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칙 위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규칙 위성은 거대 행성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으로, 행성 주위 원반 내 물질의 응집이나 거대 충돌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순행 궤도, 작은 궤도 경사 및 이심률을 가지며, 궤도 공명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규칙 위성은 지질 활동, 대기, 자전 등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며, 특히 지하 해양을 가진 유로파, 타이탄, 엔셀라두스 등은 외계 생명체 탐사의 대상이 된다. 현재 유럽 우주국의 주스(Juice)와 NASA의 유로파 클리퍼(Europa Clipper)가 탐사 중이며, JAXA의 MMX, NASA의 드래곤플라이가 개발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규칙 위성 |
---|
2. 기원 및 궤도 특성
규칙 위성은 일반적으로 모체에 대해 작은 순행 궤도, 작은 궤도 경사 또는 궤도 이심률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은 기원과 모체와의 이후 조석 상호작용에 의해 크게 제한된다.[8] 원시 행성계 원반과 마찬가지로, 형성되는 행성을 둘러싼 유입 물질은 각운동량 보존으로 인해 행성의 적도에 맞춰 원반 형태로 평평해진다. 결과적으로, 행성 주위 원반에서 형성된 모든 위성은 행성의 적도와 대략적으로 같은 평면에서 공전한다. 미래의 섭동으로 인해 위성의 경사가 증가하더라도 조석 효과는 결국 이를 같은 평면 상태로 다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조석 원형화는 최소 에너지 상태인 원형 궤도 쪽으로 에너지를 소산시켜 규칙 위성의 이심률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이페리온의 특이하게 큰 이심률 궤도와 미란다의 특이하게 기울어진 궤도와 같이 이러한 궤도 특성에서 벗어나는 규칙 위성도 몇 개 있지만, 이러한 경우 궤도 이심률과 경사는 종종 증가하고 이후 인접한 위성과의 공명 상호작용에 의해 유지된다.[33][7]
궤도 공명은 규칙 위성계에서 흔히 나타나는 특징이며, 진화와 구조에서 중요한 측면이다. 이러한 공명은 참여하는 위성의 이심률과 경사를 자극하여 상당한 조석 가열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지질 활동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명백한 예는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가 참여하는 1:2:4 평균 운동 공명(MMR) 사슬로, 이오의 화산 활동과 유로파의 액체 지하 바다에 기여한다.[43] 궤도 공명과 근공명은 또한 안정화 및 양치기 메커니즘 역할을 하여, 명왕성의 작은 외부 위성의 경우와 같이 위성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밀집될 수 있도록 한다.[46] 소수의 규칙 위성이 토성의 시스템 내에서 테티스와 디오네의 네 개의 트로이 위성과 같은 다양한 공동 궤도에 참여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44]
고리 계 근처 또는 내부에 있는 규칙적인 위성은 중력적으로 근처 물질과 상호 작용하여 물질을 좁은 고리로 가두거나 고리 내부에 간극을 청소할 수 있는데, 이를 '양치기 위성'이라고 한다. 양치기 위성은 충돌로 인해 방출된 고리 물질의 직접적인 공급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 물질은 위성이 궤도 경로에 따라 포획할 수 있으며, 이는 토성의 야누스-에피메테우스 고리의 경우와 같다.[11]
