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형직은 평안남도 대동군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김일성의 아버지이다. 숭실학교를 졸업하고 순화학교 교사, 명신학교 교사로 활동했으며, 1917년 조선국민회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을 시작했다. 1918년 2월, 간도에서 독립운동기지 모의 혐의로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고, 이후 중국으로 이주하여 한방 의술을 펼쳤다. 1926년 사망했으며, 북한에서는 그의 업적을 기려 김일성 가계를 신격화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개신교도 - 심우섭 (1890년)
심우섭은 청송 심씨로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매일신보》 기자와 소설가로 활동하며 이광수 소설 등장인물의 모델이기도 했으나, 친일 활동으로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인물이다. - 일제강점기의 개신교도 - 이동휘
이동휘는 대한제국 군인 출신으로 신민회 활동, 독립군 양성, 한인사회당 조직,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고려공산당 창당 등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을 이끈 인물이다. - 김일성가 - 김설송
김설송은 김정일과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김정일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몰타와 유럽에서 유학하며 외국어를 배웠다. - 김일성가 - 김여정
김여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정일과 고용희 사이에서 태어나 김정은의 여동생이며, 조선로동당 핵심 실세로 부상하여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등 주요 외교 행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대외적으로 강경한 어조의 담화를 발표하며 대남·대미 압박을 주도하기도 한다.
김형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선생 |
이름 | 김형직 |
로마자 표기 | Gim Hyeongjik |
한자 표기 | 金亨稷 |
출생일 | 1894년 7월 10일 |
출생지 | 만경대, 조선 |
사망일 | 1926년 6월 5일 |
사망지 | 지린성, 중화민국 |
부모 | 김보현 이보익 |
배우자 | 강반석 |
자녀 | 김일성 김철주 김영주 |
친척 | 김씨 일가 |
기타 정보 | |
종교 | 개신교(장로회) |
직업 | 서당 교사, 무면허 의사 |
학력 | 숭실학교 졸업 |
형제 | 김형권 김형록 |
조카 | 김창주 김원주 |
2. 생애
김형직은 1894년 7월 10일 평안남도 대동군 고평면 남리(현 만경대)에서 아버지 김보현과 어머니 이보익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숭실학교를 졸업하고 만경대의 순화학교, 평안남도 강동군 봉화리의 명신학교 등에서 교사로 일했다.[14] 조만식은 그의 학교 선배로 알려져 있다. 이후 한약방을 운영하며 한약사로 활동했다.
1909년, 김형직은 15세 때 17세의 강반석과 결혼하였다. 아버지 김보현 대까지 대대로 문맹이었으나, 김형직은 평양의 학교에서 글을 익히고 동양의학을 독학하여 압록강 북안으로 이주하여 "순천의원"이라는 무면허 한의사로 일하였다.
1918년 2월 18일 간도에 독립운동기지를 모의하다 일경에 체포되어 평양감옥에서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18] 출옥 후에는 중강진을 거쳐 1919년 압록강을 건너 중국 임강현(臨江縣)으로 이주하여 한동안 한의사 생활을 하였다.[20][21][22] 1921년에는 장백현(長白縣) 팔도구(八道溝)로,[27] 1925년 3월에는 무송현(撫松縣)으로 이주하여 한의원을 운영하였다.[28][29]
슬하에 3남을 두었는데, 장남 김일성 외에 차남 김철주(金哲柱)와 삼남 김영주(金英柱)가 있었다.
김형직은 기독교 신자였으며,[41][42] 그의 좌우명은 지원(志遠)이었다고 한다.
