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츠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유서 깊은 곳이다. 로마 시대에 요새가 건설되었고, 585년경에는 주교가 자리 잡으며 종교적 중심지로 발전했다. 중세 시대에는 무역의 중심지이자 콘스탄츠 공의회가 열린 곳으로, 1414년부터 1418년까지 열린 공의회에서는 얀 후스가 화형당하고 교황 분열이 종식되었다. 1520년대에는 종교 개혁이 일어났으며, 이후 바덴 대공국, 독일 제국 등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콘스탄츠는 콘스탄츠 대학교, 콘스탄츠 대성당 등 역사적 건축물과 함께, 스위스 국경과 인접하여 스위스인들의 쇼핑 관광지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덴호 - 프리드리히스하펜
프리드리히스하펜은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보덴 호수 북쪽 해안에 있으며, 뷔르템베르크 국왕 프리드리히 1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비행선 개발과 항공기 산업으로 번영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피해를 입었으며, 현재는 항공 산업, 무역 박람회, 제플린 대학교를 통해 경제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보덴호 - 브레겐츠
브레겐츠는 오스트리아 포어아를베르크 주의 주도로, 보덴 호반에 위치하며, 로마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오다 중세 시대에는 백작의 지배를 받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거쳐 오스트리아에 귀속되었으며, 현재는 관광 도시로 서비스, 무역, 산업이 발달하고 다양한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역사 - 슈바벤 공국
슈바벤 공국은 알레만니족 영역에 기반하여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다 독립적인 세력으로 성장, 호엔슈타우펜 가문이 공작위를 차지하며 신성 로마 제국의 핵심 공국으로 존속했으나 콘라딘 사망 후 해체, 여러 영지로 분열되어 현재는 바이에른 슈바벤 행정구역으로 남아있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역사 - 슈바벤 동맹
슈바벤 동맹은 1488년 프리드리히 3세의 요청과 베르톨트의 지지하에 제국 평화 유지, 바이에른 공작 견제, 스위스 연방 방어를 목적으로 설립된 제후 동맹이었으나 종교 개혁으로 쇠퇴하여 1534년 해산되었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하이델베르크
하이델베르크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네카르 강변에 위치한 도시로, 유서 깊은 대학교와 하이델베르크 성, 아름다운 구시가지, 낭만주의 역사를 자랑하는 국제적인 문화 관광 중심지이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바일데어슈타트
바일데어슈타트는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뵈블링겐군에 속한 독일 도시로, 중세 시대 자유제국도시이자 요하네스 케플러와 요하네스 브렌츠의 출생지로 유명하며, 슈투트가르트 S반 종착역과 파스넷 카니발 축제로도 알려져 있다.
콘스탄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독일어 이름 | Konstanz |
유형 | Stadt (도시) |
깃발 | Flag of Konstanz.svg |
문장 | Wappen Konstanz.svg |
위치 지도 | Konstanz in KN.svg |
주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현 | 프라이부르크 현 |
군 | 콘스탄츠 군 |
해발 고도 | 405m |
면적 | 55.65km² |
우편 번호 | 78462–78467 |
지역 번호 | 07531, 07533 |
차량 번호판 | KN |
지방 자치체 코드 | 08 3 35 043 |
행정 구역 | 15 |
웹사이트 | www.konstanz.de |
시장 | 울리히 부르하르트 |
시장 임기 | 2020–2028 |
시장 직함 | 오버뷔르거마이스터 (Oberbürgermeister) |
소속 정당 | CDU |
인구 | |
인구 | 83,644명 (2009년) |
인구 밀도 | 1,503명/km² |
지리 | |
위치 | 콘스탄스 호 |
2. 역사
콘스탄츠는 고대부터 사람이 살던 지역이다. 석기 시대 후기의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켈트족이 로마 제국에 정복당하기 전까지 거주했다. 서기 40년경 로마인들이 정착하면서 '드루소마구스'라는 이름으로 라에티아 속주에 속했다. 이후 '콘스탄티아'라는 이름은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황제나 그의 손자 콘스탄티우스 2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585년경 콘스탄츠에 주교가 거주하면서 도시의 종교적 중요성이 커졌다. 중세 시대에는 라인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소유하여 슈바벤 공국의 전략적 요충지가 되었고, 아마포 생산으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 1192년에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게만 종속되는 제국 도시 지위를 얻었다.
