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수아 비에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수아 비에트는 1540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변호사이자 정치 고문관이었으나, 수학 연구에 매진하여 "대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인물이다. 그는 기호 대수학을 확립하고, 근과 계수의 관계를 정리한 비에트 정리를 제시했으며, 원주율을 구하는 무한곱 공식을 발견하는 등 수학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스페인 암호 해독을 통해 프랑스 정부를 도왔으며, 17세기 수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40년 출생 - 원균
원균은 조선 중기 무장으로, 여진족 토벌에 참여했으며 임진왜란 때 경상우도 수군절도사를 지냈으나 이순신과의 갈등 속에 칠천량 해전에서 패전 후 전사(또는 생존)한 인물이다. - 1540년 출생 - 프랜시스 드레이크
프랜시스 드레이크는 잉글랜드 해군 제독이자 탐험가, 사략선 선장으로, 세계 일주를 성공하고 무적함대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노예 무역과 사략 행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16세기 수학자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폴란드 출신의 천문학자로서 태양중심설을 제안하여 천문학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저서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를 통해 자신의 이론을 발표했으나 논란을 겪었고, 과학 혁명과 현대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16세기 수학자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는 16세기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중국에서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선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서양 학문과 기독교를 소개하고 중국 문화를 유럽에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가경자로 선포되었다. - 1603년 사망 - 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1세는 헨리 8세의 딸로 잉글랜드 여왕으로 즉위하여 국교회를 정비하고 스페인 무적함대를 격파하는 등 잉글랜드의 국제적 지위를 높였으며, 튜더 왕조의 마지막 군주로서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 1603년 사망 - 윌리엄 길버트
윌리엄 길버트는 엘리자베스 1세와 제임스 1세의 주치의였던 영국의 의사이자 과학자로, 전기와 자기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지구 자기학의 기초를 마련하고 과학 혁명에 큰 영향을 주었다.
프랑수아 비에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본명 | 프랑수아 비에트 |
다른 이름 | 프란키스쿠스 비에타 |
출생 | 1540년 |
출생지 | 프랑스 왕국 퐁트네르콩트 |
사망 | 1603년 2월 23일 (향년 62–63세) |
사망지 | 프랑스 왕국 파리 |
국적 | 프랑스 |
분야 | 천문학, 수학 (대수학 및 삼각법) |
학력 | 푸아티에 대학교 (법학 학사, 1559) |
지도 교수 | 알 수 없음 |
유명한 제자 | 알렉산더 앤더슨 |
알려진 업적 | 새로운 대수학 (최초의 기호 대수학) 비에트의 공식 비에트의 곱 공식 |
![]() |
2. 생애
1540년 방데주 퐁트네르콩트(Fontenay-le-Compte프랑스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에티엔 비에트(Étienne Viète프랑스어)는 변호사였으며, 어머니는 공무원이자 국회장을 맡았던 바르나베 브리송(Barnabé Brisson프랑스어)의 고모였다.[1] 푸아티에 대학교(Université de Poitiers프랑스어)에서 법학을 공부하였고, 1559년 졸업하였다.
1580년부터 왕실에서 일하기 시작하여 앙리 3세와 앙리 4세를 섬겼다. 본업은 변호사이자 정치 고문관이었지만, 여가 시간에 수학을 연구했다.
1602년 은퇴하였고, 2만 에퀴(écu프랑스어)의 금화를 수여받았다. 1603년 2월 23일 사망하였으며, 사망 후 그의 방에서 수여받았던 금화가 그대로 발견되었다.