2. 1. 형성
규칙 위성(Regular satellites)은 여러 가지 다른 형성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거대 행성의 규칙 위성은 일반적으로 행성의 형성 방식과 유사하게 행성 주위 원반 내의 물질이 모여 형성된 것으로 여겨지며, 작은 위성체로부터 점진적으로 성장했다. 거대 행성 주위에 여러 세대의 규칙 위성계가 형성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행성 주위 원반과의 상호 작용과 서로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부모 행성 안쪽으로 나선형으로 떨어지면서 사라졌다. 가스가 부모 행성으로 유입되기 시작하면 가스에 의한 이동 효과가 감소하여 최종 세대의 위성이 생존할 수 있게 된다.[38]반면에 지구의 달과 명왕성의 5개의 위성은 태양계 초기에 두 개의 원시 행성 간의 거대 충돌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충돌은 위성이 모여 형성될 수 있는 밀집된 잔해 원반을 궤도로 내보냈다.[40][39] 거대 충돌 모델은 또한 에리스의 위성인 디스노미아, 오르쿠스의 위성인 반스, 그리고 하우메아의 고리와 두 개의 위성을 포함한 다른 왜소 행성 위성계의 기원을 설명하는 데 적용되었다.[42] 거대 행성의 규칙 위성계와는 대조적으로, 거대 충돌은 유난히 거대한 위성을 낳을 수 있다. 카론과 명왕성의 질량비는 약 0.12이다.[42]
규칙 위성은 또한 충돌이나 조석 파괴로 인해 다른 규칙 위성의 파편이 되어 2차 파괴 사건에서 발생할 수 있다. 해왕성의 규칙 위성은 이의 예시일 가능성이 높은데, 트리톤(해왕성의 가장 큰 위성)의 포획은 기존의 원시 위성계를 심각하게 파괴했을 것이다. 트리톤이 조석력에 의해 낮은 이심률 궤도로 감쇠되자, 원시 위성의 파편은 해왕성의 현재 규칙 위성으로 다시 뭉쳐졌다.[47][48][49]
화성에 대한 광범위한 탐험에도 불구하고, 화성의 두 위성의 기원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포보스와 데이모스는 원래 인접한 소행성대에서 기원한 포획된 소행성으로 제안되었으며, 따라서 규칙 위성으로 분류되지 않을 것이다. 스펙트럼, 밀도 및 알베도 측면에서 C형 소행성과의 유사성은 이 모델을 더욱 뒷받침했다.[19]
그러나 포획 모델은 두 위성의 작고 낮은 이심률, 낮은 경사 궤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규칙 위성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포보스의 파편 더미 특성은 포획 기원을 더욱 반대하며, ''호프'' 궤도선에 의한 데이모스의 적외선 관측은 위성의 표면이 현무암질 조성으로, 화성 주변 기원과 더 일치한다는 것을 밝혀냈다.[45][18] 그 결과, 달을 형성했던 거대 충돌 시나리오와 유사한 포보스에 대한 '재활용' 모델을 포함하여 포보스와 데이모스의 ''제자리'' 형성에 대한 다양한 모델이 제안되어 기원과 현재 구성을 더 잘 설명한다.[45]
2. 2. 궤도 특성
