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욤 앙리 뒤푸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욤 앙리 뒤푸르는 1787년 콘스탄츠에서 태어난 스위스의 군인, 토목 기사, 지도 제작자, 정치가이다. 그는 프랑스 육군에서 복무했으며, 제네바 대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쳤다. 뒤푸르는 스위스 군의 장군으로 존더분트 전쟁에서 활약했으며, 스위스의 지형도를 제작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국제 적십자 위원회 창설에 참여하여 제네바 협약 체결을 주도했다. 그의 업적을 기려 스위스 최고봉인 두푸르 스피체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20 스위스 프랑 지폐에 그의 초상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지도 제작자 - 마테우스 메리안
    마테우스 메리안은 17세기 스위스 출신으로 프랑크푸르트에서 활동한 판화가이자 출판업자로, 동판화 인쇄술을 전공하여 독립적인 출판사를 설립하고 지도 및 삽화 작품을 제작했으며 그의 업적은 후대에 영향을 주었다.
기욤 앙리 뒤푸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기욤 앙리 뒤푸르의 초상화, 그의 딸 안 옥타비 르하디 뒤푸르(1818-1891) 작품, 1840년 이후
기욤 앙리 뒤푸르의 초상화, 그의 딸 안 옥타비 르하디 뒤푸르(1818-1891) 작품, 1840년 이후
본명기욤 앙리 뒤푸르
출생1787년 9월 15일
출생지콘스탄츠, 신성 로마 제국 (현재 독일)
사망1875년 7월 14일
사망지제네바, 스위스
기욤 앙리 뒤푸르 서명
기욤 앙리 뒤푸르 서명
군사 경력
소속프랑스 육군 (1811–1817)
스위스 육군 (1817–1875)
복무 기간1811–1875년
계급대위 (프랑스)
장군 (스위스)
지휘스위스 육군
연방 지형 사무소
참전 전투나폴레옹 전쟁
존더분트 전쟁
훈장레지옹 도뇌르 훈장
기타 활동
분야수학 교수, 지도 제작자, 국제 적십자사 창립 위원
정보
로마자 표기Giyom Anri Dyu Pureu

2. 초기 생애 및 교육

기욤 앙리 뒤푸르는 1787년 9월 15일 콘스탄츠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제네바 출신으로, 1782년 제네바 혁명에 관여하여 망명 생활을 하고 있었다.[2] 그는 시계 제조공인 베네딕트 뒤푸르와 페르네트 발랑탱의 아들이었다.[2] 두 살 때 부모는 제네바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고, 뒤푸르는 그곳에서 학교에 다니며 그림과 의학을 공부했다. 1807년, 뒤푸르는 파리로 가서 군사 학교였던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콜 폴리테크니크프랑스어에 입학했다. 그는 장 니콜라 피에르 아셰트 밑에서 기술 기하학을 공부했으며, 1809년 졸업반에서 5등으로 졸업하고, 메츠에 있는 에콜 데플리케이션에서 군사 공학을 공부했다.[2]

3. 군 경력

콘스탄츠에서 태어난 뒤푸르는 1807년 파리에콜 폴리테크니크에 입학하여 군사 공학을 공부했다. 1811년 프랑스 육군에 입대하여 코르푸 방어에 참여하고, 리옹 요새 수리에 기여하여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2] 1817년 스위스로 돌아와 제네바 아카데미의 수학 교수이자 제네바주 군 엔지니어 사령관이 되었다.[2] 의 군사 학교에서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가르치기도 했다.[3]

1831년 참모장이 되었고, 곧 부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다. 1842년에서 1865년 사이에는 스위스의 측량 삼각 측량을 감독하여 지도를 제작했다.[3][1]

존더분트 전쟁에서 연방군을 이끌고 승리하여 스위스 연방의 붕괴를 막고 화해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바덴 혁명, 뇌샤텔 위기,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에서도 장군으로 임명되어 활약했다.[6][7][8][9] 특히 뇌샤텔 위기 때는 나폴레옹 3세와의 친분을 활용하여 평화적 중재를 이끌어냈다.

