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킨제이 보고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킨제이 보고서는 알프레드 킨제이가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발표한 일련의 보고서로, 인간의 성행동에 대한 대규모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한다. 록펠러 재단의 지원을 받아 18,000건의 인터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1948년 《남성의 성생활》, 1953년 《여성의 성생활》이 출간되었다. 보고서는 동성애를 포함한 다양한 성적 행동에 대한 통계를 제시하고 킨제이 척도를 통해 성적 지향성을 분류했다. 킨제이 보고서는 성에 대한 대중의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쳤지만, 방법론적 문제와 연구 윤리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한국 사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책 - 교회 교의학
    교회 교의학은 칼 바르트가 기독교 신학의 역사와 교회의 신조, 종교 개혁가들의 신학 연구를 바탕으로 집필한 저서로, 하나님의 말씀, 하나님, 창조, 화해에 대한 교리를 다루며, 기독교 신앙을 나치즘 이데올로기에 동화시키려는 시도에 대한 신학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 1948년 책 - 데일 카네기 자기관리론
    데일 카네기 자기관리론은 걱정을 다루고, 평화로운 정신 상태를 유지하며, 행복과 성공을 얻기 위해 오늘 하루에 집중하고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갖는 방법을 제시하는 자기 계발 서적이다.
  • 인간의 성에 관한 책 - 성의 역사
    미셸 푸코의 『성의 역사』는 서구 사회의 성에 대한 담론과 실천의 역사적 변천을 분석하며, 성적 억압 가설을 비판하고 성과학의 발전과 권력의 연관성을 탐구하여 성적 규율의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하는 저서이다.
  • 인간의 성에 관한 책 - 제2의 성
    시몬 드 보부아르가 1949년에 발표한 《제2의 성》은 여성이 사회적으로 만들어지는 과정과 여성 억압의 기원 및 영향에 대한 탐구를 담은 책으로, 페미니즘 운동과 이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일부 한계와 번역 오류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1948년 논픽션 책 - 문학이란 무엇인가?
    장폴 사르트르의 문학론인 《문학이란 무엇인가?》는 산문과 운문의 차이를 통해 글쓰기의 본질을 탐구하고 작가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산문은 사회적, 정치적 맥락과 연결된 기호로서 작가의 의도를 전달하는 수단이라고 주장한다.
  • 1948년 논픽션 책 - 국가 간의 정치
    국가 간의 정치는 한스 모겐소가 국제 정치를 권력 투쟁으로 규정하고 국가 권력의 요소와 제한 방법, 세계 평화 실현 방안 등을 제시하며 국제 관계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하는 저서이다.
킨제이 보고서
개요
제목킨제이 보고서
원제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 (남성의 성 행동)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여성의 성 행동)
저자앨프레드 킨제이
워델 B. 포머로이
클라이드 E. 마틴
폴 H. 게바드
출판사W. B. Saunders
출판 연도1948년 (남성)
1953년 (여성)
내용
주제인간의 성행동
연구 방법설문 조사
인터뷰
주요 내용남성과 여성의 다양한 성적 행동 및 경험
성적 지향의 연속성 (킨제이 척도)
사회적 통념과 실제 성 행동 간의 차이
영향
사회적 영향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에 기여
성 연구의 기반을 마련
논쟁과 비판을 불러일으킴
관련 도서Handbook of Human Sexuality (인간 성행동 핸드북)
기타
ISBN978-0-253-33412-1 (남성)
978-0-253-33411-4 (여성)

2. 연구 배경 및 방법

1930년대 인디애나대학교 교수였던 킨제이는 당시 성(性)에 관한 학문적 연구 결과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록펠러 재단의 후원을 받아 관련 연구를 시작했다. 킨제이 보고서가 나오기 전, 미국 사회에서 개인의 성 행동에 대한 대규모의 체계적인 설문 조사는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물론 클레리아 듀얼 모셔가 빅토리아 시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적이 있었고, 해블록 엘리스마그누스 히르슈펠트 같은 학자들이 성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기도 했지만, 킨제이처럼 방대한 양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려는 시도는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

킨제이는 수십 년간의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학문적 명성을 쌓았으며, 이를 토대로 대규모 연구를 위한 지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의 연구는 총 18,000건에 달하는 인터뷰를 통해 진행되었는데, 이는 당시로서는 매우 큰 규모였다. 데이터는 주로 인터뷰 진행자가 미리 암기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는 주관적 보고서 방식의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다.[6] 응답자의 기밀 유지를 위해 응답 내용은 특수한 부호(코드)로 기록되었으며,[6] 이후 컴퓨터를 이용해 데이터를 처리했다. 연구에 사용된 원본 자료들은 현재 킨제이 연구소에서 자격을 갖춘 연구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2. 1. 초기 연구

미국 사회에서 성 행동에 대한 설문 조사는 킨제이 이전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클레리아 듀얼 모셔가 빅토리아 시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선례가 있었다. 또한, 해블록 엘리스마그누스 히르슈펠트 같은 연구자들이 성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기도 했으나, 이들은 킨제이와 달리 양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려는 시도는 하지 않았다.

