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괄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괄선은 수학적 표기법의 하나로, 1646년 프란스 판 스호텐이 프랑수아 비에트의 저작을 편집하면서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에는 괄호와 유사하게 그룹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으며, 선분, 순환 소수, 켤레 복소수, 로그, 부울 대수, 주기적 연분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또한 근호 표기에서 피근수를 나타내는 데 활용되며, 유니코드와 LaTeX에서도 괄선을 표현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학 기호 - 프라임 (기호)
    프라임(′)은 숫자나 문자 등에 붙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기호로, 단위, 각도, 수학, 물리학 등에서 다양한 의미로 활용되며, 발음 또한 다양하다.
  • 수학 기호 - 존재 양화사
    존재 양화사는 형식 논리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대상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수리 논리학에서는 기호 "\exists"를 사용하여 변수가 특정 집합에 속하면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원소가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나타내며, 존재 일반화, 존재 제거 등의 추론 규칙과 관련이 있고, 담화 영역에 따라 진술의 참과 거짓이 달라질 수 있으며, 존재 양화된 명제 함수의 부정은 해당 명제 함수의 부정의 전칭 양화와 논리적으로 동치이다.
  • 초등 수학 - 거리
    거리는 수학에서 두 점 사이를 측정하는 함수, 물리학에서 물체의 위치 변화량, 일상생활에서 두 지점 사이의 길이를 의미하며, 국제단위계에서는 길이로 표현된다.
  • 초등 수학 - 제곱근
    제곱근은 x² = a를 만족하는 x 값으로, a가 양수일 때 두 개의 제곱근을 가지며, 수학, 물리학, 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이고, 무리수와도 관련되어 행렬이나 연산자에도 확장된다.
괄선
수학적 기호
명칭괄선
로마자 표기Gwalseon
영어 명칭Vinculum
사용 분야수학, 논리학
형태가로선
관련 기호윗줄, 아랫줄
용도
수학분수 표기 (분수)
반복소수 표기
복소수의 켤레복소수 표기
집합의 폐포
벡터의 성분
논리학부정
컴퓨터C언어의 매크로 함수 정의
예시

2. 역사

괄선은 1646년 프란스 판 스호텐이 프랑수아 비에트의 저작을 편집하면서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비에트는 이 표기법을 사용하지 않았다.[1] 니콜라 쉬케는 1484년에 밑줄을 사용했고, 르네 데카르트는 1637년에 근호와 관련해서만 괄선을 사용하는 등, 이보다 앞서 제한적인 형태의 괄선 사용은 흔했다.[1]

2. 1. 초기 형태

일반적으로 프란스 판 스호텐이 1646년 프랑수아 비에트의 저작을 편집하면서 괄선을 도입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비에트는 이 표기법을 사용하지 않았다.[1] 니콜라 쉬케는 1484년에 밑줄을 사용했고,[1] 르네 데카르트는 1637년에 근호와 관련해서만 괄선을 사용하는 등, 이보다 앞서 제한적인 형태의 괄선 사용은 흔했다.[1]

2. 2. 프란스 판 스호텐의 도입

프란스 판 스호텐은 1646년 프랑수아 비에트의 저작을 편집하면서 괄선을 도입했다(비에트는 이 표기법을 사용하지 않았다).[1] 그러나 1484년 니콜라 쥐케처럼 밑줄을 사용하거나, 1637년 르네 데카르트처럼 근호와 관련해서만 사용하는 등 제한적인 형태의 초기 버전은 흔했다.[1]

2. 3. 괄호와의 관계

괄선은 과거에 괄호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표기법으로, 그룹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a-\overline{b+c},

이는 먼저 ''b''와 ''c''를 더한 다음 그 결과를 ''a''에서 빼는 것을 의미하며, 오늘날에는 ''a'' − (''b'' + ''c'')로 더 흔하게 표기된다. 18세기 이전의 수학 문헌에서는 괄호가 드물게 발견되었으며, 그룹핑을 위해 괄선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괄선은 일반적으로 윗줄 형태로 사용되었지만, 니콜라 슈케는 1484년에 밑줄 버전을 사용했다.[6]

