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귀스타브 코리올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스타브 코리올리(Gustave Coriolis)는 1792년 파리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과학자이다. 그는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강사, 에콜 상트랄 데 자르 에 마뉘팩튀르의 역학 교수, 에콜 나시오날 데 퐁 에 쇼세의 응용 역학 교수,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연구소장을 역임했다. 코리올리는 기계 효과 계산에 대한 교과서를 출판하고, 운동 에너지와 일의 관계를 정립했으며, 회전 좌표계에서의 운동을 연구하여 코리올리 힘의 개념을 제시했다. 1843년 파리에서 사망했으며, 에펠탑에 그의 이름이 새겨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기계공학자 - 니콜라 조제프 퀴뇨
    프랑스의 군사 기술자이자 발명가인 니콜라 조제프 퀴뇨는 세계 최초의 증기 자동차 '파르디에 아 바페르'를 개발하여 자동차 역사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프랑스의 기계공학자 - 마크 이점바드 브루넬
    마크 이점바드 브루넬은 프랑스 태생의 영국 엔지니어로, 템스 터널 건설을 주도하고 터널 쉴드 공법을 개발했으며, 포츠머스 블록 제재소의 도르래 생산 자동화 기계를 설계하는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겨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고 기사 작위를 받았다.
  • 프랑스의 토목공학자 - 귀스타브 에펠
    프랑스의 토목기사이자 건축가인 귀스타브 에펠은 철골 구조 건축의 선구자로서 에펠탑 건설과 자유의 여신상 내부 구조 설계에 참여했으며, 후기에는 항공학 발전에도 기여했지만 파나마 운하 스캔들에 연루되기도 했다.
  • 프랑스의 토목공학자 - 장바티스트 비오
    프랑스의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장-바티스트 비오는 광학, 전자기학, 천문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고, 열기구 고고도 비행, 자오선 호 측량 사업 참여, 빛의 편광 연구를 통한 선광 현상 발견, 비오-사바르 법칙 발견, 운석의 우주 기원 규명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여러 학회에서 인정받았다.
  • 1843년 사망 - 로버트 사우디
    로버트 사우디는 1774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시인, 작가, 역사가로 활동했으며, 프랑스 혁명을 지지하다 보수주의로 전향하여 계관 시인으로 임명되었고, 넬슨 제독의 전기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 1843년 사망 - 노아 웹스터
    미국의 언어학자, 사전 편찬자, 교육자, 저술가이자 연방주의자였던 노아 웹스터는 미국 영어 표준화에 헌신하며 『영어 문법 연구소』와 『미국 영어 사전』을 통해 미국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고 미국식 철자법 대중화에 기여했다.
귀스타브 코리올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스파르-귀스타브 드 코리올리
가스파르-귀스타브 드 코리올리
이름가스파르-귀스타브 드 코리올리
출생1792년 5월 21일
출생지파리, 프랑스
사망1843년 9월 19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국적프랑스
학문 분야
분야수학, 물리학
연구 기관에콜 센트랄 파리
국립 토목학교
에콜 폴리테크니크
출신 대학에콜 폴리테크니크
알려진 업적코리올리 효과
미분 해석기
인테그래프
운동 에너지
참고 자료
참고막스 자머의 "힘의 개념" (1957)

2. 생애

귀스타브 코리올리는 1792년 파리에서 태어나 1843년 같은 도시에서 5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에콜 폴리테크니크와 국립토목학교에서 수학했으며, 뛰어난 수학적 재능을 보였다.

1816년 모교인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강사로 경력을 시작하여 마찰과 유체역학 연구를 수행했다. 1829년에는 에콜 상트랄 데 자르 에 마뉘팩튀르의 교수가 되었고, 같은 해 역학 교과서 ''Calcul de l'Effet des Machines''를 출판하여 운동 에너지의 관계를 명확히 했다. 이후 회전계에서의 에너지 전달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코리올리 힘의 개념을 제시했으며, 구의 충돌에 대한 수학적 연구도 발표했다.[2][3][4][5][6][7]

1836년 클로드 루이 나비에의 뒤를 이어 에콜 나시오날 데 퐁 에 쇼세 교수와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8] 1838년에는 피에르 루이 둘롱의 후임으로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연구소장(''Directeur des études'')이 되었다.

그의 이름은 사후 에펠탑에 새겨진 72개의 이름 중 하나로 등재되었다.

2. 1. 초기 생애

코리올리는 1792년 파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수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1808년 에콜 폴리테크니크 입학 시험에서 전체 응시생 중 2위를 차지했다. 이후 국립토목학교(École nationale des ponts et chaussées)에서도 수학했다. 1816년에는 모교인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강사가 되어 마찰과 유체역학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며 연구 경력을 시작했다.

