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환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환선은 부도심, 위성도시 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도심의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건설되는 도로 또는 철도 노선이다. 도심을 우회하는 도로, 여러 터미널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 교외 지역을 연결하는 노선 등이 순환선의 역할을 수행한다.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순환도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에서 교통량 분산에 기여한다. 순환선의 명칭은 국가별, 지역별로 다양하며, 궤도 고속도로, 벨트라인, 루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순환선은 도시의 지리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에 따라 건설되며, 유발 수요, 도시 스프롤, 지역 사회 분열 등의 부정적인 영향도 지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환도로 - 도쿄 외환 자동차도
    도쿄 외환 자동차도는 도쿄도를 기점으로 사이타마현과 지바현을 연결하는 총 연장 49km의 고속도로이며, 여러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교통 체증 완화 및 물류 효율 증대 등의 효과를 가져온다.
  • 순환도로 - 국도 제479호선 (일본)
    오사카부 도요나카시에서 오사카시 스미노에구를 잇는 총 연장 28.9km의 국도 제479호선은 스이타시, 모리구치시 등 오사카시 여러 구역을 경유하며 주요 국도와 교차하고, 1993년 일반 국도로 승격되어 오사카 내환상선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지만, 일부 구간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 철도 순환선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은 1977년에 착공하여 1984년 환상선이 완성되었으며, 신정지선과 성수지선을 포함하여 순환 운행하고 서울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으로 이용된다.
  • 철도 순환선 - 야마노테선
    야마노테선은 도쿄 도심의 주요 역들을 연결하는 34.5km 길이의 순환선으로, JR 동일본이 운영하며 높은 이용률과 혼잡률 해소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순환선
개요
정의도시 또는 지역을 둘러싸는 도로
목적도심 교통량 분산 및 우회 경로 제공
기능도시 내 접근성 향상 및 교통 혼잡 완화
유형
완전 환상 도로도시 전체를 완전히 둘러싸는 형태
부분 환상 도로도시 일부 지역만 둘러싸는 형태
방사 환상 도로방사형 도로와 연결되어 순환 기능 제공
설계 및 특징
차선 수교통량에 따라 다양
교차로 형태입체 교차 또는 평면 교차
속도 제한도시 외곽은 높고, 도심 접근 시 낮음
연결 도로도시 내 주요 도로와 연결
장점
교통량 분산도심 교통 혼잡 완화
이동 시간 단축우회 경로를 통해 목적지 접근 용이
도시 개발 촉진주변 지역 개발 및 성장 유도
환경 개선도심 대기 오염 감소
단점
건설 비용토지 보상 및 공사 비용 높음
환경 파괴자연 환경 훼손 가능성
소음 문제교통 소음 발생
지역 단절도로로 인해 지역 사회 단절 발생 가능성
예시
대한민국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일본수도고속도로 환상선, 오사카 순환선
기타 국가워싱턴 D.C. 캐피털 벨트웨이 (I-495)
참고
관련 용어방사형 도로, 고속도로, 도시 계획
기타
주의사항도시 계획 수립 시 환상 도로의 기능 및 영향 고려 필요

2. 순환선의 기능

하나의 부도심에서 또 다른 부도심으로, 하나의 위성도시에서 또 다른 위성도시로 쉽고 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시에 방사 방향 이외의 도로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방사 방향 간을 이동하는 자동차가 모두 도심을 통과하게 되어, 도심의 도로가 교통 체증을 겪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심을 목적지로 하지 않는 자동차가 도심을 우회하는 도로가 필요하게 된다[14]

방사 방향이 2개뿐인 경우, 즉 한 개의 도로가 도심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이 우회로는 우회 도로가 된다. 다수의 방사 방향이 있는 도시의 경우, 이것들을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도로로서 환상 도로가 정비된다.

