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운 (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운(廣韻)》은 북송 진종 때 과거 시험의 표준을 위해 편찬된 운서(韻書)이다. 명나라 시대에는 잊혔으나 고염무에 의해 재발견되었고, 이후 택존당본을 기반으로 주조모의 교정을 거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책은 총 26,194자를 수록하고 있으며, 206운으로 구성된 운목 체계를 갖추고 있다. 《광운》은 한자의 음을 표기하기 위해 반절 방식을 사용하며, 중세 중국어의 자음 체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서 한자음, 중세 국어, 한문학 연구에 활용된다.

2. 역사

廣韻중국어은 북송 진종 때 기존 운서의 오류로 인해 과거 시험의 표준으로 적합하지 않아 칙명에 의해 편찬되었다. 명나라 시대에는 잊혔으나, 고염무에 의해 재발견되어 그 중요성이 다시 주목받았다. 그러나 고염무가 발견한 명 내부본은 축약본이었고, 그의 사후에야 본래의 廣韻중국어이 발견되었다.[9]

2. 1. 편찬 배경

북송 진종 때, 기존의 운서에 오류가 많아 과거 시험의 표준으로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칙명에 의해 《광운》이 편찬되었다.

2. 2. 간행 및 재발견

『광운(廣韻)』은 명나라 시대에는 잊혔지만, 고염무가 재발견하여 그 중요성이 주목받게 되었다. 그러나 고염무가 발견한 명 내부본은 절약본이었으며, 고염무의 사후에야 본래의 『광운』이 발견되었다.[9] 남송 간본에는 감본인 고종본·영종본과 사가판인 남송 건상본 및 "거송광운(鉅宋廣韻)"이라는 제목의 책이 있다. 송본을 바탕으로 한 청대 간본에는 택존당본·조련정본(부분적으로 절약본으로 보충함)·고일총서본이 있다. 현재에는 택존당본을 영인하고 그 위에 주조모에 의한 교정을 더하여 부수 색인을 붙인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3. 구조 및 내용

『광운』은 5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성, 상성, 거성, 입성의 총 206운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성을 상하로 나눈 것은 편찬상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인접한 2~3개의 운에 대해 '동용', 즉 압운해도 괜찮다는 규정이 있다.

반절에 사용된 한자는 를 피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절운』의 것을 따르고 있어, 『광운』을 『절운』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절운』의 반절은 『광운』이 만들어졌을 당시의 음과 차이가 있어, 각 권 말미에 "신첨류격경음화절"로 개정된 반절을 싣고 있다.

훈석은 『절운』에 비해 길어졌지만, 고유 명사나 성씨 유래에 관한 설명에 치우쳐 『집운』 서문에서 비판받았다.[8] 권말에는 "쌍성중운법·육서·팔체·변자오음법·변십사성례법·변사성경청중탁법"을 싣고 있다.

3. 1. 수록 한자 및 주석

『광운』은 권두 기재에 따르면 26,194자를 수록하고 191,692자의 주석을 달았다. 그러나 한 글자가 여러 음을 가질 때 중복하여 세었기 때문에, 실제 글자 수는 약 16,000자 정도이다.[5] 5권으로 구성되었으며, 운목은 평성 57운(상평성 28운, 하평성 29운), 상성 55운, 거성 60운, 입성 34운으로 총 206운이다. 평성을 상하로 나눈 것은 편찬상의 편의일 뿐이며, 음운적으로는 다른 삼성과 다르지 않다.

인접한 2~3개의 운에 대해 '동용', 즉 압운해도 괜찮다는 규정도 있어, 동용을 하나로 합하면 평성 31·상성 30·거성 33·입성 19의 113운이 된다. 다만 이 동용 규정에는 『광운』 편찬 시기보다 후의 변경이 있었고, 원래는 평성 32·상성 32·거성 34·입성 19의 117운이었다고 한다.[6] 이는 평수운의 106운과 큰 차이가 없다.

원래 『절운』보다 13운이 많은데, 그 내역은 다음과 같다.

  • 진운에 개구와 합구가 모두 속했던 것을 2개로 나누어 "순·준·순·술"이 증가[7]
  • 한운에 개구와 합구가 모두 속했던 것을 2개로 나누어 "환·완·환·갈"이 증가
  • 가운에 개구와 합구가 모두 속했던 것을 2개로 나누어 "과·과·과"가 증가
  • 엄운에 대응하는 상성과 거성의 운이 없었던 것을 추가하여 "엄·엄"이 증가


마지막 추가는 8세기 초 왕인후에 의한 것이며, 나머지는 하나의 운을 개합으로 나눈 것뿐이므로 음절 종류 자체가 증가한 것은 아니다. 게다가 동용이므로 나눈 것끼리 압운해도 괜찮아 본질적인 변화는 아니다.

반절에 사용된 한자는 를 피하는 등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절운』의 것을 따르고 있어, 『광운』을 『절운』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절운』의 반절은 『광운』이 만들어졌을 당시의 음과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각 권 말미에 "신첨류격경음화절"로 개정된 반절을 싣고 있다. 대부분은 『절운』 시대에 구별이 없었던 중순음과 경순음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지운 "비"를 "부이절"로 표기했지만, 권말에서는 "필이절"로 고치고 있다.

