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에 대한 해부학 용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근육에 대한 해부학 용어는 근육의 종류, 운동, 형태, 명명법, 그리고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을 설명한다. 근육은 골격근, 내장근, 심장근으로 분류되며, 무늬와 수의성에 따라 세분된다. 골격근은 뼈에 연결되어 운동과 자세 유지를 돕고, 내장근은 소화 및 비뇨기계 기능에 관여하며, 심장근은 심장에 특화되어 있다. 근육의 운동은 주동근, 길항근, 협동근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이루어지며, 근육 섬유의 방향에 따라 방추형, 단깃형, 겹깃형으로 분류된다. 근육은 크기, 모양, 작용, 위치, 방향, 머리 수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명명되며, 근비대와 근위축은 근육의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부학 용어 - Terminologia Anatomica
Terminologia Anatomica는 1998년에 출판된 해부학 용어집으로, 라틴어를 공식 용어로 사용하며 해부학적 구조를 5개 부분으로 분류한다. - 해부학 용어 - SNOMED CT
SNOMED CT는 1965년 병리학 명명법에서 시작되어 헬스케어 절차를 특징짓고 기록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범주화하는 의료 용어 체계이며, 311,000개 이상의 개념을 포함하고 전자건강기록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SNOMED International에서 관리된다. - 근육 - 호흡근
호흡근은 횡격막, 늑간근, 보조 호흡근으로 구성되어 호흡 작용에 관여하며, 손상 시 질병 및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호흡 재활로 기능 회복이 가능하다. - 근육 - 근육계
근육계는 골격근, 심장근, 평활근으로 구성되어 힘을 내고 몸의 균형, 자세 유지, 움직임, 체온 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인체의 조직 시스템이며, 액틴과 마이오신 필라멘트의 상호 작용을 통해 수축하고, 근육영양증과 같은 질병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해부학 - 유방
유방은 여성의 가슴에 있는 기관으로, 모유를 생산하여 신생아에게 영양을 공급하며, 엽과 소엽으로 구성되고, 크기와 모양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르며, 유방암 발생 부위이자 문화적 상징으로서의 의미도 가진다. - 해부학 - 자궁
자궁은 여성 골반 내에 위치한 배 모양의 생식 기관으로, 수정란 착상과 태아 발달을 담당하며 자궁저부, 자궁체부, 자궁협부, 자궁경부의 네 부분과 자궁내막, 자궁근층, 자궁외막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임신과 여성 생식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다양한 질병에 취약하다.
근육에 대한 해부학 용어 | |
---|---|
개요 | |
근육 종류 | 골격근 평활근 심장근 |
조절 | 자발적 (골격근) 비자발적 (평활근, 심장근) |
주요 기능 | 운동 자세 유지 열 생산 기타 기능 |
골격근 | |
부착 | 뼈에 힘줄을 통해 부착 |
조절 | 의식적인 조절 가능 |
현미경적 특징 | 가로무늬 존재 |
수축 속도 | 빠름 |
피로 | 쉽게 피로해짐 |
평활근 | |
위치 | 내장 기관 벽, 혈관 벽 |
조절 | 비자발적 조절 (자율신경계) |
현미경적 특징 | 가로무늬 없음 |
수축 속도 | 느림 |
피로 | 피로에 강함 |
심장근 | |
위치 | 심장 벽 |
조절 | 비자발적 조절 (자율신경계) |
현미경적 특징 | 가로무늬 존재, 사이원반 존재 |
수축 속도 | 중간 |
피로 | 피로에 매우 강함 |
근육 작용 | |
주동근 (agonist) | 특정 운동을 주도하는 근육 |
대항근 (antagonist) | 주동근의 반대 작용을 하는 근육 |
협력근 (synergist) | 주동근의 작용을 돕는 근육 |
고정근 (fixator) | 운동 시 안정성을 제공하는 근육 |
근육 명명법 | |
크기 | Maximus (최대) Minimus (최소) Longus (긴) Brevis (짧은) |
모양 | Deltoideus (삼각근) Rhomboideus (마름근) Trapezius (등세모근) |
작용 | Flexor (굽힘근) Extensor (폄근) Abductor (벌림근) Adductor (모음근) Levator (올림근) Depressor (내림근) Supinator (뒤침근) Pronator (엎침근) |
부착 위치 | Sternocleidomastoideus (흉쇄유돌근) |
방향 | Rectus (곧은근) |
머리 개수 | Biceps (두갈래근), Triceps (세갈래근), Quadriceps (네갈래근) |
근육 질환 | |
근육 질환 종류 | 근육병증 근위축증 근염 섬유근통 |
2. 종류
근육은 무늬와 수의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무늬에 따라 분류할 경우 골격근과 심장근은 가로무늬근육(횡문근)으로, 내장근은 민무늬근육(평활근)으로 분류된다.