1863년 앙리 뒤낭 등과 함께 국제 적십자사 창설에 기여했으며, 1864년 제네바 협약 제정을 위한 국제 회의를 주재했다.[3]

3. 1. 프랑스군 복무

1811년, 뒤푸르는 프랑스 육군에 입대하여 프랑스령 이오니아 제도의 코르푸 방어를 도왔고, 그곳에서 섬의 옛 요새를 지도화했다.[1] 1813년 6월 영국과의 해전에서 부상을 입었다.[2] 1814년, 리옹의 요새 수리를 한 공로로 레지옹 도뇌르 십자 훈장을 받았으며, 대령 계급으로 진급했다.[2]

3. 2. 스위스군 복무

뒤푸르는 1817년 스위스 시민권을 회복하고 제네바로 돌아와 제네바 아카데미의 수학 교수 및 제네바주 군 엔지니어 사령관이 되었다.[2] 1819년부터 1830년까지는 주로 그의 노력으로 설립된 의 군사 학교에서 수석 교관으로 활동하며,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가르쳤다.[3]

1827년 대령으로 진급했고, 1831년에는 참모장이 되었으며, 곧 부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다.[3]

3. 3. 존더분트 전쟁

1847년, 스위스의 가톨릭 주들은 존더분트라는 자체 동맹을 결성하여 사실상 분리 독립을 시도했다. 이에 연방 의회는 1847년 10월 21일 뒤푸르를 장군으로 임명하고,[2] 10만 명의 연방군 지휘권을 맡겼다.

뒤푸르는 11월 3일부터 29일까지 짧은 기간 동안 요한 울리히 폰 잘리스-소글리오가 이끄는 존더분트를 격파했으며, 희생자는 100명 미만이었다. 그는 부상병을 살려두라고 병사들에게 명령했다. 예를 들어 1847년 11월 13일, 모든 공격 준비가 완료되었을 때, 그는 치명적인 전투를 피하기 위해 항복하라는 칙령을 프리부르 시 당국에 전달하기 위해 데 세르자 중위를 사절로 보냈다.[4][5]

1840년대 스위스는 제네바, 취리히, 베른자유주의 칸톤과 원초 3주 및 루체른 등 보수파 칸톤 사이에 내분이 계속되어 분열의 위기에 놓였다. 우세한 자유주의 칸톤에 대항하여 보수파 7개 칸톤은 1845년 1월, 보호 동맹을 결성하여 스위스 연방 내에 국가 내 국가가 형성되었다. 1847년 10월, 자유주의파가 점령한 연방 회의는 보호 동맹(분리 동맹)에 대해 군사적 행동을 고려하여 뒤푸르를 스위스 역사상 최초의 장군으로 임명하고 군사 전권을 위임했다. 1847년11월 4일 양측 간에 전쟁이 시작되었다.

뒤푸르는 프랑스나 오스트리아 등 인접 강대국의 간섭을 막기 위해 신속하게 전쟁을 종결하기로 결정하고 각 칸톤을 각개 격파해 나갔다. 먼저 발레주를 봉쇄한 후 11월 14일 프리부르를 함락시키고 21일에는 추크를 점령, 24일에는 루체른을 함락시키고 12월 1일 개전 후 불과 26일 만에 분리 동맹 전 칸톤을 항복시켰다.[22] 이 전투에서 뒤푸르는 부상자를 자군에 수용하여 치료했다. 이 전투에서 사망자는 양측 합쳐 130명, 부상자도 400명 정도로 억제되었다.[23] 또한, 이때까지 스위스 군 병사는 자신의 소속 칸톤 깃발이나 흰 십자를 휘장으로 사용했지만, 뒤푸르는 그 중 흰 십자를 채택하여 군의 깃발로 삼았다. 이것이 전쟁 후 스위스 국기로 채택되었다.

존더분트 전쟁에서의 그의 신중한 접근 방식은 외세의 개입을 통한 연방의 붕괴를 막았을 뿐만 아니라, 1848년에 주들이 공통의 연방 국가에 동의할 수 있게 하는 화해의 기반을 마련했다. 그의 성공과 패배한 동료 국민들을 대하는 그의 절제는 연방 의회의 6만 프랑의 선물과 연방의 여러 도시와 주로부터의 다양한 명예로 인정받았다.[3]

3. 4. 추가적인 군 복무

뒤푸르는 존더분트 전쟁 외에도 바덴 혁명 (1849년), 뇌샤텔 위기 (1856년),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1859년) 때 연방 의회에 의해 장군으로 임명되었다.[2][6][7][8][9]

특히 1856년 뇌샤텔 위기 때는 스위스프로이센 왕국 사이에 있던 뇌샤텔 칸톤이 공화정을 수립하고 프로이센으로부터 독립을 요구하면서 군사적 위기가 발생했다. 뒤푸르는 다시 장군으로 임명되어 나폴레옹 3세와의 친분을 활용, 평화적 중재를 이끌어냈다. 결국 1857년 나폴레옹 3세의 중재로 뇌샤텔은 스위스 영토가 되었다.

