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근친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근친애는 가족 구성원 간의 애정을 의미하며, 근친상간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감정적 요소와 실제 행동은 별개로 구분되어야 한다. 근친애에 대한 관점은 정신분석학, 사회문화적 관점, 한국 사회의 관점 등 다양하며, 억압된 감정의 발현, 성 혁명과 어린이의 성 해방 등 여러 논쟁이 존재한다. 윌리엄 워즈워스와 도로시 워즈워스, 프리드리히 니체와 엘리자베트 푀르스터-니체, 너새니얼 호손과 엘리자베스 호손 등 역사적으로 근친애와 유사한 감정을 보여준 사례들이 존재하며, 문학 작품에서도 근친애적 묘사가 나타난다. 현대 사회에서는 법적, 윤리적 문제와 함께 한국 사회의 현황과 과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랑 - 동성애
    동성애는 동성 간의 성적 매력, 행위, 애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LGBT와 같은 포괄적인 용어가 사용되며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동성애자 권리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사랑 - 플라토닉 러브
    플라토닉 러브는 성적 요소 없이 깊은 애정과 우정을 나누는 관계를 뜻하며, 플라톤의 에로스 개념에서 시작되었으나 르네상스 시대 이후 비성적 이성애적 사랑으로 재해석되어 현대에는 깊은 유대감, 특히 퀴어플라토닉 관계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사랑과 우정의 경계가 모호하고 한국 사회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개념이다.
  • 인간 관계 - 동성애
    동성애는 동성 간의 성적 매력, 행위, 애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LGBT와 같은 포괄적인 용어가 사용되며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동성애자 권리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인간 관계 - 연인
    연인은 서로 사랑하는 관계를 뜻하며, 일본어의 '이모세', '오모히비토', '애인'과 영어의 'boyfriend', 'girlfriend', 'steady' 등 다양한 표현이 존재하지만, '아베크'는 점차 사용되지 않는 추세이다.
근친애
근친애
근친상간 인식 리본
근친상간 인식 리본
일반 정보
정의가족 구성원 간의 성적 관계
관련 용어근친상간
법률 및 사회적 관점
법적 지위많은 국가에서 불법
사회적 낙인광범위하게 존재
원인 및 위험 요소
잠재적 원인권력 불균형
사회적 고립
정신 질환
건강 위험유전 질환 증가
심리적 영향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증
자살 충동
유형
가족 내 근친애부모-자녀, 형제자매 간의 성적 학대
친족 간 근친애사촌, 삼촌/이모-조카/질녀 간의 성적 관계
사회 및 문화적 측면
역사적 맥락다양한 문화권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
문화적 금기대부분의 문화권에서 강력한 금기로 간주
예방 및 개입
예방 전략아동 보호 교육
가족 관계 강화
정신 건강 지원
개입 방법심리 치료
법적 조치
사회적 지원

2. 근친애와 근친상간의 개념

근친상간과 흔히 동일시되지만, 소아성애와 아동 성학대가 동일하지 않은 것처럼 감정적인 요소와 실제 행동은 별개이므로 두 단어의 의미는 서로 구분되어야 한다. 근친애는 일종의 판타지로서의 요소가 있으며, 이에 대해 여러 가지 논의가 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근친애 감정이 억압된 것이 자아의 성장을 촉진한다고 주장했다. 오토 로젠필드는 오이디푸스 전설에 동성애 테마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지적하며, 동성애에 대한 터부가 근친애에 대한 터부로 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2. 1. 근친상간

근친상간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감정적인 요소와 실제 행동은 별개이기에 두 단어의 의미는 구분되어야 한다. 근친애는 일종의 판타지로서의 요소가 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근친애 감정이 억압된 것이 자아의 성장을 촉진한다고 주장했다.

근친상간에 해로움이 없다는 주장도 있다. 특히 알프레드 찰스 킨제이의 시대에 일어난 성혁명(性革命)을 지지하는 입장이 그렇다. 이들은 근친상간이 어린이의 성 해방이라고 주장하였다. 킨제이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여성 4441명 중 24%가 어린 시절 성적 학대를 받았고, 근친자에 의한 성적 학대는 5.5%, 부친 혹은 의붓아버지에 의한 학대는 1.0%였다. 그러나 이 보고는 축소된 것으로, 실제로는 더 많은 경우가 있었지만, 대상 연령을 낮춰 발생률을 의도적으로 낮춘 것이다. 킨제이 보고는 무작위 조사가 아니었고, 표본 선정에 치우침이 있어 실제 발생률은 더 높았다.

