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홍 (193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덕홍은 1938년 평안북도 의주군 출생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군 복무, 무역회사 사장,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실장을 거쳐 황장엽의 비서를 지냈다. 1997년 황장엽과 함께 대한민국으로 망명하여 국가정보원 산하 통일정책연구소 고문을 역임했으나 햇볕정책을 비판하여 해임되었다. 이후 북한민주화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2011년 조선인민군 정찰총국에 의한 암살 시도 위협을 받았다. 저서로 《나는 자유주의자이다》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업인 - 김경희 (김일성의 딸)
김경희는 김일성의 딸이자 김정일의 여동생으로, 장성택과 결혼하여 딸 장금송을 두었으며, 조선로동당에서 요직을 맡고 인민군 장군으로 임명되었으나, 남편 장성택 처형 이후 건강 악화설, 사망설 등 루머가 있었다. - 수안 김씨 - 김상철 (1947년)
김상철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언론인, 교육자, 사회운동가로서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고 월간 고시계 발행인, 대학교 겸임교수, 한미우호협회 회장, 탈북난민보호운동본부 총재 등으로 활동했다. - 수안 김씨 - 김동하 (1918년)
김동하는 일제강점기 만주군 장교이자 대한민국 해병대 창설에 참여한 군인,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역임했으나 반혁명사건에 연루되었고,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의주군 출신 - 장준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인 장준하는 일본군 학도병으로 징집 후 탈출하여 광복군에서 활동, 해방 후 김구의 비서를 지냈고, 《사상계》를 창간하여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의문사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의주군 출신 - 정비석
정비석은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대를 거치며 활동한 소설가로, 《자유부인》으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으며 친일 논란과 필화 사건을 겪었고, 4·19 혁명 이후 역사 소설을 주로 집필했다.
| 김덕홍 (1938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김덕홍 |
| 로마자 표기 | Gim Deok-hong |
| 한자 표기 | 金德弘 |
| 가타카나 표기 | 기무 도코 |
| 조선글 표기 | 김덕홍 |
| 한글 표기 | 김덕홍 |
| 인물 정보 | |
| 출생일 | 1938년 12월 3일 |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조선 평안북도 의주 |
| 본관 | 수안(遂安) |
| 종교 | 불교 |
| 정당 | 무소속 |
| 군 복무 정보 | |
| 군복무 | 조선인민군 |
| 학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양 김일성종합대학교 정치경제학과 |
| 복무 기간 | 1961년 3월 2일 ~ 1974년 3월 31일 |
| 계급 | 조선인민군 지상군 중사 |
| 근무 | 조선인민군 지상군 예하 륙군 련대 |
| 지휘 | 분대장 |
| 조선로동당 정보 | |
| 직책 | 로동당 정치국 상무위원 |
| 임기 | 1974년 5월 31일 ~ 1976년 2월 29일 |
| 주석 | 김일성 북조선 국가주석 |
| 총리 | 김일 북조선 총리 박성철 북조선 총리 |
| 직책2 | 로동당 자료연구실 차장 |
| 임기2 | 1976년 2월 29일 ~ 1981년 4월 30일 |
| 주석2 | 김일성 북조선 국가주석 |
| 총리2 | 박성철 북조선 총리 리종옥 북조선 총리 |
| 경력 | |
| 경력 | 평양조선려광무역련합총회사 사장 재경 북조선국민주화위원회 전임위원 탈북자 동지회 회장 |
| 웹사이트 | |
| 웹사이트 | 재경 북조선국민주화위원회 |
2. 생애
1938년 일본 통치하의 평안북도 의주군에서 태어나, 평안남도 순천군과 강동군을 거쳐 평양직할시에서 성장했다.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인민군 육군에서 13년간 복무한 후 하사로 전역했다. 려광무역사 사장,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자료연구실 부실장을 거쳐 황장엽의 비서로 활동했다.