대규모 도시에는 복수의 환상 도로가 정비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환상 도로 자체가 혼잡해진 경우, 도시의 교외로 향하는 자동차, 다른 도시를 목표로 하는 자동차 등, 더욱 세분화하여 교통을 분리하기 위해서이다.

철도의 환상선은 도심 교통 집중을 분산시켜 교통 체증 완화에 기여하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도시에 복수의 터미널역이 있는 경우, 그것들을 상호 연결한다. 야마노테선이나 오사카 순환선이 그 예시이다. 큰 도시의 경우, 터미널역을 한 곳에 집약하는 것은 용지나 비용 면에서 어렵기 때문에, 복수의 터미널역을 연결하는 노선이 필요하게 된다.
  • 터미널역보다 교외 측에서 방사선과 교차하여, 복수의 방사선을 터미널역을 경유하지 않고 연결한다. 무사시노선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도시의 교외에서 방사선의 연선에 없는 지역을 방사선과 연결한다. 요코하마선이나 토부 노다선 등이 해당한다.


완전한 환상 형태가 아니더라도, 복수의 방사선을 상호 연락하는 노선이라면 환상선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3. 도로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에는 도심 교통량 분산을 위한 순환도로가 설치되어 있다. 수도권의 순환도로는 교통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일부 구간은 여전히 교통량이 많아 혼잡하다. 특히,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북부 구간은 서울고속도로 민자 구간으로 운영되어 통행료가 비싸 이용률이 낮다는 비판이 있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도 수도권을 순환한다.

서울 도심에는 내부순환도시고속도로가 있고, 서울 남부에는 남부순환로가 있다. 지방 대도시의 경우, 대전광역시에는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와 대전통영고속도로를 연결하여 순환선을 이룬다. 대구광역시에는 대구 4차순환선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가, 광주광역시에는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와 제2순환도로가 있다. 부산광역시에는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부산광역시도 제77호선, 부산광역시도 제88호선이 순환선 역할을 한다. 세종특별자치시에는 한누리대로가 2생활권을 기종점으로 하여 1, 6, 5, 4, 3생활권을 거치며 순환한다. 인천광역시 중구 월미도 일대에는 월미로가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는 혁신로와 동부순환로가 순환도로 기능을 한다.

지방 대도시의 순환도로는 도심 교통량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보이고 있지만, 일부 구간은 여전히 정체가 발생하고 있어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3. 2. 대한민국 이외 국가

세계 각국은 순환도로를 통해 도시 교통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특히, 베이징, 런던, 파리 등 대도시는 여러 개의 순환도로를 구축하여 교통량을 분산시키고 있다.[13]

영국 리즈 내부 순환 도로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중심부와 교외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지 않기 위해 일련의 터널로 건설되었다.


사르다르 파텔 순환 도로, 아흐메다바드


대부분의 순환 고속도로는 도시 주변에 건설된 주요 고속도로로, 일반적으로 신호등이나 도로, 철도 건널목이 없다. 미국에서 순환 도로는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의 일부이다. 영국에서는 "순환 고속도로"라고 부르기도 한다. "순환 도로"와 "순환 고속도로"라는 용어는 때때로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순환 도로"는 도시 내의 하나 이상의 기존 도로로 구성된 원형 경로를 나타내며, 도로의 표준은 일반적인 도시 거리에서 고속도로 수준까지 다양하다. 런던의 노스 순환 도로/사우스 순환 도로는 대부분 일반 도시 거리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에서는 주간 고속도로 루프는 일반적으로 부모 주간 고속도로의 두 자리 숫자 앞에 짝수로 시작하는 세 자리 숫자로 지정된다. 반면에 주간 고속도로 지선은 일반적으로 홀수로 시작하는 세 자리 숫자를 갖는다. 순환 고속도로는 미국 내 많은 대도시 주변이나 근처에서 두드러진 특징을 나타낸다. 조지아 주 애틀랜타의 인터스테이트 285와 같은 많은 경우에 순환 고속도로는 우회로 역할을 하는 반면 다른 고속도로는 도시 중심부를 직접 통과한다.