미국에서는 킨제이의 동료 워델 프로메이가 1976년 '포럼'지에 근친상간 터부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77년에는 '펜트하우스'지에 사회학자 필립 노벨의 인터뷰가, 1978년에는 에드워드 헤버의 의논이 '허슬러(Hustler)'지에 실렸다. 헤버는 근친상간 제재 법률 철폐를 주장했다. 하지만 주디스 허먼(Judith Herman)은 현실에서 근친상간의 후유증이 많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3. 근친애에 대한 다양한 관점

근친상간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감정적인 요소와 실제 행동은 별개이기에 두 단어의 의미는 서로 구분되어야 한다. 근친애는 일종의 판타지로서의 요소가 있으며, 이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가 있다.

킨제이 시대에 일어난 성혁명을 지지하는 입장은 근친상간에 해로움이 없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근친상간이 어린이의 성 해방이라고 주장하였다. 킨제이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여성 4441명 중 24%가 어린 시절에 성적 학대를 받았고, 근친자에 의한 성적 학대는 5.5%, 부친 혹은 의붓아버지에 의한 학대는 1.0%였다. 이 보고는 실상보다 축소된 것으로, 실제로는 어린 시절 성인으로부터 성적인 접근을 받은 경우가 8할 이상이었으나, 대상 연령을 하향조정하여 발생율을 의도적으로 낮춘 것이다. 킨제이 보고는 무작위 조사가 아니었고, 표본 선정에 상당한 치우침이 있었기에 실제 발생율은 훨씬 높았지만, 이는 킨제이 본인도 놀랄 정도의 결과여서 주위를 납득시킬 목적이었다고 한다.[4]

미국에서는 킨제이의 동료인 워델 프로메이가 1976년에 '포럼'지에 근친상간 터부를 재인식할 필요를 역설했다. 1977년에는 '펜트하우스'지에 사회학자 필립 노벨의 인터뷰가 게재되었는데, 어린이의 성 해방이 문제라고 주장하였다. 1978년에는 에드워드 헤버가 '허슬러'지에 근친상간을 제재하는 법률의 철폐를 주장하는 글을 기고했다. 하지만 주디스 허먼은 현실에서 근친상간이 있는 경우 후유증이 남는 경우가 많다며 이러한 움직임에 반대했다.

3. 1. 정신분석학적 관점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근친애 감정이 억압된 것이 자아의 성장을 촉진한다고 주장했다. 오토 로젠필드는 오이디푸스 전설에 동성애 테마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지적하며, 동성애에 대한 터부가 근친애에 대한 터부로 변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3. 2. 사회문화적 관점

근친상간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감정적인 요소와 실제 행동은 별개이기에 두 단어의 의미는 서로 구분되어야 한다. 근친애는 일종의 판타지로서의 요소가 있고, 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논이 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근친애 감정이 억압된 것이 자아의 성장을 촉진한다고 주장했다. 오토 로젠필드는 오이디푸스의 전설에 동성애의 테마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지적하여, 동성애에 대한 터부가 근친애에 대한 터부로 변한 것을 지적한다.

근친상간에 해로움이 없다는 주장도 있다. 특히 알프레드 찰스 킨제이 시대에 일어난 성혁명을 지지하는 입장이 그렇다. 이러한 사람들의 경우, 근친상간은 어린이의 성 해방이라고 주장하였다. 킨제이 보고서에 의하면, 4441명의 조사 대상 여성 중 24%가 어린 시절에 성적 학대를 받았었고, 근친자에 의한 성적 학대는 5.5%, 부친 혹은 의붓아버지에 의한 학대는 1.0%에 달했다고 조사되었다.

