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도시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 도시철도는 광주광역시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현재 1호선과 2호선이 건설되었거나 건설될 예정이다. 1호선은 2004년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고, 2008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2호선은 순환선으로 계획되어 2026년과 2029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개통될 예정이다. 3호선은 나주와 화순 방향으로 계획되어 있으며, 2031년에서 2033년 사이 개통을 목표로 한다. 광주 도시철도는 전 구간 균일 요금제를 운영하며, 다양한 교통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도시철도 -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광주 도시철도 1호선에서 운행하는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4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2002년부터 2007년까지 도입되었으며, 안전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해 개조를 거쳤다. - 광주 도시철도 -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은 광주광역시를 순환하며 2026년 12월 1단계 개통을 목표로 건설 중인 총 44개 역, 41.9km 길이의 저심도 경전철 노선으로, 본선과 효천 방면 지선으로 구성되어 광주 주요 지역을 연결한다. - 광주광역시의 철도 - 호남선
호남선은 대전에서 목포를 잇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 쌀 수송을 위해 건설되어 복선화 및 전철화 사업을 거쳐 KTX 운행과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서대전~논산 구간 직선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광주광역시의 철도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광주 도시철도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광주 도시철도 |
로마자 표기 | Gwangju Dosi Cheoldo |
한자 표기 | 光州都市鐵道 |
종류 | 도시 철도 |
운행 지역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
운영 기관 | 광주교통공사 |
노선 수 | 1 |
역 수 | 20 |
개통일 | 2004년 4월 28일 |
영업 거리 | 20.1 km |
시설 연장 | 20.6 km |
궤간 | 1,435 mm |
선로 | 복선 |
전철화 | 가공전차선, 직류 1,500 V |
신호 방식 | ATC/ATO |
노선 정보 | |
노선 | 1호선 |
역 수 | 20개 |
기점 | 녹동 |
종점 | 평동 |
운영 | |
운영 주체 | 광주교통공사 |
기타 | |
![]() | |
![]() |
2. 구성
1997년 국제 통화 기금(IMF) 구제 금융 사태 등의 영향으로 1호선 외의 계획은 폐기되었다가, 2000년 이후 3개 노선 건설로 변경, 다시 3호선 계획 철회 후 2호선을 순환선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거쳤다. 2015년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광주송정역을 경유하는 1호선 이용객이 크게 늘었다.
2. 1. 최초 계획
광주 도시철도는 최초 5호선까지 계획되었으나 IMF 구제금융사건으로 1996년 착공된 1호선을 제외한 나머지 계획은 폐기되었다. 2000년 이후 재추진되어 현재 3호선까지 계획되어 있다가 3호선을 없애고 2호선을 확대순환화 하기로 했다.노선 | 구간 | 비고 |
---|---|---|
1호선(20.60km) | 동구 소태동 ~ 금남로 ~ 상무신도시 ~ 광주공항 ~ 광주송정역 ~ 평동산업단지 | 1996년 착공 후 2003년 개통 계획 |
2호선(13.70km) | 남구 효천역 - 송암공단 - 백운광장 - 금남로 4가 - 말바우시장 - 북구 문화동 | 2004년 착공 후 2009년 개통 계획 |
3호선(24.00km) | 장성군 월정리 - 광산구 첨단지구 - 양산지구 -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문화예술회관 - 유스퀘어 - 농성 - 백운광장 - 남광주역 - 광주역 | |
4호선(28.15km) | 광주역 - 전남대학교 - 북구 오치동 - 일곡지구 - 양산지구 - 보훈병원 - 광주시청 - 상무 - 서구 금호지구 - 광주월드컵경기장 - 금남로 5가 - 광주역 | |
5호선(16.60km) | 장성군 월정리 - 하남공단 - 광산구 우산동 - 유스퀘어 - 금남로 5가 |
당초 5개 노선을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1997년 국제 통화 기금(IMF) 구제 금융 사태 등의 영향으로 이미 착공했던 1호선 외의 계획은 모두 폐기되었다. 2000년 이후 재검토가 이루어져 3개 노선을 건설하는 계획으로 변경되었으나, 이후 3호선 구상은 철회되고, 대신 2호선을 순환선으로 만드는 계획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2015년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이용객이 증가한 광주송정역을 경유하게 되면서, 1호선의 이용객도 대폭 증가했다.
2. 2. 현재 계획
광주 도시철도는 최초 5호선까지 계획되었으나 IMF 구제금융사건으로 1996년 착공된 1호선을 제외한 나머지 계획은 폐기되었다. 2000년 이후 재추진되어 3호선까지 계획되었다가 3호선을 없애고 2호선을 확대 순환화하기로 했다.[1]- '''2호선'''(41.7km): 백운광장 - 조선대 - 광주역 뒤편 - 전남대학교 - 일곡지구 - 첨단지구 - 수완지구 - 운남지구 - 광주시청 - 상무 - 월드컵경기장 - 풍암지구 - 백운광장 (1단계: 2026년 12월 개통, 2단계: 2029년 12월 개통)[1]
- 3호선(나주방향 80.2km): 장성터미널 - 비아 - 첨단지구 - 신창지구 - 수완지구 - 광주유스퀘어 - 북구청 - 두암지구 - 월드컵경기장 - 지산동 - 혁신도시역 (2031~3년 개통목표)[1]
- 3호선(화순방향 66.7km): 장성터미널 - 비아 - 첨단지구 - 신창지구 - 수완지구 - 광주유스퀘어 - 학동증심사 - 녹동 - 화순역 - 고려병원 - 화순전대병원(2031~2년 개통 목표)[1]
당초 5개 노선을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1997년 국제 통화 기금(IMF) 구제 금융 사태 등의 영향으로 이미 착공했던 1호선 외의 계획은 폐기되었다. 2000년 이후 재검토가 이루어져 3개 노선을 건설하는 계획으로 변경되었으나, 이후 3호선 구상은 철회되고, 대신 2호선을 순환선으로 만드는 계획으로 다시 변경되었다.[1]
3. 노선
1호선은 녹동역에서 평동역까지 운행하며, 시내를 동서로 연결한다.
3. 1. 1호선
(영어)(한국어)
(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