2. 2. 킨제이의 연구 방법

킨제이는 수십 년간의 연구를 통해 학문적 명성을 쌓았고, 대규모 성(性) 행동 분석을 위해 록펠러 재단의 지원을 받았다. 그의 연구는 당시로서는 전례 없는 규모로 진행되었으며, 총 18,000건의 인터뷰가 이루어졌다.

데이터 수집은 주로 주관적 보고서(subjective report) 방식의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인터뷰 진행자들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미리 암기하여 사용했으며, 응답 내용은 응답지에 직접 표시되지 않았다.[6] 응답자의 기밀 유지를 위해, 응답 내용은 미리 정의된 기호를 사용하여 빈 격자(grid) 형태의 시트에 부호화(인코딩)되었다.[6] 수집된 데이터는 이후 컴퓨터를 이용해 처리되었다.

미국 사회에서 성 행동에 대한 양적 설문 조사는 킨제이 이전에는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 비록 클레리아 듀얼 모셔(Clelia Duel Mosher)가 빅토리아 시대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적이 있고, 해블록 엘리스(Havelock Ellis)와 마그누스 히르슈펠트(Magnus Hirschfeld) 같은 연구자들이 질적 연구를 수행했지만, 킨제이처럼 대규모 양적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킨제이 연구의 원본 자료(연구자의 노트 포함)는 킨제이 연구소를 통해 자격을 갖춘 연구자들에게 제공되며, 연구소는 통계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도 지원한다.

3. 주요 연구 결과

1930년대 인디애나대학교 교수였던 킨제이는 성(性)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록펠러 재단의 후원을 받아 관련 연구를 시작했다.

1948년, 5,300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를 담은 첫 보고서 《남성의 성생활》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남성의 동성애 경험이 예상보다 흔하다는 점을 시사하며[7] 당시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1953년에는 5,940명의 여성을 조사한 두 번째 보고서 《여성의 성생활》이 나왔다. 이 두 보고서를 통해 킨제이는 인간의 성적 지향이 단순한 이분법이 아닌 연속적인 스펙트럼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킨제이 척도 개념을 제시했다.

킨제이 보고서는 출간 즉시 큰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당시 금기시되던 여성의 성을 직접적으로 다루면서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 되었고, 비난 여론 속에 록펠러 재단이 연구 지원을 중단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킨제이 보고서는 사회 계층 간 성 문화의 차이를 드러내고, 이성애와 금욕만이 정상이라는 통념에 도전하며 동성애 등 다양한 성적 지향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연구 방법론과 결과 해석에 대한 비판도 꾸준히 제기된다. 표본 선정의 편향성 문제, 일회적 경험을 성적 지향과 연결하는 방식, 타고난 성적 지향을 후천적 경향성으로 해석할 여지를 남겼다는 점 등이 주요 비판 지점이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점들이 오히려 성적 지향에 대한 오해나 편견을 강화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3. 1. 성적 지향

킨제이 보고서는 인간의 성적 지향에 대한 이해를 넓힌 중요한 연구로 평가받으며, 특히 일반 인구 중 동성애 비율을 추정할 때 자주 인용된다. 이 보고서는 성적 지향을 단순히 이성애, 양성애, 동성애의 세 범주로 나누는 대신, 0점(완전한 이성애)부터 6점(완전한 동성애)까지 7단계로 구성된 킨제이 척도를 도입하여 성적 지향이 연속적인 스펙트럼 위에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남성의 37%가 최소 한 번 이상 쾌락을 동반한 동성애 경험을 했으며,[7] 10%는 특정 기간(16세~55세 사이 최소 3년) 동안 거의 또는 완전히 동성애적 성향을 보였다(킨제이 척도 5~6점).[9] 여성의 경우, 20세에서 35세 사이 여성 중 2~6%가 거의 또는 완전히 동성애적 경험/반응을 보였고,[11] 같은 연령대 미혼 여성의 1~3%는 완전히 동성애적 성향(킨제이 척도 6점)을 나타냈다.[12]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동성애가 극소수에게만 해당된다는 당시의 사회적 통념에 도전하며, 성적 지향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킨제이 보고서는 이성애와 금욕만이 정상적이고 도덕적이라는 규범적 시각에서 벗어나 성(性)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이해를 촉구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킨제이 보고서가 일회적인 동성 경험을 동성애 범주에 포함하거나, 타고난 성적 지향을 후천적 경향성으로 해석하는 등 연구 방법론과 결과 해석에 한계가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3. 1. 1. 킨제이 척도

