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광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굴광성은 식물이 빛의 자극에 반응하여 빛이 있는 방향으로 굽는 현상이다. 1880년 찰스 다윈과 프랜시스 다윈은 엽초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청색광이 굴광성을 유발한다는 것을 밝혀냈으며, 20세기 초 콜로니-벤트 가설은 옥신이 빛의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세포 신장을 촉진함으로써 식물이 빛을 향해 굽는다고 제안했다. 굴광성은 빛을 감지하는 광수용체, 옥신, PIN 단백질, AGC 키나아제 등 다양한 신호 분자와 유전자에 의해 조절된다. 특히 포토트로핀은 청색광을 감지하여 굴광성을 유발하는 주요 광수용체이며, 옥신은 세포벽을 느슨하게 하여 세포 팽창을 유도하고, PIN 단백질은 옥신 수송에 관여한다. 또한, 식물의 기관과 빛의 파장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굴광성 반응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굴성 - 굴지성
굴지성은 식물이 중력 방향에 따라 굴곡 성장하는 현상으로, 뿌리는 중력 방향으로 줄기는 반대 방향으로 자라며, 옥신 농도 변화, 굴지립, 피토크롬 등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 빛 - 형광
형광은 물질이 빛을 흡수하여 여기 상태가 된 후 바닥 상태로 돌아오며 흡수한 에너지보다 낮은 에너지를 가진 빛을 방출하는 현상으로, 형광등, 형광염료 등에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 빛 - 광초
광초는 빛이 1초 동안 진공에서 이동하는 거리로, 통신 분야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 제한 요소 및 통신 지연 시간 계산에 활용되며, 천문학에서는 천체 간 거리 측정에 유용하고, 광분, 광시, 광일, 광주, 광년 등의 배수 단위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 생물학 용어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생물학 용어 -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학은 생물의 지리적 분포와 분포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탐험과 선구자들의 연구를 거쳐 대륙 이동설, 분자생물학 발전, 섬 생물지리학 이론 등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고생물지리학 등 하위 분야를 포함하지만, 지역 구분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미완료 상태이다.
굴광성 | |
---|---|
일반 정보 | |
정의 | 빛 자극에 대한 식물의 성장 반응 |
관련 현상 | 굴성 |
원인 | 빛의 방향에 따른 옥신의 불균등한 분포 |
주요 수용체 | 포토트로핀 |
역사 | |
최초 관찰 | 찰스 다윈과 프랜시스 다윈 (1880) |
관련 연구 | 프리츠 벤 (옥신 발견) |
메커니즘 | |
주요 단계 | 빛 감지 → 옥신 불균등 분포 → 세포 신장 차이 |
굴곡 정도 | 빛의 강도와 파장에 따라 다름 |
작용 스펙트럼 | 청색광 영역에서 가장 활발 |
관련 유전자 | |
애기장대 | NPH1, NPL1 (포토트로핀 수용체) |
생물학적 의의 | |
기능 | 광합성을 위한 최적의 빛 환경 조성 |
식물 생존 | 빛을 향해 성장하여 생존 가능성 증가 |
2. 역사
1880년 진화론으로 유명한 찰스 다윈과 그의 아들 프랜시스 다윈은 저서 "식물의 운동"에서 벼과 식물이 싹틀 때 덮고 있는 엽초를 사용하여 청색광이 굴광성을 일으킨다는 것을 밝혀냈다.[20][21][22] 또한, 빛의 수용 부위는 엽초의 선단에 존재하는 반면, 굴곡하는 부위는 선단보다 아래에 위치한다는 점을 통해 선단으로부터 어떤 "영향"이 전달된다는 것을 시사했다.[20][21][22]
굴광성은 빛을 감지하고 식물이 빛의 방향으로 성장하는 데 관여하는 다양한 신호 분자와 유전자들에 의해 조절된다. 식물의 가장 윗부분은 빛을 감지하는 데 필수적인 유아기로 알려져 있으며,[1] 유아기의 중간 부분은 줄기 굴곡이 일어나는 영역이다.