2. 1. 독립운동
1916년 봄, 평안남도 강동군 고읍면 동삼리(현 평양시 강동군 봉화리)의 명신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11][12][13][14] 당시 기록에는 정식 학교 교사라기보다 서당 선생에 가까웠던 것으로 보인다.1917년 3월 23일, 장일환 등이 평양에서 조선국민회를 조직했을 때 회원 명단에 김형직의 이름이 있었다.[15][16][17][18]
1918년 2월 18일, 간도에 독립운동기지를 세우려다 일경에 체포되어 장일환, 배민수, 강석봉 등과 함께 평양감옥에서 옥고를 치렀다.[18] 같은 해 출옥한 후 중강진으로 피신하여 1919년 지역 3ㆍ1만세운동을 주도했다고 전해지며, 경찰의 검거를 피해 5월에 압록강 건너 임강현(臨江縣)으로 이주하였다.
1920년 3월, 백산무사단 단원이었던 강진석(康晋錫)이 임강현 모아산(帽兒山)에 있던 김형직의 집에 잠시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다.[23][24][25] 기록에는 없지만, 김형직도 백산무사단 단원이었다는 증언이 있다.[26]
북한 측 주장에 따르면, 김형직은 1921년 11월에 독립 운동가들의 중요한 회의를 소집했고, 이는 산송혁명사적(山松革命史蹟)에 기념되어 있다고 한다.
김형직은 반공주의 성향의 독립운동가였다. 만주에서 공산주의 운동으로 인한 적색테러 때문에 공산주의와 공산주의자들을 상당히 미워했으며, 실제로 공산주의자들에게는 약도 팔지 않고 치료조차 해주지 않았을 정도라고 한다.
2. 2. 사망
1926년 6월 5일 북한에서는 일제의 탄압을 피해다니느라 두 차례 동상에 걸린 후유증으로 사망했다고 주장한다.[30][31][32][33] 하지만, 같은 날 향년 31세로 공산주의 단체에 의해 피살되었다는 기록도 있다.김형직의 묘는 아내 강반석의 묘와 함께 평양시 만경대구역 김일성의 생가인 만경대 근교에 있으나, 중국에 있던 원래 묘를 해방 후 이장한 것으로 보인다.
김형직은 반공주의 성향의 독립운동가였다. 만주에서 활동할 당시 남만주 지역에 공산주의 운동이 활발했는데, 잦은 적색테러로 인해 김형직은 공산주의와 공산주의자들을 매우 혐오했다. 그는 공산주의자들에게는 약도 팔지 않고 치료조차 해주지 않았다고 한다.[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50913010008485 #] 이러한 반공 성향 때문에 공산당에게 원한을 사 여러 차례 테러를 당했으며, 결국 1926년 6월 5일 향년 31세의 나이로 공산주의 단체에 의해 피살되었다.
북한 측 기록에서는 "독립 운동의 통일과 단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일본 경찰의 고문과 중증 동상 후 과로, 쇠약으로 1926년 6월 5일에 사망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김형직은 열성적인 기독교 신자였지만 특별한 정치적 사상은 없었다"는 증언(북한 측은 "정치적 사상이 없는 것처럼 위장하고 있었다"고 주장)도 있으며, "압록강 북안에서 '순천의원'이라는 한약방을 경영하며 아편 밀매 등으로 한때 부유했으나, 이를 시기한 조선인 공산주의자에게 1926년 6월 5일 살해당했다. 이후 그의 아내는 중국인 경찰대장의 첩이 되었다"는 전혀 다른 증언도 존재한다.
