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분은 벡터 공간의 부분 집합으로, 두 점을 연결하는 곧은 선을 의미한다. 선분은 두 점의 볼록 껍질로 정의될 수 있으며, 닫힌 선분과 열린 선분으로 구분된다. 선분은 기하학에서 다양한 도형의 변이나 대각선으로 나타나며, 삼각형, 사각형, 원, 타원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또한, 선분은 유향 선분으로 방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일반화된 개념으로 호, 바이터, 측지선 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등 기하학 - 대원
    구면기하학에서 대원은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과 구의 교선으로, 유클리드 공간의 직선에 대응하며, 서로 대극점이 아닌 두 점을 잇는 최단 거리인 대원 거리를 정의하고, 자오선이나 적도처럼 항해,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초등 기하학 - 현 (기하학)
    현은 원 둘레를 두 호로 나누는 선분으로, 원에 내접하는 정다각형의 변이 될 수 있으며, 원의 중심을 지나는 가장 긴 현은 지름이라고 한다.
  • 선형대수학 - 벡터 공간
    벡터 공간은 체 위의 가군으로 정의되는 대수적 구조로, 벡터 덧셈과 스칼라 곱셈 연산을 가지며 특정 공리들을 만족하고, 기저, 차원, 선형 사상 등의 개념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선형대수학 - 선형 결합
    선형 결합은 벡터 공간에서 벡터들의 스칼라 곱의 합으로 표현되는 식으로, 벡터 집합의 선형 독립성 판단 및 부분 공간 생성과 관련되며, 계수 제약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결합을 정의할 수 있고, 위상 벡터 공간이나 가군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선분
정의
설명두 개의 구별되는 끝점으로 경계가 지정된 선의 일부; 양 끝점이 있는 선
영어Line segment (라인 세그먼트)
표기법
표기"A", "B" 두 점 사이의 선분은 로 표기한다.

2. 정의

''V''를 실수 또는 복소수(R 또는 C) 위의 벡터 공간이라 하고, ''L''을 ''V''의 부분 집합이라 하자. ''L''이 적절한 벡터 '''u''', '''v''' ∈ ''V'' ('''v'''는 0이 아닌 벡터)를 선택하여

: L = \{ \mathbf{u}+t\mathbf{v} \mid t\in[0,1]\}

와 같이 매개변수화될 수 있을 때, ''L''은 선분(닫힌 선분)이라고 한다. 이와 동등하게 "선분은 두 점의 볼록 껍질이다"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즉, 선분은 선분의 두 끝점의 볼록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벡터 '''u''', '''u''' + '''v'''는 ''L''의 끝점(end point영어)이라고 불린다.

선분을 "열린 선분" 또는 "닫힌 선분"으로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 이때, '''닫힌 선분'''의 정의는 위에 언급한 것과 같으며, '''열린 선분''' ''L''은 '''u''', '''v''' ∈ ''V''를 선택하여

: L = \{ \mathbf{u}+t\mathbf{v} \mid t\in(0,1)\}

와 같이 매개변수화할 수 있다.

기하학에서, 점 는 두 다른 점 와 사이에 있다고 정의할 수 있는데, 이때 거리 와 거리 를 더한 값이 거리 와 같을 경우이다. 따라서 에서, 끝점이 A=(a_x,a_y)C=(c_x,c_y)인 선분은 다음과 같은 점들의 집합이다.

:\Biggl\{ (x,y) \mid \sqrt{(x-c_x)^2 + (y-c_y)^2} + \sqrt{(x-a_x)^2 + (y-a_y)^2} = \sqrt{(c_x-a_x)^2 + (c_y-a_y)^2} \Biggr\} .

일반적으로 양 끝점을 포함하는 것으로 선분을 정의하지만, 양 끝점을 포함하지 않는 것도 선분으로 인정한다. 양 끝점을 포함하는 선분은 닫힌 선분, 포함하지 않는 선분은 열린 선분이라고도 한다.