훈석은 『절운』에 비해 상당히 길어졌지만, 고유 명사나 성씨 유래에 관한 설명에 치우친 경향이 있어 『집운』 서문에서 비판받고 있다.[8]

권말에는 "쌍성중운법·육서·팔체·변자오음법·변십사성례법·변사성경청중탁법"을 싣고 있다.

3. 2. 운목(韻目) 체계

체계는 5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성 57운(상평성 28운, 하평성 29운), 상성 55운, 거성 60운, 입성 34운의 총 206운으로 이루어져 있다.[5] 평성만 상하로 나누는 것은 편찬상의 편의일 뿐, 음운적으로는 다른 삼성과 다르지 않다.

인접하는 2개 내지 3개의 운에 대해 '''동용'''(同用), 즉 압운해도 괜찮다는 규정이 있어, 동용을 하나로 합하면 평성 31·상성 30·거성 33·입성 19의 113운이 된다.[6] 다만 이 동용 규정에는 『광운』 편찬 시기보다 후의 변경이 들어가 있으며, 원래는 평성 32·상성 32·거성 34·입성 19의 117운이었다고 한다. 이는 평수운의 106운과 크게 다르지 않다.

원래의 『절운』보다 13운이 많은데, 그 내역은 다음과 같다.

  • 진운에 개구와 합구의 양쪽이 속해 있던 것을 2개로 나누었기 때문에, "순·준·순·술"이 증가[7]
  • 한운에 개구와 합구의 양쪽이 속해 있던 것을 2개로 나누었기 때문에, "환·완·환·갈"이 증가
  • 가운에 개구와 합구의 양쪽이 속해 있던 것을 2개로 나누었기 때문에, "과·과·과"가 증가
  • 엄운에 대응하는 상성과 거성의 운이 없었던 것을 추가했기 때문에 "엄·엄"이 증가


이는 하나의 운을 개합으로 나눈 것뿐이므로 음절의 종류 자체가 증가한 것은 아니며, 동용이므로 나눈 것끼리 압운해도 괜찮기 때문에 본질적인 변화는 아니다.

3. 3. 반절(反切) 표기

반절에 사용되고 있는 한자는 를 피하는 등의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절운』의 것을 답습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광운』을 『절운』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절운』의 반절은 『광운』이 만들어졌을 당시의 음과 괴리되어 있었기 때문에, 각 권의 말미에 "신첨류격경음화절(新添類隔更音和切)"로 개정된 반절을 싣고 있다.[5] 그 대부분은 『절운』의 시대에는 구별이 없었던 중순음과 경순음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지운 "비"를 "부이절"로 하고 있지만, 권말에서는 "필이절"로 고치고 있다.

4. 광운의 한계와 문제점

광운》의 반절은 기본적으로 《절운》을 따르지만, 간혹 오류가 발견된다. 예를 들어 지운(脂韻) '시(尸)'의 반절이 '식지절(式之切)'로 되어 있는데, '지(之)'는 지운(之韻)의 글자이므로 올바른 표기는 '식지절(式脂切)'이다. 이러한 오류는 《광운》 시대에 이미 글자에 따라 지운(脂韻)과 지운(之韻)이 어느 쪽과 동음이 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1] 각 운(韻)의 마지막 부분에 예외적인 반절이 집중되는데, 이는 원래의 《절운》에 새롭게 추가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절운고 참조).[1]

5. 현대적 의의 및 활용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면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6. 자모표(字母表)

字母表중국어는 중세 중국어의 자음 체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廣韻》중국어의 字母表중국어는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자음을 분류하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표로 제공된다.

6. 1. 중세 중국어 자음 체계

《광운》 자모 표[1]
조음 위치조음 방법
전통 명칭신 명칭전통
명칭
무성 무기음무성 유기음유성음비음

명칭
무기음유기음유성음비음l반모음
파열음파찰음마찰음파열음파찰음파열음파찰음마찰음
순음양순음양순p   b  m  
순치음순치 pf  pfʰ bv ɱ  
치음치경
파열음
치경t   d  n  
권설
파열음
권설ȶ  ȶʰ ȡ  ȵ  
설측음치경
파찰음
전설 tss  dzz   
권설/치경구개
파찰음
설첨 ʃ tʃʰ     
구개 ɕ tɕʰ ʒ   
연구개음구개k   g  ŋ  
후음후음ʔ        
구개  x    ɣ   
설첨        j

설측
치경        l 

권설음
구개        ȵ, ʑ  


참조

[1] 서적 A Handbook of Old Chinese Phonology Mouton de Gruyter
[2] 서적 Chine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Selected Chinese Reference Works Harva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Unicode Standard Annex #38: Unicode Han Database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5] 서적 『集韻』系韻書の研究 白帝社
[6] 서적 中国語学研究 創文社
[7] 문서 ただし合口の一部が真韻に残る
[8] 문서 『[[集韻]]』序「凡姓望之出、旧皆広陳名系。既乖字訓、復類譜牒」
[9] 문서 周祖謨『広韻校本』では、傅増湘旧蔵本と[[金沢文庫]]本を北宋監本とするが、現在はともに南宋のものと考えられている
[10] 문서 『切韻』では「殷」。[[宋 (王朝)|宋]]の宣祖([[趙匡胤|太祖]]の父)の諱「弘殷」に抵触するため変更
[11] 문서 『切韻』では「敬」。宋の翼祖(太祖の祖父)の諱に抵触するため変更
[12] 문서 「証」は諍韻に属する別字。
[13] 서적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Selected Chinese Reference Works Harva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