인도에서는 이 표기법이 초등학교에서 여전히 시험되고 있다.[7]

3. 현대적 용법

선분, 순환 소수, 켤레 복소수, 로그, 부울 대수에서의 반전(NOT) 연산, 주기적 연분수에서 반복되는 항을 표시할 때 괄선을 사용한다. 과거에는 괄호와 같이 묶는 기능을 하는 표기법으로 사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a-\overline{b+c}$는 $a-(b+c)$와 같이 b와 c를 먼저 더한 후 a에서 빼는 것을 의미한다. 18세기 이전 수학 문헌에서는 괄호가 드물게 발견되었고, 괄선이 널리 사용되었다. 니콜라 슈케는 1484년에 밑줄 형태의 괄선을 사용하기도 했다.[6] 인도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여전히 이 표기법을 사용하기도 한다.[7]

3. 1. 선분

기하학에서 선분은 양 끝점을 A와 B로 하는 경우 $\overline{\rm AB}$로 표현한다.

3. 2. 순환 소수

순환 소수의 순환마디를 나타낼 때 괄선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 0.1428571428571428571... = 0. 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1]

3. 3. 켤레 복소수

복소수켤레 복소수를 나타낼 때 괄선을 사용한다.[6]

:\overline{2 + 3i} = 2 - 3i

3. 4. 로그

로그에서 1보다 작은 숫자의 로그를 괄선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나타낼 수 있다.

  • \log 2 = 0.301 \Rightarrow \log 0.2 = \overline{1}.301 = -0.699[1]

3. 5. 부울 대수

부울 대수에서 괄선은 반전(NOT) 연산을 나타낸다.[1]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논리식이 있다.

:Y = \overline{AB},

이 식은 Y가 A와 B 모두 참일 때만 거짓임을 의미한다.[1] 즉, A 또는 B 중 하나라도 거짓이면 Y는 참이 된다.[1]

3. 6. 주기적 연분수

주기적 연분수에서 반복되는 항을 표시하는 데 괄선이 사용된다. 제곱근 무리수는 이러한 성질을 갖는 유일한 수이다.[1]

4. 근호 표기에서의 활용

르네 데카르트는 1637년에 독일의 근호 기호(√)와 괄선을 결합하여 현대적인 근호 표기법을 만들었다.[8] 괄선은 근호 표기의 일부로 사용되며, 근호가 표시되는 피근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sqrt[n]{ab+2}.

에서 괄선은 ab+2 전체가 피근수임을 나타낸다.

괄선을 나타내는 기호는 반드시 선분(윗줄 또는 밑줄)일 필요는 없으며, 때로는 중괄호(위 또는 아래로 가리킴)를 사용할 수도 있다.[9]

5. 인코딩

유니코드에서는 괄선을 표현하기 위해 U+0305(결합 위줄)을 사용한다. LaTeX에서 텍스트에 윗줄을 그으려면 `$\overline{\mbox{text}}$` 코드를 사용하는데, 여기서 `\mbox{}`는 `\overline{}`가 요구하는 수식 모드를 무시하기 위해 필요하다.

5. 1. 유니코드

Unicode영어에서는 괄선을 표현하기 위해 U+0305(결합 위줄)을 사용한다.

5. 2. TeX

LaTeX에서 텍스트(text)에 윗줄을 그으려면 `$\overline{\mbox{text}}$` 코드를 사용한다. 여기서 `\mbox{}`는 `\overline{}`가 요구하는 수식 모드를 무시하기 위해 필요하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Mathematical Notations Dover
[2] 서적 The Universal History of Numbers: From Prehistory to the Invention of the Computer John Wiley & Sons
[3] 서적 A Concrete Introduction to Higher Algebra https://archive.org/[...] Springer
[4] 서적 Aide-mémoire LEP
[5] harvnb
[6] harvnb
[7] 웹사이트 "BODMAS (Basic) (Practice) | Week 1" https://www.khanacad[...]
[8] harvnb
[9] 간행물 Vulgar and decimal fractions (The Mount Vernon Arithmetic Part II)
[10] 인용 A History of Mathematical Notations Do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