3. 결혼과 가족
김형직은 미국 선교사 넬슨 벨의 중매로 부인 강반석을 만났다. 빌리 그레이엄 목사의 장인이기도 한 넬슨 벨이 이 부부의 혼인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은 빌리 그레이엄 목사가 생전에 김일성을 여러 번 만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34]
하지만 이러한 주장의 출처는 불분명하며,[35] 연변 조선족 출신 재미 작가 유순호가 자신의 책에 이러한 주장을 수록하여 널리 퍼진 것으로 보인다.[36][37] 넬슨 벨(L. Nelson Bell, 1894~1973) 선교사는 김형직과 1894년생 동갑으로, 미국에서 학교를 마친 뒤 김일성 출생 후인 1916년에 처음 중국으로 건너가 상해에서 북쪽으로 500km가량 떨어진 청강포(清江浦)에서 선교 활동을 했을 뿐, 평양에서 선교를 한 적은 없다. 이후 빌리 그레이엄 목사의 부인이 된 딸 루스 그레이엄을 평양의 외국인 학교에 보내 공부하게 한 것이 북한과의 연고의 전부이다. 그레이엄 목사가 평양을 방문하여 김일성을 만난 것도 부인의 평양 연고 때문이며,[38][39] 장인 넬슨 벨은 북한이나 김일성 부모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김형직은 1909년 15세 때, 17세의 강반석과 결혼하였다.
김형직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
조부 | 김응우 | 1848년 4월 8일 | 1878년 10월 4일 |
조모 | 리씨부인 | | | |
부 | 김보현 | 1871년 10월 3일 | 1955년 9월 2일 |
모 | 이보익 | 1876년 5월 31일 | 1958년 10월 18일 |
남동생 | 김형록 | | | |
남동생 | 김형권 | 1905년 11월 4일 | 1936년 1월 12일 |
여동생 | 김구일녀 | | | |
여동생 | 김형실 | | | |
여동생 | 김형복 | | | |
아내 | 강반석 | 1892년 5월 7일 | 1932년 7월 31일 |
아들 | 김일성 | 1912년 4월 12일 | 1994년 7월 8일 |
며느리 | 한성희 | ? | |
며느리 | 김정숙 | 1917년 12월 24일 | 1949년 9월 22일 |
손자 | 김정일 | 1942년 2월 16일 | 2011년 12월 17일 |
손자 | 김수라(본명 김만일) | 어려서 사망 | |
손녀 | 김경희 | 1946년 2월 6일 | |
며느리 | 김성애 | 1928년 | 2014년 |
손자 | 김평일 | 1954년 | |
손자 | 김영일 | 1955년 | 2000년 |
손녀 | 김경숙 | | | |
손녀 | 김경진 | | | |
며느리 | 제갈씨 | | | |
손자 | 김현 | 1971년 | |
며느리 | 김송죽 | | | |
손녀 | 김백연 | | | |
아들 | 김철주 | 1918년 6월 12일 | 1935년 6월 14일 |
아들 | 김영주 | 1920년 | |
장조부 | 강병수 | | | |
장인 | 강돈욱 | 1871년 | 1943년 |
장모 | 위돈신 | 1870년 | ? |
4. 사후
198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그의 이름을 따 량강도 후창군을 김형직군으로 개칭하였다.[2] 1975년에는 평양에 있는 김형직사범대학을 그의 이름을 따서 개칭하였고, 김형직군의대 또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8년 7월 10일 봉화리에 있는 김형직 동상과 만경대에 있는 그의 묘, 삭주군과 중강군에 있는 동상 등에 헌화하고 탄신 104돌을 추모하였다. 이날 행사에는 리종옥, 박성철, 계응태, 김철만, 김국태 등 당 고위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다. 평양시 강동군 봉화리와 평안북도 삭주군 남사로동자구, 자강도 중강군 중강읍 등에는 그의 동상이 세워졌고, 만경대 묘지에는 반신상이 있다.
김일성은 아버지의 '지원(志遠, 정의로운 열망)'이라는 사상에 대해 자주 언급하였다. 김정일의 공식 정부 전기에는 그의 할아버지가 "반일 민족 해방 운동의 지도자였으며, 한국에서 민족 운동에서 공산주의 운동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고 명시되어 있다.[8]
5. 북한의 역사 왜곡
김형직에 대해 알려진 바는 거의 없지만, 북한에서는 김형직을 항일 민족 해방 운동의 지도자이자, 한국에서 민족 운동을 공산주의 운동으로 전환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묘사하고 있다.[8] 김정일의 공식 정부 전기에는 이러한 내용이 명시되어 있다.