1414년부터 1418년까지 콘스탄츠 공의회가 개최되어 얀 후스가 화형당하고, 교황 분열이 종식되었으며, 교황 마르티노 5세가 선출되었다. 울리히 폰 리헨탈의 연대기는 당시의 사건과 중세 콘스탄츠의 모습을 보여준다.
1460년 스위스 연방이 투르가우를 정복하면서 콘스탄츠는 스위스 연방 가입을 시도했지만, 도시 국가의 세력을 우려한 삼림주들의 반대로 슈바벤 동맹에 합류했다. 1499년 슈바벤 전쟁에서 투르가우에 대한 특권을 잃었다.
1520년대 암브로시우스 블라러의 주도로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이 시작되어 콘스탄츠는 개신교 도시가 되었지만, 1548년 카를 5세에 의해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에 항복하면서 제국 도시 지위를 상실하고 재가톨릭화되었다.
1806년 바덴 대공국, 1871년 독일 제국,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바덴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1940년 콘스탄츠의 유대인들은 나치 독일에 의해 강제 이송되었고, 대부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등에서 학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스위스와의 국경에 인접해 있어 연합군의 폭격을 받지 않았다. 전후에는 남바덴을 거쳐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에 포함되었다.
1966년 콘스탄츠 대학교가 설립되어 '엘리트 대학'으로 명성을 얻었다.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의 출생지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독일의 저렴한 물가와 유리한 환율, 부가가치세 환급 등으로 인해 스위스인들의 국경 간 쇼핑 목적지로 인기를 얻고 있다.
2. 1. 중세 시대
콘스탄츠의 초기 문명 흔적은 후기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우구스투스 통치 시대에 다뉴브 강 남쪽에 살던 켈트족은 로마인들에게 정복당했다. 서기 40년경, 최초의 로마인들이 이곳에 정착했다. 라인강 좌안에 있는 이 작은 마을은 아마도 처음에 '드루소마구스(Drusomagus)'라고 불렸으며, ''레티아''라는 로마 속주에 속해 있었다. 후대의 이름인 '콘스탄티아(Constantia)'는 기원 300년경 이 지역에서 알레만니족과 싸우고 강력한 요새를 건설한 로마 황제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에서 유래했거나, 354년에 이 지역을 방문한 그의 손자 콘스탄티우스 2세에게서 유래했다. 후기 로마 요새 '콘스탄티아(Constantia)'의 유적은 2003년에 발견되었다.[22]약 585년경, 콘스탄츠에 최초의 주교가 거주하기 시작했고 이는 도시가 영적 중심지로서 중요성을 갖게 된 시작을 알렸다. 후기 중세 무렵, 콘스탄츠의 6,000명 주민 중 약 4분의 1은 성직자 권한으로 인해 세금이 면제되었다.[22]
중세 시대에는 무역이 번성했다. 콘스탄츠는 라인 강을 가로지르는 이 지역 유일의 다리를 소유하고 있어 슈바벤 공국에서 전략적 요충지가 되었다. 그곳의 린넨 생산은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도시는 번영했다. 1192년, 콘스탄츠는 제국 도시의 지위를 얻어 이후로는 신성 로마 황제에게만 예속되었다.[23]
1414년부터 1418년까지 콘스탄츠 공의회가 열렸는데, 이 기간 중 1415년 7월 6일 얀 후스(체코의 종교 사상가, 철학자이자 개혁가)가 로마 가톨릭교회에 의해 기독교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되어 화형을 당했다. 바로 이곳에서 교황 분열이 종식되고 알프스 산맥 북쪽에서 열린 유일한 콘클라베에서 마르티누스 5세가 선출되었다. 울리히 폰 리헨탈의 콘스탄츠 공의회 삽화 연대기는 공의회 기간 동안의 주요 사건과 중세 콘스탄츠의 일상 생활을 보여준다. 콘클라베가 열렸던 '콘질게뷔데(Konzilgebäude)'는 현재도 항구 옆에 서 있다. 그 근처에는 1993년에 공의회를 풍자적으로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조각상인 ''임페리아''가 있다.[23]

1460년, 스위스 연방은 콘스탄츠의 자연 배후지인 투르가우를 정복했다. 그러자 콘스탄츠는 스위스 연방에 가입하려고 시도했지만, 숲 주주들이 도시 국가의 압도적인 세력을 우려하여 가입을 반대했고, 콘스탄츠는 대신 슈바벤 동맹에 가입했다. 1499년 슈바벤 전쟁에서 콘스탄츠는 투르가우에 대한 마지막 특권을 연방에 빼앗겼다.[23]
2. 2. 종교 개혁과 근대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은 1520년대에 암브로시우스 블라러가 이끈 콘스탄츠에서 자리를 잡았다. 곧 도시는 공식적으로 프로테스탄트로 선포되었고, 교회에서 그림이 제거되었으며, 주교는 일시적으로 호수 건너편의 작은 마을인 메어스부르크로 이사했다. 이 도시는 처음에는 테트라폴리탄 신앙고백을 따랐고, 그 다음에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을 따랐다. 그러나 1548년 황제 카를 5세는 콘스탄츠에 제국 금지령을 내렸고, 콘스탄츠는 갑자기 공격해 온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에 항복해야 했다. 따라서 콘스탄츠는 제국 도시로서의 지위를 상실했다.[23]새로운 합스부르크 통치자들은 도시를 재가톨릭화하기를 열망했고, 1604년 예수회 대학이 설립되었다. 1610년에 세워진 부속 극장은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극장으로 현재도 정기적으로 공연을 하고 있다.