관통 고속도로와 루프 우회로가 함께 순환 링 로드를 형성하는 경우 노선 번호 매기기가 어렵다. 관련 고속도로 중 어느 것도 순환 자체가 아니기 때문에 이중 표지 또는 두 개 이상의 노선 번호가 필요하다. 워싱턴 D.C.(Washington, D.C.) 주변의 수도 벨트웨이의 경우, 인터스테이트 95는 원래 벨트웨이가 I-495로 도시를 둘러싸는 도시 관통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미국에서 가장 긴 완전한 벨트웨이는 찰스 W. 앤더슨 루프로, 그레이터 샌 안토니오 지역을 완전히 순환하는 94 mi(151 km) 루프이다. 미국에서 가장 긴 완전한 벨트 로드 또는 2차선 벨트웨이는 하와이 벨트 로드로, 하와이 섬을 완전히 순환하는 260 mi(418 km) 벨트이다.

섀런빌(오하이오주 신시내티 교외)을 통과하는 I-275)


그러한 벨트웨이 초고속도로가 있는 미국의 다른 주요 도시:

  • 애틀랜타, 조지아(Atlanta, Georgia)—인터스테이트 285
  • 볼티모어(Baltimore)—인터스테이트 695
  • 보스턴(Boston)—노선 128/인터스테이트 95 및 인터스테이트 93/미국 1번 국도는 내부 벨트웨이를 형성하고, 인터스테이트 495는 외부 벨트웨이를 형성한다.
  • 시카고(Chicago)—인터스테이트 294
  • 신시내티(Cincinnati)—인터스테이트 275
  • 콜럼버스, 오하이오(Columbus, Ohio)—인터스테이트 270
  • 댈러스(Dallas)—시내 순환선, 인터스테이트 20/인터스테이트 635/루프 12, 및 조지 부시 대통령 턴파이크
  • 휴스턴(Houston)—인터스테이트 610, 벨트웨이 8, 및 그랜드 파크웨이.
  • 인디애나폴리스(Indianapolis)—인터스테이트 465
  • 뉴욕(New York City)—인터스테이트 287
  • 필라델피아(Philadelphia)—인터스테이트 476, 인터스테이트 276 및 인터스테이트 95 (필라델피아 주변)


|thumb|에드먼턴의 앤서니 헨데이 드라이브 순환 고속도로

앨버타주 에드먼턴에는 두 개의 순환 도로가 있다. 두 번째이자 더 두드러진 순환 도로는 앤서니 헨데이 드라이브로 명명되었으며, 2016년 10월 캐나다 최초의 자유로운 흐름의 궤도 도로로 완공되었다.

스토니 트레일은 앨버타주 캘거리를 순환하는 순환 도로이다.

매니토바주 위니펙에는 페리미터 하이웨이라고 불리는 순환 도로가 있다.

서스캐처원주 새스커툰에는 서클 드라이브라는 순환 도로가 있다.

서스캐처원주 레지나에는 링 로드로 명명된 부분 순환 도로가 있다.

|thumb|그란데 라코르도 아눌라레(Grande Raccordo Anulare), 이탈리아 로마의 순환 도로]]

유럽의 대부분의 주요 도시는 대도시권의 중심부 또는 도시 경계선을 따라 순환하는 순환 도로의 서비스를 받습니다. 파리를 둘러싼 일 드 프랑스(Île-de-France) 지역과 프랑크푸르트 지역과 같은 주요 교통 허브에서는 주요 국도가 도시 외곽에서 합류하여 도시를 순환하는 여러 노선 중 하나를 형성합니다. 미국과 달리 유럽 순환 도로에서는 노선 번호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노선이 합쳐져 하나의 지정된 도로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가장 유명한 순환 도로 중 하나는 19세기 중반에 건설되어 대표적인 건물로 채워진 웅장한 대로인 비엔나 링 로드(Ringstraße)입니다. 독특한 건축적 아름다움과 역사로 인해 "순환 도로의 왕"이라고도 불리며, 유네스코에 의해 비엔나의 세계 유산의 일부로 지정되었다.