2. 1. 출생과 가문
1540년 방데주 퐁트네르콩트(Fontenay-le-Compte프랑스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에티엔 비에트(Étienne Viète프랑스어)는 변호사였으며, 어머니는 공무원이자 국회장을 맡았던 바르나베 브리송(Barnabé Brisson프랑스어)의 고모였다.[1] 할아버지는 라 로셸 출신의 상인이었다. 아버지 에티엔 비에트는 퐁트네르콩트의 변호사이자 르 뷔소의 공증인이었다. 어머니는 치안 판사이자 가톨릭 리그가 득세할 당시 의회의 초대 의장이었던 바르나베 브리송의 고모였다.[4] 비에트는 프란치스코회 학교에 다녔다.[4]2. 2. 학업 및 초기 경력
1540년 방데주 퐁트네르콩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에티엔 비에트(Étienne Viète프랑스어)는 변호사였으며, 어머니는 공무원이자 국회장을 맡았던 바르나베 브리송(Barnabé Brisson프랑스어)의 고모였다.[1]푸아티에 대학교(Université de Poitiers프랑스어)에서 법학을 공부하였고, 1559년 졸업하여 법학사 학위를 받았다. 1년 후, 고향에서 변호사로 경력을 시작했다. 프랑수아 1세의 미망인을 위해 푸아투 지방의 임대료를 해결하고 메리 여왕의 이익을 돌보는 등 주요 사건을 위임받았다.[1]
1564년, 주요 위그노 군사 지도자 중 한 명인 장 5세 드 파르트네-수비즈의 아내인 앙투아네트 도베테르의 시종이 되었고, 그를 따라 리옹으로 가서 사보이의 자크, 네무르 2세 공작의 군대에 맞서 도시를 영웅적으로 방어한 것에 대한 문서를 수집했다.[1]
같은 해, 방데의 무샹 코뮌에 있는 파르크-수비즈에서 수비즈의 열두 살 된 딸 카트린 드 파르트네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그는 그녀에게 과학과 수학을 가르쳤고, 그녀를 위해 많은 논문을 저술했는데, 그 중 일부는 천문학과 삼각법에 관한 것이며, 일부는 지금까지 남아 있다. 이 논문에서 비에트는 스테빈의 논문보다 20년 먼저 소수를 사용했고, 케플러보다 40년, 조르다노 브루노가 죽기 20년 전에 행성의 타원 궤도를 기록했다.[1]
1568년, 앙투아네트 도베테르는 딸 카트린을 퀘레네크 남작 샤를과 결혼시켰고, 비에트는 앙투아네트와 함께 라 로셸로 가서 콜리니와 콩데 및 나바라 여왕 잔 달브레와 그녀의 아들인 미래의 프랑스 앙리 4세인 나바라의 앙리와 같은 최고의 칼뱅주의 귀족 지도자들과 어울렸다.[1]
1570년, 그는 퀘레네크 남작에 대한 악명 높은 소송에서 수비즈 부인들을 대리하는 것을 거부했는데, 그들은 남작이 상속자를 제공할 수 없거나 꺼린다고 주장했다.[1]
1571년, 파리에서 변호사로 등록했고, 그의 학생 카트린을 계속 방문했다. 그는 정기적으로 퐁트네르콩트에서 살았고, 그곳에서 몇 가지 시의 기능을 수행했다. 그는 ''Universalium inspectionum ad Canonem mathematicum liber singularis''를 출판하기 시작했고, 밤이나 여가 시간에 새로운 수학적 연구를 썼다. 그는 책상에 팔꿈치를 대고, 자세를 바꾸지 않고 식사를 하면서 (그의 친구 자크 드 투에 따르면), 어떤 질문이든 최대 3일 동안 골똘히 생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2]
2. 3. 왕실 고문관
1580년부터 왕실에서 일하기 시작하여 앙리 3세와 앙리 4세 아래 있었다.[1] 앙리 3세 사후, 비에트는 나바라의 앙리의 추밀 고문이 되었다.[3] 그는 왕으로부터 수학적 재능을 인정받아 투르의 ''파르르망''(의회) 고문 직책을 받았다.1583년에서 1585년 사이, 리그는 앙리 3세에게 비에트를 석방하도록 설득했는데, 비에트는 프로테스탄트 측에 동조한다는 혐의를 받았다. 나바르의 앙리는 로앙의 사주를 받아 1585년 3월 3일과 4월 26일에 앙리 3세에게 비에트의 복직을 요청하는 서신을 보냈지만 실패했다.
1589년, 앙리 3세는 블로아로 피신했다. 그는 왕실 관리들에게 1589년 4월 15일까지 투르에 도착하라고 명령했고, 비에트는 투르로 돌아온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가톨릭 동맹과 왕의 다른 적들의 비밀 서신을 해독했다.
1590년, 비에트는 500개 이상의 문자로 구성된 스페인 암호의 해독 열쇠를 풀어, 프랑스에 넘겨진 해당 언어의 모든 발송물을 쉽게 읽을 수 있게 만들었다. 앙리 4세는 모레오 사령관이 스페인 국왕에게 보낸 편지를 공개했는데, 비에트가 해독한 이 편지의 내용은 프랑스 동맹의 수장인 샤를 드 로렌 공작이 앙리 4세 대신 왕이 되려고 계획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공개로 종교 전쟁이 종결되었다. 스페인 국왕은 비에트가 마법의 힘을 사용했다고 비난했다.