킨제이 척도는 한 개인의 이성애동성애 성향의 전반적인 균형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척도이다. 이는 단순히 성적 행동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성적 반응까지 포함하여 평가한다.[13] 척도는 0점에서 6점까지 총 7개의 등급으로 나뉘며, 0점은 완전한 이성애자를, 6점은 완전한 동성애자를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X' 등급은 "사회적-성적 접촉이나 반응이 없는" 경우를 나타내며,[13] 일부 학자들은 이를 무성애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14]

이 척도는 킨제이, 워델 포메로이 등이 1948년에 출판한 《인간 남성의 성적 행동》(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에서 처음 제시되었으며, 1953년의 후속 연구인 《인간 여성의 성적 행동》(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척도를 소개하면서 킨제이는 인간의 성적 지향이 단순히 이성애와 동성애라는 두 가지 범주로 나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 연속적인 개념임을 강조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 "남성은 이성애자와 동성애자, 두 개의 별개 집단을 나타내지 않는다. 세상은 양과 염소로 나뉘어지지 않는다. 자연은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 별개의 범주를 다루지 않는다는 것이 분류학의 기본이다 [...] 살아있는 세계는 모든 측면에서 연속성을 가진다."

: "배타적인 이성애적 역사와 배타적인 동성애적 역사 사이의 단계적 연속성을 강조하면서, 각 역사에서 이성애적 및 동성애적 경험이나 반응의 상대적 양을 기반으로 할 수 있는 일종의 분류법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였다... 개인은 삶의 각 기간에 대해 이 척도의 위치를 할당받을 수 있다. [...] 7점 척도는 실제로 존재하는 많은 단계적 변화를 보여주는 데 더 가깝다."[15]

킨제이 척도의 각 등급별 설명은 다음과 같다.

평가설명
0전적으로 이성애자
1주로 이성애자, 부수적으로 동성애자
2주로 이성애자, 부수적인 것 이상으로 동성애자
3이성애와 동성애가 동등함 (양성애)
4주로 동성애자, 부수적인 것 이상으로 이성애자
5주로 동성애자, 부수적으로 이성애자
6전적으로 동성애자
X사회 성적 접촉 또는 반응 없음



킨제이 보고서에 따르면, 20세에서 35세 사이의 백인 남성 중 11.6%가 이 기간 동안 킨제이 척도 3등급(이성애와 동성애가 동등함)에 해당했다.[16][52][8] 여성의 경우, 같은 연령대의 미혼 여성 중 7%, 그리고 기혼 경험이 있는 여성 중 4%가 3등급으로 평가되었다.[17][53][10] 또한 20세에서 35세 사이 여성 중 2~6%는 5등급(주로 동성애자, 부수적으로 이성애자)에 해당했으며,[18][54][11] 같은 연령대의 미혼 여성 중 1~3%는 6등급(전적으로 동성애자)으로 나타났다.[19][55][12]

3. 1. 2. 킨제이 척도에 따른 분포

킨제이 보고서는 인간의 성적 지향을 이성애, 양성애, 동성애의 세 가지 범주 대신 7점 척도인 킨제이 척도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세에서 35세 사이의 백인 남성 중 11.6%가 킨제이 척도 3등급(양성애)에 해당했다.[52][8] 또한, 연구에 참여한 미국 남성의 10%는 16세에서 55세 사이에 최소 3년 동안 킨제이 척도 5~6등급(주로 또는 완전한 동성애)에 해당했다.[9]

여성의 경우, 20세에서 35세 사이 미혼 여성의 7%와 기혼 여성의 4%가 같은 기간 동안 킨제이 척도 3등급(양성애)에 해당했다.[53][10] 같은 연령대 여성의 2~6%는 척도 5등급(주로 동성애)에 해당했으며,[54][11] 미혼 여성의 1~3%는 척도 6등급(완전한 동성애)에 해당했다.[55][12]