4. 토목 공학 및 지도 제작

드루리가 그린 생 앙투안 다리(1832년)


뒤푸르는 1817년부터 국립 기술자 역할을 수행했으며, 1828년에 공식적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제네바의 도시 계획을 맡아 펌프장, 부두, 다리 등을 재건하고, 제네바 호에 최초의 증기선을 도입하고 가스등 가로등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1]

마르크-오귀스트 피테는 1822년 아노네에 마르크 세갱이 임시로 건설한 세계 최초의 와이어 케이블 단순 현수교를 방문하여 그 세부 사항을 스위스에 발표했다. 뒤푸르는 피테 등과 함께 제네바 요새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다리 건설을 추진했으며, 세갱과 협력하여 건설 방법을 논의하고 생 앙투안 다리 건설을 진행했다.[1]

4. 1. 제네바 도시 계획

1817년부터 제네바의 도시 계획을 맡아 다양한 사업을 진행했다. 마르크-오귀스트 피테의 제안으로 마르크 세갱과 협력하여 1822년에 세계 최초의 와이어 케이블 현수교인 생 앙투안 다리를 설계하고 건설했다.[1] 이 다리는 철과 목재로 만들어졌으며, 양쪽에 각각 3개의 케이블을 사용했다. 케이블은 탑 사이에서 39.9m 뻗어 있었지만, 가장 큰 경간은 33.2m에 불과했다.[11] 레만 호에 증기선을 도입하고 가스등을 설치하기도 했다.[21] 주요 업무는 펌프장, 부두, 다리 등을 재건하는 것이었다.[1]

4. 2. 생 앙투안 다리 건설

마르크-오귀스트 피테는 1822년 세계 최초의 와이어 케이블 단순 현수교인 아노네의 마르크 세갱이 임시로 건설한 다리를 방문하여 그 세부 사항을 스위스에 발표했다. 그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제네바 요새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다리를 건설하는 것을 추진했으며, 세갱과 협력하여 건설 방법을 논의하고 일련의 스케치를 받았다. 뒤푸르는 1822년 말에 이 설계를 발전시켜 와이어 케이블을 사용하는 2경간 현수교를 제안했는데, 이는 세계 최초의 영구적인 와이어 케이블 현수교가 되었다.[1] 이 설계는 철과 목재로 만들어진 다리 데크의 양쪽에 각각 3개의 케이블을 사용했다.[1] 케이블은 탑 사이에서 약 39.93m 뻗어 있었지만, 가장 큰 경간은 약 33.22m에 불과했다.[11]

5. 정치 경력

1819년 뒤푸르는 제네바 시의회 의원이 되었다. 1848년부터 1851년까지, 그리고 1854년부터 1857년까지는 자유주의파 소속 제네바주 대표로 스위스 하원(국민원) 의원을, 1863년부터 1866년까지는 제네바주 대표 상원(전주 의회) 의원을 역임했다.[19]

6. 국제 적십자 위원회 창설

1863년, 앙리 뒤낭이 중립적인 국제 구호 단체 설립을 주장하자 뒤푸르는 이에 공감하였다. 그 해, 뒤낭, 뒤푸르, 귀스타브 모이니에, 루이 아피아, 테오도르 모노아르는 5인 위원회를 설립했고, 뒤푸르는 초대 위원장을 맡았다. 이 위원회는 1876년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로 발전했다. 위원회는 전쟁 포로의 인도적 대우를 각국에 요구하여, 1864년 제네바에서 "부상병 상태 개선에 관한 제1차 적십자 조약"(제1차 제네바 협약)이 체결되었다.[3] 이 조약 체결에 대한 스위스의 공헌을 인정받아, 새로운 기관의 마크는 뒤푸르가 스위스 군기로 채택한 스위스 국기의 색 배치를 반전시킨 흰색 바탕에 붉은 십자가로 결정되었다.

7. 유산

뒤푸르는 군사, 공학, 지도 제작, 정치, 인도주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스위스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의 업적은 스위스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기욤 앙리 뒤푸르 기마상(1884년) by 알프레드 란츠, 제네바의 Place de Neuve에 위치

  • 제네바의 Place de Neuve에는 알프레드 란츠가 제작한 뒤푸르 기마상(1884년)이 세워져 있으며, 대중의 기부로 건립되었다.[12]
  • 독일 콘스탄츠 Wessenbergstraße 14 (구 Plattengasse)에 있는 그의 생가에 두 개의 기념 명판이 있다.[12]
  • 1826년부터 1845년까지 그가 살았던 제네바 건물에 기념 명판이 있다.[13]
  • 프랑스 로바니에 있는 몽로티에 성에 기념 명판이 있다.[14]
  • 22, rue Saint-Victor, Carouge에는 지리 사무소로 사용되었음을 기념하는 명판이 있다.[15]
  • 루체른 육군 훈련 센터에는 Fonderie Leuba, B. Brasseur, succ.가 제작한 청동 흉상이 있다.
  • 1845년부터 1875년까지 그가 살았던 제네바 Rue de Contamines에 있는 그의 집은 재단에 의해 보존되어 있다.[16][17]


스위스의 여러 도시와 마을에는 그를 기리는 거리가 있다.