1881년 찰스 다윈과 그의 아들 프랜시스 다윈은 귀리의 자엽초(coleoptiles) 실험을 통해 햇빛에 의한 식물의 생장을 조절하는 물질이 귀리의 줄기 끝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윈 부자는 귀리 자엽초의 꼭대기를 가린 것과 가리지 않은 것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자엽초의 꼭대기를 가리고 한쪽 방향에서 빛을 주었을 때에도 자엽초가 빛이 오는 방향으로 구부러졌지만, 꼭대기를 가리지 않았을 때에 비해서 굴곡 정도가 약했다. 꼭대기를 가리면 빛이 오는 방향으로 반응하는 정도가 현저하게 약해지는 것은 빛 인지에 있어서 꼭대기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후 연구에서 불균형적인 옥신 분포와 배축(胚軸)에서의 부분적 굴광성은 다윈 부자의 관찰 5와 일관되어 보인다.
관찰 5는 관찰 3, 4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 관찰에서 주된 옥신 흐름이 식물의 최상위에서 수직적으로 식물의 맨 아래를 향하여 흐르는 것을 발견했다. 그 중 주요 옥신 흐름에서 양면(그늘진 부분, 빛을 받는 부분)으로(수평적으로) 흐르는 옥신도 있었다. 빛을 받으면 수직적 주요 옥신 흐름으로부터 수평적으로 흐르는 옥신의 흐름이 막힌다(빛을 받는 부분으로 향하는 것을 막음).
3. 메커니즘
20세기 초에 개발된 콜로니-벤트 가설은 비대칭적인 빛이 존재할 때 옥신이 그늘진 쪽으로 이동하여 해당 측면의 세포 신장을 촉진하여 식물이 광원을 향해 구부러지게 한다고 예측한다.[4]
유아기의 상부 영역에는 광수용체가 많이 발현된다. 광수용체는 phot1과 phot2의 두 가지 주요 형태가 있다. ''phot2'' 단일 돌연변이는 야생형과 같은 굴광성 반응을 보이지만, ''phot1 phot2'' 이중 돌연변이는 굴광성 반응을 전혀 보이지 않는다.[3] ''PHOT1''과 ''PHOT2''의 양은 식물의 나이와 빛의 강도에 따라 다르다. 성숙한 ''애기장대'' 잎에는 ''PHOT2''가 많이 존재하며, 이는 벼 유사 유전자에서도 관찰되었다. ''PHOT1''과 ''PHOT2''의 발현은 청색광 또는 적색광의 존재에 따라 달라진다. 빛의 존재하에서 ''PHOT1'' mRNA는 하향 조절되었지만 PHOT2 전사체는 상향 조절되었다. 식물에 존재하는 mRNA 및 단백질의 수준은 식물의 나이에 따라 달라졌다. 이는 광수용체 발현 수준이 잎의 성숙과 함께 변한다는 것을 시사한다.[10]
성숙한 잎에는 광합성에 필수적인 엽록체가 포함되어 있다. 엽록체 재배치는 광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빛 환경에서 발생한다. ''NPH1'' 및 ''NPL1'' 유전자를 포함하여 식물 굴광성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가 있다. 이들은 모두 엽록체 재배치에 관여한다.[2] ''nph1'' 및 ''npl1'' 이중 돌연변이는 굴광성 반응이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두 유전자는 모두 줄기의 굴곡을 결정하는 데 중복성을 갖는다.
포토트로핀은 광수용체 단백질 키나아제로, 청색광에 의해 자가인산화하여 굴광성에 영향을 미친다.[23]
2012년, 사카이와 하가[11]는 굴광성 반응을 일으키는 줄기의 밝은 면과 그늘진 면에서 서로 다른 옥신 농도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개략적으로 설명했다. 연구 식물로 ''애기장대''를 사용하여 줄기 굴광성과 관련하여 5가지 모델이 제안되었다.
