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남고속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남고속선은 오송역에서 광주송정역을 잇는 고속철도 노선으로, 2004년 경부고속철도 개통 이후 호남 지역의 KTX 운행 시간 단축을 위해 건설되었다. 2009년 착공하여 2015년 오송~광주송정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현재 KTX와 SRT 열차가 운행된다. 광주송정~목포 구간은 기존 호남선을 고속화하여 2025년 말 개통을 목표로 건설 중이며, 무안국제공항을 경유할 예정이다. 노선 번호는 102번이며, 총 5개의 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고속철도 노선 - 경부고속선
    경부고속선은 1992년 착공하여 2004년 1단계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2010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KTX, SRT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는 대한민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철도 노선이다.
  • 호남고속선 - 오송역
    오송역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고속철도 환승역이자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충북선이 연결되는 교통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주요 정부기관이 인근에 위치해 있다.
  • 호남고속선 - 노안역
    노안역은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호남선 역으로, 개업과 폐역, 재개업을 거쳐 보통역까지 운영되었으나, 화물 및 여객 취급 중지 후 현재는 폐역된 상태이다.
  • 201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동해선
    동해선은 부산에서 강원도, 북한 원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6.25 전쟁으로 동해북부선이 폐선되고 분단되었으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중단된 후 현재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이 광역전철로 운행 중이며,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 201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평택선
    평택선은 경기도 평택시의 평택역과 포승역을 연결하는 17.3km의 철도 노선으로, 경부선, 서해선 등과 연결되어 수도권 전철 1호선 환승 및 경부선 접근성을 높이며 ITX-마음 열차 등이 운행되고 총 5개의 역이 있다.
호남고속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명호남고속선
호남고속선 노선
종류고속철도
상태운행 중
기점오송역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종점광주송정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역수5
노선 번호102
개통일2015년 4월 2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한국철도공사KTX 열차만 운행
SRSRT 열차만 운행
영업 거리183.8 km
궤간1,435 mm
선로2(쌍단선)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신호TVM430, ATC
영업 최고 속도305 km/h
설계 최고 속도430 km/h

2. 역사

2004년 4월 1일 경부고속철도 개통 이후, 호남 지방의 요청으로 호남선에도 KTX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대전조차장 이남은 기존 호남선을 이용했고, 특히 서대전~논산 구간은 선형이 좋지 않아 시간이 오래 걸렸다. 광주역까지 3시간, 목포역까지 3시간 40분이 소요되어, 동대구역까지 1시간 40분 걸리는 경부고속철도와 비교되며 지역 차별이라는 불만이 제기되었다. 이에 호남고속철도 노선 신설 주장이 나왔고, 호남고속선 건설이 결정되었다.[3]

경부고속선에서 호남고속선이 분기하는 역은 늦게 결정되었다. 천안아산역, 오송역, 대전역이 분기역 후보로 거론되었다. 천안은 서울~목포 간 최단 거리로 시간 단축을, 대전은 많은 여객 수요와 적은 공사비를, 충북(오송)은 '국토 X축 노선' 중심지를 주장했다.[3] 2005년 6월 분기역은 오송역으로 확정되었으나,[4] 이 결정은 이해당사자 다수가 빠진 상태였고 '정치적 결정'이라는 비판이 있었다.[5]

1단계 오송~광주송정 구간은 8조 1,323억 원을 투입하여 2009년 7월 24일 착공, 2015년 4월 2일 개통되었다.[6] 광주송정역까지 운행 시간은 1시간 33분으로 단축되었고, 이 구간은 경부고속철도 원효터널 천성산 환경파괴 논란을 피하고자 계룡산 국립공원을 우회하도록 건설되었다.

광주송정~목포 구간은 기존선 활용과 새 선로 건설 방안을 모두 포함하며, 고막원역임성리역에 분기점을 설치할 계획이다. 광주송정~나주~고막원 구간은 기존 호남선을 고속화하고, 고막원~임성리 구간은 무안국제공항을 경유하는 새 선로를 건설하며, 임성리~목포 구간은 기존선을 활용한다. 2018년 8월 6일 고막원~목포 구간은 무안공항 경유 노선으로 확정되었다. 2025년 말 2단계 구간이 개통되면 용산역~목포역까지 약 2시간 10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연혁'''

2. 1. 건설 배경

2004년 4월 1일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호남 지방의 요청으로 호남선에도 KTX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대전조차장 이남으로는 기존 호남선으로 주행하였고, 특히 서대전~논산 구간은 선형이 불량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광주역까지 3시간, 목포역까지 3시간 40분이 소요되었는데, 이는 동대구역까지 1시간 40분 만에 도착하는 경부고속철도와 비교되어 지역 차별이라는 불만이 제기되었다. 이에 호남고속철도 노선을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고, 호남고속선의 건설이 결정되었다.[3]