1594년부터 그는 오로지 적의 비밀 암호를 해독하는 일에 임명되었다.
3. 주요 업적
프랑수아 비에트는 수학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미지수를 문자로 표현하는 방식을 처음 도입하여 대수학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26] 이는 현대 대수학의 기초가 되었다.[27] 근과 계수의 관계를 정리한 '비에트 정리'(Viète's formulas프랑스어)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8]
비에트는 원주율(\(\pi\))을 무한급수로 표현하는 공식을 발견했는데, 이는 원에 내접하는 다각형을 무한히 확장하여 원에 수렴시키는 방식이다.[29][30] 이 공식은 라디안 각도 \(\pi\)에서 삼각함수 사인(\(sine\))과의 관계를 나타낸다.[31]
:
1571년부터 자신의 비용으로 출판을 시작했으며,[32] 주요 저서로는 ''Opera Mathematica'', ''Effectionum Geometricarum Canonica Recensio'' 등이 있다.
3. 1. 기호 대수학의 확립
무엇보다도 비에트는 문제에서 미지수를 문자로 대체하는 표기법을 소개한 최초의 수학자였다.[26] 그 결과, 그의 대수학은 더 이상 이전의 규칙적인 진술에 국한된 정연한 해결 방법의 모습을 잃었지만, 이것이 효율적인 대수학의 시작으로 이어졌고 근대 수학은 이것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계산에서 문자와 결과에 작용하는 연산은 최종 계산에서 미지수를 원하는 결과값으로 간단히 바꿔 놓음으로써, 현대 대수적 방법의 핵심인 접근 방식의 기본 단계를 보여주었다.[27] 이를 통해 비에트는 중세 대수학을 끝내고 근대 대수학의 장을 열었다.- 또한 라디안의 각도 에서 삼각함수 사인()과의 관계인 다각형에 대한 규칙적인 수렴성이기도 하다.[31]
:
비에트는 (미지수뿐만 아니라) 문제에 대한 표기법을 도입한 최초의 수학자였다.[8] 결과적으로 그의 대수학은 더 이상 규칙의 진술에 국한되지 않고, 연산이 문자에 작용하고 계산이 끝날 때 단순한 대체를 통해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율적인 계산 대수학에 의존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현대 대수적 방법의 핵심이며, 수학 발전에 있어 근본적인 단계였다.[12] 이를 통해 비에트는 알콰리즈미에서 스테빈까지의 중세 대수학을 끝내고 현대 시대를 열었다.
3. 2. 근과 계수의 관계
비에트는 근과 계수의 관계에 대한 공식을 정리했다. 이것은 비에트 정리(Viète's formulas프랑스어)라고도 불린다.[28] 그는 방정식의 양의 근 (당시에는 근으로만 여겨졌음)과 미지수의 서로 다른 거듭제곱의 계수 간의 관계를 알고 있었다.[26]3. 3. 원주율 공식
프랑수아 비에트는 루트의 다중근호표기에 의한 무한급수로 원주율의 성질을 이해하였다. 이것은 원에 내접하는 정사각형과 삼각형에 기반한 무한한 다각형의 확장이 원에 수렴하는 표현식이다.[29][30] 또한 라디안의 각도 에서 삼각함수 사인()과의 관계인 다각형에 대한 규칙적인 수렴성이기도 하다.[31]:
비에트는 저서에서 원주율 에 대한 다음과 같은 표현들을 사용했다.[33]
:
:
1593년, 그는 수학 역사상 최초의 무한 곱을 발견하고 의 표현식을 제시했는데, 이는 현재 비에트 공식으로 알려져 있다:[14]
:
그는 아르키메데스의 방법을 6 × 216 = 393,216개의 변을 가진 다각형에 적용하여 의 소수점 10자리까지 계산했다.
원주율을 구하는 무한곱 공식을 발견했다.