규칙 위성은 일반적으로 모체에 대해 작은 순행 궤도, 작은 궤도 경사 또는 궤도 이심률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은 기원과 모체와의 이후 조석 상호작용에 의해 크게 제한된다. 거대 행성 위성계의 경우, 원시 행성계 원반과 마찬가지로, 형성되는 행성을 둘러싼 유입 물질은 각운동량 보존으로 인해 행성의 적도에 맞춰 원반 형태로 평평해진다.[8] 결과적으로, 행성 주위 원반에서 형성된 모든 위성은 행성의 적도와 대략적으로 같은 평면에서 공전한다. 미래의 섭동으로 인해 위성의 경사가 증가하더라도 조석 효과는 결국 이를 같은 평면 상태로 다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조석 원형화는 최소 에너지 상태인 원형 궤도 쪽으로 에너지를 소산시켜 규칙 위성의 이심률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이페리온의 특이하게 큰 이심률 궤도와 미란다의 특이하게 기울어진 궤도와 같이 이러한 궤도 특성에서 벗어나는 규칙 위성도 몇 개 있지만, 이러한 경우 궤도 이심률과 경사는 종종 증가하고 이후 인접한 위성과의 공명 상호작용에 의해 유지된다.[33][7]궤도 공명은 규칙 위성계에서 흔히 나타나는 특징이며, 진화와 구조에서 중요한 측면이다. 이러한 공명은 참여하는 위성의 이심률과 경사를 자극하여 상당한 조석 가열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지질 활동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명백한 예는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가 참여하는 1:2:4 평균 운동 공명(MMR) 사슬로, 이오의 화산 활동과 유로파의 액체 지하 바다에 기여한다.[43] 궤도 공명과 근공명은 또한 안정화 및 양치기 메커니즘 역할을 하여, 명왕성의 작은 외부 위성의 경우와 같이 위성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밀집될 수 있도록 한다.[46] 소수의 규칙 위성이 토성의 시스템 내에서 테티스와 디오네의 네 개의 트로이 위성과 같은 다양한 공동 궤도에 참여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44]
고리 계 근처 또는 내부에 있는 규칙적인 위성은 중력적으로 근처 물질과 상호 작용하여 물질을 좁은 고리로 가두거나 고리 내부에 간극을 청소할 수 있는데, 이를 '양치기 위성'이라고 한다. 양치기 위성은 충돌로 인해 방출된 고리 물질의 직접적인 공급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 물질은 위성이 궤도 경로에 따라 포획할 수 있으며, 이는 토성의 야누스-에피메테우스 고리의 경우와 같다.[11]
3. 물리적 특성
대부분의 규칙 위성은 모행성에 조석 고정되어 있지만, 몇 가지 예외가 있다. 토성의 위성 히페리온은 불규칙한 모양 때문에 타이탄의 중력적 영향을 받아 혼돈 자전을 보인다. 히페리온의 혼돈 자전은 타이탄과의 3:4 궤도 공명에 의해 더욱 촉진된다.[33] 명왕성의 네 개의 작은 쌍성 위성 역시 비슷하게 길쭉하며, 카론의 영향으로 혼돈 자전을 하고 일반적으로 매우 높은 자전축 기울기를 가진다.[34] 하우메아의 더 큰 외부 위성인 히이아카는 약 9.8시간의 매우 빠른 자전 주기를 보이는데, 이는 궤도 주기보다 약 120배 빠르다.[9]
이오, 유로파, 타이탄, 엔셀라두스와 같은 여러 규칙 위성들은 각각의 모행성으로부터의 조석 가열에 의해 유지되는 액체 물로 이루어진 전 지구적 지하 해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36][37]
규칙 위성에서 상당한 대기는 드문데, 이는 대부분의 규칙 위성의 크기가 비교적 작아 대기 유출률이 높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갈릴레이 위성은 모두 대기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의 희박한 대기는 주로 우주 풍화로 인해 얼음 표면에서 튀어나온 산소로 구성된다.[5][6][4] 이오의 대기는 화산 가스 방출에 의해 내생적으로 생성되며, 주로 이산화황(SO2)으로 구성된 얇은 대기를 만든다.[3][2] 타이탄은 질소가 주를 이루는 밀도가 높은 대기를 가지고 있으며 표면에는 안정적인 탄화수소 호수가 있다.