1997년 황장엽과 함께 베이징 주재 대한민국 총영사관에 망명을 신청하여[1][2][3]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대한민국으로 왔다.[4][5]
국가정보원 산하 통일정책연구소 고문을 맡았으나,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을 비판하다 해임되었다.[6] 2007년 북한민주화위원회 위원에 취임했다. 2011년 조선인민군 정찰총국이 포섭한 탈북자를 이용한 암살 시도가 있었으나, 경비 강화로 인해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로 암살 대상을 변경하려다 사전에 체포되었다.[7] 2010년 황장엽 사망 당시 조문을 고려했으나, 2002년부터 소원해진 관계와 2009년 "황원(黃元) 비서는 아직도 주체사상에 미련을 두고 있는 듯하다"는 비난 등으로 인해 방문하지 않았다.[8]
2. 1. 북한에서의 삶 (1938년 ~ 1997년)
1938년 일본 통치하의 평안북도 의주군에서 태어났다. 평안남도 순천군을 거쳐 강동군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이후 평양직할시에 있는 김일성종합대학에 진학했다. 196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양 김일성종합대학교 정치경제학과를 학사 졸업하고, 1974년까지 13년간 조선인민군 육군에서 복무했다. 하사로 전역한 후 려광무역사 사장,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자료연구실 부실장을 거쳐 주체사상의 사상가이자 조선로동당 국제 담당 비서였던 황장엽의 비서가 되었다.[1]2. 2. 대한민국 망명 (1997년)
1997년 황장엽과 함께 일본 강연에 동행했다가, 2월 12일 귀국길에 베이징 주재 대한민국 총영사관에 망명을 신청했고[1][2][3], 4월 20일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대한민국에 입국했다.[4][5]2. 3. 대한민국에서의 활동 (1997년 ~ 현재)
1997년 망명 후 국가정보원 산하 통일정책연구소 고문을 맡았지만, 2000년 김대중 정권의 햇볕정책을 비판하여 해임되었다.[6] 2007년 황장엽이 주도하여 탈북자 단체를 통합한 북한민주화위원회 위원에 취임했다. 대한민국 탈북자 동지회 회장을 역임했다.2010년 10월 9일 황장엽이 사망했을 때 조문을 하려 했으나 방문하지 않았다. 2002년부터 소원해졌으며, 2009년에는 "황원(黃元) 비서는 아직도 주체사상에 미련을 두고 있는 듯하다"고 비난했다.[8]
3. 황장엽과의 관계
황장엽의 비서로 활동하다가 함께 대한민국으로 망명했다.[1][2][3] 1997년 황장엽의 일본 강연에 동행했으며, 2월 12일 귀국길에 베이징 주재 대한민국 총영사관에 망명을 신청했고,[1][2][3] 4월 20일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대한민국에 도착했다.[4][5]
2002년부터 황장엽과 소원해졌으며, 2009년에는 "황원(黃元) 비서는 아직도 주체사상에 미련을 두고 있는 듯하다"고 비난했다.[8] 2010년10월 9일 황장엽이 사망했을 때 조문하지 않았다.
4. 암살 시도 위협
2011년 조선인민군 정찰총국이 포섭한 탈북자를 이용하여 김덕홍을 암살하려 했으나, 경비 강화로 인해 자유북한운동연합의 박상학 대표로 암살 대상을 변경하려다 사전에 체포되었다.[7]
5. 저서
참조
[1]
뉴스
KBSニュース9
https://news.kbs.co.[...]
1997-02-12
[2]
뉴스
MBCニュースデスク
https://imnews.imbc.[...]
1997-02-12
[3]
뉴스
北朝鮮の民主化運動に明りを灯した 「行動する亡命者」黄長鎏氏永眠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10-10-11
[4]
뉴스
KBSニュース9
https://news.kbs.co.[...]
1997-04-20
[5]
뉴스
MBCニュースデスク
https://imnews.imbc.[...]
1997-04-20
[6]
뉴스
黄長鎏・金徳弘氏 安全家屋から放出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00-11-23
[7]
뉴스
北朝鮮の「毒針テロ」その威力は…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1-10-07
[8]
뉴스
亡命工作責任者の元安企部長、故黄氏を弔問、亡命同行の金徳弘氏は弔問せず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10-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