미국에서는 킨제이의 동료인 워델 프로메이가 1976년에 '포럼'지에 근친상간 터부를 재인식할 필요를 역설했다. 1977년에는 '펜트하우스'지에 사회학자 필립 노벨에 의한 인터뷰가 게재되었다. 문제는 어린이의 성 해방이라는 것이었다. 1978년에는 에드워드 헤버에 의한 의논이 '허슬러'지에 실렸다. 헤버는 근친상간을 제재하는 법률의 철폐를 주장했다. 하지만 주디스 허먼은 이러한 움직임을 반대했다. 왜냐하면, 현실에서 근친상간이 있는 경우 후유증이 남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다이애나 러셀은 형제자매 간의 성교나, 부녀 간의 성교도 미국 내에서 항상 비난받는다고 할 수 없게 되었으며, 형제자매나 사촌끼리 비착취적인 성관계를 맺는 경우나, 당사자가 긍정적이거나 좋든 싫든 받아들이는 경우가 존재한다고 지적하고 있다[4].

4. 사례 연구

사쿠라바 카즈키는 쿠라하시 유미코의 『성녀』 해설에서 소년은 살인자가 됨으로써 현실을 초월하려 하는 반면, 소녀는 근친상간으로 속물인 어른들의 머리 위를 넘어가려고 한다고 말했다.[12] 시부사와 타츠히코는 근친상간은 더없이 감미로운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떨쳐버릴 수 없다고 고백한 뒤, 그 이유에 대해 상대방 안에 자신의 자기애를 투입하고 게다가 그것을 자신의 눈으로 볼 수 있다는 유토피아적 상황을 상상해버리기 때문이 아닐까 했다.[13]

4. 1. 윌리엄 워즈워스와 도로시 워즈워스

윌리엄 워즈워스와 그의 여동생 도로시 워즈워스는 남매 이상의 깊은 사랑을 나누었다. 도로시가 6세에 오빠와 떨어져 숙모 댁에서 자랐지만, 편지를 통해 서로를 향한 애틋한 마음을 표현했다. 윌리엄은 스위스 여행 중 여동생에게 "이 멋진 경치를 너와 함께 즐길 수 있다면"이라고 썼다. 1793년 도로시의 편지에는 "나의 첫 남자친구이자 가장 사랑하는 오빠 윌리엄만큼 나를 강하게 묶어주는 사랑은 없다"는 열정적인 표현이 담겨 있다.[5]

1794년 재회한 남매는 호수 지방을 여행했다. 도로시는 8년 후 일기에 "오빠와 둘이서 걸었기에 이 길이 너무 좋다"라고 적었다.[5] 1802년 윌리엄이 메리와 결혼할 때, 도로시는 결혼식 전날 오빠의 결혼 반지를 끼고 있었다. 결혼식 당일 윌리엄은 도로시에게서 받은 반지를 다시 그녀의 손가락에 끼워주며 키스했다. F.W. 베이트슨은 윌리엄의 작품 '루시 포엠'을 언급하며 "워즈워스가 여동생과 서로 사랑하고 있음을 자각한 후, 근친상간의 감정을 억누르려 했지만, 잠재의식 속에 영원히 남았다"고 분석했다.[5]

4. 2. 프리드리히 니체와 엘리자베트 푀르스터-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여동생 엘리자베트 푀르스터-니체와 어릴 때부터 사이가 좋았다. 니체는 엘리자베트에게 "사실 나는 항상 네 생각을 하고 있고, 얼마 전 둘이 함께 보냈던 일을 꿈에서도 본다"라는 편지를 보냈다.[6] 엘리자베트는 니체를 존경하면서도 강한 독점욕을 보였고, 니체가 루 살로메 등 다른 여성들과 친하게 지내는 것에 질투했다.[6] 엘리자베트가 오빠에게 집착한 것은 그녀가 여러 청혼을 거절한 이유 중 하나로 여겨지며,[7] 엘리자베트는 니체에게 보낸 편지에서 "미혼으로 끝난다 해도, 저를 나쁘게 생각하지 말아주세요. 그리고 제가 나이가 들어도 부디 저를 계속 사랑해주세요"라고 썼다.