3. 2. 혼외 성관계

킨제이는 모든 기혼 남성의 약 50%가 결혼 생활 중 혼외 성관계를 경험한 것으로 추정했다.[21] 표본 집단 여성의 경우, 26%가 40대에 혼외 성관계를 경험했으며, 26세에서 50세 사이 여성 중에서는 6명 중 1명에서 10명 중 1명꼴로 혼외 성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22]

그러나 킨제이가 1년 이상 함께 산 커플을 "기혼"으로 분류하여 혼외 성관계 통계를 집계했기 때문에, 이 수치가 실제 혼인 관계에서의 혼외 성관계 비율보다 부풀려졌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23][24]

3. 3. 기타 성적 행동

여성의 62%, 남성의 92%는 자위 경험이 있다.

여성의 12%, 남성의 22%는 사디즘이나 마조히즘적인 이야기에 성적인 반응을 보였다.

여성의 55%, 남성의 50%는 물리는 행위에 성적으로 반응한다고 보고했다.[25] 물린 행위에 대한 반응은 다음과 같다.

성적 반응여성남성
확실하거나 빈번함26%26%
어느 정도 반응29%24%
없음45%50%



(사례 수: 여성 2200명, 남성 567명)[25]

보고서는 수간을 경험한 미국 시민의 수를 약 800만 명으로 추산했다.[26]

4. 비판

킨제이 보고서는 출간 이후 성에 대한 사회적 담론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동시에 여러 측면에서 비판에 직면했다. 주요 비판점은 연구의 방법론과 성적 지향에 대한 해석에 집중되었다.

통계적 측면에서는 표본 선정 방식의 문제점, 즉 무작위 표집 미시행, 특정 집단(수감자, 남성 매춘부 등)의 과대 대표로 인한 표본 편향, 금기 주제 인터뷰 응답자의 자기 선택 편향 가능성 등이 지적되며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27]

또한, 성적 지향의 정의와 해석 방식도 비판 대상이다. 이성애자의 일회적 동성 경험을 동성애 범주에 포함하거나 양성애 영역을 과장했다는 지적이 있으며, 성적 지향을 타고난 특성보다 후천적 경향으로 보는 시각이 동성애 혐오를 고착화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이러한 학문적 비판 외에도, 보고서가 당시 사회적 금기였던 여성의 성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면서 큰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초기 연구를 후원했던 록펠러 재단이 지원을 중단하는 사태까지 벌어지기도 했다.

4. 1. 통계적 방법론 문제

킨제이 보고서의 통계는 출판 당시부터 현재까지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여러 비판을 받았다.[27] 킨제이는 초기에 더 방대한 연구를 계획했으며 1948년에 출간된 첫 보고서를 중간 결과물로 여겼지만, 많은 학자는 보고서 작성 과정에서 표본 선정 방식과 그로 인한 표본 편향 문제를 지적했다.[27]

주요 비판점은 다음과 같다.

  • 무작위 표집 미사용: 연구진은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하지 않았다. 이는 통계적 일반화의 기본 원칙에 어긋나 연구 결과를 전체 인구에 적용하기 어렵게 만든다.[27]
  • 특정 집단 과대 대표: 표본의 상당 부분이 교도소 수감자 집단(약 25%)과 남자 매춘부(약 5%) 등 특정 사회 집단에서 편중되어 수집되었다.[27] 이러한 집단은 일반 인구와 다른 성적 경험을 가질 가능성이 높아 표본의 대표성을 심각하게 훼손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 자기 선택 편향: 성(性)과 같이 사회적으로 금기시되는 주제에 대해 인터뷰에 자발적으로 응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인터뷰 참여 의사 자체가 특정 성향을 가진 사람들을 표본으로 끌어들여 결과에 편향을 일으켰을 수 있다.[27]


이러한 문제점들은 보고서 출간 직후부터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1948년, 미국 통계 협회의 위원회는 보고서의 표본 추출 절차를 공식 비판했다. 이 위원회에는 저명한 통계학자 존 투키도 포함되었는데, 그는 킨제이와의 회의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3~5개의 표본이 킨제이가 수집한 수백 개의 표본보다 낫다"고 강하게 비판했다고 알려졌다.[28] 당시 유명한 심리학에이브러햄 매슬로 등도 금기시되는 정보를 면접을 통해 수집하는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1954년에는 윌리엄 젬멜 코크란, 프레더릭 모스텔러, 존 투키, W. O. 젠킨스 등 당대의 주요 통계학자들이 미국 통계 협회를 통해 킨제이의 첫 번째 보고서(남성 편)에 대한 상세한 비판을 발표했다. 그들은 보고서의 자극적인 주장 중 상당수가 제시된 데이터에 근거하지 않거나 근거가 불분명하고, 결론 도출 방식이 지나치게 단정적이어서 과학적 글쓰기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29]