도시/마을거리 이름
제네바, 라쇼드퐁rue du Général-Dufour
키아소via Gen. Henri Dufour
비엘/비엔rue du Général- Dufour/General-Dufour-Strasse
아라우, 바젤, 베른, 비버리스트, 렌츠부르크, 루체른, 로르샤흐, 장크트갈렌, , 와인펠덴, 베팅겐, 빌, 촐리콘, 취리히Dufourstrasse
루가노via Dufour



촐리콘에는 Dufourplatz도 있다.

20 스위스 프랑 지폐(1956)


그는 1956년 스위스 지폐 시리즈의 20 스위스 프랑 지폐에 묘사되었다 (1956–1980년 유통).[18] 두푸르 스피체(스위스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자 서유럽에서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는 그의 지도 제작 업적을 기리기 위해 뒤푸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7. 1. 기념물


  • 제네바 Place de Neuve에 알프레드 란츠가 제작한 뒤푸르 기마상(1884년)이 세워져 있으며, 대중의 기부로 건립되었다.[12]
  • 독일 콘스탄츠 Wessenbergstraße 14 (구 Plattengasse)에 있는 그의 생가에 두 개의 기념 명판이 있다.[12]
  • 1826년부터 1845년까지 그가 살았던 제네바 건물에 기념 명판이 있다.[13]
  • 프랑스 로바니에 있는 몽로티에 성에 기념 명판이 있다.[14]
  • 22, rue Saint-Victor, Carouge에는 지리 사무소로 사용되었음을 기념하는 명판이 있다.[15]
  • 루체른 육군 훈련 센터에는 Fonderie Leuba, B. Brasseur, succ.가 제작한 청동 흉상이 있다.
  • 1845년부터 1875년까지 그가 살았던 제네바 Rue de Contamines에 있는 그의 집은 재단에 의해 보존되어 있다.[16][17]


스위스의 여러 도시와 마을에는 그를 기리는 거리가 있다.

도시/마을거리 이름
제네바, 라쇼드퐁rue du Général-Dufour
키아소via Gen. Henri Dufour
비엘/비엔rue du Général- Dufour/General-Dufour-Strasse
아라우, 바젤, 베른, 비버리스트, 렌츠부르크, 루체른, 로르샤흐, 장크트갈렌, , 와인펠덴, 베팅겐, 빌, 촐리콘, 취리히Dufourstrasse
루가노via Dufour



촐리콘에는 Dufourplatz도 있다.

그는 1956년 스위스 지폐 시리즈의 20 스위스 프랑 지폐에 묘사되었다 (1956–1980년 유통).[18]

두푸르 스피체(스위스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자 서유럽에서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는 그의 지도 제작 업적을 기리기 위해 뒤푸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8.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Transitions in Engineering: Guillaume Henri Dufour and the Early 19th Century Cable Suspension Bridges"' Birkhauser 1987
[2] 간행물 2006-04-20
[3] 문서 Dufour, Wilhelm Heinrich
[4] 웹사이트 Souvenir de la campagne du Sonderbund en 1847: par un officier vaudois https://www.e-period[...] 2023-06-25
[5] 웹사이트 La campagne de 1847 dans le canton de Fribourg [suite et fin] http://www.salons-du[...] 2023-06-25
[6] 웹사이트 ETH - e-periodica https://www.e-period[...] 2019-06-11
[7] 간행물 Aktivdienst
[8] 간행물 Rapport sur l'armement et la campagne de 1857 Revue militaire Suisse 1857
[9] 간행물 Toast à la Patrie. Revue militaire Suisse 1860
[10] 서적 The Swiss Alps https://books.google[...] 2023-06-25
[11] 문서 '"A Memoir of Suspension Bridges"' https://books.google[...] 1832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웹사이트 Cercle Dufour http://www.maison-du[...]
[18] 웹사이트 Fifth banknote series (1956) https://www.snb.ch/e[...] Swiss National Bank 2019-04-30
[19] 웹사이트 分離同盟戦争 http://www.swissworl[...] スイス政府 2010-05-18
[20] 서적 '"Transitions in Engineering: Guillaume Henri Dufour and the Early 19th Century Cable Suspension Bridges"' Birkhauser 1987
[21] 서적 '"Transitions in Engineering: Guillaume Henri Dufour and the Early 19th Century Cable Suspension Bridges"' Birkhauser 1987
[22] 서적 物語 スイスの歴史 中公新書 2000-07-25
[23] 서적 物語 スイスの歴史 中公新書 2000-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