니체가 바젤 대학교 교수로 있을 때, 남매는 3년 반 동안 함께 살았는데, 이 모습은 "일종의 남매혼"으로 평가받았다.[8] 엘리자베트는 소설가를 꿈꾸며 단편 소설을 썼는데, 그 내용은 주변 인물들을 암시하는 듯했고, 니체를 연상시키는 인물이 엘리자베트를 연상시키는 인물과 결혼하는 결말은 근친상간적 환상을 암시한다고 한다.[9] 엘리자베트는 니체가 정신 질환을 앓은 후에도 1891년에 니체로부터 남매의 유대감을 강조하는 편지를 받았다고 주장했고, 니체가 죽기 직전에도 자신을 엘리자베트라고 불렀다고 주장했다. 1951년에는 니체와 엘리자베트가 성적 관계였다고 묘사하는 니체의 저작이라고 하는 『여동생과 나』라는 책이 출판되었다.[10]

4. 3. 너새니얼 호손과 엘리자베스 호손

너새니얼 호손의 외가 4대 조상인 니콜라스 매닝은 두 여동생과 성적인 관계를 맺었다. 호손 자신도 누나 엘리자베스 호손과 남매 이상의 감정적 고착을 보였다. 이와타 츠요시는 엘리자베스가 평생 독신으로 지낸 점, 남동생을 사랑하고 숭배한 점, 그리고 남동생의 결혼 상대를 증오한 점 등을 들어 엘리자베스에게 근친상간적 감정이 있었다고 분석한다[11]

4. 4. 문학 작품 속 근친애

윌리엄 워즈워스와 그의 여동생 도로시 워즈워스는 남매 이상의 깊은 애정을 주고받았다. 윌리엄은 스위스 여행 중 여동생에게 편지를 보내 함께 경치를 감상하고 싶다고 했고, 도로시는 오빠를 "가장 사랑하는 남자 친구"라고 불렀다.[5] 1802년 윌리엄의 결혼식 날, 도로시는 윌리엄에게 반지를 건넸지만, 윌리엄은 도로시의 손가락에 다시 반지를 끼워주며 축복했다.[5] F.W. 베이트슨은 윌리엄의 작품 '루시 포엠'을 언급하며, 윌리엄이 여동생에 대한 사랑을 자각하고 근친상간의 감정을 억누르려 했다고 분석했다.[5]

프리드리히 니체와 그의 여동생 엘리자베트 푀르스터-니체는 사이가 좋았고, 엘리자베트는 니체에게 강한 독점욕을 보였다.[6] 엘리자베트는 니체가 다른 여성과 친하게 지내는 것을 질투했으며,[6] "미혼으로 끝난다 해도 저를 나쁘게 생각하지 말아주세요"라는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7] 니체가 바젤 대학교 교수였을 때, 남매는 3년 반 동안 함께 생활했는데, 이는 "일종의 남매혼"으로 평가받았다.[8] 엘리자베트는 단편 소설에서 니체를 연상시키는 인물과 결혼하는 결말을 썼는데, 이는 근친상간의 환상을 암시한다고 한다.[9]

너새니얼 호손의 외가 조상 니콜라스 매닝은 두 여동생과 성적인 관계를 맺었고, 호손 자신도 누나 엘리자베스에게 남매 이상의 감정을 느꼈다. 이와타 츠요시는 엘리자베스가 평생 독신으로 남동생을 사랑하고 숭배했으며, 남동생의 결혼 상대를 증오했다는 점에서 근친상간적 감정이 있었다고 분석한다.[11]

사쿠라바 카즈키는 쿠라하시 유미코의 『성녀』 해설에서 소녀는 근친상간으로 어른들을 넘어서려 한다고 말했다.[12] 시부사와 타츠히코는 근친상간이 매우 달콤하다는 고정관념을 떨칠 수 없으며, 그 이유는 상대방에게 자신의 자기애를 투영하고 그것을 볼 수 있다는 유토피아적 상황을 상상하기 때문이라고 했다.[13]

스탕달은 자전적 소설 『앙리 브릴라르의 생애』에서 어머니 앙리에트에게 연정을 품었으며, 어머니의 알몸을 보거나 유방에 키스하고 싶어했다고 썼다.[14]

5. 현대 사회의 논쟁

근친상간과 근친애는 흔히 동일시되지만, 감정과 실제 행동은 별개이므로 구분되어야 한다. 근친애는 일종의 판타지로서의 요소가 있으며, 이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가 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근친애 감정이 억압된 것이 자아의 성장을 촉진한다고 주장했다. 오토 로젠필드는 오이디푸스 전설에 동성애의 테마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지적하여, 동성애에 대한 터부가 근친애에 대한 터부로 변한 것을 지적했다.