이 도시는 1806년 바덴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1821년 콘스탄츠 주교구는 해산되어 프라이부르크 대교구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콘스탄츠는 독일 통일 과정에서 1871년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에는 바덴 공화국에 포함되었다.[24]
2. 3. 현대
콘스탄츠는 1806년 바덴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1821년 콘스탄츠 주교구는 해산되어 프라이부르크 대교구의 일부가 되었다. 콘스탄츠는 독일 통일 과정에서 1871년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에는 바덴 공화국에 포함되었다.1940년 10월 22일, 마지막으로 남은 유대인 주민 110명이 프랑스의 귀르 강제 수용소로 강제 추방되었다. 1942년 8월에도 살아남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비부르 또는 아우슈비츠에서 학살당했다.
스위스와 거의 접경하고 스위스 국경에 바로 인접해 있기 때문에, 콘스탄츠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에 의해 폭격을 받지 않았다. 전쟁 후 콘스탄츠는 먼저 남바덴에 포함되었다가 새로운 주인 바덴뷔르템베르크에 포함되었다.
현대 콘스탄츠의 작은 크기를 고려할 때 상당히 큰 ''알트슈타트''(구시가지)에는 많은 오래된 건물과 구불구불한 골목길이 있다. 도시의 스카이라인은 콘스탄츠 대성당, 여러 개의 다른 교회, 그리고 도시 성벽에서 남은 세 개의 탑이 지배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라인 강 위에 있던 중세 다리의 옛터를 표시한다.
콘스탄츠 대학교는 1966년 도시 근처에 설립되었다. 이 대학교는 약 200만 권의 장서를 보유한 도서관(24시간 자유 출입 가능)과 식물원(콘스탄츠 대학교 식물원)을 갖추고 있다. 특히 2007년 이후로, 독일 대학교 우수성 이니셔티브에서 가장 성공적인 9개의 독일 대학교 중 하나인 이 대학교는 소위 "엘리트 대학교"로 상당한 명성을 얻었다.
콘스탄츠는 유명한 체펠린 비행선의 설계자인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의 출생지이다.
2010년대 후반, 콘스탄츠는 독일의 생필품 가격이 저렴하고 스위스 프랑과 유로 간의 유리한 환율, 그리고 비유럽 연합 거주자에 대한 관대한 독일 VAT 환급으로 인해 스위스인들의 ''아인카우프투리슴''(Einkaufstourismus) 또는 국경 간 쇼핑의 인기 있는 목적지가 되었다. H&M 및 dm과 같은 소매 체인은 이러한 무역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 중앙 광장 근처에 대규모 신규 매장을 건설했으며, 일부 콘스탄츠 주민들은 이 과정에서 도시가 역사적 특징을 잃고 있다고 느끼며 토요일에는 이 지역을 피한다. 이로 인해 크로이츨링겐 당국과 마찰이 발생했는데, 그 도시는 이 무역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을 보지 못했고, 스위스 정부가 독일과 VAT 환급 문제를 제기해 줄 것을 요청했다.[6] 그 결과 독일은 환급받을 독일 VAT에 대해 영수증당 최소 50.01EUR의 최소 지출액을 도입했다. 세관 통관 센터는 쇼핑센터 근처에 편리하게 위치해 있다.
