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번스-호킹 가설 풀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기번스-호킹 가설 풀이는 4차원 초켈러 다양체가 U(1) 등거리 대칭군을 가질 때, 이를 3차원 공간 위의 U(1) 주다발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이 풀이는 3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열린집합 U, U(1) 주다발 P, P 위의 U(1) 주접속 A, 매끄러운 함수 V를 사용하여 리만 계량을 정의한다. 이 계량은 초켈러 다양체의 리만 계량이며, 에구치-핸슨 공간과 같은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ALE 공간), 토브-너트 공간과 같은 점근 국소 평탄 공간(ALF 공간)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게리 기번스와 스티븐 호킹이 1978년에 도입했으며, 끈 이론, M이론, 양자장론 등과 연관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반 상대성이론 - 양자 중력
양자 중력은 양자역학과 일반 상대성이론을 통합하여 중력이 강한 극한 조건에서 발생하는 이론적 모순을 해결하려는 시도로, 재규격화 불능성과 시공간 배경 의존성 차이 등의 난제 해결을 위해 끈 이론, 루프 양자 중력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이 연구되고 있으며,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데이터 등을 이용한 실험적 검증이 시도되고 있다. - 일반 상대성이론 - 중력 특이점
중력 특이점은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시공간이 정의되지 않고 물리량이 무한대로 발산하는 지점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론에 따라 존재가 부정되거나 사건 지평선 뒤에 숨겨져 있다고 여겨지기도 하고 블랙홀의 엔트로피와 관련된 호킹 복사 이론과도 관련된다. - 미분기하학 - 가우스 곡률
가우스 곡률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놓인 곡면의 두 주곡률의 곱으로, 곡면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곡면 자체의 길이 측정만으로 결정되는 내재적인 값이다. - 미분기하학 -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는 곡면의 가우스 곡률이 외부 공간이 아닌 곡면 자체의 리만 계량만으로 결정된다는 정리로, 곡면의 변형 시 가우스 곡률이 보존됨을 의미하며, 지도 제작의 불가능성 증명과 고차원 리만 다양체 일반화에 응용되어 미분기하학과 일반 상대성 이론의 기초가 된다.
기번스-호킹 가설 풀이 | |
---|---|
정의 | |
유형 | 수학적 가설 풀이 |
분야 | 일반 상대성 이론 |
관련 개념 | 중력 블랙홀 시공간 |
주요 내용 | |
설명 | 유클리드 공간에서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 중력이 강한 시공간 연구에 활용 |
역사 | |
개발자 | 게리 기번스 스티븐 호킹 |
개발 연도 | 1978년 ~ 1979년 |
참고 문헌 | Gibbons, G. W., & Hawking, S. W. (1979). Classification of all gravitational instantons with a cosmological term.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66(3), 291-310. Хакинг, С., & Гиббонс, Г. (1978). Евклидова квантовая гравитация. Успехи физических наук, 126(2), 279–309. |
2. 정의
4차원 초켈러 다양체가 킬링 벡터장을 가져 U(1) 등거리 대칭군을 갖는 경우, 이는 3차원 공간 위의 U(1) 주다발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필요한 데이터, 데이터가 만족시켜야 하는 조건, 그리고 이를 통해 정의되는 리만 계량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1]
2. 1. 데이터
3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열린집합 가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다음 데이터들이 주어졌다고 하자.2. 2. 조건
위 데이터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1]:
이 경우, 이므로 는 조화 함수이다.[1]
2. 3. 리만 계량
위 조건 하에, 다음 계량은 위의 초켈러 다양체 리만 계량을 정의한다.:
이를 '''기번스-호킹 가설 풀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가 되며, 여기서 는 U(1) 올다발의 올의 좌표로, 주기가 이다.
3. 예
에구치-핸슨 공간,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ALE 공간), 토브-너트 공간(ALF 공간) 등은 기번스-호킹 가설 풀이를 통해 구성할 수 있다.[1]
3. 1.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 (ALE 공간)
ADE 분류에서 A계 공간들은 다음과 같은 꼴의 퍼텐셜로 구성된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