순환 도로 또는 순환 도로 시스템의 서비스를 받는 주요 유럽 도시:

  •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A10 고속도로
  • 안트베르펜, 벨기에 – R1
  • 바르셀로나, 스페인 – 론다 데 달트 및 론다 리토랄(도심), B30 및 B40 (수도권)
  • 베를린, 독일 – Bundesautobahn 100(도심), Bundesautobahn 111(도시), Bundesautobahn 10(수도권)
  • 브뤼셀, 벨기에 – 쁘띠 생트르/클레인 링(도심), R22(외곽), 브뤼셀 링(도시)
  • 부다페스트, 헝가리 – M0
  • 런던, 잉글랜드 – 런던 내부 순환 도로 (도심), 노스 서큘러 로드 및 사우스 서큘러 로드(도심 외곽), M25 고속도로 (수도권)
  • 마드리드, 스페인 – M-30 (도심), M-40 (수도권), M-50 (수도권 외곽, 미완공)
  • 모스크바, 러시아 – 불바르 링, 가든 링, 제3 순환 도로, 모스크바 순환 도로 (1961년 개통)
  • 뮌헨, 독일 – 알트슈타트링(도심), Bundesstraße 2 R(중간 링), Bundesautobahn 99(수도권)
  • 파리, 프랑스 – 불바르 페리페리크(도시), A86 고속도로(수도권), 프랑실리엔(3차 순환 도로), 그랑 콩투르네망 드 파리(수도권)
  • 로마, 이탈리아 – 그란데 라코르도 아눌라레
  •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 상트페테르부르크 순환 도로


아이슬란드에는 섬의 대부분(외딴 베스트피르디르)을 둘러싼 1,332km의 순환 도로인 링 로드 (또는 1번 국도)가 있다.

|thumb|200px|주쿄 광역권(나고야)]]

순환 도로 또는 순환 도로 시스템이 있는 주요 도시: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시드니 궤도망), 캔버라, 애들레이드, 브리즈번, 퍼스 및 멜버른에는 순환 도로가 있습니다.
  • 아프가니스탄, 순환 도로, 아프가니스탄 대부분의 주요 도시, 즉 카불, 가즈니, 칸다하르, 헤라트 및 마자리샤리프를 연결하는 2200 km 길이의 도로.
  • 베이징, 중국 – 도시를 둘러싸는 순환 도로.
  • 나고야, 일본 – C1 내부 순환 경로 고속도로, C2 제2 순환 경로 고속도로, C3 제3 순환 경로 고속도로, 일본 국도 302호선, 나고야 시립 나고야 내부 순환
  • 서울, 대한민국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상하이, 중국 – 내환로, 중환로, S20 외환 고속도로, G1501 상하이 환상 고속도로
  • 도쿄, 일본 – C1 내부 순환 고속도로, C2 중앙 순환 고속도로, C3 가이칸 고속도로, C4 켄오 고속도로, CA 도쿄만 아쿠아라인/B 베이쇼어 노선, 요코하마 환상 고속도로, 일본 국도 16호선, 일본 국도 298호선, 일본 국도 357호선, 일본 국도 468호선


도심을 중심으로 하는 환상 고속도로(전선 공용 완료된 곳만)
노선 명칭전선
공용
도로
규격
1주최고 속도
방향거리
센다이 도시권 환상 자동차 전용 도로2010년제1종양방향58.9 km70 - 100 km/h
수도 고속도심 환상선1967년제2종양방향14.8 km40 - 50 km/h
수도 고속중앙 환상선+만안선2015년양방향56.7 km60 - 80 km/h
나고야 고속도심 환상선1995년시계 방향10.3 km50 - 60 km/h
나고야 제2 환상 자동차도+이세만안 자동차도2021년제1종, 제2종양방향66.2 km60 - 100 km/h
한신 고속1호 환상선1967년제2종시계 방향10.3 km50 - 60 km/h
후쿠오카 고속환상선2012년양방향35 km60 - 80 km/h