:
3. 4. 삼각법 연구
비에트는 1571년부터 삼각법 연구를 시작하여, 자신의 비용으로 출판을 진행했다.[32] 1579년에는 ''Universalium inspectionum''(메타이에 출판)의 인쇄를 마쳤으며,[2] ''Canon mathematicus, seu ad triangula''와 ''Canonion triangulorum laterum rationalium''와 같은 삼각 함수 표를 출판했다.[2]비에트는 원주율(\(\pi\))을 무한급수로 표현하는 공식을 발견했다. 이는 원에 내접하는 정사각형과 삼각형을 기반으로, 무한히 많은 다각형을 확장하여 원에 수렴시키는 방식이다.[29][30]
:
이 공식은 라디안의 각도 \(\pi\)에서 삼각함수 사인(\(sine\))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다각형의 규칙적인 수렴성을 보여준다.[31]
또한, 근과 계수의 관계에 대한 공식을 정리하여, 이는 '비에트 정리'(Viète's formulas프랑스어)라고도 불린다.[28]
4. 저서
비에트는 1571년부터 자신의 비용으로 인쇄상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출판을 시작했다.[32] 그의 저서로는 ''Franciscus Viète프랑스어'' (Opera Mathematica, Leiden, 1646; reprinted London, 1970), ''Franciscus Viète프랑스어'' (Effectionum Geometricarum Canonica Recensio, Mettayer, 1593) 등이 있다.
그의 출판물은 다음과 같이 연대기 순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연도 | 저서 | 내용 및 특징 |
---|---|---|
1564년 ~ 1568년 | 천상의 조화(Harmonicon coeleste) | 카트린 드 파르트네를 위한 천문학 및 삼각법 교재, 미출판 논문 |
1579년 | [http://doi.org/10.3931/e-rara-18548 Canon mathematicus, seu ad triangula] Canonion triangulorum laterum rationalium Universalium inspectionum ad canonem mathematicum | 삼각법 표, 유리변 삼각형 표, 삼각법 책. 사인과 코사인의 많은 공식을 담고 있으며, 소수 사용이 특징. 레기오몬타누스와 레티쿠스의 표보다 뛰어남. ([https://archive.org/details/franciscivietai00viey/ 1589년 재인쇄본]) |
1589년 | '스페인 국왕에게 사령관 모레오가 보낸 편지의 해독(Deschiffrement dune lettre escripte par le Commandeur Moreo au Roy dspaigne son maître) | |
1590년 | 스페인 국왕에게 사령관 모레오가 보낸 편지의 해독의 설명(Deschiffrement description of a letter by the Commander Moreo at Roy Espaigne of his master) | 투르: 메테이에 |
1591년 | 분석술 입문(In artem analyticem isagoge) (새로운 대수학(New Algebra)) 제테티코룸 5권(Zeteticorum libri quinque) | 투르: 메테이에. 분석술 입문 초판. 디오판토스 문제 모음인 제테틱스 5권. |
1591년 ~ 1593년 | 기하학적 작도의 정식 검토(Effectionum geometricarum canonica recensio) | 투르: 메테이에 |
1593년 | 비에트의 기하학 보충(Vietae Supplementum geometriae) 프란치스코 비에트의 다양한 수학 문제에 대한 답변 제8권(Francisci Vietae Variorum de rebus responsorum mathematics liber VIII) 다양한 수학 문제에 대한 답변 제8권(Variorum de rebus mathematicis responsorum liber VIII) | 투르: 프란치스키, 스칼리거 문제, 각의 삼등분 문제(3차 방정식), 원의 제곱, 정칠각형 작도 등. |
1594년 | 새로운 사이클로미터에 대한 방어(Munimen adversus nova cyclometrica) | 파리: 메테이에, 스칼리거에 대한 답변. |
1595년 | 전 세계의 모든 수학자들이 풀도록 제안한 문제에 대한 아드리안 로마누스의 답변, 프란치스코 비에트(Ad problema quod omnibus mathematicis totius orbis construendum proposuit Adrianus Romanus, Francisci Vietae responsum) | 파리: 메테이에, 아드리안 판 로먼 문제. |
1600년 | 수치적 거듭제곱의 해법(De numerosa potestatum ad exegesim resolutione) 프란치스코 비에트의 아폴로니우스 갈루스(Francisci Vietae Apollonius Gallus) | 파리: 르 클레르, 최대 6차 방정식의 근 추출 및 해법, 자신을 프랑스의 아폴로니우스라고 칭함. |
