] 참고자료 DeLancey and DeLancey
[169] 참고자료 Mbaku
[170] 참고자료 DeLancey and DeLancey
[171] 논문 Southern Cameroons/Ambazonia Conflict: A Political Economy 2020
[172] 참고자료 West
[173] 참고자료 Mbaku
[174] 참고자료 Hudgens and Trillo
[175] 참고자료 Mbaku
[176] reference West
[177] reference Mbaku
[178] reference Hudgens and Trillo
[179] 웹사이트 Cameroon clothing – A description of the traditional attire of Cameroon. https://web.archive.[...] 2020-07-26
[180]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Cameroon 2000
[181] 웹사이트 Cameroon:Imane Ayissi detrem ined [sic] to project Cameroon's couture https://www.journald[...] 2020-04-07
[182] reference West
[183] reference Mbaku
[184] 웹사이트 Cameroon's indomitable contemporary art https://web.archive.[...] 2010-04-30
[185] reference Mbaku
[186] reference Mbaku
[187] reference DeLancey and DeLancey
[188] reference West
[189] reference Mbaku
[190] reference DeLancey and DeLancey
[191] reference West
[192] reference West
[193] 뉴스 Africa Women Cup of Nations kicks off in Cameroon https://www.theguard[...] 2016-11-20
[194] 웹사이트 Africa Cricket Association https://africacricke[...]
[195] 웹사이트 Cameroon NBA Players – RealGM https://basketball.r[...] Basketball.realgm.com
[196] 뉴스 The Fearsome, Quiet Champion https://www.nytimes.[...] 2022-01-21
[197] 웹사이트 カメルーン共和国(Republic of Cameroon)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022-12-18
[198]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련
[199] 웹사이트 IMF Data and Statistics https://www.imf.org/[...]
[200] 뉴스 カメルーン紛争長期化/人権団体「無視された危機」60万人国内避難 2020-11-30
[201] 웹사이트 카메룬 유령 새우
[202] 뉴스 カメルーン大統領選、85歳ビヤ氏が7期目の再選 https://www.afpbb.co[...] 2018-10-23
[203] 웹사이트 남카메룬 정부 사이트 http://www.southernc[...]
[204] 뉴스 カメルーン英語圏が「独立宣言」 治安部隊との衝突で7人死亡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17-10-02
[205] 설명 Littoral
[206] 웹사이트 WEO Report http://www.imf.org/e[...] IMF
[207] PDF 내각부에 의한 현민 경제 계산 https://www.esri.cao[...]
[208] 웹사이트 Satte Gewinne für den Schweizer Tropenholzhändler Fritz Jäggi http://archiv.online[...]
[209] 웹사이트 Fragen und Antworten zu Tropenholz http://www.regenwald[...]
[210] 서적 Critical Perspectives on Cameroon Writing 2013
[211] 웹사이트 カメルーン便り 在カメルーン日本国大使館 https://www.cmr.emb-[...]
[212] 웹사이트 眼球など体の一部切除する連続殺人、2週間で18人犠牲 カメルーン https://www.cnn.co.j[...] 2013-01-24
[213] 웹사이트 諸外国・地域の学校情報 カメルーン共和国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17-11
[214] 웹사이트 Cameroon Education System(カメルーンの教育制度) http://www.classbase[...]
[215] 웹사이트 Cameroon Grading System(カメルーンの学力評価制度) http://www.classbase[...]
[216] 웹사이트 カメルーン(首都:ヤウンデ)の治安・テロ最新危険情報 https://medicihiroba[...]
[217] 웹사이트 カメルーン 安全対策基礎データ「犯罪発生状況、防犯対策」 https://www.anzen.mo[...] 外務省
[218] 뉴스 カメルーン英語圏独立派、治安部隊員ら180人超殺害 政府が報告書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18-06-21
[219] 웹사이트 カメルーン テロ・誘拐情勢 https://www.anzen.mo[...]
[220] 웹사이트 baromètre 2004 TI http://ww1.transpare[...]
[221] 뉴스 Deutscher Ingenieur vor Militärgericht angeklagt https://www.spiegel.[...] DER SPIEGEL 2019-09-24
[222] 뉴스 Cameroon Is a Close U.S. Ally — and Its Soldiers Carried Out a Shocking Execution of Women and Children https://theintercept[...]
[223] 웹사이트 Cameroon: A catalogue of human rights abuses, Amnesty International https://www.amnesty.[...]
[224] 웹사이트 マヌ・ディバンゴ https://www.alsoj.ne[...]
[225] 웹사이트 Cameroon to host 2019, Cote d'Ivoire for 2021, Guinea 2023(ホスト国は2019年カメルーン、2021年コートジボワール、2023年ギニア) http://www.cafonline[...] CAF 2014-12-20
[226] 백과사전 카메룬
[227] 서적 DeLancey and DeLancey 2
[228] 뉴스 阿洲六國과修交...孫親善特使合意報告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0-07-22
[229] 뉴스 白善燁씨赴任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3-08-28
[230] 웹인용 카메룬 정치·경제동향 http://www.koreaexim[...] 한국수출입은행 2008-09
[231] 보고서 Cameroon,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232] 일반
[233]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