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요한 6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6세는 701년 10월 30일에 즉위하여 705년 1월 11일에 사망한 교황이다. 그는 동로마 황제가 파견한 라벤나 총독의 폭력을 중재하고, 랑고바르드족의 침략을 외교와 뇌물로 막아냈다. 또한 잉글랜드 요크의 윌프리드 주교의 복직을 지원하고, 교회 건축 및 행정을 개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55년 출생 - 마나바나
    마나바나는 1762년 모리야 왕조를 종식시키고 즉위하여 35년간 통치한 군주로, 하타다타 군주에 의해 후계자로 책립되었으며 반다라데비와의 사이에서 비자야바후를 낳았다.
  • 655년 출생 - 이은지 (655년)
    이은지는 고구려 유민의 후손으로 당나라에서 중역을 지냈으며, 묘지명을 통해 가계와 생애가 밝혀졌다.
  • 고대 에페소스인 - 헤로스트라토스
    명성을 얻기 위해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을 불태운 헤로스트라토스는 그의 이름을 언급하는 것조차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역사가들의 기록을 통해 후대에 전해져 범죄를 통해 악명을 얻고자 하는 욕망의 상징이 되었다.
  • 고대 에페소스인 - 미하일 7세 두카스
    미하일 7세 두카스는 1050년경 태어나 17세에 비잔틴 제국 황제가 되었으나 무능한 통치로 인해 퇴위하여 수도원으로 들어갔다.
  • 705년 사망 - 측천무후
    측천무후는 당나라 황후에서 스스로 황제가 되어 무주를 세운 중국 유일의 여황제로, 수렴청정과 과거제 확대 등으로 평가가 엇갈린다.
  • 705년 사망 - 레온티오스
    레온티오스는 7세기 후반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유스티니아누스 2세를 폐위하고 즉위했으나 우마이야 왕조의 침략에 맞서 싸우다 폐위되어 처형당했다.
교황 요한 6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요한 6세
직함로마 주교
교회가톨릭교회
로마자 표기Ioannes VI
출생 이름요한
출생 연도655년
출생지동로마 제국 에페소스(현재의 튀르키예 이즈미르 주 셀축)
사망일705년 1월 11일
사망 당시 나이49세 또는 50세
사망 장소동로마 제국 로마
재임 기간
임기 시작701년 10월 30일
임기 종료705년 1월 11일
선임자세르지오 1세
후임자요한 7세

2. 생애

요한 6세는 동로마 황제 티베리우스 3세가 이탈리아로 파견한 라벤나 총독 테오필락투스에게 호의를 표시하여 그가 로마인들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것을 막았다.[11] 요한 6세의 중재로 이탈리아에서의 소요가 진정되어 테오필락투스는 신변의 안전을 보장받았으며, 이탈리아 시민들도 마찬가지였다.[12]

또한 대화와 뇌물을 동원하여 베네벤토 공작이자 랑고바르드족인 기술프에게 동로마 제국의 영토에서 철수하게 만들었다. 일부 문헌에 따르면, 기술프가 군대를 이끌고 캄파니아 교외지역을 파괴한 다음에 로마의 성벽 앞에 야영지를 건설하였는데, 요한 6세에 의해 스스로 퇴각하였다고 한다.[13]

요한 6세 재위기간 중에 일어난 또 다른 중요한 사건은 랑고바르드족의 왕인 아리페르트 2세가 본래 교회의 영토였던 코티엔느 산맥을 반환한 일이었다.[13] 그리고 성 안드레아 대성당에는 새 독경대를 설치하고 성 마르코 성당의 제대에는 새 제대포를 만들어 씌우고, 산 파올로 성당의 제대 양쪽 옆에 있는 기둥 사이에 얇은 천을 덮는 등의 굵직한 사업들이 진행되었다.[13] 교회 행정 면에서 요한 6세는 보니파시오를 교황의 고문으로 임명하는 등 동방 출신들을 대거 로마 교회에 영입하였다.[14]

704년 요크의 윌프리드 주교가 70세가 되던 해에 주교직에서 쫓겨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에 그는 로마로 가서 요한 6세에게 자신의 처지를 호소하며 탄원하였다.[14] 윌프리드는 654년과 679년에 로마를 방문하였으며, 당시 로마 교회 조직이 그리스인들로 점진적으로 채워져가는 변화를 목격하였다. 윌프리드 주교의 탄원에 요한 6세는 그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시노드를 소집했는데, 당시 시노드가 그리스어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윌프리드 주교는 언어적 문제로 힘들어했다.[14]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노드에서 진정성을 인정받은 윌프리드는 709년 선종하기 전에 자신의 주교좌로 돌아가 명예를 되찾을 수 있었으며, 이때 교황의 지시를 전하기 위해 머시아의 애설레드 국왕에게 교황의 친서를 가지고 잉글랜드로 갔다.[15][14]

사후 시신은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장되었다.[15] 705년 1월 11일에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에페수스 출신의 그리스인으로, 세르지오 1세의 뒤를 이었다. 그리스에서 태어났다.[8]

2. 2. 교황 선출

에페수스 출신 그리스인 요한 6세는 세르지오 1세의 뒤를 이었다. 그의 선출은 전임 교황이 선종한 후 7주 미만의 공석 기간 이후에 이루어졌다.[2]

그리스에서 태어났으며, 701년 10월 30일에 교황으로 즉위하였다.[8]

3. 업적

요한 6세는 교황 재임 기간 동안 다음과 같은 업적을 남겼다.