5. 1. 성 혁명과 어린이의 성 해방

알프레드 찰스 킨제이 시대에 일어난 성 혁명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근친상간에 해로움이 없다고 주장하며, 어린이의 성 해방이라고 주장하였다.[4] 킨제이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여성 4441명 중 24%가 어린 시절 성적 학대를 받았고, 이 중 근친자에 의한 학대는 5.5%, 부친이나 의붓아버지에 의한 학대는 1.0%였다. 그러나 이 보고서는 축소된 것으로, 실제로는 8할 이상의 어린이가 성인으로부터 성적인 접근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 킨제이 보고서는 무작위 조사가 아니었고 표본 선정에 치우침이 있어 실제 발생률은 더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4]

미국에서는 킨제이의 동료인 워델 프로메이가 1976년 '포럼'지에 근친상간 터부를 재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77년에는 '펜트하우스'지에 사회학자 필립 노벨의 인터뷰가 게재되었고, 1978년에는 에드워드 헤버가 '허슬러'지에 근친상간 제재 법률 철폐를 주장하는 글을 실었다. 그러나 주디스 허먼은 현실에서 근친상간으로 인한 후유증이 남는 경우가 많다며 이러한 움직임에 반대했다.[4] 다이애나 러셀은 형제자매나 부녀 간의 성교가 미국 내에서 항상 비난받는 것은 아니며, 비착취적이거나 당사자가 긍정적인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4]

5. 2. 법적, 윤리적 문제

근친상간에 해로움이 없다는 주장도 있다. 특히 알프레드 찰스 킨제이 시대에 일어난 성혁명(性革命)을 지지하는 입장이 그렇다. 이러한 사람들의 경우, 근친상간은 어린이의 성 해방이라고 주장하였다. 킨제이 보고서에 의하면, 4441명의 조사대상 여성 중 24%가 어린 시절에 성적 학대를 받았었고, 근친자에 의한 성적 학대는 5.5%, 부친 혹은 의붓아버지에 의한 학대는 1.0%에 달했다고 조사되었다. 심지어 이 보고는 실상보다 축소된 것으로, 실제로 어린 시절 성인으로부터 성적인 접근을 받았던 경우는 8할 이상이었다.[4]

미국에서는 킨제이의 동료인 워델 포로메이가 1976년에 "포럼"지에서 근친상간 금기를 재검토할 필요성을 주장했으며, 1977년에는 "펜트하우스"지에서 사회학자 워렌 파렘의 필립 노벨에 의한 인터뷰가 실려, 문제는 아이의 성 해방이라는 논지를 펼쳤다. 1978년에는 이와 유사한 에드워드 헤바르에 의한 논의가 "허슬러"지에 실렸으며, 헤바르는 근친상간을 위법으로 하는 법률의 철폐를 주장했지만, 주디스 허먼과 같이 실제 사례에서 후유증이 남는 경우가 많다고 비판하는 논자도 있었다.

참조

[1]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図詳事典 北星堂書店 1994
[2] 웹사이트 恋するフランス文学 http://www.keio-up.c[...]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14-02-26
[3] 웹사이트 すべての愛がゆるされる島 https://web.archive.[...] アスキー・メディアワークス 2011-10-09
[4] 서적 シークレット・トラウマ IFF出版部ヘルスワーク協会 2002
[5] 서적 ワーズワスと妹ドロシー―「グラスミアの我が家」への道 音羽書房鶴見書店 2008
[6] 서적 ニーチェの妹エリーザベト―その実像 同学社 2009
[7] 서적 ニーチェと女性たち 鞭を越えて 風濤社 2015
[8] 서적 ニーチェの妹エリーザベト―その実像 同学社 2009
[9] 서적 ニーチェの妹エリーザベト―その実像 同学社 2009
[10] 서적 エリーザベト・ニーチェ ニーチェをナチに売り渡した女 白水社 1994
[11] 서적 文豪ホーソンと近親相姦 愛育社 2012
[12] 서적 聖少女 新潮社 1981
[13] 서적 少女コレクション序説 中央公論新社 1985
[14] 서적 アンリ・ブリュラールの生涯 岩波書店 197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