북한은 김형직이 1921년 11월 독립 운동가들의 중요한 회의를 소집했다고 주장하며, 이를 산송혁명사적(山松革命史蹟)에 기념하고 있다. 또한, 북한 측 전기에 따르면 김형직은 1917년 3월 23일 신간회 산하 조선국민회에 가입하여 무장 게릴라(항일 파르티잔)를 이용한 독립 운동을 했다고 주장한다. 이는 항일 지하 혁명 조직을 통해 항일 민족 해방 투쟁을 진척시킬 수 있는 길을 개척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북한 측 전기에 따르면 1918년 김형직은 일본 제국주의에 대항하여 조국광복회를 설립했고, '조국광복회 10개조 강령'을 발표하고 신분 차별 철폐, 농민, 천민, 노동자의 협력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에 대항할 것을 역설했다고 주장한다. 평양에서 항일 운동을 한 조직원이 일본에 체포되자 게릴라전을 벌였으며, 1925년 1월에는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북한 측 주장과는 달리, "김형직은 열성적인 기독교 신자였지만 특별한 정치적 사상은 없었다"는 증언도 존재한다. 북한 측은 "정치적 사상이 없는 것처럼 위장하고 있었다"고 주장하지만, 김형직이 압록강 북안에서 '순천의원'이라는 한약방을 경영하며 아편 밀매 등으로 한때 부유했으나, 이를 시기한 조선인 공산주의자에게 1926년 6월 5일 살해당했다는 증언도 있다.
북한에서는 제너럴 셔먼 호 사건의 격퇴에 대해 김일성의 증조부 김응우가 주도했다고 주장한다.
5. 1. 3·1 운동 관련 왜곡
북한에서는 3·1 운동이 김일성의 아버지 김형직을 선두로 평양에서 전개되었다고 선전하고 있다.[10] 유관순 등이 3·1 운동의 주요 인물로 평가받는 대한민국 등 다른 나라들과는 다른 역사관을 가지고 있다.북한에서는 1970년대 후반까지 3·1 운동에 대해 "러시아의 10월 혁명의 영향을 받아 수십만의 서울 시민이 반일 투쟁을 시작하여 발생한 것"이라고 기술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는 "평양에 있던 숭덕여자학교에서 수천 명이 참가한 가운데 학생 대표가 독립 선언을 낭독하며 시작되었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북한의 선전 매체는 "이날 평양에서는 낮 12시 종소리를 신호로 김형직이 직접 육성한 애국적인 청년 학생과 인민을 선두로 10만 명의 군중이 '조선 독립 만세', '일본인과 일본군은 물러가라'는 슬로건을 외치며 격렬한 데모를 벌였다"고 주장하고 있다.[10]
북한의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는 "1917년에 김형직 선생이 결성한 '조선국민회'가 3·1 운동을 주도했다"고 가르치고 있으며, "유관순의 항일 운동도 김형직이 이끈 결과"라고 주장하고 있다. 더 나아가 "3·1 운동 당시 김일성이 7세의 어린 나이로 만경대에서 평양성까지의 데모 행렬에 앞장서서 행진했다"고 서술하고 있다.
북한의 교과서에서는 항일의 역사와 전혀 관계없는 김일성의 아버지 김형직이나 조부 김보현 등을 항일 투사의 전형으로 기록하고, 김일성 가계를 신격화하여 김형직을 '반일 민족 해방 운동의 공산주의 운동으로 전환시킨 선구자'로 칭송하고 있다.
