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철준은 당악 김씨 본관의 한국의 역사학자이다.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원, 단국대학교,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하버드-옌칭 연구소에서 해외 연구를 진행했으며,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장 및 원장을 역임했다. 1989년 과로로 사망했다. 저서 및 번역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사학자 - 신채호
신채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전개한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역사가, 문필가로, 민족주의적 역사관과 독립운동에 대한 열정으로 한국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한국사학자 - 브루스 커밍스
브루스 커밍스는 20세기 동아시아 국제 관계, 특히 한국 전쟁과 현대 한국사에 대한 수정주의적 해석으로 알려진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정치학자로,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국과 동아시아 관계 등을 연구했고, "한국 전쟁의 기원" 등의 저서를 통해 동아시아 역사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시한다. - 평안남도 출신 - 송종의
송종의는 1941년 평안남도 중화군 출생의 대한민국 법조인으로, 검사로 재직하며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장, 대검찰청 차장검사 등 요직을 역임하고 법제처장을 지냈으며, 베트남 전쟁 참전, 밤나무 심기, 천고법치문화재단 설립 등의 활동을 했으나 인혁당 사건, 민청학련 사건, 노무현 전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 결재, 형제복지원 사건 조사 거부 등 여러 논란에도 연루되었다. - 평안남도 출신 - 김형직
김형직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김일성의 아버지로, 조선국민회에 참여하고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했으며, 북한에서는 항일 독립운동 지도자로 추앙받지만 반공주의적 성향을 가졌다는 증언도 있다.
김철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철준 |
한자 표기 | 金 哲埈 |
다른 이름 | 담화산인(曇華山人), 일계(一溪) |
출생일 | 1923년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평안남도 평원 |
사망일 | 1989년 1월 17일 |
사망 원인 | 과로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
모교 | 서울대학교 |
학위 | 해당 정보 없음 |
경력 | |
직장 | 국립중앙박물관 단국대학교 연세대학교 하버드 옌칭 연구소 서울대학교 한국학중앙연구원 |
활동 기간 | 해당 정보 없음 |
학문 | |
주요 관심 분야 | 조선 고대사 |
학파 | 해당 정보 없음 |
지도 교수 | 해당 정보 없음 |
영향을 줌 | 해당 정보 없음 |
시대 | 해당 정보 없음 |
분야 | 역사 |
하위 분야 | 한국 고대사 |
소속 기관 | 문화재위원회 한국사연구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 단국대학교 서울대학교 하버드 옌칭 연구소 연세대학교 |
주요 저서 | 『한국고대사회 연구』 『한국고대국가발달사』 『한국문화사론』 『한국문화전통론』 『국사개론』 |
주요 개념 | 해당 정보 없음 |
영향을 받음 | 해당 정보 없음 |
주요 제자 | 노태돈 |
수상 | |
수상 내역 | 한국출판문화상 외솔문화상 은관문화훈장 학술원상 |
가족 | |
배우자 | 해당 정보 없음 |
자녀 | 해당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해당 정보 없음 |
2. 생애
김철준은 당악 김씨로, 1948년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학계에 발을 들였다. 서울대학교 사학과 조교,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원, 단국대학교와 연세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를 거쳐 1963년부터 서울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1] 1960년에는 하버드-옌칭 연구소에서 해외 연구를 하기도 했다.[1] 1970년부터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한국사 연구와 정리에 기여했고,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장 및 원장을 역임하며 한국학 연구 발전에 힘썼다.[1] 1988년 서울대학교를 정년퇴임하였고, 1989년 1월 17일 과로로 사망했다.[1]
2. 1. 학력 및 초기 경력
본관은 당악 김씨이다. 1948년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학과 조교로 임용되었다.[1] 1952년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원으로 근무했다.[1] 1953년 단국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1959년 연세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1] 1960년 8월부터 1년간 하버드-옌칭 연구소에서 해외 연구를 진행했다.[1]2. 2. 서울대학교 교수 시절
1963년, 서울대학교 전임강사, 조교수, 교수를 역임했다. 1988년, 서울대학교를 정년퇴임했다.[1]2. 3. 학술 활동 및 사회 참여
1970년부터 1988년까지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1978년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장을 역임했고, 1988년에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을 역임했다.[1]2. 4. 사망
1989년 1월 17일 과로로 사망했다.[1]3. 저서 및 번역서
김철준은 한국 고대사와 관련된 책을 썼으며, 이 책들은 일본어로 번역되어 학생사에서 출간되었다.
3. 1. 일본어 번역서
- 김철준, 다케다 유키오・하마다 코사쿠 역, 《한국 고대 국가 발달사》, 학생사, 1979년 1월.
- 김철준, 정조묘 역, 《한국 고대 사회 연구》, 학생사, 1981년 8월, ISBN 4-311-304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