3. 1. 지질
중력으로 둥글게 될 만큼 충분히 큰 19개의 일반 위성 중, 여러 위성들이 지질 활동을 보이며, 훨씬 더 많은 위성들이 과거 활동의 흔적을 보이고 있다. 유로파, 타이탄, 엔셀라두스와 같은 여러 일반 위성들은 각각의 모행성으로부터의 조석 가열에 의해 유지되는 액체 물로 이루어진 전 지구적 지하 해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36][37] 이러한 지하 해양은 광범위한 극저온 화산 활동, 표면 갱신, 그리고 지각 변동을 포함한 다양한 지질 과정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위성의 표면으로 분출될 수 있는 '극저온 마그마'의 저장고 역할을 한다.[23][21]
이오는 특이한데, 거대 행성의 다른 대부분의 일반 위성들과는 달리, 이오는 암석질 조성이며 물이 거의 없다. 이오의 높은 수준의 화산 활동은 거대한 현무암 용암류를 분출하여 위성의 표면을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동시에 희박한 대기 중으로 많은 양의 황과 이산화황을 방출한다. 유로파와 같은 얼음 위성의 액체 물로 이루어진 지하 해양과 유사하게, 이오는 지각 아래에 규산염 마그마의 지하 해양을 가지고 있어 이오의 화산 활동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30][22]
3. 2. 대기
규칙 위성에서 상당한 대기는 드문데, 이는 대부분의 규칙 위성의 크기가 비교적 작아 대기 유출률이 높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여러 규칙 위성에서 더 얇은 대기가 감지되었으며, 갈릴레이 위성은 모두 대기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의 희박한 대기는 주로 우주 풍화로 인해 얼음 표면에서 튀어나온 산소로 구성된다.[5][6][4] 이오의 대기는 화산 가스 방출에 의해 내생적으로 생성되며, 주로 이산화황(SO2)으로 구성된 얇은 대기를 만든다. 이오의 표면 온도가 이산화황의 침착점보다 낮기 때문에, 방출된 물질의 대부분은 표면에 빠르게 얼어붙지만, 화산 가스 방출과 승화 중 어떤 것이 이오 대기의 지배적인 지원자인지는 불확실하다.[3][2]규칙 위성 중 하나인 타이탄은 질소가 주를 이루는 밀도가 높은 대기를 가지고 있으며 표면에는 안정적인 탄화수소 호수가 있다. 타이탄의 두껍고 흐린 대기, 표면, 그리고 '탄화수소 순환' 사이의 복잡한 상호 작용은 강에 의해 침식된 협곡과 범람원, 가능한 카르스트 지형과 유사한 지형, 광대한 적도 사구 등 많은 특이한 특징을 만들어냈다.[17][16]
3. 3. 자전
대부분의 일반적인 위성은 모행성에 조석 고정되어 있지만, 몇 가지 예외가 알려져 있다. 그러한 예외 중 하나는 토성의 히페리온으로, 불규칙한 모양 때문에 타이탄의 중력적 영향을 받아 혼돈 자전을 보인다. 히페리온의 혼돈 자전은 타이탄과의 3:4 궤도 공명에 의해 더욱 촉진될 수 있다.[33] 명왕성의 네 개의 작은 쌍성 위성 역시 비슷하게 길쭉하며, 카론의 영향으로 혼돈 자전을 하고 일반적으로 매우 높은 자전축 기울기를 가진다.[34] 하우메아의 더 큰 외부 위성인 히이아카는 광도 곡선 데이터를 통해 약 9.8시간의 매우 빠른 자전 주기를 보이는데, 이는 궤도 주기보다 약 120배 빠르다. 나마카의 결과는 덜 명확하여 더 느린 자전 주기 또는 극을 향한 구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궤도면에 대한 상당한 자전축 기울기를 가진다.[9]독특하게도 카론은 명왕성을 조석 고정시킬 만큼 충분히 커서, 카론은 명왕성의 한쪽 반구에서만 보이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인 상호 조석 고정 상태를 만든다. 이와 유사하게 에리스는 위성인 디스노미아에 조석 고정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위성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밀도를 나타낼 수 있다.[41]
3. 4. 모천체와의 상호작용
규칙 위성은 가깝게 위치하고 오랜 기간을 공유했기 때문에, 모행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달이 지구에 일으키는 해양 조수가 있다. 지구 역시 달에 조석 융기를 일으켜 조석 잠금을 유발하는 것처럼, 달 또한 지구에 조석 융기를 일으켜 국지적인 해수면의 상승과 하강으로 나타나며 대략적으로 일주기적으로 발생한다(하지만 지역 해안 지형에 따라 반일주기적 또는 복잡한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15]이오의 화산 활동은 목성과 극심한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이오의 궤도를 둘러싼 대략적인 토로이드 영역에 이오 플라스마 토러스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이오를 즉시 둘러싸는 황, 산소, 나트륨, 칼륨 원자의 중성 구름을 형성한다.[14] 플라스마 토러스에서 탈출하는 이온은 목성의 자기권의 원인이 되며, 내부에서 자기권을 팽창시키는 내부 압력을 생성한다.[13] 목성의 강한 자기장은 이오의 대기 및 관련된 중성 구름과 목성의 극지방 상층 대기로 연결되는 강렬한 플럭스 튜브를 형성하여 강렬한 오로라 빛 영역을 생성한다.[14] 이와 유사하지만 훨씬 약한 플럭스 튜브가 다른 갈릴레이 위성들과도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4. 탐사