  • '''삿포로 도시권''' (2환상 5방사)
  • 환상선
  • 환상 통 (일반 도로)
  • 삿포로 신도 (일반 도로)
  • '''센다이 도시권'''
  • 일반 도로: 3환상 12방사선
  • 고속도로: 센다이 도시권 환상 자동차 전용 도로

4. 철도

여기서 언급된 노선은 주요 노선에 한정된다. 소규모 노선이나, 방사선·환상선으로서의 기능이 명확하지 않은 노선은 기재하지 않았다.

====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도시 철도 순환선으로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있다. 이 노선은 서울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며 많은 승객을 수송한다. 광주와 대전에서는 광주 도시철도 2호선대전 도시철도 2호선 순환선 건설이 계획 중이며, 이는 도시 교통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사업 추진 과정에서 예산 확보, 노선 선정 등을 둘러싼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대한민국 이외 국가 ====

세계 여러 도시에서 철도 순환선은 도심 교통 혼잡을 완화하고, 도시 간 연결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해외 철도 순환선은 다음과 같다.



일본에서는 야마노테선이나 오사카 순환선과 같이 터미널 간을 잇는 순환선이 유명하다. 화물 열차의 경우, 화물역이 교외로 이전되고 있어 무사시노선이나 조토 화물선(오사카히가시선)과 같은 순환선을 경유하는 열차가 많이 운행된다.

타이완의 타이완 철로 관리국 간선은 타이완의 거의 해안선을 따라 일주하며, 시계 방향을 순행, 반시계 방향을 역행으로 운행한다. 타이베이 첩운 환상선(일부 건설 중)과 가오슝 첩운 환상 경전철(부분 개통)이 있다.

홍콩에는 경철 705선, 706선이 있다.

중국의 경우, 베이징 지하철 2호선(통칭 환선), 베이징 지하철 10호선, 상하이 지하철 4호선, 충칭 궤도 교통 환상선, 청두 지하철 7호선, 정저우 지하철 5호선, 광저우 지하철 11호선(건설 중), 하얼빈 지하철 3호선(전선 개통 후 환상선화) 등이 있다.

방콕에는 방콕 지하철 블루 라인이, 양곤에는 양곤 순환선이, 치타공에는 치타공 순환선이 있다. 싱가포르에는 싱가포르 MRT 순환선(일부 개통)이 있다.

4.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도시 철도 순환선으로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있다. 이 노선은 서울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며 많은 승객을 수송한다. 광주와 대전에서는 광주 도시철도 2호선대전 도시철도 2호선 순환선 건설이 계획 중이며, 이는 도시 교통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사업 추진 과정에서 예산 확보, 노선 선정 등을 둘러싼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4. 2. 대한민국 이외 국가

세계 여러 도시에서 철도 순환선은 도심 교통 혼잡을 완화하고, 도시 간 연결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해외 철도 순환선은 다음과 같다.

일본에서는 야마노테선이나 오사카 순환선과 같이 터미널 간을 잇는 순환선이 유명하다. 화물 열차의 경우, 화물역이 교외로 이전되고 있어 무사시노선이나 조토 화물선(오사카히가시선)과 같은 순환선을 경유하는 열차가 많이 운행된다.

타이완의 타이완 철로 관리국 간선은 타이완의 거의 해안선을 따라 일주하며, 시계 방향을 순행, 반시계 방향을 역행으로 운행한다. 타이베이 첩운 환상선(일부 건설 중)과 가오슝 첩운 환상 경전철(부분 개통)이 있다.