킨제이 본인은 이러한 비판에 대해, 성 연구의 민감한 특성상 무작위 표집을 시도할 경우 높은 거부율로 인해 현실적으로 연구 진행이 불가능하다고 반박했다.[34] 그는 특정 인구 하위 집단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무작위 표집보다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34]

이러한 비판에 대응하여 킨제이의 후임자이자 공동 저자인 폴 게브하르트는 논란의 소지가 있는 데이터를 정제하는 작업을 했다. 그는 특히 교도소 수감자 집단에서 얻은 자료를 표본에서 제외하는 등[31](게브하르트는 킨제이와 함께 연구할 당시에도 이 문제에 대해 우려를 표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32])의 노력을 했다. 1979년, 게브하르트는 앨런 B. 존슨과 함께 정제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는데[48], 놀랍게도 기존 킨제이 보고서의 주요 결과와 큰 차이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예를 들어, 동성애 경험이 있는 남성의 비율은 킨제이의 37%에서 36.4%로, 특정 기간 동안 거의 동성애자로 지낸 남성의 비율은 10%에서 9.9%(백인, 대학 교육 남성 기준) 또는 12.7%(교육 수준 낮은 남성 기준)로 소폭 조정되는 데 그쳤다.[33][48]

이 결과에 옹호 측은 킨제이의 연구 방법이 결과적으로 타당했음을 보여준다고 해석했지만, 비판 측은 여전히 표본 자체가 성 문제에 대해 개방적인 사람들로 편중되었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드러낸다고 반박한다. 현대에 와서는 동성애에 대한 사회적 금기가 과거보다 훨씬 약화되었는데도 킨제이 보고서 수준의 높은 동성애 경험 비율이 다른 연구에서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 등을 근거로, 킨제이의 표본이 일반 인구를 대표하기보다는 특정 집단의 특성을 반영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가 학계에서 유력하다. 따라서 킨제이 보고서는 특정 집단의 성생활을 이해하는 데는 기여했지만, 미국 사회 전체의 성적 경향을 일반화하기에는 부적절한 표본에 기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4. 2. 자원자 편향

킨제이 보고서는 표본 선정 과정에서 자원자 편향 문제를 안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는 성과 같이 금기시되는 주제에 대해 자발적으로 인터뷰에 응한 사람들의 특성이 전체 인구를 대표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 비롯된다.[27]

심리학자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이러한 문제를 지적하며, 킨제이의 연구가 자원자 편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매슬로는 킨제이 보고서 출판 전, 연구 자원자들을 대상으로 편향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이들이 일반 인구를 대표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35] 당시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성생활과 같은 사적인 내용을 타인과 공유하는 것을 꺼렸기 때문에, 인터뷰에 자원한 이들은 상대적으로 개방적이거나 특정 경험을 가진 집단일 가능성이 높았다. 즉, 금기시되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기를 꺼리지 않는 사람들이 표본에 포함되면서 결과의 대표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킨제이 역시 이러한 자원자 편향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특정 집단(예: 법학회, 여성 동아리, 소규모 하이킹 그룹 등) 구성원 전체 또는 거의 전부를 인터뷰하는 "100% 그룹" 방식을 활용하여 표본의 대표성을 높이려 시도했다.[36] 이 방식은 집단 리더의 협조를 통해 참여를 독려하고, 처음에는 자원하지 않았던 구성원들의 참여까지 유도하여 표본을 다양화하려는 목적을 가졌다.[36] 킨제이 전체 데이터의 약 4분의 1이 이 방식으로 수집되었다.[36]

하지만 이 방법 역시 참여자들은 여전히 자원자의 범주에 속하며, 특정 소속 집단이 전체 인구를 대표한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지적된다.[36] 결국, 성이라는 민감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기를 꺼리지 않는 사람들이 표본의 다수를 차지하게 되면서, 연구 결과가 특정 경향으로 치우쳤을 수 있다는 비판은 보고서 발표 당시부터 학계에서 꾸준히 제기되었다. 이러한 자원자 편향 문제는 이후 폴 게브하드 등이 데이터를 재분석했을 때도 그 해석을 둘러싼 논쟁의 한 축이 되었다. 비판 측에서는 재분석 결과 역시 여전히 자원자 편향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고 본다.