1600년 ~ 1602년 | 왕실의 탄원서 담당관이자 진정한 그레고리력에 대한 종교 지도자들에게 제시된 마스터의 관계, 교황 막시무스 클레멘스 8세(Fontenaeensis libellorum supplicum in Regia magistri relatio Kalendarii vere Gregoriani ad ecclesiasticos doctores exhibita Pontifici Maximi Clementi VIII) 프란치스코 비에트의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에 대한 반박(Francisci Vietae adversus Christophorum Clavium expostulatio) | 파리: 메테이에, 클라비우스에 대한 논문. |
사후 출판물:
연도 | 저서 | 편집자 및 내용 |
---|---|---|
1612년 | 아폴로니우스 갈루스의 보충(Supplementum Apollonii Galli) 아폴로니우스 레디비비의 보충 또는 아폴로니우스 페르가이의 교리에 대한 문제 분석(Supplementum Apollonii Redivivi sive analysis problematis bactenus desiderati ad Apollonii Pergaei doctrinam a Marino Ghetaldo Patritio Regusino hujusque non ita pridem institutam) | 마린 게탈디, 알렉산더 앤더슨 |
1615년 | 각의 분할에 대한 분석적 정리에 대한 F. 비에타, 처음 고안되었으나, 시연 없이 우리에게 전해졌으며, 이제 시연으로 확인됨(Ad Angularum Sectionem Analytica Theoremata F. Vieta primum excogitata at absque ulla demonstratione ad nos transmissa, iam tandem demonstrationibus confirmata) 아폴로니우스 문제의 제테틱에 대한, 아폴로니우스 레디비비 보충에서 이미 출판된, 아폴로니우스 문제의 제테틱에 대한, 여기서 게탈두스가 잠깐 언급한 내용에 응답(Pro Zetetico Apolloniani problematis a se jam pridem edito in supplemento Apollonii Redivivi Zetetico Apolloniani problematis a se jam pridem edito; in qua ad ea quae obiter inibi perstrinxit Ghetaldus respondetur) 프란치스코 비에타의 퐁트네의, 방정식 - 인식 및 수정에 대한 두 개의 논문, 알렉산더 앤더슨(Francisci Vietae Fontenaeensis, De aequationum — recognitione et emendatione tractatus duo per Alexandrum Andersonum) | 알렉산더 앤더슨 |
1617년 | 최근 클레멘트 시리아코가 출판한 프란치스코 비에타에 대한 주의의 간략한 진술(Animadversionis in Franciscum Vietam, a Clemente Cyriaco nuper editae brevis diakrisis) | 알렉산더 앤더슨 |
1619년 | 수학적 연습 제1십(Exercitationum Mathematicarum Decas Prima) | 알렉산더 앤더슨 |
1631년 | 분석술 입문. 동일한 로지스틱의 주요 기록, 이제 처음으로 출판됨(In artem analyticem isagoge. Eiusdem ad logisticem speciosam notae priores, nunc primum in lucem editae) | 파리: 보드리, Ad logisticem speciosam notae priores를 포함한 분석술 입문 2판. |
5. 평가
비에트는 가톨릭 연맹이 우세할 때, 그의 비서로 나다니엘 타포리를 두었는데, 그는 16세기 영국의 수수께끼 같은 수학자 중 한 명이었다.[17] 타포리는 런던으로 돌아와 토머스 해리엇의 친구가 되었다.
카트린 드 파르트네를 제외하고, 비에트의 제자로는 프랑스 수학자 자크 알롬, 마리노 게탈디, 장 드 보그랑, 스코틀랜드 수학자 알렉산더 앤더슨이 있었다.[17] 그들은 그의 저서를 출판하고 그의 방법을 이어갔다. 비에트가 사망했을 때, 그의 상속인들은 그의 원고를 피터 알롬에게 넘겼다.
비에트 사후 출판된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1648년, 프란스 반 스호텐이 자크 골리우스와 메르센의 도움을 받아 비에트의 수학 작품집을 출판했다.[17]
토머스 해리엇, 아이작 뉴턴, 빌레브로르트 스넬리우스, 피에르 드 페르마, 블레즈 파스칼 등은 비에트의 기호를 사용했다.
1770년경, 타르지오니 토제티는 비에트의 ''천체의 조화''를 발견했다. 비에트는 그 안에 ''Describat Planeta Ellipsim ad motum anomaliae ad Terram''라고 적었는데, 이는 코페르니쿠스의 체계를 채택하고 케플러보다 먼저 행성 궤도의 타원형을 이해했음을 보여준다.[19]
1841년, 미셸 찰스는 현대 대수학 발전에 있어서 비에트의 역할을 재평가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이었다.