수의성에 따라 분류할 경우 골격근은 수의근, 내장근과 심장근은 불수의근으로 분류된다.
2. 1. 골격근 (Skeletal muscle)
골격근은 주로 힘줄로 뼈에 연결되는 가로무늬근육(횡문근) 조직이다. 골격근은 뼈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자세 유지를 돕는다.[15] 힘줄을 당기는 근육의 가장 넓은 부분을 '''힘살'''(근복, 배, belly)이라고 한다.2. 2. 내장근 (Smooth muscle)
민무늬근육(평활근)은 불수의근이며 의식적인 의도 없이 작용을 전달하는 신체 부위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유형의 근육 조직은 대부분 소화기계와 비뇨기계에서 발견되는데, 소화기관에서는 음식, 키메, 대변을 밀어내고, 비뇨기계에서는 소변을 밀어낸다. 민무늬근은 자궁에서 출산을 돕고, 눈에서는 동공괄약근이 동공 크기를 조절하는 데에도 사용된다.[3]2. 3. 심장근 (Cardiac muscle)
심장에 특화되어 있는 근육 조직이다. 움직임은 불수의적이며, 외부 자극 없이 수축하는 자극 생성 능력이 있다.[4] 가로무늬근육(횡문근)으로 분류되지만, 수의성에 따라서는 불수의근으로 분류된다.3. 골격근의 운동
근육이 만들어내는 운동을 설명하는 운동 해부학 용어뿐만 아니라, 근육 집합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고유한 용어가 사용된다.
참고: 굴곡과 신전
움직임을 유발하거나 억제하는 근육을 주동근과 길항근이라고 한다.[5]
"팔꿈치 신전근"은 덤벨을 들어 올리는 단계와 내리는 단계 모두에서 길항근이다. 덤벨을 들어 올리는 단계에서는 길어지고, 내리는 단계에서는 짧아진다. 여기서 근육 그룹(예: 팔꿈치 굴곡근)에 수축하는 동안 생성하는 관절 운동을 기반으로 이름을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 명명 규칙은 단축하는 동안만 주동근임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골격근의 기능을 설명한다.[7]
3. 1. 주작용근 (Agonists), 대항근 (Antagonists)
주작용근은 '주동근'(agonist)으로도 불리며, 반대로 작동하는 근육은 대항근(길항근, antagonist)이라고 불린다. 주작용근과 대항근은 짝을 이뤄서 작동한다.주동근은 대부분의 힘을 생성하고 작용을 제어하기 때문에 '주동자'라고도 불린다.[6] 주동근은 자신의 활성화를 통해 움직임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완 삼두근은 팔굽혀펴기(팔꿈치 신전)의 올리는 단계에서 단축(동심성) 수축을 통해 수축한다. 팔굽혀펴기의 내리는 단계에서 동일한 상완 삼두근은 신장(원심성) 수축을 생성하면서 팔꿈치 굴곡을 능동적으로 제어한다. 이완하는 동안 중력에 저항하면서 상완 삼두근은 관절 운동의 주동자 또는 조절자 역할을 계속하기 때문에 여전히 주동근이다.
또 다른 예는 팔꿈치에서의 덤벨 컬이다. 팔꿈치 굴곡근 그룹은 주동근이며, 들어올리는 단계(팔꿈치 굴곡)에서 짧아진다. 내리는 단계 동안 팔꿈치 굴곡근은 길어지고, 부하와 움직임(팔꿈치 신전)을 제어하기 때문에 주동근으로 남아 있다.
길항근은 주동근에 반대되는 관절 토크를 생성하는 근육이다.[8] 이 토크는 움직임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반대 토크는 움직임을 늦출 수 있으며, 특히 탄도 운동의 경우에 그렇다. 예를 들어, 다트를 던지는 것과 같이 팔꿈치의 매우 빠른(탄도) 이산 운동 동안 상완 삼두근은 팔꿈치에서 신전 운동을 빠르게 가속화하기 위해 매우 짧고 강하게("버스트") 활성화된 다음, 팔꿈치 운동을 빠르게 멈추기 위해 팔꿈치 굴곡근을 활성화하는 "버스트"가 거의 즉시 뒤따른다.
길항 작용은 특정 근육 또는 근육 그룹의 고유한 특성이 아니다. 현재 어떤 근육이 주동근인지에 따라 근육이 수행하는 역할이 달라진다. 팔굽혀펴기 동안 상완 삼두근을 예로 들면, 팔꿈치 굴곡근은 움직임의 올리는 단계와 내리는 단계 모두에서 팔꿈치의 길항근이다. 덤벨 컬 동안 팔꿈치 신전근은 들어올리고 내리는 단계 모두에 대한 길항근이다.[8]

길항근과 주동근은 종종 '길항근 쌍'이라고 불리는 쌍으로 존재한다. 한 근육이 수축하면 다른 근육은 이완된다. 길항근 쌍의 예로는 상완이두근과 상완삼두근이 있다. 팔을 들어 올리려면 상완삼두근이 이완되는 동안 상완이두근이 수축해야 한다.