  • 동로마 제국과의 관계 개선: 황제 티베리우스 3세가 파견한 라벤나 총독 테오필락투스가 로마 시민들에게 폭력을 행사하려 하자 이를 중재하여 이탈리아의 소요를 진정시키고 테오필락투스와 시민들 모두의 안전을 보장했다.[11][12]
  • 랑고바르드족과의 평화 유지: 베네벤토 공작 기술프 1세가 캄파니아를 침공하고 로마 성벽 앞에 야영했을 때, 대화와 뇌물을 통해 그를 설득하여 철수시켰다.[13] 또한 기술프 1세에게 돈을 주고 포로들을 구출했으며,[7] 랑고바르드족 왕 아리페르트 2세로부터 코티엔느 산맥을 교황령으로 반환받았다.[13]
  • 잉글랜드 교회 문제 해결: 요크의 윌프리드 주교가 주교직에서 쫓겨나 탄원하자, 시노드를 소집하여 그의 진정성을 인정하고 머시아의 애설레드 국왕에게 친서를 보내 윌프리드의 복직을 명했다.[14][15] 또한 캔터베리 대주교 베르트왈드에게 팔리움을 보냈다.[7]
  • 교회 행정 및 건축: 성 안드레아 대성당에 새 독경대를 설치하고, 성 마르코 성당과 산 파올로 성당에 새 제대포 및 제단 장식을 설치했다.[13][6] 또한 보니파시오를 교황 고문으로 임명하는 등 동방 출신 성직자들을 등용했다.[14][5]

3. 1. 동로마 제국과의 관계

요한 6세는 동로마 황제 티베리우스 3세가 이탈리아로 파견한 라벤나 총독 테오필락투스를 지원하여 그가 로마 시민들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것을 막았다.[11] 요한 6세의 중재 덕분에 이탈리아의 소요가 진정되어 테오필락투스는 안전을 보장받았고, 이탈리아 시민들도 마찬가지였다.[12]

3. 2. 랑고바르드족과의 관계

요한 6세는 대화와 뇌물을 통해 베네벤토 공작이자 랑고바르드족인 기술프 1세에게 동로마 제국의 영토에서 철수하게 만들었다.[13] 일부 문헌에 의하면, 기술프 1세가 군대를 이끌고 캄파니아 교외지역을 파괴한 다음에 로마의 성벽 앞에 야영지를 건설하였는데, 요한 6세에 의해 스스로 퇴각하였다고 한다.[13] 백성들의 고통에 괴로워한 교황은 롬바르드 공작의 진영에 돈을 든 사제들을 보내 기술프 1세가 포로로 잡은 모든 사람들을 몸값으로 구출했다.[7]

요한 6세 재위기간 중에 일어난 또 다른 중요한 사건은 랑고바르드족의 왕인 아리페르트 2세가 본래 교회의 영토였던 코티엔느 산맥을 교황령으로 반환한 일이었다.[13]

3. 3. 잉글랜드 교회와의 관계

704년 요크의 윌프리드 주교가 70세의 나이로 주교직에서 쫓겨나자, 로마로 가서 요한 6세에게 자신의 처지를 호소하며 탄원하였다.[14] 윌프리드는 654년과 679년에 로마를 방문하여, 당시 로마 교회 조직이 점차 그리스인들로 채워지는 변화를 목격하였다. 요한 6세는 윌프리드의 탄원에 따라 그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시노드를 소집했는데, 당시 시노드가 그리스어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윌프리드는 언어적 어려움을 겪었다.[14]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노드에서 윌프리드의 진정성이 인정되어 그는 709년 선종하기 전에 자신의 주교좌로 돌아가 명예를 되찾을 수 있었다. 이때 요한 6세는 머시아의 애설레드 국왕에게 교황의 지시를 담은 친서를 보내 윌프리드의 복직을 명하였다.[15][14] 요한 6세는 또한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된 베르트왈드에게 팔리움을 보냈다.[7]

3. 4. 교회 행정 및 건축

요한 6세는 성 안드레아 대성당에 새 독경대를 설치하고, 성 마르코 성당에 새 제대포를 설치하였다.[13][6] 산 파올로 성당 제단 주변도 장식했다.[13][6] 교회 행정 면에서는 보니파시오를 교황 고문으로 임명하는 등 동방 출신 성직자들을 로마 교회에 등용하였다.[14][5]

4. 사망

요한 6세는 705년 1월 11일에 선종하였으며, 시신은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장되었다.[15]

참조

[1] 서적
[2] 서적 Papeži od Petra do Janeza Pavla II. Mohorjeva družba Celje
[3] EB1911 John VI (pope)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웹사이트 Pope John VI."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New York 2017-10-25
[8] 서적 歴代法王表
[9] 웹사이트 Pope John VI https://en.wikisourc[...] Robert Appleton Company, New York
[10] 서적
[11] 서적 Papeži od Petra do Janeza Pavla II. Mohorjeva družba Celje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웹사이트 http://www.newadv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