4. 3. 기타 비판

킨제이 보고서의 통계는 출판 당시부터 현재까지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다. 학자들은 보고서의 방법론, 특히 표본 선정 방식과 여기서 발생하는 표본 편향 문제를 지적했다.[27] 주요 비판점으로는 데이터 수집 시 무작위 표집 절차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 표본의 상당수가 교도소 수감자나 남자 매춘부 등 특정 집단에서 나왔다는 점, 그리고 금기시되는 주제에 대해 기꺼이 인터뷰에 응한 사람들이 만든 자기 선택 편향 가능성 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은 표본이 전체 인구를 대표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미국 통계 학회는 보고서 발표 해인 1948년에 이미 사회적 금기에 관한 정보를 면접으로 수집하는 방식의 객관성 결여와 통계적 무의미함을 지적했으며, 저명한 통계학자 존 투키는 "무작위로 수집된 3개의 표본이 킨제이가 수집한 300개의 표본보다 낫다"고 비판했다. 심리학에이브러햄 매슬로 등도 유사한 문제를 지적했다.

최근 연구자들은 킨제이의 표본 추출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현대 연구 결과보다 동성애 빈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점을 들어 킨제이가 비이성애적 행동과 매력을 과대평가했다고 주장한다.[5][37][38] 이는 킨제이가 피면접자와의 깊은 대화와 신뢰 형성을 중시한 면접 방식 때문일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 킨제이와 그의 팀은 면접 대상자가 편안함과 안전함을 느끼도록 노력했는데,[39] 이는 민감한 개인 정보를 더 솔직하게 이야기하도록 유도했을 수 있다. 반면, 현대의 면접 방식은 과학적 객관성을 더 강조하여 응답자들이 덜 개방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39]

일각에서는 이성애자의 일회적인 동성 간 성적 경험을 동성애 범주로 잘못 포함시키거나, 소수의 양성애 영역을 지나치게 세분화하여 과장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또한, 타고난 이성애자와 마찬가지로 타고난 동성애자의 존재를 인정하기보다 성적 지향을 후천적이거나 정도의 문제로 보는 시각은 동성애 혐오적 태도를 고착화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보고서의 일부 데이터가 아동 성추행 가해자와의 협력 없이는 얻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40] 킨제이 연구소는 이를 부인하면서도, 아동과 성적 경험이 있는 남성들과의 인터뷰가 있었음을 인정했다. 연구소 측은 "금기시되는 주제에 대한 솔직한 답변"을 얻기 위해 익명성을 보장할 필요와 범죄 지속 가능성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 했다고 설명했다.[41][42]

역사학자 피터 게이는 《남성의 성생활》 보고서가 "방법론적으로 설득력이 없다"고 평가했으며,[43] 사회학자 에드워드 라우만은 킨제이 보고서가 성의 생물학적 측면에만 집중하여 심리학적, 임상적 분석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성 연구가 학문적 주류로 인정받기 어려워졌다는 것이다.[44] 다만 라우만 역시 "킨제이 보고서는 엄청난 결과를 가져온 문화적 사건이었다"고 그 영향력을 인정했다.[44]

이러한 비판에 대응하여 킨제이의 후계자들은 데이터를 "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1979년, 폴 게브하드는 수감자 데이터를 제외하고 재분석한 결과를 발표하며, 기존 결과와 큰 차이가 없다고 결론지었다. 예를 들어, 남성의 동성 간 성교 경험 비율은 37%에서 36.4%로, 특정 기간 동안 동성애 경험만 한 남성 비율은 10%에서 9.9%로 소폭 조정되었다.[48] 옹호론자들은 이 결과를 킨제이 연구 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해석했지만, 비판론자들은 여전히 금기 주제에 대해 거리낌 없이 이야기하는 사람들만 표본이 되었다는 근본적인 편향 문제를 보여준다고 반박한다. 오늘날 동성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화했음에도 킨제이 보고서만큼 높은 동성애 경험 비율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은, 킨제이의 표본이 특정 집단에 치우쳐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견해가 학계에서 힘을 얻고 있다.