그러나 근육이 항상 이런 식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주동근과 길항근이 동시에 수축하여 힘을 생성하기도 하는데, 이는 롬바르드의 역설에 따른다. 또한, 주동근에 의해 제어되는 관절 동작 중에 길항근이 자연스럽게 약간 활성화되기도 한다. 모든 근육이 짝을 이루는 것은 아니며, 삼각근이 예외 중 하나이다.[9]
3. 2. 협동근 (Synergists)

'''협동근'''은 관절 주위에서 작용하여 주동근의 작용을 돕는다. 협동근은 주동근의 힘에 대응하거나 중화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중화근'''이라고도 한다.[10] 중화근은 주동근에서 생성된 과도한 움직임을 상쇄하거나 중화하여 생성된 힘이 원하는 운동 평면 내에서 작동하도록 돕는다.
근육 섬유는 완전히 늘어난 길이의 최대 40%까지만 수축할 수 있다. 따라서 깃털근의 짧은 섬유는 수축 범위보다 힘이 필요한 경우에 더 적합하다. 이러한 수축 범위의 제한은 모든 근육에 영향을 미치며, 여러 관절에 걸쳐 작용하는 근육은 동시에 모든 관절에서 완전한 운동 범위를 생성할 만큼 충분히 짧아지지 못할 수 있다(능동적 불충분, 예를 들어 손목을 굽힌 상태에서는 손가락을 완전히 굽힐 수 없다). 마찬가지로, 반대 근육은 이러한 움직임이 일어나도록 충분히 늘어나지 못할 수도 있다(수동적 불충분). 이러한 두 가지 이유로, 이 유형의 동작에서는 다른 협력근을 사용하여 특정 관절을 고정하여 다른 관절이 효과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주먹을 꽉 쥘 때 손가락을 완전히 굽히는 동안 손목을 고정하는 것이다. 협력근은 고정 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근육이다.
"보조 협력근"과 "진정한 협력근"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진정한 협력근은 원치 않는 관절 작용을 중화할 뿐인 근육인 반면, 보조 협력근은 원치 않는 작용을 중화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작용도 돕는 근육이다.
4. 내장근의 운동
민무늬근은 불수의근이며 의식적인 의도 없이 작용을 전달하는 신체 부위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유형의 근육 조직 대부분은 소화기계와 비뇨기계에서 발견되며, 여기서 음식, 키메, 대변을 앞으로 밀어내고, 소변을 배출한다. 민무늬근은 자궁에서 출산을 돕고, 눈에서는 동공괄약근이 동공 크기를 조절하는 데에도 관여한다.[3]
5. 근육의 형태 (Form)
5. 1. 이는곳 (Origin)과 닿는곳 (Insertion)
근육의 "이는곳"(기시점, origin, fixed end)은 뼈이며 보통 몸쪽(proximal)이고, "닿는곳"보다 더 큰 질량을 가지고 있고, 수축 때 더 안정적이다.[12] 예를 들어 넓은등근(latissimus dorsi muscle)의 "이는곳"은 몸통(torso)이고, "닿는곳"은 팔(arm)이다. 보통 "먼쪽"(distal, 여기선 팔)이 "몸쪽"보다 더 작은 질량을 가지고있기 때문에 먼쪽이 움직인다.근육의 "닿는곳" (부착점, insertion, mobile end)은 근육에 부착되고 근육의 수축에 의해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 지점이다.[12] "닿는곳"은 뼈, 힘줄, 또는 피부 밑 진피 결합 조직이다.[12] "닿는곳"은 보통 힘줄을 통한 뼈에의 근육의 연결이다. 뼈인 "닿는곳"은 근육의 수축 동안 "이는곳"보다 먼쪽(distal)이고, 가볍고, 더 많이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5. 2. 근섬유 (Muscle fibers)
근육은 근섬유가 근육 구조에서 뻗는 방향에 따라 설명될 수 있다.- 방추형 근육은 근육의 길이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섬유를 가지며 방추형이다. 예를 들어, 앞팔의 원회내근이 있다.
- 단깃형 근육은 깃털 펜처럼 근육의 한쪽 전체 길이를 따라 섬유가 뻗어 있다. 예를 들어, 종아리근이 있다.