2. 2. 학문 및 연구 활동

1816년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강사가 되어 마찰과 유체역학에 대한 실험을 수행했다.

1829년판 "''Du Calcul de L'Effet Des Machines''" 표지


1829년 에콜 상트랄 데 자르 에 마뉘팩튀르에서 역학 교수가 되었고, 같은 해 교과서 ''Calcul de l'Effet des Machines''("기계 효과 계산")을 출판했다. 이 책은 산업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역학을 제시했으며, 운동 에너지의 올바른 표현식인 ''½mv2''과 과의 관계를 확립했다.

이후 몇 년간 코리올리는 회전계에서의 운동 에너지와 일의 개념을 확장하는 연구에 몰두했다.[2] 그의 첫 관련 논문인 ''Sur le principe des forces vives dans les mouvements relatifs des machines''(기계의 상대 운동에서 운동 에너지 원리에 관하여)는 1832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Académie des Sciences)에 발표되었다.[3] 3년 뒤인 1835년에는 그의 이름을 널리 알린 논문 ''Sur les équations du mouvement relatif des systèmes de corps''(물체계의 상대 운동 방정식에 관하여)를 발표했다.[4] 이 논문들은 대기나 지구의 자전보다는 물레방아와 같은 회전계에서의 에너지 전달을 주로 다루었다. 코리올리는 회전 좌표계에서 감지되는 추가적인 힘을 논의하고 이를 두 범주로 나누었는데, 두 번째 범주에 속하는 힘이 훗날 그의 이름을 따 코리올리 힘으로 명명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Dugas의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5]

1835년에는 구의 충돌에 대한 수학적 연구인 ''Théorie Mathématique des Effets du Jeu de Billard''을 출판했으며, 이는 당구와 관련된 고전적인 연구로 평가받는다.[6][7]

1836년, 클로드 루이 나비에가 사망하자 그의 뒤를 이어 에콜 나시오날 데 퐁 에 쇼세의 응용 역학 교수직과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 자리를 계승했다.[8] 또한 같은 해에 1계 선형 상미분 방정식을 적분하는 기계 장치를 설계했는데, 이는 미분 해석을 기계화한 최초의 사례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9] 코리올리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서 운동량 보정 계수인 코리올리 수를 유도하기도 했다.

1838년에는 피에르 루이 둘롱의 뒤를 이어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연구소장(''Directeur des études'')이 되었다.

코리올리의 이름은 19세기 말 기상학 문헌에 등장하기 시작했지만, "코리올리 효과"라는 용어는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사용되었다. 오늘날 그의 이름은 기상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대기 순환과 압력 및 풍장 간의 관계에 대한 주요 발견들은 코리올리의 연구와는 별개로 이루어졌다.

1829년판 "''Du Calcul de L'Effet Des Machines''"


1829년판 "''Du Calcul de L'Effet Des Machines''"의 머리말 페이지


1829년판 "''Du Calcul de L'Effet Des Machines''"의 첫 페이지

2. 3. 사망

1843년 51세의 나이로 파리에서 사망했다. 그의 이름은 에펠탑에 새겨진 72개의 이름 중 하나이다.

3. 연구 업적

에콜 폴리테크니크 강사 시절부터 마찰과 유체역학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며 연구 경력을 시작했다. 그의 주요 연구 업적은 역학, 에너지 개념 정립, 회전 좌표계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1829년 출판한 교과서 Calcul de l'Effet des Machines|기계 효과 계산fra역학을 산업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했으며, 운동 에너지의 올바른 표현식(''½mv2'')과 과의 관계를 명확히 했다. 이는 이후 에너지 개념 발전에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이후 코리올리는 운동 에너지 개념을 회전 좌표계로 확장하는 연구에 집중하여, 1832년과 1835년에 관련 논문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 발표했다.[2][3][4] 이 연구 과정에서 그는 회전 좌표계에서 나타나는 추가적인 힘을 분석했으며, 이 중 하나가 훗날 그의 이름을 따 코리올리 힘(전향력)으로 명명되었다.[5] 비록 그의 초기 연구는 물레방아와 같은 기계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었으나,[4][5] 코리올리 효과는 훗날 기상학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1835년에는 구의 충돌에 대한 수학적 연구인 Théorie Mathématique des Effets du Jeu de Billard|당구 게임 효과의 수학적 이론fra을 출판했는데, 이는 해당 주제에 대한 고전으로 평가받는다.[6][7] 유체역학 분야에서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과 관련된 운동량 보정 계수, 즉 코리올리 수를 유도하기도 했다.[9]