킨제이 개인의 연구 자세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그가 양성애자였고 SM 성향(마조히스트)을 가졌다는 점, 대학 학생이나 조수 등에게 집단 성교 참여를 권유했다는 점, 엄격한 기독교 교육에 대한 반발심 등이 연구의 객관성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1년 이상 동거하는 커플을 사실혼으로 간주하여 기혼으로 분류한 점은 비판의 대상이 된다. 당시 사회 규범에 반하는 동거 커플이 성 규범에 더 관대할 수 있는데, 이들의 혼외 성관계를 일반적인 기혼자의 "불륜"과 동일시하여 기혼 남성의 약 50%, 여성의 26%가 혼외 성교 경험이 있었다는 결론을 도출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들로 인해 킨제이 연구 자체의 객관성과 중립성을 신뢰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존재한다.[49] 또한, 킨제이 보고서를 옹호하고 데이터를 재분석한 폴 게브하드가 킨제이의 가까운 동료였다는 사실도 비판의 중립성을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로 지적된다.

킨제이 보고서의 문제점은 레이건 행정부 이후 세력이 강해진 보수 진영에 의해 정치적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이들은 보고서의 방법론적 결함을 부각하며 진보 진영을 비판하는 재료로 삼았다. 그러나 이러한 보수 진영의 비판에는 학술적 관점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반대로 진보 진영에서는 학술적인 킨제이 비판을 간과하고 이념적 편향에 따른 공격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5. 영향 및 평가

킨제이 보고서는 출간 이후 미국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키며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 이 보고서는 이전까지 금기시되었던 성 문제를 공론화하고, 특히 동성애와 여성의 성에 대한 기존의 사회적 통념에 도전하며 성에 대한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46][47]

그러나 보고서의 내용은 당시 사회 규범과 충돌하며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여성의 성을 직접 다룬 점은 큰 비판에 직면했고, 이로 인해 연구 후원이 중단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52][53][54][55] 또한 연구 방법론의 한계와 결과 해석의 타당성에 대한 비판 역시 꾸준히 제기되었다.

결론적으로 킨제이 보고서는 성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사회적 담론을 확장했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만, 동시에 출간 당시부터 현재까지 여러 논쟁점을 안고 있는 연구로 평가된다.

5. 1. 긍정적 평가

킨제이 보고서는 사회 통념에 도전하며 성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바꾸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이성애와 금욕만이 도덕적이고 일반적인 규범이라는 기존의 생각을 깨뜨리는 데 영향을 주었다.

첫 번째 보고서인 《남성의 성생활》에서는 조사 대상 남성 중 상당수가 동성애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 당시 소수만의 문제로 여겨지던 동성애에 대한 미국 사회의 편견을 완화하는 데 일조했다. 구체적으로 남성의 4%가 일관된 동성애자이며, 37%가 최소 한 번 이상 쾌락을 동반한 동성애 경험이 있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내용은 성소수자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계기가 되었다.

킨제이 보고서는 출판 당시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48년 《남성의 성적 행동》 초판은 5,000부로 시작했으나, 1953년 두 번째 보고서가 나오기 전까지 미국 내에서만 26만 5천 부 이상 판매되었다.[45] 보고서 전체는 총 75만 부 이상 판매되었고 13개 언어로 번역되어, 20세기의 가장 성공적이고 영향력 있는 과학 서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46][47]

보고서는 성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했으며, 이는 1960년대 최초의 경구 피임약 도입과 맞물려 성 혁명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또한, 킨제이의 연구는 후대의 성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1966년 마스터스 & 존슨은 성의 생리학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킨제이가 개척한 성 연구 분야의 금기와 오해를 더욱 해소하는 데 기여했다.[46][47] 콜 포터의 노래 "Too Darn Hot"은 이 보고서를 언급하고 있다.

5. 2. 부정적 평가

킨제이 보고서는 당시 사회적으로 금기시되던 여성의 성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면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 이러한 비판이 거세지자 연구를 후원하던 록펠러 재단이 지원을 중단하는 상황까지 발생했다.[52][53][54][55]