사카이와 하가의 연구에 따르면, 유묘에서 관찰된 비대칭적인 옥신 분포와 그에 따른 굴광성 반응은 이 다섯 번째 시나리오와 가장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11]
3. 1. 옥신의 역할
'''옥신'''은 식물 생장에 관여하는 식물성 호르몬이다. 옥신이 세포 안으로 들어오면 세포 안의 수소 이온이 세포막 밖으로 나가 세포 밖은 pH가 낮아져 산성을 띠게 된다. 이렇게 산성화되면 세포벽을 느슨하게 만드는 효소인 익스팬신(expansin)이 작용하여 세포벽 간의 연결을 끊는다. 세포벽이 느슨해지면 식물 세포의 부피가 늘어나고, 옥신의 활성화 정도에 따라 부분적인 부피 차이가 발생하여 식물체가 기울게 된다.[4]
옥신은 빛을 많이 받지 못하는 부위에서 활성화된다. 따라서 빛 흡수량이 적은 쪽의 세포가 팽창하고, 빛 흡수량이 많은 쪽은 옥신 활성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빛이 오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찰스 다윈과 프란시스 다윈 부자는 귀리 자엽초 실험을 통해 식물 줄기 끝에 햇빛에 의한 식물 생장을 조절하는 물질, 즉 옥신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
콜로니-벤트 가설에 따르면, 비대칭적인 빛이 존재할 때 옥신은 그늘진 쪽으로 이동하여 세포 신장을 촉진하고, 식물이 광원을 향해 구부러지게 한다.[4] 옥신은 양성자 펌프를 활성화하여 식물의 어두운 쪽 세포 pH를 감소시키고, 세포벽 영역의 산성화는 익스팬신을 활성화하여 세포벽을 덜 굳게 만든다. 또한 양성자 펌프 활성 증가로 식물 어두운 쪽 세포에 더 많은 용질이 유입되어 삼투 기울기가 증가하고,[5] 물이 삼투 기울기를 따라 세포로 들어가 팽압이 증가한다. 세포벽 강도 감소와 팽압 증가는[6] 세포 팽창을 유발하여 굴광성 운동의 기계적 압력을 가한다.
''PIN'' 유전자가 암호화한 단백질은 옥신 수송체로, 옥신 위치의 편광을 담당한다. 특히 ''PIN3''는 주요 옥신 운반체로 확인되었다.[7] 광수용체가 빛을 받으면 PINOID 키나아제(PID) 활성을 억제하고, 이는 ''PIN3'' 활성을 촉진하여 옥신의 비대칭적 분포를 유도하고, 줄기 세포의 비대칭적 신장을 일으킨다. ''pin3'' 돌연변이는 야생형보다 짧은 배축과 뿌리를 가지며, 옥신 유출 억제제로 자란 식물에서도 같은 표현형이 관찰되었다.[8] PIN3 및 PIN7 단백질은 펄스 유도 굴광성에 역할을 하며, "pin3" 돌연변이는 굴곡 반응이 크게 감소했지만, "pin7" 돌연변이는 약간 감소했다. "PIN1", "PIN3", "PIN7" 사이에는 중복성이 있지만, PIN3가 펄스 유도 굴광성에 더 큰 역할을 한다.[9]
최근 연구에 따르면 PHOT1과 PHOT2 외에도 여러 AGC 키나아제가 식물 굴광성에 관여한다. PINOID는 인산화를 통해 PIN3의 세포내 재배치를 결정하고, D6PK 및 D6PKL 동족체는 PIN3의 옥신 수송 활성을 조절하며, PDK1.1 및 PDK1.2는 이러한 AGC 키나아제의 활성제 역할을 한다.