이 도시는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있으며 콘스탄스 호수(독일어로 보덴제) 유역에 위치해 있다. 스위스 알프스에서 시작되는 라인강은 보덴 호수를 지나 도시의 두 부분을 연결하는 다리 아래로 흐르면서 훨씬 더 커진다. 강의 북쪽에는 주거 지역, 산업단지와 콘스탄츠 대학교가 있는 도시의 더 큰 부분이 있다. 강 남쪽에는 호히슐레(Hochschule) 또는 응용과학 대학교 외에도 관리 센터와 쇼핑 시설이 있는 구시가지가 있다. 자동차 페리를 통해 콘스탄스 호수를 건너 메어스부르크까지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카타마란은 프리드리히샤펜까지 보행자를 위한 셔틀 서비스를 제공한다. 독일-스위스 국경은 도시의 남서쪽과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이어지며, 스위스 크로이즐링엔 마을과 구분된다.
독일 남서부에 위치한 콘스탄츠는 해양성 기후(쾨펜 : Cfb)를 나타내며, 춥고 눈이 오는 겨울과 따뜻하고 습한 여름(호수의 영향으로 완화됨)이 특징이다.[26]
콘스탄츠역은 독일 전역으로 연결되는 하이라인 철도와 스위스로 이어지는 에츠빌렌-콘스탄츠선이 있으며, 독일철도 AG, 스위스 투르보 및 독일 자회사가 서비스를 제공한다.[1] 프리드리히스하펜에는 가장 가까운 공항이 있으며, 콘스탄츠와 다른 호숫가 마을을 연결하는 고속 페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공항은 주로 국내선을 운항하지만, 오스트리아와 터키행 항공편도 이용 가능하다.[1] 가장 가까운 국제공항은 슈투트가르트, 바젤, 취리히에 있으며, 콘스탄츠에서 직행 열차가 운행된다.[1] 시내 버스 서비스는 콘스탄츠 시립공사 GmbH에서 제공한다.[1]
3. 위치 및 행정 구역
콘스탄츠는 15개의 동 또는 구(Stadtteile)로 세분화된다. 마이나우섬은 1971년 12월 1일 콘스탄츠에 통합될 때까지 별도의 시정촌인 리첼슈테텐 동에 속해 있었다.
4.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평균 최고 기온 (°C) 3.2 5.1 10.4 17.0 21.9 24.9 26.7 26.6 21.9 17.3 7.6 4.1 14.34 평균 최저 기온 (°C) -2.3 -2.0 1.0 3.8 8.2 11.5 13.5 13.3 10.1 6.4 1.7 -0.9 5.4 월 강수량 (mm) 44.0 45.0 54.7 61.5 89.2 98.3 97.4 89.3 76.7 62.7 60.0 66.1 844.78 평균 일조 시간 50.2 81.9 135.3 176.9 209.9 225.3 249.2 225.6 160.1 98.8 53.8 40.6 1707.66
5. 교통
5. 1. 철도
콘스탄츠역은 징엔까지 서쪽으로 연결되는 하이라인 철도와 스위스로 남쪽으로 달리는 에츠빌렌-콘스탄츠선이 있으며 바인펠덴의 주요 노선과 연결된다. 독일철도 AG와 스위스 투르보 회사 및 독일 자회사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1] 콘스탄츠에는 콘스탄츠-휘르스텐베르크 , 콘스탄츠-페터스하우젠, 콘스탄츠-볼마팅엔 등 세 개의 역이 더 있다.[2] 또한 콘스탄츠 역은 두 개의 연결선(양방향)을 통해 보덴호(콘스탄스 호)의 스위스 해안과 고상 라인을 따라 운행하는 호반선과 연결된다.[2] 간접적으로는 빌-크로이츠링엔 철도 노선을 통해 바인펠덴까지 이어져 스위스의 장거리 열차와 연결된다.[2]
5. 2. 도로
콘스탄츠에는 도로와 관련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다.
5. 3. 수상 교통
콘스탄츠는 프리드리히샤펜에 있는 가장 가까운 공항까지 고속 페리 서비스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페리는 콘스탄츠와 다른 호숫가 마을도 연결한다. 이 공항은 주로 국내선을 운항하지만, 오스트리아와 터키행 항공편도 이용할 수 있다.[1] 가장 가까운 국제공항은 슈투트가르트, 바젤, 그리고 콘스탄츠에서 직행 열차가 운행되는 취리히에 있다.[1]
또한 콘스탄츠와 프리드리히샤펜은 2005년부터 '콘스탄스'와 '프리돌린'이라는 두 척의 쌍동선(2008년부터 세 척)으로 연결되어 있다.[1]
6. 세계 유산
이곳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알프스 주변의 선사시대 말뚝 주거지의 일부인 하나 이상의 선사 시대 말뚝 주거지 (또는 수상 가옥) 유적이 있는 곳이다.[13]
7. 주요 명소
콘스탄츠의 주요 명소는 다음과 같다.