또한 연구 방법론과 결과 해석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 이성애자의 일회적인 동성 간 성적 경험을 동성애 범주에 포함시켜 해석하거나, 소수에 해당하는 양성애 영역을 지나치게 세분화하여 과장했다는 지적이 있다. 더 나아가, 타고난 이성애자와 동성애자의 개념을 단순히 성적 지향의 정도로만 파악하여, 오히려 동성애에 대한 편견이나 혐오적 시각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
[2] 서적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Philadelphia: Saunders 1953
[3] 서적 Handbook of Human Sexuality https://archive.org/[...] J. Aronson
[4] 서적 City of Friends: A Portrait of the Gay and Lesbian Community in America https://books.google[...] MIT Press 1997-02
[5] 서적 The Psychology of Human Sexual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Ltd 2018
[6] 간행물 With Enough Cases, Why Do You Need Statistics? Revisiting Kinsey's Methodology
[7] 문서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 p. 656
[8] 문서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 Table 147, p. 651
[9] 문서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 p. 651
[10] 문서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Table 142, p. 499
[11] 문서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p. 488
[12] 문서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Table 142, p. 499, and p. 474
[13] 문서 Kinsey Male volume, pages 638 and 647; Female volume, page 472.
[14]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in Today's World https://books.google[...] Sage Pubns 2011-12-17
[15] 문서 Kinsey, et al. (1948). pp. 639, 656.
[16] 문서 Kinsey, et al. 1948.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 Table 147, p. 651
[17] 문서 Kinsey, et al. 1953.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Table 142, p. 499
[18] 문서 Kinsey, et al. 1953.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p. 488
[19] 문서 Kinsey, et al. 1953.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Table 142, p. 499, and p. 474
[20] 문서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p. 348-349, 351.
[21] 문서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 pp. 585, 587
[22] 문서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p. 416
[23] 문서 Kinsey, Alfred.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p. 53.
[24] 문서 Jones, James H. (1997). Alfred C. Kinsey: A Public/Private Life. New York: Norton.
[25] 문서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pp. 677-678
[26] 서적 Bestiality and Zoophilia: Sexual Relations with Animal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2-11-30
[27] 서적 LIFE https://books.google[...] Time Inc 1948-08-02
[28] 문서 Jones 1997, [[iarchive:alfredckinseypub0000jone/page/658/mode/2up|p. 658]]
[29] 서적 Statistical problems of the Kinsey report on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 a report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committee to advise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Committee for Research in Problems of Sex Greenwood Press 1954
[30] 뉴스 Paul Gebhard, Sex Researcher Who Worked with Kinsey, Dies at 98 https://www.nytimes.[...] 2015-07-22
[31] 웹사이트 NEW RIVER MEDIA INTERVIEW WITH: PAUL GEBHARD Colleague of Alfred Kinsey 1946-1956 Former Director of the Kinsey Institute https://www.pbs.org/[...] PBS.org 2017-05-27
[32] 서적 Sex the Measure of All Things: A Life of Alfred C. Kinsey University of Indiana Press
[33] 웹사이트 Martin Duberman on Gebhart's "cleaning" of data http://www.kinseyins[...]
[34] 서적 Sex the Measure of All Things: A Life of Alfred C. Kinsey Indiana University Press
[35] 간행물 Volunteer error in the Kinsey stud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952 Apr;47(2):259-62.
[36] 서적 Sex the Measure of All Things: A Life of Alfred C. Kinsey Indiana University Press
[37] 논문 Sexual Orientation, Controversy, and Science https://www.research[...] 2016
[38] 서적 The Biology of Homosexual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9] 서적 Sex the Measure of All Things: A Life of Alfred C. Kinsey Indiana University Press
[40] 서적 Treating Child Sex Offenders and Victims: A Practical Guide Sage Publications Inc
[41] 웹사이트 Kinsey Institute statement denies child abuse in study http://www.kinseyins[...]
[42] 뉴스 Conservative group attacks Kinsey data on children http://www.heraldtim[...] 2008-01-22
[43] 서적 The Bourgeois Experience Victoria to Freud. Volume II: The Tender Passion Oxford University Press
[44] 웹사이트 50 Years After The Kinsey Report - CBS News https://www.cbsnews.[...] 2023-11-05
[45] 간행물 How Can Kinsey Miss? https://archive.org/[...] 2024-03-13
[46] 서적 Disorders of Desire: Sexuality and Gender in Modern American Sexology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2012-01-03
[47] 서적 Introduction to Social Work and Social Welfare: Empowering Peopl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4-03-15
[48] Citation Book Review by Martin Duberman http://www.kinseyins[...] 1997-11-03
[49] 문서 James H. Jones's biography, Alfred C. Kinsey: A Public/Private Life
[50] 문서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
[51] 문서 Alfred Kinsey; Wardell Pomeroy; Clyde Martin, & Paul Gebhard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52] 문서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 Table 147, p. 651
[53] 문서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Table 142, p. 499
[54] 문서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p. 488
[55] 문서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Table 142, p. 499, p. 47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