6.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
조부 | 김응우 | 1848년 4월 8일 | 1878년 10월 4일 |
조모 | 리씨부인 | ||
부 | 김보현 | 1871년 10월 3일 | 1955년 9월 2일 |
모 | 이보익 | 1876년 5월 31일 | 1958년 10월 18일 |
남동생 | 김형록 | ||
남동생 | 김형권 | 1905년 11월 4일 | 1936년 1월 12일 |
여동생 | 김구일녀 | ||
여동생 | 김형실 | ||
여동생 | 김형복 | ||
처 | 강반석 | 1892년 5월 7일 | 1932년 7월 31일 |
장인 | 강돈욱 | 1871년 | 1943년 |
장모 | 위돈신 | 1870년 | |
아들 | 김일성 | 1912년 4월 12일 | 1994년 7월 8일 |
며느리 | 한성희 | ? | |
며느리 | 김정숙 | 1917년 12월 24일 | 1949년 9월 22일 |
손자 | 김정일 | 1942년 2월 16일 | 2011년 12월 17일 |
손자 | 김수라(金修羅, 본명 김만일(金萬一)) | 어려서 사망 | |
손녀 | 김경희 | 1946년 2월 6일 | |
며느리 | 김성애 | 1928년 | 2014년 |
손자 | 김평일 | 1954년 | |
손자 | 김영일 | 1955년 | 2000년 |
손녀 | 김경숙 | ||
손녀 | 김경진 | ||
며느리 | 제갈씨 | ||
손자 | 김현 | 1971년 | |
며느리 | 김송죽 | ||
손녀 | 김백연 | ||
아들 | 김철주 | 1916년 6월 12일 | 1935년 6월 14일 |
아들 | 김영주 | 1920년 | 2021년[40] |
참조
[1]
웹사이트
김형직선생의 지원의 사상은 영원히 빛날것이라고 나이제리아단체 강조
http://www.uriminzok[...]
Uriminzokkiri
2016-03-28
[2]
서적
Kim Il Sung, Volume I: From Birth to the Triumphant Return to the Homeland
Dar al-Talia Publishers
1973
[3]
논문
Kim Jong Il's North Korea and Its Survivability
https://books.google[...]
Pʻyŏnghwa Tʻongil Yŏnʼguso
2003
[4]
잡지
Alone in the dark
http://www.newyorker[...]
2003-09-08
[5]
뉴스
Kim Il-sung: disastrous founder of communist N. Korea
https://www.koreatim[...]
2011-08-17
[6]
웹사이트
Kim Il Sung killer file
http://www.moreorles[...]
Moreorless : Heroes and killers of the 20th century
[7]
논문
Christian Background in the Early Life of Kim Il-Song
https://www.jstor.or[...]
1986
[8]
서적
Kim Jong Il: Short Biography
http://www.naenara.c[...]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9]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金日成(きんにっせい)」
https://kotobank.jp/[...]
[10]
뉴스
Daily NK - 捏造金氏父子抗日斗争的“荒唐的前五位”
http://www.dailynk.c[...]
2008-03-01
[11]
뉴스
북 김일성 아버지 김형직 사망 90돌 행사 : 평양시 강동군 봉화리의 김형직 동상 헌화
https://nocutnews.co[...]
CBS노컷뉴스
2016-06-06
[12]
뉴스
새 전기「세기와 더불어」허동찬씨의 분석(신고/김일성자서전연구:5)
http://www.seoul.co.[...]
서울신문
1992-10-15
[13]
뉴스
새전기「세기와 더불어」허동찬씨의 분석(신고 김일성자서전연구:16)
http://www.seoul.co.[...]
서울신문
1992-11-26
[14]
웹사이트
김형직(金亨稷)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5]
간행물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歐米 7雜 > 朝鮮人槪況 送付에 관한 건 &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歐米 7雜 > 朝鮮人槪況 第二 壹部 參考 送付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국사편찬위원회)
1919-03-26
[16]
서적
현대사 자료(現代史資料) 25, 조선(朝鮮) 1
https://www.msz.co.j[...]