홍콩에는 경철 705선, 706선이 있다.

중국의 경우, 베이징 지하철 2호선(통칭 환선), 베이징 지하철 10호선, 상하이 지하철 4호선, 충칭 궤도 교통 환상선, 청두 지하철 7호선, 정저우 지하철 5호선, 광저우 지하철 11호선(건설 중), 하얼빈 지하철 3호선(전선 개통 후 환상선화) 등이 있다.

방콕에는 방콕 지하철 블루 라인이, 양곤에는 양곤 순환선이, 치타공에는 치타공 순환선이 있다. 싱가포르에는 싱가포르 MRT 순환선(일부 개통)이 있다.

5. 순환선의 명칭

순환도로는 국가별, 지역별로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유럽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일부 순환 도로, 특히 고속도로 표준의 더 긴 순환 도로를 "궤도 고속도로"라고 한다. 예를 들어 런던 궤도 (일반적으로 M25로 알려짐, 188 km), 시드니 궤도 네트워크 (110 km) 및 로마 궤도 (68 km)가 있다.

모스크바 국제 비즈니스 센터 지역의 모스크바 제3 순환도로.


"순환 도로"라는 명칭은 베를린 순환도로, 브뤼셀 순환도로, 암스테르담 순환도로, 파리를 둘러싼 Boulevard Périphérique 등 유럽 대도시 순환 노선의 대부분에 사용된다. 오스트레일리아, 파키스탄 및 인도에서도 멜버른의 서부 순환도로, 라호르의 라호르 순환도로, 하이데라바드의 하이데라바드 외곽 순환도로와 같이 순환 도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캐나다에서는 이 용어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궤도"라는 용어도 사용되지만 그 사용 빈도는 훨씬 적다.

미국에서는 많은 순환 도로를 '''벨트라인''', '''벨트웨이''' 또는 '''루프'''라고 부르며, 예를 들어 워싱턴 D.C.를 둘러싼 수도권 벨트웨이가 있다. 워싱턴의 수도권 벨트웨이와 같은 일부 순환 도로는 전체 루프를 따라 방위(나침반) 방위를 일관되게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이동 방향에 "내부 루프"와 "외부 루프" 용어를 사용한다. '순환 도로'라는 용어는 때때로 '우회도로'라는 용어와 부정확하게 혼용되어 사용된다.

6. 순환선의 배경과 영향

시드니 궤도 네트워크 지도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의 시드니 궤도 네트워크


이탈리아, 밀라노 외곽 동부 순환도로인 Autostrada A58.


순환선 건설은 도시의 지리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 등 다양한 영향을 받는다.[2][3]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많은 크고 작은 마을 주변에 우회도로가 건설되면서, 완전한 원형 순환도로의 건설은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1] 미국 Interstate Highway System과 유사한 품질의 도로가 설계되었으며, 현재 여러 도시 및 대도시 지역 주변에 순환도로가 건설되었다.[1] 런던에는 세 개의 순환도로(M25 고속도로, 노스 및 사우스 서큘러 도로, 이너 링 로드)가 있고, 버밍엄에도 세 개의 순환도로(Birmingham Box, A4540, A4040)가 있다.[1] 베이징에는 여섯 개의 순환도로가 있으며, 모스크바에는 다섯 개의 순환도로(Central Squares of Moscow, Boulevard Ring, Garden Ring, MKAD, Third Ring)가 있다.[1]

지리적 제약은 완전한 순환도로 건설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1] 예를 들어, 메릴랜드주의 볼티모어 벨트웨이는 볼티모어 항구를 건너야 했고, 스웨덴의 Stockholm Ring Road는 많은 부분이 터널이나 긴 다리를 통과한다.[1] 해안이나 험준한 산 근처의 마을이나 도시는 완전한 순환도로를 가질 수 없는 경우도 있다.[1]