2. 2. 분기역 결정 논란

2004년 4월 1일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호남 지방의 요청으로 호남선에도 KTX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대전조차장 이남으로는 기존 호남선으로 주행하였고, 특히 서대전~논산 사이는 선형이 불량한 구간이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광주역까지 3시간, 목포역까지 3시간 40분 정도 소요되었는데, 이는 단 1시간 40분 만에 동대구역에 도착하는 경부고속철도와 비교되어 지역 차별이라는 불만까지 생겨났다. 이에 호남고속철도 노선을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하여 호남고속선의 건설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경부고속선에서 호남고속선이 어느 역에서 분기할지는 뒤늦게 확정되었다. 당시 분기역으로는 천안아산역, 오송역, 대전역이 구상되었다. 천안에서는 서울~목포 간 최단 거리 노선이 가능하여 소요 시간이 단축된다는 주장을, 대전에서는 여객 수요가 많고 공사비가 적게 든다는 주장을, 충북(오송)에서는 '국토 X축 노선'의 중심지를 만들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3] 2005년 6월 분기역은 오송역으로 확정되었으나[4], 이 결정은 이해당사자의 다수가 빠진 상태에서 내려진 데다가 '정치적 결정'에 불과하였다는 비판이 있다.[5]

2. 3. 1단계 구간 (오송-광주송정) 건설

2004년 4월 1일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호남 지방의 요청으로 호남선에도 KTX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대전조차장 이남으로는 기존 호남선으로 주행하는 데다가, 특히 서대전 ~ 논산 구간은 선형이 불량하여 광주역까지 3시간, 목포역까지 3시간 40분 정도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는 동대구역에 1시간 40분 만에 도착하는 경부고속철도와 비교되어 지역 차별이라는 불만까지 생겨났고, 이에 호남고속철도 노선을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하여 호남고속선의 건설이 결정되었다.

경부고속선에서 호남고속선이 어느 역에서 분기될지는 뒤늦게 확정되었다. 당시 분기역으로는 천안아산역, 오송역, 대전역이 구상되었다. 천안에서는 서울 ~ 목포 간 최단 거리 노선이 가능하여 소요 시간이 단축된다는 주장을, 대전에서는 여객 수요가 많고 공사비가 적게 든다는 주장을, 충북(오송)에서는 ‘국토 X축 노선’의 중심지를 만들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3] 2005년 6월 분기역은 오송역으로 확정되었으나,[4] 이 결정은 이해당사자의 다수가 빠진 상태에서 내려진데다가 ‘정치적 결정’에 불과하였다는 비판이 있다.[5]

1단계 오송 ~ 광주송정 구간은 총사업비 8조 1,323억 원을 투입하여, 2009년 7월 24일에 착공하고 2015년 4월 2일 개통하였다.[6] 개통 이후 광주송정역까지 운행 시간은 1시간 33분으로 단축되었으며, 이 구간은 경부고속철도 원효터널 천성산 환경파괴 논란과 같은 일을 피하기 위하여 계룡산 국립공원을 지나지 않고 우회하도록 건설되었다.

2. 4. 2단계 구간 (광주송정-목포) 건설

광주송정~목포 구간은 기존선을 활용하는 방안과 새 선로를 건설하는 방안을 모두 포함하며, 고막원역임성리역에 분기점을 설치할 계획이다. 광주송정~나주~고막원 구간은 기존 호남선을 고속화하여 개량하고, 고막원~임성리 구간은 무안국제공항을 경유하는 새 선로를 건설하며, 임성리~목포 구간은 기존선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 광주송정~고막원 구간은 별도의 새 선로를 건설하지 않고, 기존 호남선을 고속화하여 개량하는 방식으로 건설되고 있다. 2018년 8월 6일 고막원~목포 구간은 무안공항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확정되었다. 2025년 말 2단계 구간이 개통되면 용산역~목포역까지는 약 2시간 10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2. 5. 연혁

3. 운영

호남고속선에는 KTX와 SRT가 운행되고 있다. KTX는 2015년 4월 2일부터, SRT는 2016년 12월 9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1]

3. 1. 운행

호남고속선에는 KTX와 SRT가 운행되고 있다. KTX는 2015년 4월 2일부터, SRT는 2016년 12월 9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1]