외부 태양계의 규칙 위성은 내부에 많은 양의 액체 물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과학자들은 외계 생명체를 찾기 위한 대상으로 이 위성들에 주목하고 있다. 지하 바다는 복잡한 유기 화학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유로파의 바다에서 다양한 염류가 간접적으로 탐지되고, 엔셀라두스의 플룸(물기둥)에서 유기 화합물과 사이안화 수소가 발견되면서 더욱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50][32][28][26]
이에 따라, 여러 규칙 위성의 내부 바다가 실제로 어떤 모습인지, 그리고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인지 알아보기 위한 탐사선 임무들이 제안되고 발사되었다.[31][29]
4. 1. 현재 진행 중인 임무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은 유럽 우주국(ESA)이 개발 및 발사한 임무로,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를 연구하고 각 위성의 지하 바다를 조사할 계획이다. Juice는 현재 목성으로 향하고 있다.[27]
- 유로파 클리퍼(Europa Clipper)는 현재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개발 중인 임무로, 유로파의 내부와 간헐천 활동을 더 잘 조사하기 위해 유로파를 44회 통과할 예정이다.[20] 이 우주선은 2024년 10월에 발사되었으며, 현재 목성으로 향하고 있다.[1]
4. 2. 개발 중인 임무
-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개발 중인 화성 위성 탐사(MMX)는 샘플 반환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 탐사선은 2026년에 발사하여 2027년에 화성에 도착, 포보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표면 샘플을 채취하여 2031년까지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다. MMX의 주요 목표는 화성 위성들의 기원과 역사를 더 잘 밝혀내는 것이다.[10]
- NASA가 개발 중인 드래곤플라이는 타이탄의 복잡한 대기와 지상 화학 연구를 위해 로봇 회전익기를 타이탄 표면에 보낼 계획이다.[25] ''드래곤플라이''는 현재 2028년 7월 발사가 계획되어 있다.[12]
참조
[1]
웹사이트
NASA launches Europa Clipper on mission toward Jupiter moon
https://www.nbcnews.[...]
2024-10-14
[2]
논문
A Comprehensive Numerical Simulation of Io's Sublimation-Driven Atmosphere
2010
[3]
논문
Mid-infrared detection of large longitudinal asymmetries in Io's {{chem|SO|2}} atmosphere
http://www.boulder.s[...]
2024-04-03
[4]
논문
Atmosphere of Callisto
[5]
웹사이트
Hubble Finds Oxygen Atmosphere on Jupiter's Moon, Europa
http://hubblesite.or[...]
2022-05-13
[6]
웹사이트
Hubble Finds Thin Oxygen Atmosphere on Ganymede
https://web.archive.[...]
NASA
2017-02-17
[7]
논문
Surfaces of Section in the Miranda-Umbriel 3:1 Inclination Problem
1994-06
[8]
논문
Accretion discs in astrophysics
1981
[9]
논문
The Short Rotation Period of Hiʻiaka, Haumea's Largest Satellite
2016-12
[10]
웹사이트
MMX - Martian Moons eXploration
https://www.mmx.jaxa[...]
2023-12-26
[11]
웹사이트
NASA Finds Saturn's Moons May Be Creating New Rings
https://saturn.jpl.n[...]
Jet Propulsion Lab
2017-12-20
[12]
웹사이트
NASA postpones Dragonfly review, launch date
https://spacenews.co[...]
2023-11-28
[13]
논문
A nebula of gases from Io surrounding Jupiter
2002
[14]
서적
Io after Galileo
Springer-Praxis
2007
[15]
웹사이트
Types and causes of tidal cycles
http://oceanservice.[...]