みすず書房
1967
[17]
뉴스
金日成의 父 金亨稷 조선국민회활동 사실로 확인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8-03-25
[18]
뉴스
김형직 독립운동 사료 독립기념관에 소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03-23
[19]
간행물
朝鮮人에 대한 施政關係雜件 一般의 部 3 > 陸軍側 調査에 관계된 鴨綠江 沿岸地方 支那地에서의 在住 朝鮮人의 戶口 其他에 관한 件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0]
뉴스
새전기「세기와 더불어」허동찬씨의 분석(신고 김일성자서전연구:20)
http://www.seoul.co.[...]
서울신문
1992-12-10
[21]
뉴스
(김씨 일가의 실체) '충성심만이 아니라 그날의 그리움까지 계승하라'
https://www.rfa.org/[...]
RFA
2011-06-07
[22]
웹사이트
김일성 혁명역사 강좌 1 : 김일성 그는 누구인가 - 오해와 진실
https://nksc.co.kr/p[...]
nksc.co.kr
2009-04-24
[23]
간행물
白山武士團員 逮捕의 件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1921-05-12
[24]
간행물
白山武士團 第二部 外務員 康晋錫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1921-04-24
[25]
뉴스
새 전기 「세기와 더불어」허동찬씨의 분석(신고 김일성자서전연구:8) & 새전기「세기와 더불어」허동찬씨의 분석(신고 김일성자서전연구:19)
http://www.seoul.co.[...]
서울신문
1992-10-27, 1992-12-08
[26]
간행물
《조선전사》 現代篇의 分析·批判(許東粲) > Ⅱ. 抗日武裝闘爭史(16〜22권)批判 > 1. 金亨稷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1989-10-09
[27]
뉴스
새 전기「세기와 더불어」허동찬씨의 분석(신고/김일성자서전연구:8)
http://www.seoul.co.[...]
서울신문
1992-10-27
[28]
뉴스
새전기「세기와 더불어」허동찬씨의 분석(신고 김일성자서전연구:25)
http://www.seoul.co.[...]
서울신문
1993-01-05
[29]
뉴스
새전기「세기와 더불어」허동찬씨의 분석(신고 김일성자서전연구:26)
http://www.seoul.co.[...]
서울신문
1993-01-07
[30]
뉴스
南北(남북)의 對话(대화) <46> 金日成(김일성)의 登場(등장) (5) 蘇軍(소군)과 金日成(김일성)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2-01-25
[31]
서적
김일성 열전(金日成 列傳) - 그 傳說과 神話의 眞相糾明을 위한 硏究
신문화사
1974
[32]
서적
김일성 평전(金日成 評傳) - 허구와 실상
http://scholar.dkyob[...]
북한연구소
1987
[33]
뉴스
金日成(김일성) 北韓(북한)주석 출생에서 사망까지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4-07-10
[34]
웹인용
미 선교사 중매로 태어난 김일성
https://www.rfa.org/[...]
2020-01-13
[35]
뉴스
김진섭 교수, "역대하 7:14, 남북통일 운동 성경적 출발점"
https://www.christia[...]
기독일보
2014-05-30
[36]
서적
김일성 평전 (상)
지원출판사
2017
[37]
뉴스
김일성의 부모 중매인 미국선교사 넬슨 벨
https://www.lkp.news[...]
리버티코리아포스트
2019-10-22
[38]
뉴스
21일 타계 그레이엄 목사, 남북한과 인연 깊어...김일성에 성경 선물
https://www.voakorea[...]
VOA
2018-02-22
[39]
뉴스
북한과 기독교... 인연 혹은 악연의 시작
https://www.bbc.com/[...]
BBC 코리아
2018-09-19
[40]
뉴스
‘입맛대로’ 친일 인명사전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09-11-05
[41]
간행물 # 증언의 출처가 불분명하여 간행물로 분류
조선국민회 활동 관련 배민수 목사 증언
[42]
웹사이트
평양이 임시수도라니... 우리가 모르는 북한 역사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4-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