2. 1. 반개 선분

한쪽 끝점만 포함하는 선분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반개 선분'이라고 한다. 닫힌 쪽 끝점을 '''u''' ∈ ''V'', 열린 쪽을 '''u''' + '''v''' ∈ ''V''로 하여, 반개 선분 ''L''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L = \{ \mathbf{u}+t\mathbf{v} \mid t\in[0,1)\}

2. 2. 유향 선분

선분에 방향(방향)이 주어지면, 이를 유향 선분 또는 방향 선분이라고 부른다. 이는 이동 또는 변위(아마도 에 의해 발생)를 암시한다. 크기와 방향은 잠재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유향 선분을 반무한으로 연장하면 ''유향 반직선''이 되고, 양쪽 방향으로 무한히 연장하면 ''유향 직선''이 된다. 이러한 제안은 수리물리학에서 유클리드 벡터의 개념을 통해 흡수되었다.[2][3] 모든 유향 선분의 모음은 일반적으로 같은 길이와 방향을 갖는 쌍을 동치로 만듦으로써 축소된다.[4] 이러한 동치 관계의 적용은 1835년 주스토 벨라비티스에 의해 도입되었다.

3. 성질


  • 선분은 연결된, 공집합이 아닌 집합이다.
  • 위상 벡터 공간에서 닫힌 선분은 닫힌 집합이고, 열린 선분은 공간이 1차원 공간일 때와, 그 때에만 열린 부분 집합이다.
  • 선분의 개념은 순서 기하학에서도 정의될 수 있다.
  • 두 선분의 쌍은 교차, 평행, 엇갈린 관계를 가질 수 있다.

4. 다른 기하 도형과의 관계

선분은 다각형다면체대각선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양 끝점을 포함하는 폐선분과 포함하지 않는 개선분으로 나뉜다.

삼각형이나 사각형의 변, 원과 같은 곡선 등이 선분의 예시이다.[1] 다각형에서 양 끝점이 꼭짓점인 선분은 인접한 두 꼭짓점을 이으면 변, 그렇지 않으면 대각선이 된다.

4. 1. 삼각형

삼각형에서 자주 고려되는 선분으로는 세 개의 높이(각각 수직으로 변 또는 그 연장선을 반대쪽 꼭짓점에 연결), 세 개의 중선(각각 변의 중점을 반대쪽 꼭짓점에 연결), 변의 수직 이등분선(변의 중점을 다른 변 중 하나에 수직으로 연결), 내각의 이등분선(각각 꼭짓점을 반대쪽 변에 연결)이 있다. 이러한 선분 길이와 다른 것들은 다양한 등식(다양한 유형의 선분에 대한 문서에서 논의됨)과 다양한 부등식과 관련되어 있다.

삼각형에서 중요한 다른 선분으로는 내심, 외심, 구점원 중심, 무게중심, 수심 등 다양한 삼각형의 중심들을 서로 연결하는 선분들이 있다.

4. 2. 사각형

사각형의 변과 대각선 외에도, 몇 가지 중요한 선분으로는 두 개의 이등변선(마주보는 변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과 네 개의 말티튜드(각 변과 마주보는 변의 중점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선)가 있다.

4. 3. 원과 타원

또는 타원에서 두 점을 잇는 선분은 이라고 한다.[1] 원에서 가장 긴 현은 지름이며, 원의 중심에서 원 위의 점을 잇는 선분은 반지름이다.[1] 타원에서 가장 긴 현이자 가장 긴 지름은 '장축'이며, 장축의 중점에서 장축의 양 끝점까지의 선분을 '장반지름'이라고 한다.[1] 타원의 가장 짧은 지름은 '단축'이며, 단축의 중점에서 양 끝점까지의 선분을 '단반지름'이라고 한다.[1]

5. 퇴화된 타원

선분은 퇴화된 경우의 타원으로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단축은 0으로 가고, 초점은 끝점으로 가며, 이심률은 1로 간다.[1] 타원의 표준 정의는 두 초점까지의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인데, 이 상수가 초점 사이의 거리와 같으면 선분이 결과로 나타난다.[1] 이 타원의 완전한 궤도는 선분을 두 번 통과하며, 퇴화 궤도로서 방사형 타원 궤도이다.[1]

6. 일반화

직선 선분 외에, 곡선의 일부를 로 정의할 수 있다. 1차원 공간에서 ''공''은 선분이다. 방향 평면 선분 또는 ''바이터''는 유향 선분을 일반화한다. 측지선 선분은 유클리드 기하학을 넘어선 공간에서 선분의 역할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Line Segment Definition - Math Open Reference https://www.mathopen[...] 2020-09-01
[2] 서적 Introduction to Vector Analysis Wm. C. Brown Publishers 1988
[3] 서적 Applied Vector Analysis CRC Press 2001
[4] 서적 Vector and Tensor Analysis Marcel Dekker 19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