U.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16]
논문
Conditions for aeolian transport in the Solar System
https://www.nature.c[...]
2023-12-15
[17]
웹사이트
River networks on Titan point to a puzzling geologic history
https://web.mit.edu/[...]
MIT Research
2012-07-24
[18]
뉴스
EMM unveils new Deimos observations at EGU23, extends mission
https://www.sharjah2[...]
2024-01-23
[19]
웹사이트
New Views of Martian Moons
http://www.physorg.c[...]
2011-04-02
[20]
웹사이트
Europa Clipper
https://www.jpl.nasa[...]
NASA (JPL)
2019-01-02
[21]
논문
Resurfacing history of Europa from pole-to-pole geological mapping
2004-02
[22]
서적
Io after Galileo
Springer-Praxis
2007
[23]
웹사이트
Cassini Spots Potential Ice Volcano on Saturn Moon
http://saturn.jpl.na[...]
NASA
2019-01-02
[24]
웹사이트
Should Large Moons Be Called 'Satellite Planets'?
http://news.discover[...]
Discovery News
2010-05-14
[25]
간행물
Dragonfly: Exploring Titan's Prebiotic Organic Chemistry and Habitability
https://www.hou.usra[...]
2018-04-05
[26]
논문
Sodium chloride on the surface of Europa
2019-06-12
[27]
웹사이트
ESA—Selection of the L1 mission
http://planetary.s3.[...]
ESA
2012-04-17
[28]
웹사이트
Cassini Tastes Organic Material at Saturn's Geyser Moon
http://www.nasa.gov/[...]
2008-03-26
[29]
논문
Thermal drill sampling system onboard high-velocity impactors for exploring the subsurface of Europa
[30]
논문
Imaging of volcanic activity on Jupiter's moon Io by Galileo during the Galileo Europa Mission and the Galileo Millennium Mission
2001
[31]
웹사이트
Life in Our Solar System? Meet the Neighbors
https://exoplanets.n[...]
NASA
2023-03-30
[32]
논문
Detection of HCN and diverse redox chemistry in the plume of Enceladus
https://www.nature.c[...]
2023-12-15
[33]
논문
The chaotic rotation of Hyperion
1984
[34]
웹사이트
NASA's Hubble Finds Pluto's Moons Tumbling in Absolute Chaos
https://www.nasa.gov[...]
2015-10-25
[35]
논문
Turbulent Drag at the Ice-Ocean Interface of Europa in Simulations of Rotating Convection: Implications for Nonsynchronous Rotation of the Ice Shell
2023
[36]
논문
The Tides of Titan
[37]
논문
Enceladus's measured physical libration requires a global subsurface ocean
[38]
서적
Origin of Europa and the Galilean Satellite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2008
[39]
논문
A giant impact origin for Pluto's small natural satellites and satellite multiplicity in the Kuiper belt
2006
[40]
논문
Oxygen isotopic evidence for vigorous mixing during the Moon-forming giant impact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6-01-29
[41]
논문
Tidally locked rotation of the dwarf planet (136199) Eris discovered from long-term ground based and space photometry
[42]
논문
Early formation of moons around large trans-Neptunian objects via giant impacts
2019
[43]
논문
Tidal Evolution into the Laplace Resonance and the Resurfacing of Ganymede
http://www.lpl.arizo[...]
2008-01-22
[44]
논문
S/2004 S 5: A new co-orbital companion for Dione
2005-12
[45]
논문
Exploring the Recycling Model of Phobos Formation: Rubble-pile Satellites
2023-04
[46]
논문
A Pluto-Charon Sonata: The Dynamical Architecture of the Circumbinary Satellite System
2019-01-28
[47]
논문
Triton Kidnap Caper
2006-09
[48]
논문
A dynamical history of the inner Neptunian satellites
1992-10
[49]
논문
Neptune's story
1989
[50]
논문
Abundant phosphorus expected for possible life in Enceladus's ocean
2022-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