1847년, 프랑수아 아라고는 프랑수아 비에트의 전기를 쓰겠다는 의사를 발표했다.
1880년에서 1890년 사이, 프레데릭 리터는 프랑수아 비에트의 작품을 번역하고 벤자민 필론과 함께 그의 첫 번째 동시대 전기 작가였다.
르네 데카르트는 비에트의 연구를 바탕으로 대수학의 지형을 바꾸고 이를 기하학에 적용했다. 데카르트는 만유 수학(mathesis universalis)이라는 용어를 채택했는데, 이는 아드리안 반 로먼의 저서 ''만유 수학''에서 유래했다.[22] 데카르트는 비에트의 표기법이 혼란스럽고 불필요한 기하학적 정당성을 사용한다고 말했다. 그는 메르센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는 비에트가 끝낸 곳에서 시작했다"고 말하며 자신의 선배들의 독창성과 깊이를 의식적으로 최소화했다.
현재 연구는 비에트의 작품이 데카르트에게 직접적으로 미친 영향의 정도를 명확하게 보여주지 못했다. 이러한 영향은 아드리안 반 로먼 또는 자크 알레움의 작품이나 장 드 보그랑의 저서를 통해 형성되었을 수 있다.[24]
많은 동시대 연구들은 파르트네의 수학자의 작품을 복원하여 그가 문자를 사용한 계산의 첫 번째 요소를 도입하고 대수학의 첫 번째 공리를 세운 공로를 인정하였다.[25]
비에트가 처음으로 미지수를 문자로 표기한 것은 아니었지만(요르다누스 네모라리우스가 과거에 그렇게 했었다), 그의 혁신은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초 대수적 변환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What's new in Kepler's new astronom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
서적
The works of Jacques-Auguste de Thou
https://books.google[...]
[3]
서적
The Beginnings and Evolution of Algebra
https://books.googl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4]
서적
Operum mathematicorum tomus quintus continens Romani Christophorus Clavius
Anton Hierat, Johann Volmar
[5]
서적
Analysis and synthesis in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6]
웹사이트
De thou (from University of Saint Andrews)
http://www.gap-syste[...]
[7]
서적
A short account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8]
서적
Redefining geometrical exactness: Descartes' transformation
https://books.google[...]
[9]
서적
Greek mathematical thought and the origin of algebra
https://books.google[...]
[10]
서적
On the Shoulders of Merchants: Exchange and the Mathematical Conception of Nature in Early Modern Europ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1]
논문
A large discourse concerning algebra: John Wallis's 1685 Treatise of algebra.
The Open University Press
[12]
서적
Symbols, Impossible Numbers, and Geometric Entanglements: British Algebra...
https://books.google[...]
[13]
서적
Evidence, proof, and facts: a book of sources
https://books.google[...]
[14]
서적
Variorum de rebus Mathèmaticis Reíponíorum Liber VIII
https://books.google[...]
[15]
논문
Descartes, Elisabeth and Apollonius’ Problem
Zeno Institute of Philosophy
[16]
웹사이트
François Viète et la Réforme
http://www.cc-parthe[...]
[17]
웹사이트
L'histoire universelle (fr) / Universal History (en)
https://archive.org/[...]
[18]
서적
The Analytic Art
The Kent State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The Planetary Theory of François Viète, Part 1
http://adsabs.harvar[...]
[20]
웹사이트
Letter from Descartes to Mersenne
http://pagesperso-or[...]
1639-02-20
[21]
논문
The 'Everyday' in Mathematics: On the usability of mathematical practices for doing history
https://hal.science/[...]
[22]
논문
Between Viète and Descartes: Adriaan van Roomen and the ''Mathesis Universalis''
[23]
서적
Vie et Oeuvre de Descartes
https://archive.org/[...]
L Cerf
[24]
서적
Descartes' mathematical thought
https://books.google[...]
[25]
서적
Analysis by its history
https://archive.org/[...]
Springer
[26]
서적
Redefining geometrical exactness: Descartes' transformation
https://books.google[...]
[27]
서적
Symbols, Impossible Numbers, and Geometric Entanglements: British Algebra
https://books.google[...]
[28]
문서
비에트 정리
[29]
서적
The number π
http://books.google.[...]
[30]
서적
Opera Mathematica
[31]
서적
The number π
http://books.google.[...]
[32]
서적
Evidence, proof, and facts: a book of sources
https://books.google[...]
[33]
서적
Opera mathematica, opera atque studio Fra.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