- 겹깃형 근육은 반대 대각선 방향을 향하는 두 줄의 사선 근육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의 힘줄에서 수렴한다. 겹깃형 근육은 더 큰 생리학적 단면적으로 인해 단깃형 근육과 방추형 근육보다 더 강력하다. 겹깃형 근육은 단깃형 근육보다 덜 짧아지지만, 그렇게 될 때 더 큰 장력을 발생시켜 더 큰 힘을 발휘하지만 운동 범위는 줄어든다. 일반적으로 깃털 근육도 쉽게 피로해진다. 겹깃형 근육의 예로는 넙다리 네갈래근과 중이의 등골근이 있다.[1]
6. 근육의 명명 (Muscle naming)
근육의 명명에는 크기, 모양, 작용, 위치, 방향 및 머리 수와 관련된 여러 용어가 사용된다.
- 크기별:
- ''brevis''(브레비스)는 짧음을 의미한다.
- ''longus''(롱거스)는 긺을 의미한다.
- ''major''(메이저)는 큼을 의미한다.
- ''maximus''(맥시머스)는 가장 큼을 의미한다.
- ''minor''(마이너)는 작음을 의미한다.
- ''minimus''(미니머스)는 가장 작음을 의미한다.
- 이러한 용어는 둔근(gluteus maximus) 및 둔근 최소근(gluteus minimus)과 같이 특정 근육 뒤에 자주 사용된다.[11]
- 모양별:
- ''deltoid''(델토이드)는 삼각형을 의미한다.
- ''quadratus''(쿼드라투스)는 네 면을 가짐을 의미한다.
- ''rhomboideus''(롬보이데우스)는 마름모꼴 모양을 의미한다.
- ''teres''(테레스)는 둥글거나 원통형을 의미한다.
- ''trapezius''(트라페지우스)는 사다리꼴 모양을 의미한다.
- ''rectus''(렉투스)는 곧음을 의미한다.
- 예로는 원회내전근(pronator teres), 사각회내근(pronator quadratus) 및 복직근(rectus abdominis)이 있다.[11]
- 작용별:
- ''외전근(abductor)''은 정중선에서 멀어지는 움직임이다.
- ''내전근(adductor)''은 정중선으로 향하는 움직임이다.
- ''하강근(depressor)''은 아래로 움직이는 움직임이다.
- ''거상근(elevator)''은 위로 움직이는 움직임이다.
- ''굴곡근(flexor)''은 각도를 감소시키는 움직임이다.
- ''신전근(extensor)''은 각도를 증가시키거나 펴는 움직임이다.
- ''회내근(pronator)''은 엎드린 자세로 움직임이다.
- ''회외근(supinator)''은 반듯이 누운 자세로 움직인다.[11]
- ''내회전근(Internal rotator)''은 몸쪽으로 회전한다.
- ''외회전근(external rotator)''은 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7. 복합근 (Composite muscle)
복합근 또는 혼성근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섬유질이 두 개 이상이며,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섬유질 집합에 대해 서로 다른 신경의 지배를 받는 근육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혀는 종축근, 횡단근, 수평근 등 다양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복합근이며, 이들은 각각 다른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8. 근육의 상태
근육의 상태와 관련된 용어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근비대와 근위축 등이 이에 해당한다.
8. 1. 근비대 (Hypertrophy)와 근위축 (Atrophy)
근비대는 개별 근육 세포의 크기 증가로 인한 근육 크기 증가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운동의 결과로 발생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keletal Muscle
http://global.britan[...]
[2]
논문
Additional muscular slip of the flexor digitorum longus muscle to the fifth toe
https://link.springe[...]
2021-05-13
[3]
웹사이트
Smooth Muscle
http://global.britan[...]
[4]
웹사이트
Cardiac Muscle
http://global.britan[...]
[5]
웹사이트
Interactions of skeletal muscles their fascicle arrangement and their lever-systems
https://opentextbc.c[...]
2021-05-10
[6]
서적
Human anatomy
McGraw-Hill
2011
[7]
서적
Essentials of Strength Training and Conditioning
National Strength and Conditioning Association
[8]
간행물
Deep Tendon Reflexes
http://www.ncbi.nlm.[...]
Butterworths
2024-02-19
[9]
논문
Neural Circuits
https://www.ncbi.nlm[...]
Sinauer Association
[10]
웹사이트
9.6C: How Skeletal Muscles Produce Movements
https://med.libretex[...]
2018-07-19
[11]
서적
Human anatomy
McGraw-Hill
2011
[12]
서적
Fundamentals of Anatomy and Physiology, 5th Ed.
Prentice Hall
[13]
웹사이트
Definition of INTRINSIC
https://www.merriam-[...]
2021-05-07
[14]
웹사이트
Definition of EXTRINSIC
https://www.merriam-[...]
2021-05-07
[15]
웹사이트
Skeletal Muscle
http://global.brit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