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 정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학 정리는 파수가 k인 평면파가 산란하여 산란 진폭 f(θ, φ)를 가질 때, 총 산란 단면적과 전방 산란 진폭의 허수 성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이다. 총 산란 단면적은 전방 산란 진폭의 허수 성분과 파장의 곱의 두 배와 같으며, 에너지 보존 법칙 또는 확률 보존 법칙으로부터 유도된다. 이 정리는 스칼라 파동 처리를 통해 유도될 수 있으며, 존 윌리엄 스트럿 레일리와 볼프강 젤마이어가 1871년에 독립적으로 발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란 이론 - 산란 길이
산란 길이는 산란 이론에서 입자의 산란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산란 진폭과 위상 변화를 통해 정의되며 저에너지 산란 현상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 산란 이론 - 산란 행렬
산란 행렬은 복소 힐베르트 공간에서 자유 및 상호 작용 해밀토니언으로 정의되어 파동 연산자를 통해 산란 연산자를 기술하며, 입자 물리학에서 산란 과정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수학적 도구이다. - 물리학 정리 - 뇌터 정리
뇌터 정리는 대칭성과 보존 법칙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정리로, 라그랑지안의 대칭 변환 불변성에 따라 에너지, 운동량 등 보존량이 존재함을 보여주며, 고전역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물리학 정리 - 보어-판레이우언 정리
보어-판레이우언 정리는 고전 역학으로는 자기 현상을 설명할 수 없음을 밝히는 정리이며, 양자 역학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보어 모형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물리학 사이드바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물리학 사이드바 - 양자역학
양자역학은 20세기 초에 개발된 물리학 이론으로, 미시적인 계의 성질과 거동을 설명하며, 불확정성 원리, 파동-입자 이중성 등의 개념을 포함하고, 현대 기술과 현대 물리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광학 정리 |
|---|
2. 정의
파수 를 가진 평면파가 산란하여 산란 진폭 을 가진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총 산란 단면적 는 다음과 같다.
파수 를 가진 평면파가 물체에 양의 z축을 따라 입사하여 산란 진폭 을 가진다고 할 때, 산란체로부터 아주 멀리 떨어진 곳에서의 파동 산란 진폭은 대략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존 윌리엄 스트럿 레일리와 볼프강 젤마이어(Wolfgang Sellmeierde)가 1871년에 독자적으로 발견하였다.[6][7][8] 레일리는 굴절 상수를 써서 충돌방향 산란진폭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1]
Youtube
"Radar Cross Section, Optical Theorem, Physical Optics Approx, Radiation by Line Sources"
_GDBtD6qBeg
:
이때, 다음 식이 성립한다.
:.
이를 '''광학 정리'''라고 한다. 즉, 총 산란 단면적은 전방(前方) 산란 진폭의 허수 성분과 파장의 곱의 두 배이다.
광학 정리는 에너지 보존 법칙(일반 파동의 경우) 또는 확률 보존 법칙(양자역학의 파동 함수의 경우)만으로 유도할 수 있어, 매우 일반적이다. 특히, 양자역학에서는 탄성 산란과 비탄성 산란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입사 파동이 평면파가 아니라 좀 더 일반적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광학 정리가 성립한다. 이는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1943년에 증명하였다.[5]
:
3. 유도
:
제곱될 때 모든 고차 항은 보다 더 빠르게 사라지므로 아주 먼 거리에서는 무시할 수 있다. 큰 값과 작은 각도의 경우, 테일러 전개를 통해 다음을 얻는다.
:
세기가 진폭 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이용하고, 을 로 근사하면, 다음을 얻는다.
:4. 역사
:
레일리는 하늘의 색깔과 편극에 관한 연구 결과를 참조하였다. 이 방정식은 후일 양자 산란 이론에도 응용되어, 1939년에 출판된 논문으로부터 보어-파이얼스-플라첵 관계라고 알려지게 되었다. 한스 베테와 프레더릭 드 호프만(Frederic de Hoffmann영어)이 1955년 저서에서 최초로 "광학 정리"(optical theorem영어)라고 일컬었다.[9]
참조
[2]
서적
Quantum mechanics: non-relativistic theory
Elsevier
[3]
문서
[4]
간행물
XV. On the light from the sky, its polarization and colour.
[5]
저널
Die „beobachtbaren Größen“ in der Theorie der Elementarteilchen
[6]
저널
On the light from the sky, its polarization and colour
[7]
저널
Zur Erklärung der abnormen Farbenfolge im Spectrum einiger Substanzen
[8]
저널
Optical theorem and beyond
[9]
서적
Mesons and Fields (vol. II)
Row, Peterson and Compa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