- 고고학 박물관
- 9m 높이의 조각상 임페리아(Imperia)
- 얀 후스 박물관
- 콘스탄츠 대성당
- 15세기 건물 콘질(Konzil)
- 니더부르크(Niederburg, 하부 성)
- 페터스하우젠 수도원
- 대성당 근처 로마 요새 유적
- 슈네츠토어(Schnetztor), 과거 시벽의 요새화된 문
콘스탄츠에는 1938년 나치 정부에 의해 파괴된 큰 유대교 회당이 있었다.[20]
이곳은 스위스 크로이츨링겐과의 국경 도시이자, 로마네스크 가도 남쪽 기점이기도 하다.
겨울이 끝날 무렵에는 봄을 알리는 카니발이 열린다. 아침부터 독특한(일본의 나마하게와 비슷하지만, 키가 아닌 비늘 모양의 천을 여러 겹으로 겹친) 의상을 입은 풍물패가 거리를 행진하고, 사람들은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다양한 복장을 하고 거리로 나선다. 축제의 클라이맥스에는 광장에 나무를 세운다(독일의 마이바움과 비슷한 풍습).
8. 자매 도시
콘스탄츠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12]
도시 | 국가 | 체결 연도 |
---|---|---|
퐁텐블로 | Fontainebleau|퐁텐블로프랑스어 (프랑스) | 1960년 |
리치먼드어폰템스 | Richmond upon Thames|리치먼드어폰템스영어 (영국 잉글랜드) | 1983년 |
타보르 | Tábor|타보르cs (체코) | 1984년 |
로디 | Lodi|로디it (이탈리아) | 1986년 |
쑤저우 | 苏州|쑤저우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 2007년 |
9. 출신 인물
- 율리히 차지우스(Ulrich Zasius) (1461–1536), 법학자 [14]
- 에른스트 푀겔린(Ernst Vögelin) (1529–1589), 초기 서적 인쇄업자
- 바커 폰 바켄펠스(Wacker von Wackenfels) (1550–1619), 외교관, 학자, 작가
- 요한 프리드리히 코타(Johann Friedrich Cotta) (1764–1832), 출판인, 산업 개척자, 정치인; 1825년 보덴호에 증기선 운항을 시작함.[15]
- 요한 레온하르트 후그(Johann Leonhard Hug) (1765–1846), 가톨릭 신학자, 동양학자, 성서학자.[16]
- 기욤 앙리 뒤푸르(Guillaume Henri Dufour) (1787–1875), 스위스 군인, 구조 공학자, 지형학자.[17]
- 마리 엘렌라이더(Marie Ellenrieder) (1791-1863), 화가
-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Count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Ferdinand von Zeppelin)) (1838–1917), 독일 장군이자 체펠린(Zeppelin) 비행선을 발명한 사람.[18]
- 이다 마이어-뮐러(Ida Maier-Müller) (1821-1904), 풍경화가이자 자화상가
- 요제프 알베르트 아만(Josef Albert Amann) (1866–1919), 부인과 의사
- 야코프 피카르(Jacob Picard) (1883-1967), 작가
- 콘라트 그로버(Conrad Grober) (1872–1948), 사제이자 대주교, 콘스탄츠의 교사이자 목사
- 프리드리히 플릭(Friedrich Flick) (1883–1972), 기업가이자 유죄 판결을 받은 나치 전범
- 미카엘라 폰 나이퍼크(Michaela von Neipperg)de (1885–1957), 백작 부인이자 베네딕트 수녀, 콘스탄츠 시립 여성 클리닉의 종교 수녀원장
- 지그프리트 아돌프 한드로저(Siegfried Adolf Handloser) (1885–1954), 독일 국방군 의무부대 의사
- 멜라니 리슈(Melanie Risch)de (1887–1944), 나치즘의 희생자
- 안네 빈테러(Anne Winterer) (1894-1938), 사진가
- 베르너 베르거(Werner Berger) (1901–1964), SS-오베르샤르퓌러이자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 제99 코만도 대원
- 율리우스 페데러(Julius Federer)de (1911–1984), 법률가
- 프랑수아 스타리(François Stahly) (1911-2006), 프랑스 조각가
- 에곤 마이어(Egon Mayer) (1917–1944), 제2차 세계 대전(World War II) 중 독일 공군(Luftwaffe)의 전투기 에이스
- 베르너 마이호퍼(Werner Maihofer) (1918–2009), 정치인(FDP), 분데스탁 의원, 내무부 장관(1974–1978)
- 한스 마리아 빙글러(Hans Maria Wingler) (1920-1984), 미술사가이자 바우하우스 아카이브 설립자
- 로제마리 반홀처(Rosemarie Banholzer) (1925년생), 방언 작가
- 베어톨트 켈러(Berthold Keller) (1927-2012), 노동조합원