3. 2. 옥신 수송과 PIN 단백질
옥신 수송체인 PIN 단백질은 옥신의 위치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PIN3는 주요 옥신 운반체로 확인되었다.[7] 광수용체가 빛을 감지하면 PINOID 키나아제(PID)의 활성이 억제되고, 이는 다시 PIN3의 활성을 촉진한다. PIN3의 활성화는 옥신의 비대칭적 분포를 유발하고, 이는 줄기 세포의 비대칭적 신장으로 이어진다. ''pin3'' 돌연변이는 야생형보다 짧은 배축과 뿌리를 가지며, 옥신 유출 억제제로 자란 식물에서도 동일한 표현형이 관찰된다.[8] PIN3 단백질의 이동은 항-PIN3 면역금 표지를 사용하여 관찰할 수 있다. PIN3는 일반적으로 배축과 줄기 표면에 존재하지만, 엑소사이토시스 억제제인 브레펠딘 A(BFA)가 있으면 내재화되기도 한다. 이 메커니즘을 통해 PIN3는 환경 자극에 반응하여 위치를 바꿀 수 있다. PIN3 및 PIN7 단백질은 펄스 유도 굴광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in3" 돌연변이에서는 굴곡 반응이 크게 감소했지만, "pin7" 돌연변이에서는 약간 감소했다. "PIN1", "PIN3", "PIN7" 사이에는 중복성이 있지만, PIN3가 펄스 유도 굴광성에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9]
3. 3. 광수용체
포토트로핀은 청색광을 감지하여 굴광성을 유발하는 주요 광수용체이다.[12] 포토트로핀에는 phot1과 phot2 두 가지가 있으며, ''phot1 phot2'' 이중 돌연변이는 굴광성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3] 애기장대와 같은 식물에서 굴광성은 주로 포토트로핀에 의해 조절된다. 피토크롬은 적색광을,[13] 크립토크롬은 청색광을 감지하는 광수용체로,[14] 이들도 굴광성에 영향을 미친다. 식물의 줄기 끝은 청색광에 대해 양성 굴광성을, 뿌리 끝은 음성 굴광성을 보이는 등, 식물의 다양한 기관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에 대해 서로 다른 굴광성 반응을 나타낸다.
3. 4. AGC 키나아제
최근 연구에 따르면 PHOT1과 PHOT2 외에도 여러 AGC 키나아제가 식물의 굴광성에 관여한다. PINOID는 직접적인 인산화를 통해 PIN3의 세포내 재배치를 결정한다. D6PK 및 D6PKL 동족체는 인산화를 통해 PIN3의 옥신 수송 활성을 조절한다. D6PK/D6PKL의 상위 조절 인자인 PDK1.1 및 PDK1.2는 이러한 AGC 키나아제의 활성제 역할을 한다.[23] 흥미롭게도 다른 AGC 키나아제는 굴광성 반응 진행 중 서로 다른 단계에 참여할 수 있다. D6PK/D6PKL은 PINOID보다 더 많은 인산화 부위를 인산화할 수 있는 능력을 보인다.[23]
4. 굴광성에 대한 옥신 분포 모델
2012년, 사카이와 하가(Sakai and Haga)는 옥신이 식물의 그늘진 부위와 빛을 받는 부위에 따라 어떻게 활성화되는지에 대한 몇 가지 가설을 세웠다.[24] 이들은 애기장대를 이용하여 줄기의 굴광성과 관련하여 5가지 모델을 제시했다.[11]
- 첫 번째 모델: 들어오는 빛이 식물의 밝은 면에서 옥신을 비활성화시켜 그늘진 부분이 계속 자라게 하여 식물이 빛 쪽으로 구부러지게 된다.[11]
- 두 번째 모델: 빛은 식물의 밝은 면에서 옥신 생합성을 억제하여 옥신의 농도를 감소시킨다.[11]
- 세 번째 모델: 빛을 받는 쪽과 그늘진 쪽 모두에서 옥신이 수평적으로 흐른다. 빛은 더 많은 옥신이 노출된 면에서 그늘진 면으로 흐르게 하여 그늘진 면의 옥신 농도를 증가시킨다.[11]
- 네 번째 모델: 식물이 빛을 받아 옥신이 노출된 면으로 기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옥신이 그늘진 면으로만 흐르게 된다.[11]
- 다섯 번째 모델: 모델 3과 4의 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주요 옥신의 흐름은 식물 상단에서 하단으로 수직으로 이동하며, 일부 옥신은 주요 흐름에서 식물의 양쪽 측면으로 수평적으로 이동한다. 빛을 받으면 주요 수직 옥신 흐름에서 빛을 받는 쪽으로의 수평 옥신 흐름이 억제된다. 사카이와 하가의 연구에 따르면, 애기장대 유묘에서 관찰된 비대칭적인 옥신 분포와 굴광성 반응은 이 다섯 번째 모델과 가장 일치한다.[11]
5. 파장에 따른 효과