KTX는 용산역(서울역이나 행신역을 시·종착역으로 하는 열차도 있다)에서 출발하여 광주송정역 또는 목포역까지 운행한다. 일부 KTX 열차는 서대전역을 경유한다.[1]

SRT는 수서역에서 출발하여 광주송정역 또는 목포역까지 운행한다.[1]

3. 2. 운행 차량

KTX, KTX-산천, SRT (120000호대·130000호대)

4. 노선 정보

노선명호남고속선
노선 번호102
노선 거리183.8km
궤간1,435 mm (표준궤)
통행 방식좌측 통행
역 수5개
보안 장치TVM430


5. 역 목록

거리누적
거리소재지↑ 경부고속선 천안아산역 방면오송Osong五松경부고속선, 충북선, 오송선0.00.0충청북도청주시(분기점)경부고속선3.03.0공주Gongju公州40.843.8충청남도공주시익산Iksan益山호남선, 전라선, 장항선46.089.8전북특별자치도익산시정읍Jeongeup井邑호남선42.1131.9전북특별자치도정읍시광주송정Gwangjusongjeong光州松汀호남선, 경전선, 북송정삼각선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광주송정역)50.5182.4광주광역시광산구↓ 호남선 목포역 방면


6. 주요 교량 및 터널

교량 및 터널 이름길이(m)
오송고가1,883
태성고가130
산수교1,460
금강교650
부용교160
황룡고가1,130
발산고가675
마암교240
봉명고가250
봉명교10
향지라멘교11
향지교120
신영제1교24
신영제2교24
신영제3교24
신영제4교24
공주고가216
신영천교35
호암교1,155
서편교105
장구교1,820
오강교385
신당교1,190
갈산교685
정지고가9,315
정지교10.038
신작교1,890
어량교110
어량교10
화배교490
화실교280
죽산교2,240
중리교1,105
원형제1교2,700
원형제2교140
원형제3교665
황등제1교350
황등제2교830
황등제3교2,125
목천교105
만경강교1,875
용암고가4,800
부용제1고가2,415
부용제2고가727
두월고가2,390
강정고가770
원평천교2,650
유정교840
연정교2,910
규촌교1,125
월성교360
한교천교1,285
남산교270
정읍고가615
읍지천교25
대흥고가3,425
용흥고가255
황룡제1교1,290
황룡제2교1,450
와룡천교40
마령제1고가160
마령제2고가320
황룡강교 
학천터널1,160
갈산터널3,027
부용1터널1,700
부용2터널1,480
장재터널3,345
영곡터널6,340
계룡터널7,240
원동터널795
봉명터널1,930
향지터널220
염천터널740
신영터널250
노티터널300
모가울터널73
중리터널55
김제개착터널225
회룡터널550
우산터널300
노령터널4,300
달성터널1,360
죽청터널1,390
성덕제1터널139
성덕제2터널100
모암터널2,625
송현1터널905
송현2터널120
송현3터널152
장산터널420
용흥터널305
와룡제1터널300
와룡제2터널2,465
마령터널1,315
신룡터널210
고룡터널165


7. 교통량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호남고속선에 운행하는 정기열차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회/일, 작성기준: 편도, 주중)[1]

운행구간선로용량KTXSRT전동차운행총계
오송 - 익산1754820-68
익산 - 광주송정1784020-60


8. 미래

광주송정-고막원 구간은 기존 호남선을 고속화하여 개량하는 방식으로 건설되고 있다. 2018년 8월 6일 고막원-목포 구간은 무안공항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확정되었다. 2025년 말 2단계 구간이 개통되면 용산역-목포역 간 소요 시간은 약 2시간 10분으로 예상된다.

참조

[1] 문서 KTX 열차만 운행
[2] 문서 SRT 열차만 운행
[3] 뉴스 [대전]충청권 다시 집안싸움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05-02-14
[4] 뉴스 호남고속철 분기역 오송역 결정 https://news.naver.c[...] YTN 2005-06-30
[5] 뉴스 [클릭 이슈] 호남고속철 분기역 ‘오송’ 결정 논란 확산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5-07-12
[6] 뉴스 고속철도 건설부채 '눈덩이'…철도시설공단 빚만 18조원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6-09-21
[7] 뉴스 호남고속철 착공..익산서 '첫 삽'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7-24
[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0호 2015-02-05
[9] 뉴스 호남 KTX 개통식…서울-광주 1시간33분 '반나절 생활권'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2015-04-01
[10] 뉴스 '무안공항 경유해 목포까지' 호남고속철 2025년 개통 https://www.jnilbo.c[...] 전남일보 2020-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