- 테오 좀머(Theo Sommer) (1930–2022), 1958년부터 ''디 차이트(Die Zeit)''의 신문 편집자로 일하며 편집장 겸 발행인으로 승진
- 마르틴 고트하르트 슈나이더(Martin Gotthard Schneider) (1930-2017), 교회 음악가, 작곡가, 신학자
- 롤프 뵈메(Rolf Böhme) (1934–2019), 국무장관(1978–1982), 프라이부르크 시장(1982–2002)
- 울리 트렙테(Uli Trepte) (1941-2009), 음악가
- 호르스트 프랑크(Horst Frank (Politiker))|lt=호르스트 프랑크(Horst Frank)de (1949년생), 법률가, 콘스탄츠 시장(1996–2012)
- 이언 머독(Ian Murdock) (1973–2015), 미국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데비안(Debian) 프로젝트 설립자
- 라리사 바실리안(Larissa Vassilian) (1976년생), 독일-아르메니아계 언론인
- 토비아스 포크(Tobias Pock) (1609-1683), 슈바벤 출신 오스트리아 바로크 화가이자 성화 예술의 선구자
- 하인리히 조이제(Heinrich Seuse) (1300년경-1366년 1월 25일)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제자이자 독일 신비주의의 중심 인물 중 한 명.[25]
참조
[1]
웹사이트
Aktuelle Wahlergebnisse
https://www.staatsan[...]
2021-09-13
[2]
LPD
""
[3]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Konstanz
2019-07-21
[4]
웹사이트
Konstanz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7-21
[5]
Merriam-Webster
Constance
2019-07-21
[6]
뉴스
The Swiss Invasion
http://www.slate.com[...]
2017-03-06
[7]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Konstanz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0-12
[8]
웹사이트
Wetter und Klima - Deutscher Wetterdienst - CDC (Climate Data Center)
https://www.dwd.de/D[...]
[9]
웹사이트
Ausgabe der Klimadaten: Monatswerte
http://www.dwd.de/bv[...]
[10]
웹사이트
Kostanz (442m)
https://www.weathero[...]
[11]
웹사이트
Konstanz (10929) - WMO Weather Station
ftp://ftp.atdd.noaa.[...]
NOAA
2019-02-05
[12]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https://www.konstanz[...]
Konstanz
2021-02-16
[13]
웹사이트
Prehistoric Pile Dwellings around the Alps
https://whc.unesco.o[...]
[14]
Catholic Encyclopedia
Ulric Zasius
[15]
EB1911
Cotta (family)
[16]
EB1911
Hug, Johann Leonhard
[17]
EB1911
Dufour, Wilhelm Heinrich
[18]
EB1922
Zeppelin, Count Ferdinand von
[19]
웹사이트
Bevölkerungsentwicklung in den Gemeinden Baden-Württembergs 2008
http://www.statistik[...]
2009-11-12
[20]
서적
Duden, geographische Namen in Deutschland: Herkunft und Bedeutung der Namen von Ländern, Städten, Bergen und Gewässern
Bibliographisches Institut
[21]
서적
Historisches Lexikon der deutschen Länder
C.H.Beck
[22]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 Winkler
[23]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 Winkler
[24]
서적
Historisches Lexikon der deutschen Länder
C.H.Beck
[25]
서적
Reiseführer für Literaturfreunde. I: Bundesrepublik Deutschland einschl. Berlin
Ullstein
[26]
웹인용
Ausgabe der Klimadaten: Monatswerte
http://www.dwd.de/b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