식물의 굴광성은 포토트로핀이라는 청색광 수용체에 의해 일어난다.[12] 식물의 다른 광수용체로는 적색광을 감지하는 피토크롬[13]과 청색광을 감지하는 크립토크롬이 있다.[14] 식물의 기관과 빛의 파장에 따라 굴광성 반응은 다르게 나타난다. 줄기 끝은 청색광에 대해 양성 굴광성 반응을 보이지만, 뿌리 끝은 청색광에 대해 음성 굴광성 반응을 보인다. 뿌리 끝과 대부분의 줄기 끝은 적색광에 대해 양성 굴광성을 나타낸다. 크립토크롬은 청색/UV-A 광선을 흡수하는 광수용체로, 식물의 일주기 리듬과 개화 시기를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준다. 피토크롬은 적색/원적색 광선을 감지하는 광수용체이지만 청색광도 흡수하며, 성숙한 식물의 개화와 종자의 발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피토크롬과 크립토크롬의 반응 조합을 통해 식물은 다양한 종류의 빛에 반응할 수 있다.[15] 피토크롬과 크립토크롬은 함께 배축의 중력굴성을 억제하고 굴광성에 기여한다.[1]
참조
[1]
논문
Phototropism: at the crossroads of light-signaling pathways
[2]
저널
Arabidopsis nph1 and npl1: Blue light receptors that mediate both phototropism and chloroplast relocation
[3]
논문
Phototropism: Mechanisms and Outcomes
[4]
저널
Shoot phototropism in higher plants: New light through old concepts
[5]
저널
Role of the plasma membrane H+-ATPase in auxin-induced elongation growth: historical and new aspects
2003-12-01
[6]
저널
Stress relaxation of cell walls and the yield threshold for growth: Demonstration and measurement by micro-pressure probe and psychrometer techniques
1984-09-01
[7]
저널
Light-mediated polarization of the PIN3 auxin transporter for the phototropic response in Arabidopsis
[8]
저널
Lateral relocation of auxin efflux regulator PIN3 mediates tropism in Arabidopsis
http://nbn-resolving[...]
[9]
저널
PIN Auxin Efflux Carriers Are Necessary for Pulse-Induced But Not Continuous Light-Induced Phototropism in Arabidopsis
[10]
저널
The expression of phototropins in Arabidopsis leaves: developmental and light regulation
[11]
저널
Molecular genetic analysis of phototropism in Arabidopsis
[12]
웹사이트
Phototropins: Photoreceptors that provide a novel photochemical mechanism for signaling
http://abstracts.asp[...]
2016-04-16
[13]
웹사이트
Phytochrome
http://plantphys.inf[...]
2016-04-16
[14]
저널
A Component of the Cryptochrome Blue Light Signaling Pathway
2003-05-01
[15]
논문
Green light affects blue-light based phototropism in hypocotyls of ''Arabidopsis thaliana''
[16]
문서
光屈性 ーカルシウムが制御する屈曲方向ー
日本藻類学会
[17]
논문
Phototropism: at the crossroads of light-signaling pathways
[18]
논문
Arabidopsis nph1 and npl1: Blue light receptors that mediate both phototropism and chloroplast relocation
[19]
논문
Phototropism: Mechanisms and Outcomes
[20]
저널
植物の屈光性・オーキシンの作用
https://hdl.handle.n[...]
バイオメカニズム学会
[21]
웹사이트
ダーウィン親子予言の植物成長ホルモン「オーキシン」の生合成経路を解く
http://www.riken.jp/[...]
[22]
웹사이트
フシナシミドロの光屈性と光形態形成
http://www.ige.tohok[...]
[23]
웹사이트
フォトトロピン
http://physiol2.bot.[...]
[24]
저널
Molecular genetic analysis of phototropism in Arabidops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