인접한 국제 경계, 자연 또는 역사적 지역의 존재 또한 순환도로 건설에 영향을 미친다.[1] 디트로이트 주변 순환도로는 캐나다와의 경계 때문에 완전한 순환도로를 건설할 수 없고, 워싱턴 D.C. 주변의 아우터 벨트웨이는 포토맥 강 협곡과 인접 지역의 자연 및 역사적 경관 때문에 제한을 받는다.[1]

순환도로는 유발 수요를 유발하여 더 많은 자동차 운행을 야기하고, 더 높은 수준의 오염을 발생시킨다는 비판을 받아왔다.[2] 또한, 넓은 지역으로 자동차 접근성을 쉽게 만들어 도시 스프롤과 자동차 중심 계획의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비판과 지역 사회를 분열시키고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에게 통행이 어렵다는 비판도 존재한다.[3]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7 cose che forse non sapevi delle TANGENZIALI di Milano https://www.milanoci[...] 2024-06-13
[2] 웹사이트 The Irony of Ring Roads https://www.planetiz[...] 2021-02-07
[3] 뉴스 Are these the worst ring roads in England? https://www.bbc.com/[...] 2021-02-07
[4] 웹사이트 State Highway, Loop, and Spur Facts https://www.dot.stat[...] 2023-05-31
[5] 웹사이트 Big Island State Roads and Highways https://hidot.hawaii[...] 2022-08-10
[6] 웹사이트 Inner Ring Road http://www.connect2e[...] 2014-07-12
[7] 웹사이트 Northeast Anthony Henday Drive http://www.northeast[...] 2016-09-15
[8] 웹사이트 Northeast Anthony Henday Drive http://www.transport[...] Alberta Transportation 2016-10-02
[9] Google maps Length of Stoney Trail https://www.google.c[...] 2016-12-01
[10] 웹사이트 Vienna's Ringstrasse celebrates 150 years http://www.cnn.com/2[...] CNN 2016-09-15
[11] 웹사이트 Historic Centre of Vienna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6-09-15
[12] 웹사이트 7 cose che forse non sapevi delle TANGENZIALI di Milano https://www.milanoci[...] 2024-06-13
[13] 서적 Reinventing the Chinese C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3
[14] 문서 環状道路の機能 https://www.mlit.go.[...]
[15] 웹사이트 3環状マップ(2020年3月現在) https://www.ktr.mlit[...] 2020-06-09
[16] 웹사이트 近畿地方整備局 高規格幹線道路網図 https://www.kkr.mlit[...] 2020-06-07
[17] 웹사이트 高速道路ネットワークの整備状況について http://www.pa.kkr.ml[...] 2020-06-07
[18] 웹사이트 関西創生のための高速道路ネットワーク充実強化 https://www.kankeire[...] 関西経済連合会 2024-11-06
[19] 웹사이트 広域道路ネットワークの形成 http://www.kkr.mlit.[...] 2018-03-24
[20] 문서 国土交通省中部地方整備局道路部 http://www.cbr.mlit.[...]
[21] 웹사이트 平成26年度北海道渋滞対策協議会の開催 https://www.hkd.mlit[...] 北海道渋滞対策協議会 2019-02-03
[22] 웹사이트 一般国道12号旭川新道再評価原案準備書説明資料 https://www.hkd.mlit[...] 北海道開発局 2019-02-03
[23] 웹사이트 国土交通省 函館圏将来像の見直し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9-02-03
[24] 웹사이트 city_wall http://www2.open.ac.[...] オープン大学 2023-09-07
[25] 웹사이트 From fortification to promenade https://www.habsburg[...] 2023-09-07
[26] 웹사이트 Geschichte der Wiener Ringstraße: Von der Stadtmauer zur Mehrspurstraße https://www.vienna.a[...] 2014-12-26
[27] 웹사이트 令和2年度国の施策・予算に関する緊急提案・要望 https://www.city.kyo[...] 京都市 2021-08-13
[28] 문서 JR西日本323系電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