1836년에는 1계 선형 상미분 방정식을 푸는 기계 장치를 설계했는데, 이는 미분 해석을 기계적으로 수행하려는 초기 시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9]

3. 1. 코리올리 효과

귀스타브 코리올리는 운동 에너지 개념을 회전 좌표계로 확장하는 연구를 진행했다.[2] 그는 회전 좌표계에서의 회전체 운동 방정식을 유도한 논문을 1831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 제출했으며, 1832년에는 '기계의 상대 운동에서 운동 에너지 원리에 관하여'(Sur le principe des forces vives dans les mouvements relatifs des machinesfra)라는 논문을 같은 아카데미에 발표했다.[3] 3년 뒤인 1835년에는 '물체계의 상대 운동 방정식에 관하여'(Sur les équations du mouvement relatif des systèmes de corpsfra)라는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논문으로 그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4]

이 논문들에서 코리올리는 회전 좌표계에서 감지되는 추가적인 힘에 대해 논의했으며, 이를 두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두 번째 범주에 해당하는 힘이 바로 오늘날 코리올리 힘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5] 그는 회전 좌표계에서 나타나는 관성력의 일종인 코리올리 힘(전향력)을 제창했다.

코리올리의 연구는 지구자전이나 대기 현상보다는 물레방아와 같은 회전 기계에서의 에너지 전달에 초점을 맞춘 것이었다.[4][5] 그의 이름이 기상학 문헌에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말이지만, '코리올리 효과'라는 용어가 사용된 것은 20세기 초부터이다. 오늘날 그의 이름은 기상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대기 대순환이나 기압, 바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주요 발견들은 코리올리의 연구와는 별개로 이루어졌다.

3. 2. 역학 및 에너지 개념



1829년, 코리올리는 교과서 ''Calcul de l'Effet des Machines''("기계 효과 계산")을 출판했는데, 이 책은 역학을 산업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시했다. 이 저술을 통해 그는 운동 에너지의 올바른 표현식인 ''½mv2''을 제시하고, 이것이 과 어떤 관계를 맺는지 명확히 확립했다. 이는 에너지 개념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이후 몇 년 동안 코리올리는 자신이 정립한 운동 에너지와 일의 개념을 회전하는 계(rotating system)로 확장하는 연구에 몰두했다.[2] 그의 첫 관련 논문인 ''Sur le principe des forces vives dans les mouvements relatifs des machines''(기계의 상대 운동에서 운동 에너지 원리에 관하여)[3]는 1832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Académie des Sciences)에 발표되었다. 3년 뒤인 1835년에는 그의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된 논문 ''Sur les équations du mouvement relatif des systèmes de corps''(물체계의 상대 운동 방정식에 관하여)를 발표했다.[4] 이 논문들은 주로 물레방아와 같은 회전 기계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전달을 다루었으며, 대기의 움직임이나 지구 자전 자체를 직접 다루지는 않았다. 코리올리는 이 연구들에서 회전 좌표계에서 관찰되는 추가적인 힘들을 분석하고 이를 두 가지 범주로 나누었는데, 두 번째 범주에 속하는 힘이 바로 훗날 코리올리 힘(전향력)으로 명명된 것이다.[5] 이처럼 그는 회전 좌표계에서 나타나는 관성력의 일종인 코리올리 힘을 이론적으로 제창하고, 역학 분야에서 일과 운동 에너지의 개념을 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3.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서 코리올리 수라고 불리는 운동량 보정 계수를 유도했다.[9]

4.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Concepts of Force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Inc.
[2] 서적 Science and Polity in France: The Revolutionary and Napoleonic Year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학술지 Sur le principe des forces vives dans les mouvements relatifs des machines
[4] 학술지 Sur les équations du mouvement relatif des systèmes de corps
[5] 서적 A History of Mechanics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6] 서적 Byrne's Advanced Technique in Pool and Billiards https://books.google[...] Harcourt Trade
[7] 서적 Théorie mathématique des effets du jeu de billard; suivi des deux celebres memoires publiés en 1832 et 1835 dans le ''Journal de l'École Polytechnique'': Sur le principe des forces vives dans les mouvements relatifs des machines & Sur les équations du mouvement relatif des systèmes de corps http://gallica.bnf.f[...] Éditions Jacques Gabay
[8] 서적 Convolutions in French Mathematics, 1800–1840: From the Calculus and Mechanics to Mathematical Analysis and Mathematical Physics https://books.google[...] Birkhäuser
[9] 학술지 Note sur un moyen de tracer des courbes données par des équations différentielles http://visualiseur.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